KR101516010B1 -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010B1
KR101516010B1 KR1020140108930A KR20140108930A KR101516010B1 KR 101516010 B1 KR101516010 B1 KR 101516010B1 KR 1020140108930 A KR1020140108930 A KR 1020140108930A KR 20140108930 A KR20140108930 A KR 20140108930A KR 101516010 B1 KR101516010 B1 KR 10151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bridge
door
do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10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8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harmful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도어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도어홈을 개폐시키는 개폐브릿지; 및 상기 개폐브릿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홈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개폐브릿지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방사선 조사실의 도어 개방시 바닥면에 형성된 도어홈을 폐쇄시켜 상기 도어홈으로 인해 발생하는 깊은 홈을 없애, 방사선 조사실 내부의 대차는 물론 방사선 조사실로 출입하는 차량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BRIDGE SYSTEM FOR RADIATION IRRADIATION}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 조사실의 도어 개방시 바닥면에 형성된 도어홈을 폐쇄시켜 상기 도어홈으로 인해 발생하는 깊은 홈을 없애, 방사선 조사실 내부의 대차는 물론 방사선 조사실로 출입하는 차량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구조물의 균열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검사하고자 하는 대형 구조물이 출입할 수 있는 대형 방사선 조사실이 별도로 마련된다.
또한, 방사선 조사실의 개폐도어의 두께는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적어도 30㎝ 이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실의 개폐도어의 하부면에는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방사선 조사실을 개폐시키는 구조로써, 방사선을 통한 균열상태 검사시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틈을 통해 상당량의 방사선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면에 도어홈을 형성하고 개폐도어의 하부가 상기 도어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개폐도어의 하부면까지 형성되던 공간을 완전히 차단한 개폐도어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개폐도어의 개방시 도어홈으로 인해 방사선 조사실로 출입하는 차량(대차 포함)의 제한은 물론, 도어홈으로 인한 턱으로 인해 차량이동 중 대형 구조물이 파손되는 등 차량 이동에 많은 제약이 따랐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들이 도어홈의 크기에 대응시켜 제작한 나무목을 도어홈에 설치하였다 해체하는 형태로 사용중이나, 이는 인력 및 시간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해체된 나무목을 보관해야하는 등 각종 문제점들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복적인 방안을 모색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폐도어의 폐쇄시 개폐도어의 폐쇄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도어홈을 개방하고, 개폐도어의 개방시 개방된 도어홈을 폐쇄시켜 도어홈으로 인한 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은, 방사선 조사실에 설치된 개폐도어의 개방시 바닥에 형성된 도어홈을 폐쇄시키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도어홈을 개폐시키는 개폐브릿지; 상기 개폐브릿지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홈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개폐브릿지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개폐도어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실의 개폐도어의 개방시 도어홈으로 인해 바닥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깊은 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대차 및 차량 등이 방사선 조사실 출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동결합부 및 회동간격조절부의 구성으로 개폐브릿지를 도어홈에 삽입시 자동유격조절을 통해 부드럽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브릿지의 하부에 충격완충부재를 구성함으써 도어홈의 폐쇄시 개폐브릿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므로, 개폐브릿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브릿지를 이용한 도어홈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브릿지를 이용한 도어홈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홈의 개방 및 폐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동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브릿지(100)를 이용한 도어홈(20)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브릿지(100)를 이용한 도어홈(20)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실에 설치된 개폐도어(10)의 개방시 바닥에 형성된 도어홈(20)을 폐쇄시키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어홈(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어홈(20)을 개폐시키는 개폐브릿지(100); 개폐브릿지(100)에 결합되며, 도어홈(20)을 개폐시키도록 개폐브릿지(100)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재(200); 및 회동부재(200)와 개폐도어(1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도어(10)는 도어홈(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방사선 조사실 출입구를 개폐시킨다.
도면 상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방사선 조사실 출입구에 형성된 벽체로써, 방사선 조사실 출입구의 폐쇄시 개폐도어(10)가 상기 벽체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이때, 미도시 하였으나, 폐쇄시 상기 벽체와 밀착되는 개폐도어(10)의 일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의 암수끼움방식으로 폐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 상에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개폐도어(10)를 하나로만 구성하였으나 개폐도어(1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인 개폐브릿지(100)도 하나로만 구성하였으나, 도어홈(20)의 구조,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개폐상태지지부재(220)를 개폐브릿지(100)의 양측에 한 쌍으로만 구성하였으나, 개폐브릿지(100)의 크기 및 중량 등을 고려하여 개폐브릿지(100)의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개폐상태지지부재(22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실 출입구의 폐쇄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홈(20)을 개방한 형태로, 즉, 개폐브릿지(100)가 도어홈(20)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며, 방사선 조사실 출입구의 개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브릿지(100)가 도어홈(20)에 삽입되어 눕혀진 상태로 위치된다.
다만, 도 1에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상 개폐도어(10)가 폐쇄된 형태로 도시되는 것이 올바르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편의상 개방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한편, 개폐브릿지(100)를 이용하여 도어홈(20)의 폐쇄시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개폐브릿지(100)의 상부면에는, 대차레일홈(30)이 더 구성된다.
개폐브릿지(100)의 상부에 형성된 대차레일홈(30)은 방사선 조사실의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대차레일홈(30)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응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300)는 회동부재(2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그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개폐도어(10)와 연계시켜 회동부재(200)가 동작하도록 구성하거나, 개폐도어(10)와 별도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기기 운용의 편의를 위해 개폐도어(10)의 개방 후 개폐브릿지(100)가 도어홈(20)을 폐쇄시키고, 개폐도어(10)의 폐쇄 전 개폐브릿지(100)가 도어홈(20)을 개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홈(20)의 개방 및 폐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동부재(200)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회동부재(200)는 개폐브릿지(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개폐브릿지(100)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회동각도조절부재(210); 및 회동각도조절부재(2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브릿지(100)에 결합되어 회동각도조절부재(210)의 동작에 따라 개폐브릿지(100)를 도어홈(20)에 삽입 및 분리시키는 개폐상태지지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동각도조절부재(210)는, 개폐상태지지부재(220)의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224)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수단(211); 및 일단부가 개폐상태지지부재(22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개폐상태지지부재(220)는, 개폐브릿지(100)의 측면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221); 및 개폐브릿지(100)의 측면 단부에 형성된 회동간격조절돌기(110)가 체결되는 장홀(223)이 형성된 회동간격조절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방사선 조사실의 외측 방향으로 도어홈(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회동부재설치홈(400)이 형성된다.
회동부재설치홈(400)의 폭과 깊이 등은 설치되는 회동부재(200)의 크기 및 회동반경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재설치홈(400)에는 실린더(212)와 회전축지지수단(211)이 설치되며, 실린더(212)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실린더(212)의 일측은 개폐상태지지부재(220)의 일단부(도 3을 기준으로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212)의 타측은 회동부재설치홈(400)의 바닥면에 위치를 고정결합하되,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지지수단(211)은 개폐상태지지부재(220)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22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라면 설치형태 등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실린더(212)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부재설치홈(400)의 상부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단턱에는 회동부재설치홈(400)이 폐쇄되도록 개폐판(410)을 설치한다.
개폐판(410)의 일측에는 개폐상태지지부재(220)의 회동시 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홈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기준으로 회동결합부(221) 및 회동간격조절부(222)는 각각 좌측으로 만곡 또는 절곡된 형태의 돌출부로 구성되었으나, 개폐브릿지(100)의 중심부와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브릿지(100)를 이용하여 도어홈(20)의 폐쇄시 도어홈(20)과 회동부재설치홈(400) 사이에 형성된 바닥면에 의해 개폐상태지지부재(220)의 작동이 간섭받지 않도록 바닥면의 높이와 폭을 고려하여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홈(20)의 폐쇄시, 회동간격조절돌기(110)가 장홀을 따라 이동되며 회동되므로 유격이 조절되면서 개폐브릿지(100)가 도어홈(20)에 부드럽게 안착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홈(20)의 상부 테두리에도 단턱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시켜 개폐브릿지(100)의 상부에도 하부 내측방향(도 4 기준)으로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도어홈(20)에 개폐브릿지(100)가 안착지지되는 과정에서 유격조절이 더욱 원할해지도록 보조한다.
한편, 개폐브릿지(100)를 이용하여 도어홈(20)의 폐쇄시 도어홈(2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개폐브릿지(100)의 하부면에는, 도어홈(20)의 바닥면과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완충부재(120)가 더 구비된다.
충격완충부재(12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충격 등을 흡수 및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완충부재(120)의 충격흡수로 도어홈(20)의 폐쇄 과정에서 개폐브릿지(100)가 도어홈(20)의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장비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조사실을 출입하는 대차는 물론, 검사 대상인 구조물을 운반하는 차량 등의 출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 : 개폐도어 20 : 도어홈
30 : 대차레일홈
100 : 개폐브릿지 110 : 회동간격조절돌기
120 : 충격완충부재
200 : 회동부재 210 : 회동각도조절부재
211 : 회전축지지수단 212 : 실린더
220 : 개폐상태지지부재 221 : 회동결합부
222 : 회동간격조절부 223 : 장홀
224 : 회전축
300 : 제어부
400 : 회동부재설치홈 410 : 개폐판

Claims (7)

  1. 방사선 조사실에 설치된 개폐도어의 개방시 바닥에 형성된 도어홈을 폐쇄시키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도어홈을 개폐시키는 개폐브릿지; 및
    상기 개폐브릿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브릿지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회동각도조절부재와 상기 회동각도조절부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브릿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각도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개폐브릿지를 상기 도어홈에 삽입 및 분리시켜 상기 도어홈을 개폐시키는 개폐상태지지부재로 구성된 회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상태지지부재는,
    상기 개폐브릿지의 측면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결합부; 및
    상기 개폐브릿지의 측면 단부에 형성된 회동간격조절돌기가 체결되는 장홀이 형성된 회동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도조절부재는,
    상기 개폐상태지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수단; 및
    일단부가 상기 개폐상태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홈의 폐쇄시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기 개폐브릿지의 상부면에는, 대차레일홈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홈의 폐쇄시 상기 도어홈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상기 개폐브릿지의 하부면에는, 상기 도어홈의 바닥면과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개폐도어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KR1020140108930A 2014-08-21 2014-08-21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KR10151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930A KR101516010B1 (ko) 2014-08-21 2014-08-21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930A KR101516010B1 (ko) 2014-08-21 2014-08-21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010B1 true KR101516010B1 (ko) 2015-05-06

Family

ID=5339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930A KR101516010B1 (ko) 2014-08-21 2014-08-21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72U (ja) * 1991-10-01 1993-04-30 株式会社イトーキ 超重量扉の開閉構造
KR101306089B1 (ko) * 2013-05-13 2013-09-09 (주)디엠씨코리아 상하로 회전되는 업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72U (ja) * 1991-10-01 1993-04-30 株式会社イトーキ 超重量扉の開閉構造
KR101306089B1 (ko) * 2013-05-13 2013-09-09 (주)디엠씨코리아 상하로 회전되는 업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857B1 (ko) 회전이동식 도어구조
EP3258041A1 (en) Door hinge assembly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1516010B1 (ko) 방사선 조사실 브릿지 시스템
JP5536787B2 (ja) 冶金炉用スラグドア
JP6487682B2 (ja) 窓サッシ
CN107990113A (zh) 一种调节式会议平板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CA2439358A1 (en) Device for locking a separative element
KR100898194B1 (ko) 출입문 개폐장치
KR10170573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프레임
KR101744585B1 (ko) 자동닫힘형 안전 게이트
KR10231429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의 공동구 덮개
JPWO201700997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821193B2 (ja) 縦型定風量換気装置
JP2006103872A (ja) 乗客コンベアのマンホールカバー装置
KR101642955B1 (ko) 비계용 접이식 해치
JP6685641B2 (ja) 窓サッシ
KR101568344B1 (ko)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20160046197A (ko)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US20170211311A1 (en) Rotatable and hung safety window assembly
KR20200067678A (ko) 클립 씰바를 사용하는 스윙 도어
JP2011196086A (ja) 窓開閉装置
KR20000000484A (ko) 자동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