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559B1 -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559B1
KR101515559B1 KR1020130107514A KR20130107514A KR101515559B1 KR 101515559 B1 KR101515559 B1 KR 101515559B1 KR 1020130107514 A KR1020130107514 A KR 1020130107514A KR 20130107514 A KR20130107514 A KR 20130107514A KR 101515559 B1 KR101515559 B1 KR 10151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unit
pill
user terminal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133A (ko
Inventor
신지원
Original Assignee
신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원 filed Critical 신지원
Priority to KR102013010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5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4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by shape or form, e.g. by using shape reco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패턴이 프린트된 알약 케이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알약 수용부; 및 상기 알약 수용부를 덮으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알약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약 수용부, 및 상기 알약 수용부를 덮으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알약 케이스; 및 상기 패턴부 형상의 변화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알약 수용부에 수용된 알약의 토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A Blister Pack for Automatic Administration Monitoring with Distinct Pattern Printed on the Back Side}
본 발명은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 패턴이 프린트된 알약 케이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약 여부를 자동으로 인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고령화 인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이로 인해 성인병과 같은 만성질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고령자 중 70% 이상이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만성질환으로 인해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약을 복용하지 않아 질병 치료에 실패하거나 치료효과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잘못된 약복용 즉, 정량 미준수나 잘못된 투여 등으로 인해 오히려 질병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는 고령의 만성질환자의 경우 기억력의 감퇴와 같은 영향으로 약복용에 대한 순응도가 현격히 감소하여 질병이 급속도록 악화되며, 질병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우에 약복용에 대한 순응도가 현격히 감소하는 것 이외에도 투약 시 필요한 약의 개수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거나 약의 투약횟수 등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약복용 시 투약을 하였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환자가 기억하지 못함으로써 약물의 오남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현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으며, 환자의 일상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는 복약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약 수용부; 및 상기 알약 수용부를 덮으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알약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약 수용부에 수용된 알약이 외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패턴부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알약 케이스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알약 수용부, 및 상기 알약 수용부를 덮으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알약 케이스; 및 상기 패턴부 형상의 변화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알약 수용부에 수용된 알약의 토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약에 따라 상기 알약의 복용시간, 상기 알약의 복용갯수, 상기 알약의 복용일자 및 상기 알약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약 수용부에 수용된 알약이 외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패턴부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알약 케이스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턴부와 한 조를 이루는 패턴이 저장되어, 상기 패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패턴이 병합되어 원래 구성된 특정 문양, 특정 색상, 특정 색상의 픽셀 수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프린트된 패턴의 변형이 있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가 상기 알약 케이스 패턴부를 소정의 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알약 케이스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약 케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함께 상기 거치대에 거치될 때에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기존의 알약 케이스 생산 설비에 크게 변화를 주지 않고, 단지 뒷면에 인쇄되는 내용만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하게 복약 인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알약 케이스에 패턴을 추가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투명바탕에 인쇄된 패턴을 추가한 뒤 이를 표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저항 및 각종 센서 방식에 비해 현저히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복약 인지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알약 케이스에서 알약이 토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의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인지 시스템(100)은 알약 케이스(110) 및 사용자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알약 케이스(110)는 각각 내부에 알약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알약 수용부(111) 및 각각의 알약 수용부(111)를 덮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112)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20)는 촬영부(121), 통신부(122), 사용자 인터페이스(123), 데이터베이스(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장기간 약물의 규칙적 복용이 필요한 환자의 복약 순응도 (compliance)는 약효를 높이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특정 질환 및 치료제, 특히 항암제 등 의 경우에는 복약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높은 치료 효과 제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기 약물 복용 환자의 규칙적인 복약을 보조, 지도하거나, 실제 복약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 포장 혹은 약물 상자의 고안품들이 제안되었다. 또한 일부의 다른 응용으로는 마약성 진통제 등 별도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한 약물이 목적 외의 용도로 불출 또는 분실되지 않도록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약물의 포장의 파손 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구들도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복약 인지를 위한 종래의 기술은 개별 알약의 토출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부재와, 이를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고 외부로 정보를 보내기 위한 신호처리 및 통신에 관련된 기능부로 구성되며, 구성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약물 복용 필요를 고지하거나, 현재 약물 잔여량, 시간 등을 고지하기 위한, 시각적/청각적 알림부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알약의 토출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부재로는, 전기적 저항을 패턴 형태로 약 포장면에 구현하여서 포장이 알약 토출과 함께 파손되면서 전체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는 것을 센싱하거나, 개별 알약에 RFID 센서를 부착하거나,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를 구현하거나, LED를 위치시키고 알약의 가림/비움 여부로 판별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한편, 알약의 토출 여부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RFID를 사용하거나, NFC 방식의 통신기법으로 휴대전화와 연동하거나, 기타 근거리 무선통신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약 인지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알약을 토출시키면 그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저항, 정전용량, 개별센서수치 등의 값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값의 변화는 전용의 신호처리 장치를 통해 메모리 장치에 기록되어 추후에 분석되거나, 실시간으로 RFID, NFC, 기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등으로 정보가 외부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의 외부 연동을 위해 복약 인지 장치를 전용의 장치(RFID 통신장치, NFC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 기타 전자정보처리 기능을 갖춘 전용의 플랫폼 등)에 근접시키거나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알약의 토출 여부를 센싱하는 다양한 방법들은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RFID센서를 알약마다 구현하거나, LED 센서를 알약 위치마다 구현한 케이스와 같은 경우에는, 비용 증가의 문제와 환자의 추가적인 노력 (해당 케이스에 상시 수납)이 요구되어 순응도에 방해를 줄 수 있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기저항,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는 본 발명의 제안 기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가되는 전자적 장치들에 의한 비용효율성이 낮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100)은 특정한 패턴이 프린트된 알약 케이스와, 이를 촬영하여 알약 케이스 표면의 패턴의 변형 여부를 분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복약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인지 시스템(100)은, 특정한 패턴이 프린트된 알약 케이스(110)와, 알약 케이스(110) 표면에 형성된 패턴부(112)를 촬영하여 이를 분석하는 사용자 단말기(120)와, 사용자 단말기(120)의 촬영부(121)가 알약 케이스(110) 표면을 적절한 시야와 시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120)와 알약 케이스(110)를 거치하는 거치대(130)로 구성된다.
알약 케이스(110)는 각각 내부에 알약이 수용되는 복수 개의 알약 수용부(111) 및 각각의 알약 수용부(111)를 덮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112)를 포함한다. 이때 패턴부(112)는 알약 케이스(110)의 표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 알약 케이스의 뒷면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게 투명 바탕에 패턴이 인쇄된 부착 가능한 용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20)는 촬영부(121), 통신부(122), 사용자 인터페이스(123), 데이터베이스(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촬영부(121)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카메라의 형태로 제공되며, 알약 케이스(110)의 패턴부(112)를 촬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122)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20)와 병원 등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를 연결하여 복약 인지 모니터링 결과를 애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3)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3)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3)는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의 터치 스크린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3)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기타 입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와 송수신한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는 파워 및 스피커, 마이크로폰과 같은 기타 주변 기기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4)는 알약 케이스(110)로부터 약이 인출되면, 약의 인출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정보는 약의 인출시간, 약의 인출갯수 및 약의 인출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촬영부(121)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알약 케이스(110)의 알약 수용부(111)에 수용된 알약의 토출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25)가 알약의 토출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의 알약 케이스에서 알약이 토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약 케이스(110)의 패턴부(112)는 알약의 토출에 따라 변형되며, 이렇게 변형된 패턴의 개수와 변형 시점이 사용자 단말기(120)에 의해 인식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20)는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 병원 등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 등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패턴 변형의 인식 방법은 다양한 영상처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는, 알약 케이스(110)의 표면에 프린트되는 패턴부(112)와 한 조를 이루는 패턴이 사용자 단말기(120)의 제어부(125) 내에서 병합되어 원래 구성된 특정 문양, 특정 색상, 특정 색상의 픽셀 수 등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프린트된 패턴의 변형이 있었는지 여부를 구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최초의 촬영 영상과 어느 시점에서의 촬영 영상을 비교하여, 영상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패턴 변형의 인식 방법으로 다양한 영상처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거치대(130)는 사용자 단말기(120)와 알약 케이스(110)를 거치하며, 사용자 단말기(120)의 촬영부(121)가 알약 케이스(110) 표면을 적절한 시야와 시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거치대(130)는 사용자 단말기(120)의 충전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충전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20)를 거치할 때에, 선택적으로 적용된 알람 내지 판변 기능을 통해 알약 케이스(110)가 함께 거치 되어야만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복약 주의 환기 효과와 주기적인(휴대전화의 충전 주기) 복약 상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기존의 알약 케이스 생산 설비에 크게 변화를 주지 않고, 단지 뒷면에 인쇄되는 내용만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고 저렴하게 복약 인지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알약 케이스에 패턴을 추가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투명바탕에 인쇄된 패턴을 추가한 뒤 이를 표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기저항 및 각종 센서 방식에 비해 현저히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나아가, 모니터링 및 정보 통신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도 별도의 전자장치를 구현하지 않고, 기계식 거치대와 기존 충전기 케이블이 단순히 거쳐가는 어댑터 정도의 구성으로 능동소자는 일절 사용되지 않아 저렴하게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복약 인지 시스템
110: 알약 케이스
111: 알약 수용부
112: 패턴부
120: 사용자 단말기
121: 촬영부
122: 통신부
123: 사용자 인터페이스
124: 데이터베이스
125: 제어부
130: 거치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알약 수용부, 및 상기 알약 수용부를 덮으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알약 케이스;
    상기 패턴부 형상의 변화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알약 수용부에 수용된 알약의 토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부가 상기 알약 케이스 패턴부를 소정의 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알약 케이스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약에 따라 상기 알약의 복용시간, 상기 알약의 복용갯수, 상기 알약의 복용일자 및 상기 알약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수용부에 수용된 알약이 외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패턴부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알약 케이스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턴부와 한 조를 이루는 패턴이 저장되어, 상기 패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패턴이 병합되어 원래 구성된 특정 문양, 특정 색상, 특정 색상의 픽셀 수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프린트된 패턴의 변형이 있었는지 여부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케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함께 상기 거치대에 거치될 때에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인지 시스템.
KR1020130107514A 2013-09-06 2013-09-06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KR10151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14A KR101515559B1 (ko) 2013-09-06 2013-09-06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14A KR101515559B1 (ko) 2013-09-06 2013-09-06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33A KR20140127133A (ko) 2014-11-03
KR101515559B1 true KR101515559B1 (ko) 2015-05-04

Family

ID=5245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514A KR101515559B1 (ko) 2013-09-06 2013-09-06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17B1 (ko) 2019-06-23 2019-12-09 주식회사 렛츠온 스마트 약통 시스템
KR20230033783A (ko) 2021-09-01 2023-03-09 박현정 약통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7851B1 (en) * 2016-01-31 2023-09-20 Wateri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reminders to a user
JP7054526B2 (ja) * 2016-06-02 2022-04-14 ワテリオ エルティーデイー ユーザーにお知らせ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10827933A (zh) * 2018-08-14 2020-02-21 陈玉沛 借由移动装置实现的药片服用辅助方法
CN112802564A (zh) * 2019-11-14 2021-05-14 刘乃嘉 借由移动装置记录真实服药数据和详尽遵循率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45Y1 (ko) 2005-04-14 2005-07-14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휴대폰 거치형 디지털 체중계
JP2007176559A (ja) * 2005-12-28 2007-07-12 Vantec Liti Systems:Kk 保護シートおよび保護シート格納ケース
JP2012174154A (ja) 2011-02-24 2012-09-10 Fujitsu Frontech Ltd 在庫状況管理方法および在庫状況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845Y1 (ko) 2005-04-14 2005-07-14 주식회사 리얼디바이스 휴대폰 거치형 디지털 체중계
JP2007176559A (ja) * 2005-12-28 2007-07-12 Vantec Liti Systems:Kk 保護シートおよび保護シート格納ケース
JP2012174154A (ja) 2011-02-24 2012-09-10 Fujitsu Frontech Ltd 在庫状況管理方法および在庫状況管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17B1 (ko) 2019-06-23 2019-12-09 주식회사 렛츠온 스마트 약통 시스템
KR20230033783A (ko) 2021-09-01 2023-03-09 박현정 약통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133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559B1 (ko) 알약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복약 인지 시스템
US11207243B2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US115713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nd assisting in medication compliance
JP2022009147A (ja) 容器の内容物、所在場所および周囲環境を判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706408C (en)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KR20180109901A (ko) 사용자에게 약물 복용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80296441A1 (en) Smart Medication Bottle with Pill Dispense Detection and Pill Counting
CN107184400A (zh) 一种用于慢性病患者定时服药的智能提醒系统
US1151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regulating removal of patient medications
US20190282450A1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KR20130015708A (ko) 처방약품 자동 인출 시스템
KR20090051912A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US106783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medication compliance
KR20160051534A (ko) 복약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시스템 및 방법
US20170076061A1 (en) Monitoring system for medication compliance
GB2534004A (en) A medication adherence monitor
KR101635743B1 (ko)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CN215272701U (zh) 用于药物依从性监测的可穿戴设备
KR101635744B1 (ko) 약물 복용 관리 장치
JP7054526B2 (ja) ユーザーにお知らせ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WO2021048876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edication storage and dispense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JP2019107258A (ja) Ptp錠剤取出し検出装置
ITMO20090058A1 (it) Sistema per l'erogazione automatizzata di farmaci
TWM491470U (zh) 藥物服用過量警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