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17B1 -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17B1
KR101514917B1 KR1020140017873A KR20140017873A KR101514917B1 KR 101514917 B1 KR101514917 B1 KR 101514917B1 KR 1020140017873 A KR1020140017873 A KR 1020140017873A KR 20140017873 A KR20140017873 A KR 20140017873A KR 101514917 B1 KR101514917 B1 KR 10151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ation
representative
general
key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희
이관동
Original Assignee
이웅희
이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희, 이관동 filed Critical 이웅희
Priority to KR102014001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17B1/ko
Priority to PCT/KR2014/010561 priority patent/WO2015122596A1/ko
Priority to CN201480006860.4A priority patent/CN105324740A/zh
Priority to TW104105021A priority patent/TWI59651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를 표시하는 복수의 대표 부수키와, 각각 하나의 일반 부수를 표시하는 복수의 일반 부수키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 중 하나를 통해 선택한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를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하는 일반부수키부와, 부수의 배열에 따른 조합의 종류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조합키와, 복수의 통상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키를 식별하는 입력 확인부, 상기 입력 확인부에 의해 식별된 버튼키에 대응한 상기 대표 부수 또는 상기 일반 부수 또는 조합의 종류를 이용하여 중문자를 생성하는 중문자 생성부, 그리고 상기 중문자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중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문자 생성부는 상기 입력 확인부에서 제공한 식별정보에 따라 하나의 대표 부수 또는 하나의 일반 부수를 중문자로 생성하거나, 복수의 대표 부수 또는 복수의 일반 부수를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라 조합하여 중문자로 생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를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라 조합하여 중문자로 생성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OMBINATION KEYS}
본 발명은 중문자(중국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키패드(keypad), 터치패드(touch pad), 모바일(예;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 모니터, IPTV 등의 중문자 입력장치 및 중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 및 통신 기기의 발전에 따라 보다 컴퓨터 및 모바일의 이용 시간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빠르게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중문자는 한글, 일본어, 영어 등에 비해 입력해야 할 부수가 많고 부수들의 결합 형태가 다양하여 자판을 이용한 입력이 어렵고 복잡하다. 현재 모바일에서 중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입력할 한자의 발음 표기를 영문자로 입력하고 입력한 영문자의 발음 표기에 부합하는 한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고, 한글처럼 직접 중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필순을 활용한 '오필자형'이나 부수를 활용한 '부수 조합형'의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영문자를 발음 표기에 따라 입력하여 중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인들이 중문자를 배울 때에 한어병음을 표기하여 읽기를 배웠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에 초등학교 1학년이 한글을 자판을 통해 모두 입력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1학년마다 300자의 중문자를 읽는 수준으로 교육하여 6학년이 되어야 1,800자 정도의 중문자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더 많은 중문자를 읽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영문자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에도 문제가 있다. 그리고 중국어의 음을 418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418개의 음으로 42,174(강희자전 1716년)개의 한자를 입력하더라도 한 음당 평균 100자가 표현되므로 이 100개의 동음자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1개의 글자를 찾아서 선택하여야 하므로 불편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컴퓨터 키보드에서 부수를 조합하여 중문자를 입력하는 기존 방법(예; 특허 제0407555호와 제0344947호, 제0444747호)이 있기는 하였으나 그 크기가 202키나 되어서 사용하기에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마트 폰과 같은 소형기기에서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빠르고 쉽게 중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를 표시하는 복수의 대표 부수키,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 중 하나에 의해 입력된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를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하는 일반부수키부, 부수의 배열에 따른 조합의 종류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조합키, 그리고 복수의 통상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키를 식별하는 입력 확인부, 그리고 상기 입력 확인부에 의해 식별된 버튼키에 대응한 상기 대표 부수와 상기 일반 부수와 조합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중문자를 생성하는 중문자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문자 생성부는 하나의 대표 부수 또는 하나의 일반 부수를 중문자로 생성하거나, 복수의 대표 부수 또는 복수의 일반 부수를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라 조합하여 중문자로 생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를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라 조합하여 중문자로 생성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대표 부수키에 표시되는 상기 대표 부수의 개수와 상기 일반부수키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되는 상기 일반 부수의 개수의 합은 189개 또는 214개이다.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 각각은 제1 및 제2 대표 부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제1 대표 부수는 상기 해당 대표 부수키를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되고, 제2 대표 부수는 상기 복수의 통상키 중 설정된 하나와 해당 대표 부수키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된다.
상기에서 복수의 대표 부수키가 26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는 6개이다.
상기에서 조합의 종류는 부수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배열 조합, 부수를 수직으로 배열하여 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배열 조합과, 수평 배열 및 수직 배열을 제외한 나머지 배열 조합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타 배열 조합을 포함한다.
복수의 조합키는 3개의 조합키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3개의 조합키 중 제1 조합키에는 하나의 상기 수평 배열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되고, 제2 조합키에는 하나의 상기 수직 배열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되며, 제3 조합키에는 하나의 상기 기타 배열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조합키는 제4 조합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조합키에는 동일한 복수개의 부수를 상기 제1 내지 제3 조합 중 하나로 조합하여 생성된 중문자와 다른 중문자가 표시되게 하는 중복방지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된다.
상기 일반부수키부는 상기 복수의 일반부수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필수글자를 상기 일반부수와 함께 추가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방법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를 표시하는 복수의 대표 부수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나의 대표 부수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대표부수입력단계, 선택된 상기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를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 중 하나의 일반 부수를 선택하여 선택된 하나의 일반 부수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일반부수입력단계, 복수의 대표 부수를 입력하고, 부수의 배열에 따른 조합의 종류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조합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조합의 종류 중 하나를 입력하며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를 입력한 상기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여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대표부수조합단계, 복수의 일반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복수의 조합의 종류 중 하나를 입력하며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를 입력한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여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일반부수조합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부수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조합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를 입력한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여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복합부수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부수입력단계, 상기 일반부수입력단계, 상기 대표부수조합단계, 상기 일반부수조합단계와 상기 복합부수조합단계 중 하나에 의해 중문자가 입력된다.
상기의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방법은 선택된 상기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필수글자를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글자 중 하나의 필수글자를 선택하여 선택된 하나의 필수글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일반부수조합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와 하나의 필수글자 및 하나의 조합의 종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와 상기 하나의 필수글자를 상기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여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고, 상기 복합부수조합단계는 하나의 필수글자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필수글자를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와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여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한다.
상기에서 대표부수입력단계와 상기 일반부수입력단계 중 하나를 수행한 후 복수의 통상키 중 설정된 하나의 통상키를 선택하여 중문자의 생성 완료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대표 부수키, 일반 부수키 및 조합키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중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의 적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개념적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에서 조합키부 및 조합키의 형상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에서 버튼키의 배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가 모바일에 실제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의 적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는 컴퓨터(또는 노트북)와 더불어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 수단인 키보드(10) 일 수 있다. 이때 키보드의 중문자 자판(이하의 키패드부에 해당함)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로 표시된다. 또는 키보드의 중문자 자판은 일부 버튼키를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일부의 버튼키를 터치화면 상에 이미지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는 모바일(20) 일 수 있다. 이때 모바일(20)의 중문자 자판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로 하여 모바일(2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모바일 자판에 표시된 버튼키를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으로 터치하여 화면상에 원하는 중문자가 표시되게 한다. 한편, 모바일(20)에 표시된 중문자 자판에 대한 프로그램은 모바일(20) 생산시에 탑재되거나, 사용자가 웹서버(21)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되거나 또는 저장매체(22)에 저장하여 모바일(20)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는 스마트 TV(30)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 TV(30)의 중문자 자판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나 이미지로 스마트 TV(3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스마트 TV(30)의 자판에 표시된 버튼키를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으로 터치하거나 리모컨이나 기타 입력 수단 등으로 선택하여 스마트 TV의 화면 또는 리모콘에 원하는 중문자가 표시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40)일 수 있다. 이때 모니터(40)의 중문자 자판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나 이미지로 모니터(4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모니터(40)의 자판에 표시된 버튼키를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으로 터치하거나 마우스나 키보드 등으로 선택하여 모니터상에 원하는 중문자가 표시되게 한다. 한편, 모바일(20)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 상에 표시된 중문자 자판에 대한 프로그램은 모바일(20) 생산시에 탑재되거나, 사용자가 웹서버(41)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되거나 또는 저장매체(22)에 저장된 후 모바일(20) 또는 컴퓨터 등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웹서버(21, 41)는 중문자 자판 및 중문자 입력을 위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웹서버이거나, 다음, 네이버 등의 포탈 서버 또는 채팅이나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의 문자 입력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가 키보드(10), 모바일(20), 스마트 TV(30)나 컴퓨터용 모니터(40)인 것을 일 예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입력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중문자 입력장치는 일체로 구성된 하나의 입력장치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복합의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웹서버에서 중문자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웹서버에서는 사용자의 모니터 또는 모바일의 화면에 중문자 자판을 GUI 또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중문자 자판을 선택 또는 터치 등을 통해 부수 등을 입력하면 이를 확인하고 중문자를 생성하여 웹페이지(또는 왑페이지) 상에 중문자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복합장치는 웹서버와 컴퓨터의 모니터(또는 모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는 키패드부(100), 입력 확인부(200), 중문자 생성부(300)와, 화면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100)는 사용자가 중문자 및 기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키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키패드부(100)는 복수의 버튼키를 포함하며, 각 버튼키는 대표 부수키부(110), 일반부수키부(120), 조합키부(130) 및, 통상키부(140)로 구분된다. 키패드부(100)는 사용자가 누른 버튼키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되, 이때 전기적 신호는 버튼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키패드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110 내지 140)는 도 3 내지 6를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입력 확인부(200)는 키패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적 신호를 판별하며, 이를 통해 중문자의 부수 또는 글자 또는 조합키부(130)의 조합키 또는 통상키부(140)의 버튼키를 식별한다. 입력 확인부(200)는 전기적 신호의 종류에 따라 부수를 식별하거나 글자를 식별하거나 조합키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통상키부(140)의 버튼키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테이블(미도시)을 저장하고 있으며, 식별 테이블을 통해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식별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 확인부(200)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한 부수 또는 글자 또는 조합키의 종류 또는 통상키부(140)의 버튼키의 종류를 식별하면, 식별한 결과를 중문자 생성부(300)에 제공한다.
중문자 생성부(300)는 입력 확인부(200)로부터 수신된 부수 또는 글자 또는 조합키 또는 통상키부(140)의 버튼키에 따라 중문자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부(400)에 제공한다. 중문자 생성부(300)에 의한 중문자 생성 동작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화면 표시부(400)는 중문자 생성부(300)의 출력에 따라 중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에서 키패드부(즉, 자판)의 버튼키 배치 구조 및 버튼키를 통해 표현되는 부수 또는 글자, 그리고 조작 순서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개념적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기재된 용어인 부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문자의 최소단위로서 그 자체가 하나의 중문자가 되는 것을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의 키패드부(100)는 대표부수키부(110), 일반부수키부(120), 조합키부(130)와 통상키부(140)를 포함한다.
대표부수키부(110)는 N개의 버튼키(이하 ‘대표 부수키’라 한다)로 구성되며, 각 대표 부수키는 2개의 부수(제1 및 제2 대표부수)가 표시되고 사용자 선택(누름, 터치, 클릭 등)시에 표시된 2개의 부수가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 따라서, 대표부수키부(110)는 (2 × N)개의 부수가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대표 부수키에 의해 표시되는 (2 × N)개의 부수를 통칭하여 ‘대표 부수’라 한다. 여기서, N개의 버튼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한편, N개의 대표 부수키 중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키에는 하나의 대표부수가 표시되고 해당 버튼키 선택시 표시된 하나의 대표부수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부수키부(120)는 K개의 버튼키(이하 ‘일반 부수키’라 한다)로 구성되며, 각 일반 부수키는 하나의 부수가 표시되고 사용자 선택(누름, 터치, 클릭 등)시에 표시된 1개의 부수가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일반 부수키에 의해 표시되는 부수를 통칭하여 ‘일반 부수’라 한다. 여기서, K개의 버튼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일반부수키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하나의 대표 부수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대 K개의 일반 부수를 K개의 일반 부수키 각각에 표시한다. 즉, K개의 일반 부수키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표시된 대표 부수에 따라 최대 K개의 서로 다른 일반 부수를 표시한다. 따라서, 일반부수키부(120)는 최소 (2 × N)개의 일반 부수에서 최대 (2×N)×K개의 일반 부수를 표시한다.
한편,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중문자의 부수는 214개이며, 최근 들어 189개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214개의 부수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하에서는 중문자의 부수가 214개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중문자의 부수가 189개인 경우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해가 가능하므로 부수가 189개인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는 214개의 부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214개의 부수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100)은 대표부수키부(110)와 일반부수키부(120)를 통해 214의 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는 대표부수키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2 × N)개의 대표 부수 및, 일반부수키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최소 (2 × N)개의 일반 부수에서 최대 (2×N)×K개의 일반 부수로 214개의 부수를 표시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대표 부수는 (2 × N)개이고, 일반 부수는 214-(2 × N)개이다.
그리고 일반부수키부(120)는 K개의 일반 부수키 중 일반 부수가 표시되지 않는 버튼키에 부수가 아닌 글자 중에 조합에 꼭 필요한 글자(이하 ‘필수글자’라 한다)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조합키부(130)는 J개의 버튼키(이하 ‘조합키’라 한다)로 구성되며, J개의 조합키에는 부수(대표 부수와 일반 부수 중 하나)와 부수(대표 부수와 일반 부수 중 하나) 또는 부수(대표 부수와 일반 부수 중 하나)와 필수글자에 대한 조합의 종류를 나타내는 형상(모양)이 표시되어 있고, 해당 조합키를 선택시에 표시된 형상에 대응하는 글자 조합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J개의 버튼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조합의 종류 및 형상에 대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에서 조합키부 및 조합키의 형상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의 종류는 크게 1. 수평 배열 조합, 2. 수직 배열 조합, 3. 기타 배열 조합으로 구분되며, 추가로 4. 중복방지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배열 조합은 세부적으로 2개의 부수, 또는 하나의 부수와 하나의 글자로 이루어진 제1 수평 배열과, 3개의 부수, 또는 2개의 부수(또는 글자)와 하나의 글자(또는 부수)로 이루어진 제2 수평 배열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1 수평 배열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이 부여된 형상과 같고, 제2 수평 배열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2가 부여된 형상과 같다.
수직 배열 조합은 세부적으로 2개의 부수, 또는 하나의 부수와 하나의 글자로 이루어진 제1 수직 배열과, 3개의 부수, 또는 2개의 부수(또는 글자)와 하나의 글자(또는 부수)로 이루어진 제2 수직 배열로 구분된다. 그리고 제1 수직 배열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3이 부여된 형상과 같고, 제2 수직 배열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4가 부여된 형상과 같다.
그리고, 기타 배열 조합은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에 중심에 위치한 제1 조합,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하단 내에 위치한 제2 조합,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상단 내에 위치한 제3 조합,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우측 내에 위치한 제4 조합,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상측과 좌측을 차지하는 제5 조합,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상측과 우측을 차지하는 제6 조합,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하측과 우측을 차지하는 제7 조합, 그리고 서로 다른 부수 또는 글자가 전체 글자의 우상측과 좌하측에 배치되는 제8 조합으로 구분된다.
이때 제1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5이 부여된 형상이고, 제2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6이 부여된 형상이며, 제3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7이 부여된 형상이고, 제4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8이 부여된 형상이며, 제5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9가 부여된 형상이고, 제6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0이 부여된 형상이며, 제7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1이 부여된 형상이고, 제8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2가 부여된 형상이다.
마지막으로, 중복방지 조합은 동일한 부수들, 또는 부수와 글자의 조합에 대하여 수평 배열 조합, 수직 배열 조합 및 기타 배열 조합 중 하나를 통해 조합하더라도 원하는 글자가 아닌 다른 글자가 표시되는 경우에 이용된다. 동일한 부수들, 또는 부수와 글자로 조합되는 중복 글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되도록 한다. 중복방지 조합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3이 부여된 형상이다.
따라서, 도 4의 (a)에 따르면 J개의 조합키는 총 12개가 되며, 중복방지 조합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총 13개가 된다.
다른 예로서, J개의 조합키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 배열 조합키, 하나의 수직 배열 조합키, 하나의 기타 배열 조합키를 포함하여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복방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의 중복방지 조합키를 더 포함하여 4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수평 배열 조합키의 형상은 예컨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이 부여된 형상이고, 하나의 수직 배열 조합키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3이 부여된 형상이며, 하나의 기타 배열 조합키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9가 부여된 형상이고, 중복방지 조합키의 형상은 도 4의 (a)에서 도면 부호 f13이 부여된 형상이다.
통상키부(140)는 통상의 자판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키로서, 스페이스(space) 버튼키, 쉬프트 버튼키, 언어, 숫자, 기호 등으로의 변환을 위한 변환 버튼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쉬프트 버튼키는 화살표(↑) 형상이 표시된 버튼키(141)에 해당한다(도 3 참조). 쉬프트 버튼키는 대표 부수키에 표시된 2개의 대표부수 중 버튼키의 위쪽에 형성된 제2 대표부수를 선택할 때 사용된다. 여기서, 통상키부(140)의 버튼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는 통상키부(140)가 키패드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통상키부(140) 바로 위에 대표부수키부(110)가 위치하며, 대표부수키부(110) 상에 일반부수키(120)와 조합키부(130)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배치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각 부(110 내지 14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에 의해 자유로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구조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한 일 예를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에서 버튼키의 배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부수키부(110)는 26개의 대표 부수키로 구성되고, 일반부수키부(120)는 6개의 일반 부수키로 구성되며, 조합키부(130)는 4개의 조합키로 구성된다. 그리고 통상키부(140)는 스페이스 버튼키, 쉬프트 버튼키를 포함하여 8개의 버튼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대표부수키부(110)는 총 52개(26×2)의 대표 부수를 표시하고, 일반부수키부(120)는 최소 52×1(총52개)에서부터 최대 52×6(총 312개)까지의 부수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 중 적어도 214-52(총 162)개의 부수를 표시한다.
한편, 다른 예로서 일반 부수키를 6개로 하면 대표 부수키는 최소 16개로 할 수 있으며, 일반 부수키가 7개이면 대표 부수키는 최소 14개로 할 수 있다. 또한 대표 부수키를 26개로 하는 경우에 일반 부수키는 최소 4개로 할 수 있으며, 대표 부수키를 20개로 하는 경우에 일반 부수키를 최소 5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 부수키와 대표 부수키의 개수를 조절하여 214개의 부수를 표현하는 것이 자유롭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키패드부(110)의 버튼키 배치 구조에 따른 대표 부수 및 대표 부수에 관련된 일반 부수(필수글자 포함)에 대한 일 예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1
상기 표 1에서 “아래”는 제1 대표 부수를 의미하고, “위”는 제2 대표 부수를 의미한다. 표 1에서 행으로 기재된 중문자는 대표 부수에 관련된 일반 부수 또는 일반부수와 필수글자이고, 열로 기재된 중문자는 키패드부(110)의 대표 부수키에 형성된 대표 부수이다. 한편 표 1에서 중문자가 기재되지 않은 칸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부수 또는 필수글자가 없어서 기재하지 않았으며, 또한 실제로 대응하는 부수 또는 필수글자가 있으나 생략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배열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100)은 26개의 대표 부수키로 이루어진 대표부수키부(110)와, 6개의 일반 부수키로 이루어진 일반부수키부(120)와, 4개의 조합키로 이루어진 조합키부(130)와, 8개의 버튼키로 이루어진 통상키부(140)을 포함한다.
대표부수키부(110)에서, 26개의 대표 부수키 각각에는 4개의 부수(1, 2, 3, 4)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은 좌측 상단에 표기된 부수이고, 도면부호 2는 좌측하단에 표기된 부수이며, 도면부호 3은 우측 상단에 표기된 부수이고, 4는 우측 하단에 표기된 부수이다.
부수(1)는 대표 부수키에 표시되는 2개의 대표 부수 중 하나로서, 통상키부(140)의 쉬프트 통상키(141)과 함께 해당 대표 부수키를 선택한 경우에 화면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부수(2)는 대표 부수키에 표시되는 2개의 대표 부수 중 다른 하나로서, 쉬프트 통상키(141)의 사용없이 해당 대표 부수키를 선택한 경우에 화면상에 표시된다.
부수(3) 및 부수(4)는 일반부수키부(120)의 6개의 일반 부수키 중 하나에 표시되는 일반 부수이다. 이때 부수(3) 및 부수(4)는 6개의 일반 부수키 중 가장 앞쪽(키패드부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 부근)에 표시되는 일반 부수이다. 부수(3)은 사용자가 대표부수(1)을 선택한 경우에 일반부수키부(120)에 표시되고, 부수(4)는 사용자가 대표부수(2)를 선택한 경우에 일반부수키부(120)에 표시된다.
일반부수키부(120)에 표시되는 일반 부수는 사용자가 26개의 대표 부수키 중 하나를 통해 하나의 대표 부수를 선택한 경우에, 선택된 하나의 대표 부수에 관련하여 설정된 일반 부수로서, 적어도 1개 또는 최대 6개가 표시된다. 물론 이때 표시되는 일반 부수 중 하나가 대표 부수키에 표시된다.
대표 부수에 관련하여 일반부수키부(120)에 표시되는 일반 부수는 대표 부수와 비슷한 형상의 부수이거나, 대표 부수를 부수로 하거나 대표 부수의 형태(모양)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러한 대표 부수와 일반 부수와의 관계는 제작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대표 부수키를 A, B, C 등으로 변형할 수 있다. 즉, A와 같이 대표 부수키에 2개의 대표 부수만을 표기하거나, B와 같이 대표 부수키에 2개의 대표 부수 및 이의 발음을 영문으로 병기(표기)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대표 부수키에 각 대표 부수에 관련된 일반 부수를 2개 이상 병기할 수 있다. 그 밖에 대표 부수키(111)과 같이 대표 부수키에 2개의 대표 부수(1, 2)와 대표 부수(1)에 관련된 하나의 일반 부수 및 대표 부수(2)에 관련된 2개의 일반 부수를 병기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대표 부수키에 표기되는 일반 부수를 0개 이상 병기할 수 있으며, 대표 부수(1, 2)에 관련된 일반 부수의 개수를 서로 달리 병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는 키보드, 모바일, 스마트 TV, 모니터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 이용된다. 일 예로 키패드부를 모바일에 적용한 경우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가 모바일에 실제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중문자 입력 방법은 중문자 생성부(300)에 의해 주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방법은 대표 부수 입력방법, 일반 부수 입력방법 및 조합글 입력방법을 포함한다.
대표 부수 입력방법은 (a-1)과 같이 대표 부수키를 선택(터치, 클릭 등)하여 제1 대표부수를 입력하는 방법과, (a-2)와 같이 쉬프트 버튼키(140)와 대표 부수키를 동시에 선택하여 제2 대표 부수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 부수 입력방법은 (b-1)과 같이 제1 대표 부수키를 선택한 후 대표 부수키에 관련하여 표시된 일반 부수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반 부수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으며, (b-2)와 같이 제2 대표 부수키를 선택한 후 일반 부수키를 선택하여 일반 부수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일반부수키부(120)에 필수글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b-1) 또는 (b-2) 방법을 이용하여 일반 부수 대신에 필수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부수키를 선택한 다음에 선택한 대표 부수키에 관련된 일반 부수키(또는 필수글자)를 입력하면, 화면상에는 대표 부수키의 대표 부수가 표시된 후 대표 부수가 일반 부수키(또는 필수글자)의 일반 부수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조합글 입력방법은 (c-1)과 같이 하나의 대표 부수키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키를 선택한 후 조합키를 선택하여 하나의 조합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c-2)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키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키를 선택한 후 원하는 하나의 조합키를 선택하여 조합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조합글 입력방법은 (c-3)과 같이 하나의 일반 부수키를 선택한 다음에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키를 선택한 후 하나의 조합키를 선택하여 조합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c-4)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키를 선택한 다음에 필수글자를 선택한 후 하나의 조합키를 선택하여 원하는 조합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방법에서 대표부수키, 일반부수키와 필수글자 간의 입력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의 조합글 입력방법에서 대표 부수키의 선택은 (a-1)과 (a-2) 중 하나를 통칭하여 표현한 것이고, 일반 부수키의 선택은 (b-1)과 (b-2) 중 하나를 통칭하여 표현한 것이다.
이제, 도 9를 참조로 하여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중문자 입력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9에서, 대표 부수키 입력의 예 및 일반 부수키 입력의 예는 극히 간단하므로, 조합글 입력의 예를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5에 도시된 버튼키 배치 구조 및 표 1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도 9에서 (a)와 같이 ‘木’을 선택하고 ‘子’를 선택한 후 제1 조합키(f1)을 선택하면 가래나무 자(또는 재)자인 ‘木子’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대표 부수 ‘木’을 선택하면 화면상에 ‘木’을 표시하고, 다음으로 사용자가 대표 부수 ‘女’를 선택하면 화면상에 ‘木’과 ‘女’를 표시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가 ‘女’에 관련된 일반 부수 ‘子’를 선택하면 ‘女’를 ‘子’로 변환시켜 화면상에 ‘木’과 ‘子’가 표시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제1 조합키(f1)을 선택하면 ‘木’과 ‘子’가 수평으로 조합된 ‘木子(자)’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b)와 같이, (a)와 같은 방식으로 ‘木’과 ‘子’를 입력한 후 제2 조합키(f3)를 선택하면 화면상에는 오얏나무 이자인 ‘李’가 표시된다. 그리고 (c)와 같이 대표 부수인 ‘木’을 선택한 후 대표 부수인 ‘口’를 선택하고 대표 부수인 ‘力’을 선택한 후 제1 조합키(f1)를 선택하면, ‘木’, ‘口’ 및 ‘力’이 수평 조합된 조서 칙자인 ‘勅’가 입력(표시)된다.
마찬가지로, (d)와 같이 대표 부수인 ‘木’을 순차적으로 3번 입력한 후 제3 조합키(f3)를 선택하면 ‘木’, ‘木’ 및 ‘木’이 수직 조합된 나무 빽빽할 삼자인 ‘森’가 입력(표시)된다.
(e)와 같이, 대표 부수인 ‘木’을 선택한 후 대표 부수인 ‘日’을 입력하고 다음으로 제3 조합키(f9)를 선택하면, ‘木’과 ‘日’이 조합된 동녁 동자인 ‘東’가 입력(표시)된다. 마찬가지로 (f)와 같이 대표 부수인 ‘口’를 선택하고 대표 부수인 ‘大’를 입력하고 다음으로 제3 조합키(f9)를 선택하면, ‘口’와 ‘大’이 조합된 인할 인자인 ‘因’이 입력(표시)된다.
그런데, (a) 및 (b)와 같이 동일한 부수들로 이루어지더라도 배열이 다른 경우이면 배열에 따른 조합키를 구분하여 쉽게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나, 동일한 부수들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경우이면 입력이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동일한 부수들로 이루어진 중문자들에 대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4 조합키 즉, 중복방지 조합키(f13)이 존재한다.
(g)와 같이, 대표 부수인 ‘一’과 대표 부수인 ‘大’를 입력한 후 제2 조합키(f3)를 선택하면, ‘一’과 ‘大’로 이루어진 하늘 천자인 ‘天’이 표시된다. 그리고 (h)와 같이 대표 부수인 ‘一’과 대표 부수인 ‘大’를 입력한 후 제4 조합키(f13)를 선택하면, ‘一’과 ‘大’로 이루어진 아비 부자인 ‘夫’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4 조합키는 동일한 부수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중문자의 중복을 방지하여 쉽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짐과 더불어, 약식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i)와 같이 대표 부수인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2
, ‘立’, ‘日’ 및 ‘十’을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 제1 조합키(f1)을 선택하면 막힐 장자인 ‘障’가 입력(표시)된다. 그러나 이를 제4 조합키(f13)를 이용하게 되면 (j)와 같이 대표 부수인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3
와 ‘立’을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 제4 조합키(f13)을 선택하면 막힐 장자인 ‘障’가 입력(표시)된다. 다른 예로, (k)와 같이 대표 부수인 ‘立’과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4
을 선택한 후 제4 조합키(f13)을 선택하면 밝을 창자인 ‘彰’가 입력(표시)된다.
한편, 상기 (a) 내지 (k)에 입력되는 부수(또는 필수글자)의 입력 순서는 임의의 순서로 입력이 되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a) 내지 (k)를 통해 중문자의 입력을 하게 되는데, 복수의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l)을 통해 설명한다. (l)과 같이 사용자가 ‘子好’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대표 부수인 ‘女’를 입력한 후 ‘女’에 관련된 일반 부수인 ‘子’를 선택하여 ‘女’자가 ‘子’로 변환되어 표시되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하나의 중문자에 대한 입력완성을 알리는 제4 조합키(f13)을 누른다. 그리고 다시 사용자는 다시 ‘女’를 입력한 후 ‘女’에 관련된 일반 부수인 ‘子’를 선택하여 ‘女’자가 ‘子’로 변환되게 하고, 대표 부수인 ‘女’를 선택한다. 이때까지는 화면상에 ‘子子女’가 표시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조합키(f1)을 선택하면 ‘子子女’ 중 입력완성을 알리는 제4 조합키(f13)의 다음에 입력된 부수인 ‘子女’를 조합하여 ‘好’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는 입력완성을 알리는 조합키의 입력없이 ‘子子女’가 입력되고 조합키가 선택되더라도 ‘子子女’로 이루어지는 한자가 없음을 파악하여 첫번째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인 ‘子女’를 이용하여 ‘好’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는 입력완성을 알리는 제4 조합키(f13)를 대신하여 통상키부(140)를 이루는 버튼키 중 하나를 입력완성용 버튼키(예; 스페이스 버튼키 등)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입력완성용 버튼키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대표 부수 또는 일반 부수를 선택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글자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부(110)의 버튼키 배치 구조에서 대표부수키부(110)를 이루는 대표 부수의 배열 원리를 설명한다.
키보드에 탑재되는 대표 부수가 사용자들이 익히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려면 배열이 중요하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배열의 원리를 창안하였다.
대표 부수 배열은 3열로 하여 표준 키와 같다. 사상적으로 인간 중심사상과 오행(火水木金土)의 사상을 기본으로 하고 기능적으로는 오필(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5
,一,l,ノ,乙)의 순서와 부수 자체의 모양과 의미 그리고 다른 부수와 조합할 때의 위치를 고려하여 배열하였다.
1. 상위 1열
1) 人을 키의 중심에 두어 인간중심사상을 나타내고 人의 모양이 양 갈래로 퍼지는 형상을 나머지 부수들의 배열의 기준으로 삼았다.
2)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6
는 오필의 시작이므로 1열의 가운데에 두고 손가락 마디(寸)로 입력하는 모양을 상징하였다. 八은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7
의 획이 늘어나는 부수로 주로 위에서 다른 부수와 조합하는 글자이므로 1열 가운데에다 두었다.
3) 心은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8
과 같은 형태로 점(
Figure 112014015234442-pat00009
)이 늘어나며 生은 인간이 생활하면서 마음속으로는 언제나 의식주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거기에 두었다.
4) 1열의 좌측 두번째, 세번째 및 네번째의 대표 부수는 의식주에 해당하는 부수들이다.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0
는 지붕의 모양으로 지붕은 집의 위에 있고, 衣의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1
가 사람의 머리 부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2
분인 점과 方의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3
이 같은 점을 들어 그곳에 두었다.
5)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4
(덮다)과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5
(집)의 뜻이며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6
의 획이 늘어난 점을 들어 그곳에 두었다.
6)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7
는 공간이 큰 굴이나 집을 나타낸 글자이므로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8
(집)의 이웃하여 두었고,
Figure 112014015234442-pat00019
은 다른 부수와 조합할 때에 왼쪽 위에서 조합하므로 키보드(건반)의 전체에서 그 방향이므로 그곳에 두었다.
7) 火자의 가운데 人의 장작을 펼쳐놓은 모양이므로 八자와 같은 키에 묶어 두었다. 그리고 火의 불꽃이 위로 올라가는 점을 들어 3열 중에 윗부분인 1열에 두었다.
8) 산은 높은 곳 하면 누구나 산(山)을 연상하듯이 자연스럽게 거기에 두고 爪는 山을 뒤집은 모양을 하고 다른 부수와 조합할 때에 머리(관)에서 조합하므로 그곳에 두었다.
9) 日(해)과 月(달)도 높은 하늘에 위치하므로 1열에 두었고 田과 用은 각각 日 과 月에서 획이 늘어난 부수이므로 같은 키에 묶어두었다.
10) 乙(새)은 하늘 높이 날아다니므로 1열에 두었고, 鳥 飛(날다 비)와 같은 글자 모양과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0
과 戈도 다른 부수와 조합할 때에 그곳에 위치하여 조합하므로 건반 전체 위치인 위 오른쪽 끝에다 두었다.
2. 가운데 2열
11) 一과 |은 쓰기의 순서에 따라 그곳에 두었다.
12) 十과 土는 一과 |이 합친 글자이므로 그곳에 두었다.
13) 大는 사람(人)이 팔(一)을 펼친 모양의 글자이므로 그곳에 두었고, 女의 一도 팔을 형상화한 글자이므로 大와 같은 키에 묶어두었다.
14)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1
는 언덕을 형상화한 글자이므로 산보다 낮으나 약간 높은 위치인 2열에 두었고 또 다른 부수와 결합할 때에 왼쪽(변)에서 조합하므로 그곳에 두었다.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2
도 팔을 굽힌 모양으로 大가 팔을 편 모양이라면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3
는 팔을 굽힌 모양이므로 그 이웃하여 두었는데 신체구조에서 팔은 가운데 부분에 있으므로 그곳에 두었다.
15) 玉과 金은 土에서 획이 늘어나는 순차대로 두었다. 이들 부수는 工의 의미와 연결된다.
16) 卜과 止 그리고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4
는 |에서 획이 순차적으로 늘어나는 곳에 두었다.
17) 刀과 力 그리고 工은 칼(刀)을 들고 자(工)로 재어가면서 이웃의 흙(土)와 구슬(玉), 쇠(金)를 재료로 힘껏(力) 일하는 의미를 나타내어 그곳에 두었다.
3. 아래 3열
18) 3열의 가운데 水와 木은 글자의 가운데가 |의 형태를 하고 있어 3열의 가운데에 두고 오행의 순서상 水가 먼저이므로 왼쪽에 목이 다음이므로 水의 이웃한 오른쪽에 두었다.
19)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5
(쉬엄쉬엄가다 착)은 말 그대로 물이 흐르는 모습이다. 禾(벼 화)는 나무와 같이 물을 먹고 꼿꼿이 자라서 이삭을 숙이는 모양을 나타내므로 木과 같은 키에 묶어서 두었다.
20) 足(발)은 물이 흘러가듯이 발로써 사람은 걸어 다니는 것이고 手는 그 발이 움직이는데 붙어가므로 같은 키에 묶어두었다. 발은 손보다 2열의 팔을 형상화한 부수(大,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6
)의 신체 위치보다는 낮은 곳에 있으므로 그곳에 두었다.
21)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7
은 위에서 왼쪽 아래로 흘러내리는 모양의 글자이므로 키의 왼쪽 아래 끝부분에 두었고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8
(車)는 바퀴로 굴레 가는 수레임을 나타내어 물과 같이 사람의 발과 같이 사람의 손에 이끌려 굴러가는 것이므로 그곳에 두었다.
22) 口와 言은 의미 그대로 입과 입의 기능이 말하는 것이므로 묶어 두었다. 말씀은 신중하고 무게가 있어야 함을 상징하므로 아래 열에 배열하였다.
23) 目과
Figure 112014015234442-pat00029
(見)은 눈(目)으로써 돌아다니며 자세히 보는(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0
=見) 것이므로 같은 키에 묶었고 口보다 획이 늘어난 글자이므로 이웃하여 두었다.
24)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1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2
(門), 그리고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3
(馬)는 이웃 부수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4
(見)에서 설명하였듯이 의미 연결을 하여서 집 울타리(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5
) 또는 나라의 국경(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6
) 밖으로 멀리 나갈 때에는 말(
Figure 112014015234442-pat00037
=馬)을 타고 가야한다는 의미를 연결하여 그곳에 두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키패드부 200 : 입력 확인부
300 : 중문자 생성부 400 : 화면 표시부
110 : 대표부수키부 120 : 일반부수키부
130 : 조합키부 140 : 통상키부

Claims (18)

  1. 각각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를 표시하는 대표부수키,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 중 하나에 의해 입력된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를 표시하는 복수의 일반 부수키, 부수의 배열에 따른 조합의 종류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조합키, 그리고 복수의 통상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키를 식별하는 입력 확인부, 그리고
    상기 입력 확인부에 의해 식별된 버튼키에 대응한 상기 대표 부수와 상기 일반 부수와 조합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중문자를 생성하는 중문자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문자 생성부는 하나의 대표 부수 또는 하나의 일반 부수를 중문자로 생성하거나, 복수의 대표 부수 또는 복수의 일반 부수를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라 조합하여 중문자로 생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를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라 조합하여 중문자로 생성하고,
    상기 조합의 종류는 부수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조합하는 수평 배열 조합, 부수를 수직으로 배열하여 조합하는 수직 배열 조합과, 수평 배열 및 수직 배열을 제외한 나머지 배열 조합을 나타내는 기타 배열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합키는 4개의 조합키로 구성되며, 상기 4개의 조합키 중 제1 조합키에는 상기 수평 배열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되고, 제2 조합키에는 상기 수직 배열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되며, 제3 조합키에는 상기 기타 배열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되고, 제4 조합키에는 동일한 복수개의 부수를 상기 제1 내지 제3 조합 중 하나로 조합하여 생성된 중문자와 다른 중문자가 표시되게 하는 중복방지 조합에 대한 형상이 표시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에 표시되는 상기 대표 부수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되는 상기 일반 부수의 개수의 합은 189개 또는 214개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 각각은 제1 및 제2 대표 부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대표 부수는 상기 해당 대표 부수키를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2 대표 부수는 상기 복수의 통상키 중 설정된 하나와 해당 대표 부수키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으로 입력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는 26개이고,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는 6개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키패드부는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필수글자를 상기 일반 부수와 함께 추가로 표시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장치.
  10. 복수의 대표 부수키 각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는 대표부수입력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상기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를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각각 표시하는 일반부수표시단계,
    표시된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일반 부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는 일반부수입력단계,
    복수의 조합키 각각에 표시된 부수의 배열에 따른 조합의 종류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는 조합의종류입력단계,
    2 이상의 대표 부수에 대한 연속 입력을 확인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2 이상의 대표 부수를 상기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고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대표부수조합단계,
    2 이상의 일반 부수에 대한 연속 입력을 확인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2 이상의 일반 부수를 상기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고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일반부수조합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일반부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를 입력 확인한 상기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고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복합부수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의 종류는 부수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조합하는 수평 배열 조합, 부수를 수직으로 배열하여 조합하는 수직 배열 조합, 수평 배열 및 수직 배열을 제외한 나머지 배열 조합을 나타내는 기타 배열 조합 및 동일한 복수개의 부수를 상기 수평 배열 조합, 그리고 상기 수직 배열 조합 및 상기 기타 배열 조합 중 하나로 조합하여 생성된 중문자와 다른 중문자가 표시되게 하는 중복방지 조합을 포함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에 표시되는 상기 대표 부수의 개수와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에 표시되는 상기 일반 부수의 개수의 합은 189개 또는 214개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 각각은 제1 대표 부수 및 제2 대표 부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대표 부수는 상기 해당 대표 부수키를 선택하는 것으로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2 대표 부수는 상기 복수의 통상키 중 설정된 하나와 해당 대표 부수키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복수의 대표 부수키는 26개이고,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는 6개인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0항에서,
    선택된 상기 하나의 대표 부수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일반 부수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필수글자를 상기 복수의 일반 부수키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고, 표시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글자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필수글자에 대한 입력을 확인하며 입력 확인한 상기 하나의 필수글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반부수조합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와 하나의 필수글자 및 하나의 조합의 종류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와 상기 하나의 필수글자를 상기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여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고,
    상기 복합부수조합단계는,
    하나의 필수글자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필수글자와 적어도 하나의 대표 부수와 적어도 하나의 일반 부수를 상기 하나의 조합의 종류에 따른 배열로 조합하고 조합한 문자를 중문자로서 입력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방법.
  18. 제10항에서,
    상기 대표부수입력단계와 상기 일반부수입력단계 중 하나를 수행한 후 복수의 통상키 중 설정된 하나의 통상키를 선택하여 중문자의 생성 완료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 방법.
KR1020140017873A 2014-02-17 2014-02-17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51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73A KR101514917B1 (ko) 2014-02-17 2014-02-17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PCT/KR2014/010561 WO2015122596A1 (ko) 2014-02-17 2014-11-05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N201480006860.4A CN105324740A (zh) 2014-02-17 2014-11-05 利用组合键的中文输入设备及方法
TW104105021A TWI596510B (zh) 2014-02-17 2015-02-13 利用組合鍵的中文輸入裝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73A KR101514917B1 (ko) 2014-02-17 2014-02-17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917B1 true KR101514917B1 (ko) 2015-04-23

Family

ID=5305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73A KR101514917B1 (ko) 2014-02-17 2014-02-17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14917B1 (ko)
CN (1) CN105324740A (ko)
TW (1) TWI596510B (ko)
WO (1) WO2015122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2614B (zh) * 2018-10-05 2019-09-21 陳壬癸 中文輸入之方法及其輸入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892A (ko) * 2000-04-03 2001-09-29 이관동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KR20030021775A (ko) * 2001-09-07 2003-03-15 이관동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0416B (en) * 2000-08-30 2002-03-21 Easyten Technology Ltd Ten-simple-code Chinese input method
TW527557B (en) * 2000-12-22 2003-04-11 Zeroplus Technology Co Ltd Enhanced associative Chinese input method
KR20030000229A (ko) * 2001-06-22 2003-01-06 이관동 한자입력방법
TW200540654A (en) * 2004-06-14 2005-12-16 jin-shu Zhuang Chinese input method edited by two point three keys
TW200629088A (en) * 2005-02-03 2006-08-16 Cong-Xian Shi Chinese character indexing system and input method
TW200725313A (en) * 2005-12-20 2007-07-01 jin-shu Zhuang Quasi 2D Chinese input method
TW200817938A (en) * 2006-10-04 2008-04-16 guo-sheng Yu A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CN100447730C (zh) * 2007-09-03 2008-12-31 北京派瑞根科技开发有限公司 菜单式汉字输入法
KR101497757B1 (ko) * 2011-06-29 2015-03-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및 그의 한자입력방법
TW201314498A (zh) * 2011-09-16 2013-04-01 Tze-Heng Ma 嵌合字根式中文輸入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892A (ko) * 2000-04-03 2001-09-29 이관동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KR20030021775A (ko) * 2001-09-07 2003-03-15 이관동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596A1 (ko) 2015-08-20
TW201543271A (zh) 2015-11-16
CN105324740A (zh) 2016-02-10
TWI596510B (zh) 201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9457B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及系统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CN101630197B (zh) 多元积木式交互汉字输入法
CN108227947B (zh) 正方形键盘及基于该正方形键盘的输入法
JP6379215B2 (ja) コンピュータの漢字入力装置および漢字入力方法
KR101581786B1 (ko)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47549A1 (ko)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CN110096162A (zh) 新型键位布局的键盘及应用于电子设备的多拼输入法
KR101514917B1 (ko)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JP6430011B6 (ja) 漢字入力方法及び装置
KR100592154B1 (ko)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CN208506700U (zh) 正方形键盘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11522492A (ja) 中国語教育に適した漢字の入力方法
CN102193647B (zh) 形状码及触摸屏的区位汉字输入法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200491971Y1 (ko)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KR101045386B1 (ko) 통합한글 단말기 문자입력기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KR20130038427A (ko) 터치스크린 한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