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775A -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775A
KR20030021775A KR1020010055187A KR20010055187A KR20030021775A KR 20030021775 A KR20030021775 A KR 20030021775A KR 1020010055187 A KR1020010055187 A KR 1020010055187A KR 20010055187 A KR20010055187 A KR 20010055187A KR 20030021775 A KR20030021775 A KR 20030021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representative
copies
chines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동
Original Assignee
이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동 filed Critical 이관동
Priority to KR102001005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775A/ko
Publication of KR2003002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부수를 나타내는 소정의 키들을 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 또는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면 상기 소정의 키 및 상기 종료키 또는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중문자를 발생시킴으로써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쉽고 간편하게 중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일정한 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중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문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수 중 대표부수를 나타내는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와, 상기 부수 입력의 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 또는 입력할 상기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를 구비하는 입력키수단과, 상기 하나 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및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종료키 또는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본 발명은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정보통신기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를 나타내는 대표부수키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상기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선택키의 입력완료를 지정하는 종료키 또는 입력할 상기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와 음성을 송수신하는 통신기기는 그 기술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정보통신기기에서의 문자입력 및 전송에 대한 기술은 이미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언어를 모두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통신기기를 통해 문자입력 및 전송을 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중문자의 경우는 중문자의 수가 무수히 많고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결합형태도 다양하며 중문자를 구성하는 구성부수의 결합의 규칙성이 없어 더욱 어렵다.
즉, 한글 또는 영자처럼 한정된 문자의 구성요소가 결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문자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 한정된 구성요소의 개수만을 키 입력수단에 나타내면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정보통신기기에 모든 글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하지만, 중문자는 표의문자로서 글자의 특성상 특정한 규칙에 의한 문자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고 글자수도 무수히 많기 때문에 키보드 등에 직접 표시하여 입력하는 것은 어렵다. 나아가, 중문자는 부수가 많고 거의 대부분의 중문자가 부수에 의해 결합된 글자들이나 그 결합의 구조가 규칙적이지 않아 글자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입력되도록 기술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종래의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가 소개되어 있으나 모두 간접적인 입력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중문자용 휴대폰의 사시도로서 중문자를 입력하는 휴대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오필자형을 이용한 휴대폰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주음자모를 이용한 휴대폰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의 키패드(1)의 키상에 다섯 가지의 필획 모양(一,,,,)을 표시하고 입력할 각 중문자의 각 획 모양을 필순에 따라 다섯 가지의 모양으로 분해한 후, 입력할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상기 다섯 가지의 필획 모양의 키를 입력하고 소정의 키(2)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필획 모양에 해당하는 중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金」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金」의 필순에 따른 첫 번째 필획 「」을 입력하면 상기 「」로 시작되는 수많은 중문자 중에서 소정 개수의 중문자가 표시된다. 상기 표시된 중문자 중에서 상기 「金」이 표시되면 소정의 키(2)를 입력하여 선택한다. 그러나, 표시되지 않으면 다음 필획 「」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두 개의 필획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중문자 중에서 소정의 개수를 표시한다. 상기 중문자 「金」가 표시되면 선택하고 표시되지 않으면 다시 다음 필획 「一」을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할 중문자를 상기 다섯개의 필획으로 구분하여 각각 입력하고 상기 입력할 중문자가 표시되면 선택하고 표시되지 않으면 표시될 때까지 계속하여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부수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중문자의 필획에 해당하는 상기 다섯가지의 필획 모양을 입력하는 간접적인 입력방법이며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가 발생될때까지 상기 다섯 가지 필획 모양을 계속해서 입력해야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다.
다른 방법으로는, 중문자의 읽기발음을 영자로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중문자가 여러개 나열되고 해당하는 글자를 소정의 키(2)를 입력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我」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중문자「我」은 영문발음으로 「wo」이므로 영자로 「wo」을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의 읽기발음에 해당하는 중문자가 복수개가 표시되고 그 중 해당하는 「我」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문자의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영자로 입력해야만 상기 중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소정의 규칙들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은 사람은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키보드 사용시 영자 키보드를 이용하여 중문자를 입력시키며 알파벳을 쳐서 중문자가 만들어지도록 간접 변환방식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b)에 도시한 주음부호를 이용한 방법은 중문자의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주음부호를 키에 표시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의 발음에 해당하는 주음부호(3)를 입력시키고 소정의 키(4)를 입력하면 상기 발음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여러개의 중문자가 다른 창에 뜨게 되어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주음자모는 영문발음에 대한 일종의 기호이다.
도 1(b)에서 입력할 중문자 읽기발음에 대한 영문자에 대응하는 주음자모(3)를 입력하고 소정의 키(4)를 입력하면 이에 대한 중문자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중문자가 여러개이면 그 중 하나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문자 「好」의 경우 그 읽기발음을 영문자로 나타내면 「hao」이다. 상기 「hao」에 대한 주음부호는 「 」로 미리 지정되어 있으며 상기 주음부호 「 」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하면 「hao」발음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모두 표시하고 그중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b)에서 상기 「好」를 입력하는 경우 「 」에 대응하는 8번키를 각각 입력하면 「好」를 비롯해 「hao」발음의 중문자가 표시되고 그중 소정의 키(4)를 입력하여 상기 원하는 중문자 「好」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부수 또는 중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에 따른 일종의 기호를 입력하여 상기 발음에 해당하는 다수의 중문자들 중에서 하나를 입력하는 방법이고 상기 발음에 대한 주음부호를 암기해야 하며,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를 읽을 수 없는 경우에는 입력할 수 없었다.
한편, 중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14238호, 미국 특허출원 제09/822.221호, 중국 특허출원 제01110420.1호, 일본 특허출원 제2001-096039호 및 대만 특허출원 제901074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나타내는 부수키와 상기 부수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결합키를 이용하여 중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상기 종래의 방식들보다는 중문자를 그 구성부수들로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입력시간 및 타수가 적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결합키의 개수가 많아서 중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상기 중문자에 해당하는 결합키를 찾아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키 입력장치가 크게 되어 소형기기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문자는 아니나 하나의 문자를 직접 입력하고 상기 문자를 결합하는 방식에는 한글 입력장치가 있다. 이는 한글을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키입력수단에 모두 나타내며 상기 키입력수단의 자음키 및 모음키를 직접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글자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한글의 경우는 중문자의 경우와는 달리 한글을 구성하는 요소 즉, 자음과 모음이 각각 구분되어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되는 구성요소 즉, 자음과 모음의 순서도 미리 정해져 있다. 즉, 정보처리 입력장치에 있어서도 첫 번째로 입력되는 키는 자음키이며 두 번째는 모음키, 세 번째는 다시 자음키가 입력되도록 하고 네 번째는 경우에 따라서 자음키 또는 모음키가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두 번째 입력되는 모음키에 의해 하나의 글자가 완성되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세 번째 입력되는 자음키에 의해 하나의 글자가 완성된다. 이때, 글자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경우, 네 번째 입력되는 키에 따라 상기 세 번째 입력된 자음키가 첫 번째 글자의 종성이 될 수도 있고 두 번째 글자의 초성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한글 키보드의 경우는 상기와 같이 일정한 입력순서에 대한 규칙에 따라 키를 입력해야만 글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뒤에 입력되는 키에 따라 앞선 키의 위치가 바뀐다.
그러나, 상기 규칙에서 벗어나 첫 번째에 모음키가 입력되면 완전한 글자는 형성되지 않아 글자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글자를 구성하는 요소 즉, 자음과 모음 자체는 뜻을 가진 문자가 아니므로 자음키 및 모음키 등의 각 키 하나만을 입력하면 발생되는 문자는 완성된 글자가 아니라 글자로서는 의미가 없는 문자일 뿐이므로 하나의 키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완성된 글자를 이룰 수가 없다.
즉, 한글의 경우에는 글자를 구성하는 요소(본 발명의 '부수'와 대비되는 의미임)가 미리 규정된 규칙에 의해 구분되어 결정되어 있어서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한 규칙에 의해 글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중문자 또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기호 또는 영문자를 입력하여 중문자로 변환시키는 등의 간접 입력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중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또한, 상기 본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중문자 직접 입력방식은 기존의 타방식과는 달리 중문자 부수를 직접 입력하기는 하나 결합키의 개수가 많고 중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상기 중문자에 해당하는 결합키를 찾아서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상 다소의 불편함이 있었고 키 입력장치에 결합키를 두어야하기 때문에 키수가 늘어나며 상기 입력장치의 크기도 커지므로 소형기기에 적용시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한글 입력방식은 자음과 모음이 구분, 지정되어 있어 기능과 역할이 각각 상이하며 입력순서 및 규칙이 정해져 있고 하나의 키만 입력하는 경우는 완성된 글자를 구성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중문자 입력방식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간접 입력방법이 아니라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직접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특히 입력키의 개수가 적은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소형기기에 적용하기 적합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문자 입력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중문자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재 사용중인 중문자를 분석하여 이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배열한 테이블의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입력키수단의 일실시예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들을 분류한 분류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8은 도 7의 중문자 입력장치의 입력키수단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한 입력키수단에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입력키수단의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중문자 발생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설명한 입력개수결정키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중문자 발생시 처리하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력키수단 11 : 대표부수키
12 : 선택키 13 : 종료키
14 : 입력개수결정키 15 : 지정키
20 : 신호변환수단 30 : 중문자발생수단
40 : 메모리수단 50 : 중복자처리수단
60 : 표시수단 61 : 대표부수
62 : 종속부수 100 : 휴대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와,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후 상기 종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다른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미리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에 대응하는 마지막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들에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와, 상기 중문자의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의 입력후 다음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개수결정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상기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 및 상기 제1 선택키가 입력되고 다음에 입력되는 제2 입력키가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인 경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만큼의 나머지 대표부수키,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나머지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 상기 제1 선택키, 상기 나머지대표부수키, 상기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상기 나머지 선택키에 의해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의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의 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종료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세 개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개수이하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고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 상기 제1 부수와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중간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대표부수키, 중간 지정키수단 및 중간 선택키를 입력하되 상기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과 상기 제1 선택키, 상기 중간 대표부수키들, 상기 중간 지정키수단들과 상기 중간 선택키들 및 상기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마지막 대표부수키, 마지막 지정키수단과 마지막 선택키 등 상기 각 쌍의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의 개수가 상기 최대 입력개수가 되게 하고 상기 마지막 대표부수키, 상기 마지막 지정키수단 및 상기 마지막 선택키를 입력하며 상기 마지막 대표부수키, 상기 마지막 지정키수단 및 상기 마지막 선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복수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수들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제1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만큼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나머지 대표부수키,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나머지 선택키를 입력하여 상기 나머지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만큼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제1 중문자와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제2 중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문자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를 각각 입력하고 상기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제1 중문자 다음에 연속적으로 입력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상기 제2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2 중문자의 제1 선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11)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임의의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와,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11),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13)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10)과, 상기 입력키수단(10)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S1)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2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4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받아 상기 변화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표부수키(11),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 후 상기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30)과,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50) 및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서 발생된 중문자 또는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에 의해 결정된 중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 전반에 걸쳐 나오는 용어인 '부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문자의 최소단위로서 그 자체가 하나의 중문자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를 설명한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14238호, 미국 특허출원 제09/822.221호 및 중국 특허출원 제01110420.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은 입력할 부수가 많으므로 입력키도 많이 있어야만 된다. 그러나, 입력키의 숫자가 적은 소형기기의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므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6과 같이 전체 부수를 그 연관성에 따라 적절히 재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부수중 대표성을 가지는 대표부수를 설정하여 한정된 입력키에는 그 대표부수들만을 표시하되 상기 대표부수키를 입력하면 그 대표부수에 분류된 부수들이 발생되어 표시되도록 한 후 원하는 하나의 부수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는 복수개가 존재하며 각각의 대표부수키(11)는 적어도하나의 부수(이하, 대표부수라 함)를 나타낸다.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대표부수의 개수는 상기 장치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의 개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입력키수단(10)의 키수나 상기 키의 입력횟수 등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상기 대표부수의 개수는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의 경우 숫자키 10개에 각각 하나 이상의 대표부수를 표시하거나 추가키를 구성하여 더 많게 표시할수 있으므로 10개 내지 60개가 바람직하다.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각 대표부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부수들(이하, '종속부수'라 함)이 발생되어 표시된다. 이때, 그 대표부수도 함께 표시된다. 상기 종속부수의 개수도 입력할 중문자의 개수, 키패드 상의 키수나 상기 키의 입력횟수 등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생된 종속부수를 표시할 수도 있지만 표지하지 않고 인식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전자와 같이 표시할 경우 상기 표시수단(60)에서 표시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제2 표시수단(미도시)을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표시수단(60)으로 상기 종속부수를 표시할 수도 있고 상기 표시수단(60)을 여러개 설정하여 그 중 하나의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표시수단(60)내에 다른 별도의 제2 표시수단을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주 표시수단에 소정의 UI창을 설정하고 상기 UI창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복수개의 종속부수들 중 원하는 부수를 입력하기 위하여 선택키(12)를 입력한다. 즉, 임의의 부수의 입력은 상기 대표부수를 나타내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한 후 복수개의 종속부수가 발생되면 그 중 상기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함으로써 실현된다. 상기 선택키(12)는 별개의 키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의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에 각각 번호를 할당한 후 해당하는 번호선택키를 입력함으로써 부수를 입력할 수도 있고 순서대로 나열된 상기 복수개의 부수에서 커서이동키를 입력함으로써 부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대표부수키와 같은 특정키를 반복해서 입력함으로써 표시된 복수개의 부수에 표시된 커서 등을 이동시켜 그 중 해당하는 하나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터치패드 또는 화살표키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하나 이상의 대표부수 중 하나의 대표부수를 지정하여 상기 대표부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종속부수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상기 지정키수단(미도시)을 통해 구현된다. 즉, 복수개의 대표부수 중 어느 대표부수를 선택하여 입력할 것인가에 대하여 상기 복수개의 대표부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지정된 대표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대표부수키(11)에 3개의 대표부수「一, 十,」가 나타낸 경우를 보면, 상기 대표부수에는 물론 종속부수가 대응되어 있다. 이때, 어느 대표부수를 입력할 것인지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을 통해 지정한다. 상기 대표부수를 임의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세 개의 대표부수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지정키수단은 일예에 불과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수 있다. 그 일예를 들어 보면, 상기 대표부수키(11)를 반복해서 입력함으로써 상기 대표부수를 지정할 수도 있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별도의 지정키를 구비하여 상기 지정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대표부수를 지정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상기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3개의 대표부수「一, 十,」 중에서 「一」에 대응하는 대표부수,「一」및 종속부수가 발생되고 두번 입력하면 「十」에 대응하는 대표부수,「十」및 종속부수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후자의 경우 각 부수를 지정하는 별도의 지정키를 설정하고 제1 지정키를 입력하면 대표부수,「一」및 종속부수가 발생되고 제2 지정키를 입력하면 대표부수,「十」및 종속부수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정키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지정키수단을 별도로 표시하기 않고 바람직하게는 전자의 경우와 같이, 상기 대표부수키(11)를 반복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정키수단을 구현하며 이하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부수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하고자 하는 부수가 「土」인 경우, 상기 부수 「土」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적어도 한번 입력하면 상기 「土」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부수(상기한 종속부수)들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대표부수키(11)를 적어도 한번 입력하는 것은 상기한 지정키수단의 역할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 상기 「土」에 대응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상기 「土」가 입력되는 것이다.상기 부수는 키 수에 따라 나타내는 개수가 다르다. 적은 개수의 부수를 나타내는 경우는 키상에 상기 부수 모두를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며 많은 개수의 부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대표부수를 키상에 나타내고 상기 대표부수키를 입력하면 복수개의 부수를 표시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나타내고자 하는 부수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며 또한, 설정된 키 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종료키(13)는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가 「李」인 경우, 상기 방법으로 상기 중문자 「李」의 구성부수 즉, 「木」과 「子」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11) 및 상기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두 부수를 각각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어,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종료키(12)를 입력한다. 이로써, 상기 입력할 중문자, 「李」를 구성하는 부수 즉, 「木」과 「子」의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상기 발생되는 부수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고 필순에 따라 정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그 중 일부만을 선정하여 임의의 순서로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필순에 의해 그 입력순서를 정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며, 필순상 처음과 마지막 부수외에 중간 부수들만을 임의로 선정하여 그 순서를 또한 임의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예에서, 「李」를 입력하는 경우, 「木」을 먼저 입력하고 이어, 「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 「李」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정할 수ㄷㅎ 있으며, 이와는 달리 「子」를 먼저 입력하고 다음에 「木」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세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즉, 「時」를 입력하는 경우, 그 구성부수의 입력순서는 「日」,「土」및「寸」일 수도 있고, 「寸」,「土」및「日」을 차례로, 또는 「土」,「日」및 「寸」을 차례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력할 중문자의 구성부수의 입력은 그 입력순서가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순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사용상 가장 편리할 것이다. 상기 종료키(13)는 별도의 소정의 키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키등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설정하고자 하는 키수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종료키(13)가 입력된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커서나 특정표시 형태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부수는 한글과는 달리 하나의 문자를 구성할 때 어느 위치에서도 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한글의 경우 하나의 완성된 글자를 이루기 위해서는 첫번째 입력은 자음키가, 두번째 입력은 모음키가 된다. 상기 한글의 경우 첫번째 입력에 모음키가 오면 이는 글자 자체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중문자의 경우는 임의의 부수는 어느 위치에도 올 수 있으며 따라서, 어느 순서에도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글의 경우 자음 「ㄱ」은 첫번째에 입력될 수 있지만 두번째에는 입력되면 안된다. 그러나, 중문자의 경우 「口」의 경우 「味」,「句」,「誤」,「諮」등과 같이 어느 위치에서도 그 구성요소를 이룰 수 있으며 어느 순서에서도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수단(20)은 상기 입력키수단(10)에서 발생되는 키코드값(S1)을 후단의 중문자발생수단(30)에서 인식하여 처리가능한 키코드값(S2)으로 변환한다.
상기 메모리수단(40)은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데 상기 각각의 중문자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이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상기 메모리수단(40)에 저장된 중문자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는 중문자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문자의 특성상 부수도 하나의 중문자가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木」은 부수인 동시에 하나의 중문자이다. 즉, 상기 「木」은 하나의 부수 즉,「木」으로 구성된 하나의 중문자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수단(40)은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데 상기 중문자에는 하나의 부수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메모리수단(40)에 저장되는 중문자를 나타내는 테이블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수단(40)은 입력하고자 하는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중문자는 각각 하나의 데이터값을 가진다. 상기 데이터값은 발생시키고자 하는 중문자에 대응하는 소정의 값이다. 예를 들어, 생성되는 데이터값이 'AH240TR'인 중문자는 「木」이고 생성되는 데이터값이 'AQ999ZB'인 중문자는「李」이며, 데이터값이 'CR123PD'인 중문자는 「彰」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값은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생성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값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또한, 대응되는 중문자 역시 일실시예에 불과하여 다른 데이터값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에 대응하는 중문자 역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택키(12)는 앞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대표부수를 입력시에는 시간설정등으로 처리하여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대표부수의 데이터값은 대표부수키(11)의 변환된 키코드값과 시간경과신호를 조합하는 등의 소정의 방법으로 생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입력키수단(10)에서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데이터값을 생성하는데 상기 생성되는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수단(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입력키수단(10)의 입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예에서는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이 생성한 데이터값이 'XZ001B'이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XZ001B'에 해당하는 중문자「李」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신호변환수단(20)에서 출력되는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받아서 이들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은 중문자의폰트(font)값 또는 이에 해당하는 번지(address)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발생된 중문자를 표시수단(60)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가능하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신호변환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들(11,12)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즉,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대표부수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종속부수가 발생되고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에 의해 발생되는 종속부수들 중에서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이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다가 종료키(13)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하고 있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는 후단의 중복자처리수단(50)으로 출력하여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1)에서 중복자를처리하고 발생된 중문자가 한개인 경우는 바로 표시수단(60)으로 출력하여 상기 중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복수개인지 또는 한개인지를 중복자처리수단(50)에서 판단하여 복수개인 경우는 중복자를 처리한 후 표시수단(60)으로 출력하고 한 개인 경우는 처리없이 상기 표시수단(60)으로 바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종료키(13)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이 입력될 때까지 상기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계속해서 받아서 이를 인식하고 있다가 상기 종료키(13)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것이다.
만약, 종료키(13)를 시간설정 등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택키(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선택키(12)와 상기 종료키(13)를 모두 시간설정으로 하는 경우에는 시간차를 두는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중문자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키들(11,12)에 의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는데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 즉, 부수를 발생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木」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상기 부수「木」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에 의한 각각의 부수를 표시하지 않고 인식하고 있다가 이후에 종료키(13)가 입력되면 각각의 부수에 대한 키코드값을 조합하여 완성된 중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중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문자 「李」를 입력하는 경우, 먼저, 「木」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고, 다음 부수 「子」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다가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변환된 키코드값들(S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 「李」를 발생시켜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부수를 입력할 때마다 상기 부수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메모리수단(40)과는 달리 각각의 부수에 소정의 데이터값이 할당된 부수메모리수단(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가 입력되면 상기 키들(11,12)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부수를 상기 부수메모리수단(미도시)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킬 수도 있고 상기 메모리수단(40)에서 상기 부수를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모리수단(40)은 하나의 부수로 된 중문자 즉, 부수를 나타내는 데이터값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부수메모리수단(미도시)을 구성하지 않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부수를 표시하는 것은 일실시예를 기술한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부수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입력된 부수에 대응하는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다가 종료키(13)가 입력되면 바로 처리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재 사용중인 중문자를 분석하여 이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배열한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중문자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중문자를 구성하는 요소 즉, 구성부수들을 배열한 것이며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부수를 입력함으로써 이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서는 이러한 구성부수의 배열원리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에 대하여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 4에서 배열된 구성부수들은 종래의 214개의 부수들이며 현재 사용되는 중문자를 모두 상기 214개의 부수들로 분해하여 배열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현재 사용되는 중문자는 모두 상기 214개의 부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에는 상기 분류된 구성부수들을 나타내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함으로써 중문자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특정기기의 경우 표시할 중문자가 한정되어 있다면(예를 들어, 상용 중문자 3,000개만 표시해도 되는 경우) 필요한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는 214개 보다 더 적게 될 수도 잇다. 이 경우는 불필요하게 214개 모두를 나타낼 필요가 없이 필요한 부수만으로 원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부수 중에서도 다른 부수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수는 그 구성부수들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音」은 그 자체가 하나의 부수이나 상기 「音」은 두 개의 다른 부수 「立」과 「日」로 구성되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기본부수에서 제외시키고 중문자로 처리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모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音」과 같이 다른 부수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부수는 모두 68개가 있으며 도 4의 테이블은 이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수들은 「十」과「又」로 구성되는「支」,「八」와「乂」로 구성되는 「父」, 「」과「皿」로 구성되는 「血」등 그외 다수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입력키수단(10)에 표시할 기본부수들의 숫자를 더욱 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른 부수들로 구성된 68개의 부수들은 모두 다른 부수들로 분리될 수 있지만 반드시 분리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분리하지 않은 부수들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音」은 두개의 부수「立」과「日」로 분리되지만 그 자체로서도 부수이기 때문에 반드시 분리할 필요는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부수를 부수키에 나타내는 경우 「立」과「日」두개의 부수만으로 「音」부수를 포함하는 모든 중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는데 굳이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音」을 나타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부수키의 개수만 늘어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소형기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부수키의 개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音」을 부수로 사용하여 부수키에 나타내어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며 또한, 상기 「立」과「日」을 두 번 입력하여 「音」발생시키는 것보다 「音」자체를 1타로 입력하므로 사용하기 편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른 부수들로 구성된 68 개의 부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거나 전혀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4의 테이블에서 배열된 부수들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적용된다. 즉, 도 4의 구성부수는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로 선정되고 도 4의 중문자는 상기 메모리수단(40)에 저장된다. 그래서, 상기 구성부수에 대한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종속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하며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가 발생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好」의 그 구성부수와 배열은 「女」와「子」이다. 여기서, 도 4에서의 상기 구성부수의 배열순서는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그 순서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는 「女」를 포함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종속부수들 중 상기 부수「女」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子」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와 상기 「子」를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종료키(12)를 입력하면 한자발생수단(30)은 상기「女」및「子」에 대한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즉,「好」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音」은 자체로서 부수이나 두개의 부수 즉, 「立」과「日」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立」와 「日」을 입력한 후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이 생성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중문자 「音」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彰」은 그 구성부수와 배열이 「立」,「日」,「十」및「」이므로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서 상기 네 개의 부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각각의 선택키(12)를 입력하고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이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 즉, 「彰」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그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다른 중문자라도 동일한 구성부수와 그 구성부수의 배열이 동일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이다. 상기 두 중문자의 구성부수와 그 배열순서는 「日」,「文」으로 동일하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서는 중복자처리수단(50)에서 처리한다. 즉, 「日」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의 종속부수 중에서 상기 부수「日」을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文」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종료키(12)를 입력하면 「」과 「」두 개의 중문자가 발생된다. 왜냐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두 중문자는 그 구성부수가 동일하며 발생과정도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에서는 상기 발생된 두 개의 중문자를 표시한 후,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발생된 복수개의 중문자를 표시할 때 상기 중문자 모두를 표시하여 그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고 상기 복수개의 중문자 중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씩 표시하여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두 가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입력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4의 테이블에 배열된 부수들 중 대표부수를 선정하여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의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내고 또한, 그 나머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종속부수로 설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강희자전에서 정의된 214개의 부수 중 「音」과 같이 다른 부수로 표시될 수 있는 부수는 일부 또는 전부를 제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에서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기기의 경우에는 한정된 크기로 인하여 더 적은 개수의 부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컴퓨터 키보드 등과 같이 키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입력키수단(10)에 나타낼 수 있는 부수의 개수는 증가할 것이다. 또한,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대표부수 및 그에 따른 종속부수의 개수는 본 발명의 상기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품의 특성상 선택키의 개수가 수개 내지 수십개 이내로 한정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대표부수를 대표부수키(11)에 표시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2)를 입력하여 복수개의 종속부수를 발생한 후 이들 중 원하는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고자 할때,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복수개의 종속부수가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선택키(12)를 입력한다. 하나의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와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각각의 키코드값(S1)은 신호변환수단(20)을 거쳐 각각의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되어 중문자발생수단(30)으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종료키(13)의 키코드값(S2)이 수신되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발생된 각각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 중 주의해야 할 것은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해야 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의 입력개수 즉, 입력되는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중문자는 복수개의 부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지어는 5개 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되는 중문자들도 많다. 이와 같이 5개 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그 구성부수 모두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은 키의 입력횟수가 많아 일일이 다 입력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 몇 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중문자가 발생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대부분의 중문자는 복수개의 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하기 위해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모두 입력하지 않고 설정된 최대 개수이하 만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N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중문자가 발생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N은 2이상의 정수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4이다.
따라서, 모든 중문자를 입력할 때 N개의 부수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N개의 부수를 나타내는 상기 N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고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 N개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이용하여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N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이상의 정수이며 임의로 설정되는 값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설정에서 상기 입력할 중문자가 N+1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 각각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제1 부수, 제2 부수, ...제N-1 부수 및 제N 부수를 각각 입력하여 입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중문자를 특정하는데 필요한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개수는 최대 N개이며, 입력되는 부수의 개수도 최대 N개 이다. 이로써 N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면 모든 중문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제2,...., 제N-1 및 제N 은 상기 중문자의 필순과는 무관하며 단지 구성부수를 나타내는 개수에 불과하다. 그러나, 상기 구성부수를 입력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부수의 입력개수 즉, N의 설정없이도 중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N의 설정이 없으면 모든 부수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을 입력하고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9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9개의 부수들을 모두 입력하여 입력하고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중문자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9개의 부수키(11)들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밝힌바 있으나, 필순에 따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상 편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N을 4로 설정한다. 즉, 최대 4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최대 4개의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함으로써 중문자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4개의 부수의 입력으로 중문자를 발생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발명정신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숫자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N값의 설정은 몇개의 부수를 입력하느냐 즉, 몇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느냐에 따라 동일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발생개수가 달라지므로 모든 중문자를 분석하여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타수와 상기 발생되는 중문자의 중복발생개수의 처리에 적절하게 그 N값을 결정하게 되며, 입력타수를 줄이는 것이 우선일 경우에는 2개 또는 3개로 정하되 동일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발생개수가 복수개인 경우가 증가하므로 그 처리방안이 필요하고 중복자 발생개수를 줄이는 것이 우선이면 입력개수를 5개 또는 6개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입력개수를 5개 또는 6개로 하면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타수가 많아져 그만큼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중문자 발생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선택키(12)를 입력한다. 이어, 종료키(13)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각각 하나의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또한,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각각 입력할 제1, 제2 부수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2)를 입력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종료키(12)의 입력으로 상기 두 개의 부수의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입력된 두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특정된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또한,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도 상기와 같다. 제1, 제2 및 제3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한다.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세 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이용하여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나아가, 네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제1, 제2, 제3 및 제4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고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특정되는 중문자가 발생된다.
한편, 다섯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적용한다. 즉, 상기 다섯개 이상의 부수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여 각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하고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상기 부수들 중 입력되는 순서는 필순과는 무관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필순에 따라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부수를 입력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최대 입력타수를 4로 설정한 경우에는 중문자를 입력할 경우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최대 4개를 입력하여 입력하고 종료키(13)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다섯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다섯개의 부수 중 제1, 제2, 제3, 제4 부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고 종료키를 입력하면 중문자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제1,제2,제3 및 제4는 중문자의 필순과는 무관하며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구성부수의 개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며 상기 네번째 입력하는 제4 부수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의 부수 중 마지막 부수인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상술한 입력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중문자「土」를 입력하는경우, 상기 중문자는 하나의 부수(즉, 土)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수「土」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개의 종속부수 중에서 상기 「土」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선택키(12)를 입력한다. 이어, 종료키(13)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이용하여 하나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하나의 중문자 즉,「土」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수단(40)에서는 이미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인 「土」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好」를 입력하는 경우, 두 부수 「女」및「子」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고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두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중문자 「好」를 특정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또한, 세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중문자「始」를 입력하는 경우, 세개의 부수 즉, 「女」와「」와「口」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한 후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나의 특정된 중문자 「始」가 발생된다.
또한, 네 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중문자 「彰」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중문자의 구성부수 즉, 「立」,「日」,「十」 및 「」를 나타내는 부수키(11)를 각각 입력하고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 「彰」가 특정되어 발생된다.
다섯개 이상의 부수로 이루어진 중문자의 경우도 입력방법은 동일하다. 그 중 한 예를 들어, 다섯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중문자인「暻」의 경우, 상기 중문자의 구성부수 즉, 「日」,「日」,「」,「口」,「小」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들을 각각 입력하여 상기 다섯개의 부수를 입력하고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 「暻」이 발생된다.
상기의 입력방법은 상기 입력되는 부수의 최대 입력타수 N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따라서, 중문자를 구성하는 모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고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N을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부수를 입력해야 하므로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타수가 증가하여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즉, N을 수개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N이 4이면 상기 5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부수는 4개가 될 것이다. 즉,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최대 입력타수는 4개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하는 키들(11,12)의 입력순서는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차례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네 개의 부수키(11)들 중에서 마지막 제4 부수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가 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 제4 부수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4번째 부수인 「口」로 설정하여도 된다. 상기 대표부수키(11)에는 하나의 대표부수키에 적어도 하나의 부수를 나타내어 전체 표시되는 부수는 약 10~60개의 대표부수를 지정하고 수개 내지 수십개의 대표부수키에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를 표시하여 약 100~214개 정도의 종속부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중문자를 특정하여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 중복자처리수단(5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종료키(13)를 입력하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값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하다. 이때,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은 상기 복수개의 중문자를 표시수단(60)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개의 중문자중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하여 결정한다.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특정선택키, 마우스 또는 터치펜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표시된 중문자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상기 번호선택키, 특정선택키 등 이들 키들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 등에서의 키대신 PDA 등에서 사용되는 펜 또는 스틱으로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중복되는 복수개의 중문자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발생되는 중문자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복수의 중문자 중에서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발생되는 중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중복되는 중문자를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중복되는 중문자를 하나씩 표시할 수도 있다. 중복되는 중문자를 모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복수개의 중문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화살표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킨 후 해당 중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씩 표시되는 경우 제일 우선순위에 있는 중문자를 디폴트(default)로 하여 제일 먼저 표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대표부수키를 반복해서 입력하여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중복되는 중문자의 표시방법 및 입력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日」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日」을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하며 또한, 「文」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文」을 선택하는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두 부수 「日」과「文」으로 구성되는 중문자를 특정하여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두 개의 부수 즉, 「日」과「文」으로 구성된 중문자는 「」과 「」두 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이, 상기 부수들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를 입력하고 종료키(12)가 입력되면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중문자가 발생된다. 상기 중문자들을 소정의 창에 표시한다.바람직하게는 UI창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창에 상기 두 중문자에는 각각의 숫자가 지정되어 있어 상기 숫자를 입력하면 상기 숫자에 해당하는 중문자가 입력되어 결국 입력된 중문자가 발생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방법은 일예에 불과하며 커서를 이동시켜 입력하거나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서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일 경우는 상기 중문자처리수단(50)에서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료키(13)는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들의 입력의 완료를 지시하는 키이며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다가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한다.
그러나, 입력될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의 최대 입력타수 N이 설정되어 입력되는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N의 개수를 인식하여, 선택되어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가 상기 설정된 N의 숫자만큼 입력되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들의 입력이 종료되는 것을 지시하는 종료키(13)가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들의 입력이 완료된 것을 인식하여 상기 입력된 부수키들(11,12)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이하,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신호변환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수신하며 상기 입력할 부수의 최대입력개수 즉, N이 미리 설정된 경우 상기 설정된 최대 입력개수까지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상기 종료키(12)가 입력되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며, 상기 설정된 최대 입력개수까지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가 입력되면 상기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는 미리 설정되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복수의 입력개수를 임의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수를 최대 4개 이내로 입력하여 모든 중문자를 입력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는 4타가 된다. 즉,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타수가 최대 4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를 4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이상의 정수중 어느 하나로 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두며, 적절한 키입력 횟수를 고려하면 4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를 4로 설정한 경우,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최대 4타 이내로 입력하여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최대 4개 이하로 입력하고 이어, 종료키(12)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한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를 4개로 설정하여 중문자를 발생할 때는 마지막 네 번째 입력하는 대표부수키(11) 및선택키(12)가 입력되면 상기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상기 중문자 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네 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의한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즉,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만큼의 부수가 입력되어 입력되면 자동적으로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최대 입력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종료키(13)를 최종적으로 입력해야만 중문자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말하면, 상기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종료키(13)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키고 상기 최대 이력개수만큼의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를 4개로 설정한 경우,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好」를 입력할 때는, 상기 중문자 「好」는 두개의 부수 즉,「女」와「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두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고 종료키(13)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각각 입력된 두개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하나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하나의 중문자 「好」를 특정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상기한 것은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즉, 4개보다 적은 개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상기 최대 입력개수 즉, 4개 이상의 개수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면, 네 개의 부수로 이루어진 중문자 「彰」을 입력할 때, 상기 중문자의구성부수인「立」,「日」,「十」,「」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면, 상기 종료키(13)의 입력없이도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들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상기 중문자 「彰」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상기 메모리수단(40)에는 상기 중문자 「彰」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彰」에는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가 4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개수를 인식하고 있다가 상기와 같이 4개의 부수가 입력되어 입력되면 상기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즉시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데이터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설정된 최대 입력개수인 4보다 많은 다섯개 이상의 부수로 이루어진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다섯개 이상의 부수 중 4개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4개의 부수를 입력하면 상기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와 실제 입력된 부수의 입력개수가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입력된 중문자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대표부수를 포함하여 임의의 부수의 입력은 상기 입력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입력이 실현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대표부수의 경우에는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방법으로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대표부수키(11)가 입력된 후 설정된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며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입력할 부수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표부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없이도 상기 대표부수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대표부수의 경우 다른 방법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표부수키(11)를 길게 눌렀다가 놓으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다수개의 대표부수 중 하나의 대표부수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 입력횟수에 따라 상기 대표부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 입력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대표부수가 설정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대표부수키(11)에 네 개의 대표부수를 나타낸 경우 상기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면 첫번째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가 발생되어 표시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두번 입력하면 두번째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가 발생되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대표부수를 비롯하여 상기 종속부수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입력키수단(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폰 키패드에 본 발명의 입력키수단(10)을 구현한 것이다. 그러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입력키수단(10)을 휴대폰 키패드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정보통신기기, 예를 들어, 피디에이(PDA) 등의 입력키수단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PAD등과 같이 입력키수단에 입력키를 구비하지 않고 LCD 등의 표시장치에 입력키수단을 지정, 표시하여 손가락 또는 특정의 펜(pen), 등과 같은 입력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입력키에 해당되는 위치를 선택하면 그 위치가 일반 입력키가 입력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에도 모든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나아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입력키수단(10)에 표시되는 부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휴대폰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서 보인 대표부수키(11)의 상세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수단(10)은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11)와,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와,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13)를 포함한다. 상기 대표부수키들(11)과 상기 대표부수들은 바람직하게는 도 5(a)와 같은 위치와 순서로 배열되어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휴대폰의 기능을 위해 다른 다수의 키 및 표시창 등이 함께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선택키(12) 및 상기 종료키(13)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키를 설정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별도의 키들 또는 대표부수키(11)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키의 입력없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된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입력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입력한 후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종료키(13)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키들(11,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 도 5의 대표부수키(11)에 표시된 대표부수들은 도 6의 분류표를 근거한 것이다. 도 6은 부수들을 일정한 체계로 분류한 분류표로서 그 의미와 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서, 도 4에서 분류되었던 중문자의 구성부수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그 의미와 모양에 따라 일정한 체계로 구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중문자를 구성하는 상기 부수들을 그 의미와 모양에 따라 휴대폰의 키수를 감안하여 수개 내지 수십개 정도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는 수개 내지 수십개의 부수를 포함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수개 내지 수십개의 부수들 중 제1 부수를 대표부수(61)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부수와 같은 그룹에 속한 부수들을 종속부수(62)로 설정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부수들을 그룹화한 테이블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 6에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부수들의 의미와 모양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3개의 구역에 대해 10개로 단위로 구분하여 배열한 것이다. 또한, 각 구역에는 바람직하게는 6개의 부수가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180개의 부수가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역개수 및 단위의 개수 그리고 각 구역에 속하는 부수의 개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사용할 휴대폰의 키수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의 분류표에서 분류된 부수들 중 제1 부수를 대표부수(61)로 설정하고 그 뒤에 오는 부수들을 종속부수(62)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부수는 바람직하게는 제일 첫 번째 부수를 말한다. 상기 각 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부수(61) 및 종속부수(62)는 그 의미연결을 우선으로 하고 모양연결을 차선으로 하여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수외에 일반 중문자 중 다른 중문자와 결합하는데 중요한 중문자나 문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중문자를 선정하여 상기 부수와 같이 분류하고 표시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2번키의 제1구역에 보이는 「我」및 제2번키의 제2구역에 보이는「來」등은 그 자체가 부수가 아니라 상기한 중문자에 해당하며 그외 다수개가 표시된다. 상기 중문자는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는 기본적으로 표현상에서 부수에 대한 것을 설명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개수의 중문자를 선정하여 부수의 설명시 상기 중문자를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부수(61)는 「一」, 「十」,「」「我」,「來」...등 모두 30개가 되고 상기 30개의 대표부수(61)가 도 5의 대표부수키(11)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대표부수키(11)에 표시된 대표부수(61)는 3개 인데 좌측은 제1구역, 중간은 제2구역, 우측은 제3구역으로 구분되며 이는 도 6에서의 각 구역과 매칭된다. 상기 각 구역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가능하며 또한 대표부수도 변경이 가능할 것임은 이미 밝힌바 있으며 나아가, 도 5에서 대표부수키(11)의 개수와 도 6에서 전체 부수의 개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표부수키(11)에 복수개의 대표부수가 나타난 경우 상기 복수개의 대표부수 중 하나의 대표부수를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표부수키(11)를 반복 입력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대표부수를 지정하도록 설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입력키수단(10)의 바람직할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및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부수의 입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임의의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누르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대표부수(61)와 이에 따른 종속부수(62)가 발생된다. 상기 발생되는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편리할 것이다. 상기 대표부수키(11)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대표부수(61)가 표시되며 각 대표부수(61)에 따른 종속부수(62)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상기 종속부수(62)를 표시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대표부수(61)에 따른 종속부수(62)가 발생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면 제1 구역의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가 표시되도록 하고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두번 입력하면 제2 구역의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가 표시되도록 하며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세번 입력하면 제3 구역의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역을 지정하는 별도의 지정키(도 8(a) 참조)를 설정한 후 상기 지정키를 입력하여 구역을 설정한 후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그 설정된 구역의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1)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여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를 발생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며 사용상 편리하게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예들 중에서 전자의 경우(제1 구역은 한번 입력하고 제2 구역은 소정의 일정시 간 간격으로 두번 입력하고 제3 구역은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세번 입력하는 방법)를 적용한 예를 들어 부수입력에 대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설명한 예의 설정방법을 통해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가 발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생된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를 표시장치(60)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발생된 부수들(61,62) 중에서 원하는 하나를 입력한다. 상기 선택키(1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경우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부수들(61,62)에 번호를 지정하여 숫자선택키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번 대표부수키(11) 즉, 좌측 최상단의 대표부수키(「一」이 표시된 부수키)를 한번 입력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역의 대표부수(61) 및 종속부수(62) 즉, 「一」「二」「三」「又」「八」「九」의 부수가 발생되고 이어, 선택키(12)를 입력하여 그 중 원하는 하나의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한다. 또한, 상기 제1번 부수키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두번 입력하면 제2구역의 부수들이 발생되고 그 중 하나를 입력하면 된다. 또한, 세번 입력하면 제3구역의 부수들이 표시된다. 상기 두번 또는 세번 입력하는 것은 짧은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생되는 대표부수(61) 및 종속부수(62)는 모두 발생될 수도 있으며 일부만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생된 대표부수(61) 및 종속부수(62)를 표시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제4번 부수키(「衣」가 표시된 부수키)를 두번 입력하면 상기 부수키의 제2구역의 부수 즉, 「食」,「皿」,「臼」,「白」,「靑」및「黃」이 발생된다. 이어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원하는 하나의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키수단(10)을 적용한 중문자 입력장치에서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중에서 원하는 상기 부수를 입력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들(11,12)의 키코드값(S1)은 신호변환수단(20)에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되어 후단의 중문자발생수단(30)으로 입력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다가 종료키(13)에 대한 키코드값(S2)이 입력되면 상기 인식하고 있던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해 결정된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부수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수단(40)은 각각 데이터가 할당된 다수개의 부수를 저장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중문자 입력과정을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李」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중문자는 두개의 부수 즉, 「木」와 「子」로 구성되어 있고 「木」는 제0번 대표부수키(11)의 2구역에, 「子」는 제6번 대표부수키(11)의 1구역에 있다. 먼저, 제0번 대표부수키(11)를 바람직하게는 짧게 두번 입력한다. 그러면, 「」,「木」,「竹」,「禾」,「米」및 「豆」가 표시된다. 이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선택키(12)를 입력하여「木」를 입력한다. 계속하여 「子」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제6번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대응하는 대표부수(61) 및 종속부수(62)들 즉, 「子」「女」「氏」「生」「老」「」의 6개의 부수가 표시되며 이어, 「子」를 입력한다.
상기 두 개의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2)를 입력한다. 상기 신호변환수단(20)은 상기 대표부수키(11), 상기 선택키(12) 및 상기 종료키(13)의 키코드값(S1)을 소정의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하여 중문자발생수단(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고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한다. 이어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표부수키(11), 선택키(12) 및 종료키(13)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수단(10)의 일예에 불과함을 이미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방법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통신기기의 입력키수단에서는 그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입력키수단에 표시할 수 있는 부수의 양이 적고 이로 인해 키의 입력횟수가 증가할 것이다. 만약, 휴대폰 키패드의 키수를 늘이면 키입력 횟수는 줄어들 것이며 더 많이 키수를 늘이면 선택키(12)를 설정하지 않고 즉, 선택키(12)의 입력없이 대표부수키(11)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키수단(10)의 대표부수키(10), 선택키(12) 및 종료키(13) 등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예로, 상기 입력키수단(10)을 키로 나타내지 않고 LCD등에 입력키와 같은 각각의 표시를 나타내고 그 중 원하는 펜 또는 스틱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최근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PDA 등에서 사용되는 스틱 또는 터치펜(touch pen)등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키수단(1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입력키수단(10)을 구현할 경우에도 중문자의 발생과정에서 그 작용과 효과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의 개수와 종류는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대표부수(61)와 종속부수(62)가 발생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대표부수(61)들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따라 소정의 우선수위에 따라 상기 부수들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들을 표시하게 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며 입력할 부수를 선택할 경우에도 그 선택도 훨씬 쉬울 것이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대표부수 중 어느 하나의 대표부수를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입력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정키수단을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입력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지만, 상기와는 달리, 대표부수의 구역을 결정하는 별도의 키를 설정하여 입력할 부수가 위치하는 구역을 나타내는 소정의 키를 먼저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이미 기재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를 입력하기 전에 입력할 부수가 속하는 구역을 지정하는 소정의 지정키를 입력한다. 반대로, 선택할 부수가 표시되어 있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한 후 구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이하에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블럭도이다.도 7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블럭도와는 달리 입력할 부수가 존재하는 구역을 지정하는 복수개의 지정키(15)가 구비된다. 상기 지정키(15)는 상술한 지정키수단의 구현방법 중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11),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상기 대표부수를 두 개이상의 구역을 구분하고 상기 각 구역을 지정하는 복수개의 지정키(15), 및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키,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10)과, 상기 입력키수단(10)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S1)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2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4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받으며 지정키(15),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가 입력된 후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지정키(16),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30)과,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50) 및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발생된 중문자 또는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에 의해 결정되는 중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포함한다.
도 7에 보이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휴대폰에서의 신호변환수단(20), 중복자처리수단(50) 및 표시수단(60)은 도 2에 보이는 일실시예의 휴대폰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지정키(15)를 중심으로 상기 입력키수단(10) 및 다른 기능의 중문자발생수단(3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대표부수를 두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구역을 지정하는 두 개 이상의 지정키(15)를 설정한다. 임의의 부수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부수가 포함된 구역에 지정하는 지정키(15)를 먼저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를 나타내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여 복수개의 부수가 발생한 후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할 부수를 입력한다. 앞서 도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수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하는 부수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력할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부수를 입력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부수가 어느 구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부수가 포함된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종료키(13)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지정키(15),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정키(15)는 구분된 모든 구역을 다 지정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구분된 모든 구역 중 제1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만을 각각 지정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분된 구역 중 제1 구역의 부수를 입력할 경우에는 그냥 바로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제1 구역의 부수가 입력되도록 설정하고, 다른 구역의 부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각 구역의 지정키(15)를 입력한 후 상기 부수를 나타내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지정키의 개수 및 구역지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중문자 입력과정을 설명한다. 하나의 대표부수키(11)에 다수개의 대표부수를 표시하고 상기 대표부수를 2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를 각각 설정한다. 예를 들어, 네 개의 대표부수를 3개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역 즉, 제1 내지 제3구역을 지정하는 3개의 지정키(16)를 설정한다. 상기 네 개의 대표부수 중에서 각 구역에 포함되는 대표부수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구역에 포함되는 대표부수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입력할 부수를 포함하는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를 입력하고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상기 키들(15,11,12)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지정키(15),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李」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구성부수 중 「木」에 대응하는 제1 지정키(15), 제1 대표부수키(11) 및 제1 선택키(12)를 입력하여 「木」을 입력하고 이어,「子」에 대응하는 제1 지정키(15), 제2 대표부수키(11) 및 제2 선택키(12)를 입력하여 「子」를 입력하여 입력한 후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었으므로 종료키(13)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1,제2 지정키(15), 제1,제2 대표부수키(11) 및 제1,제2 선택키(12)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들(S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 「李」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상기 메모리수단(40)은 상기 중문자 「李」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李」는 상기 데이터값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수단(40)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세 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부수에 대응하는 지정키(15),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한다. 그러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지정키(15),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앞서 기술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모든 부수에 대응하는 지정키(15),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입력한 후 종료키(13)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8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할 때는 상기 8개의 부수에 대응하는 지정키(15),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모두 입력하여 상기 8개의 부수를 각각 입력한 후 종료키(13)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키들(15,11,12)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은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고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N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수를 입력하는데 많은 키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N을 수개 이내로 설정하여 부수를 입력할 때 상기 설정된 최대 N개 이내로 부수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을 4개로 설정한 경우 5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최대 4개의 부수를 입력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도 8(a)는 도 7의 중문자 입력 휴대폰의 입력키수단(10)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폰 키패드에 본 발명의 입력키수단(10)을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력키수단(10)은,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11)와,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와,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 상기 대표부수를 두 개이상의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와,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지정키(15),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8(a)에 도시된 상기 입력키수단(10)은, 상기 대표부수를 나타내는 상기 대표부수키(11)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20개이며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의 개수는 약 100~240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각 대표부수키(11)는 바람직하게는 4개의 대표부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4개의 부수를 바람직하게는 4개의 구역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개수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부수키, 부수 및 구역의 개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키의 개수와 전체 부수의 개수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역을 4개로 설정한 경우, 상기 4개의 구역을 지정하는 각각의 지정키(15)가 구비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4개의 구역 중 제1 구역에는 지정키를 설정하지 않고 나머지 3개의 구역을 지정하는 3개의 지정키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상기 지정키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구역의 부수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도 8(a)의 대표부수키(11)에 표시된 대표부수들은 도 8(b)의 분류표를 근거한 것이다. 도 8(b)는 부수들을 일정한 체계로 분류한분류표로서 그 의미와 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서, 도 6에 대응되는 것이며, 또한, 도 4에서 분류되었던 중문자의 구성부수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그 의미와 모양에 따라 일정한 체계로 구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중문자를 구성하는 상기 부수들을 그 의미와 모양에 따라 사용할 휴대폰의 키수를 감안하여 약 수십개 정도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는 수개 내지 수십개의 부수를 포함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각 구역에 포함된 수개 내지 수십개의 부수들 중 제1 부수를 대표부수(61)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부수(61)와 같은 구역에 속한 부수들을 종속부수(62)로 설정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 휴대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b)의 상기 대표부수(61)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종속부수(62)의 배열순서도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각 부수들의 의미와 모양에 따라 그룹화하여 상기 그룹화된 부수군을 각각의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낸다. 상기 부수군은 바람직하게는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배열한 것이다. 또한, 각 구역에는 바람직하게는 수개 내지 수십개의 부수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6개이다. 전체적으로는 수십개 내지 수백개의 부수가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100개 내지 240개의 부수가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구역개수 및 단위의 개수 그리고 각 구역에 속하는 부수의 개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휴대폰의 키수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b)의 분류표에서 각 구역에 분류된 부수들 중에서 임의의 부수를 대표부수(61)로 설정하고 그 뒤에 오는 나머지 부수를 종속부수(62)로 설정한다. 상기 각 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부수(61) 및 종속부수(62)는 그 의미연결을 우선으로하고 모양연결을 차선으로 하여 배치한 것이다. 상기 대표부수(61)의 설정은 상기 각 구역에서 제일 앞에 있는 부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8(b)에서와 같이,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표부수(61)는 「」,「」,「前」「巴」,「日」,「又」,「來」「要」...등 모두 80개가 되고 상기 80개의 대표부수(61)가 도 8(a)의 대표부수키(11)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대표부수키(11)에 표시된 대표부수(61)는 4개 인데 좌측상단은 제1구역, 우측상단은 제2구역, 좌측하단은 제3구역, 우측하단은 제4 구역으로 구분되며 이는 도 8(b)에서의 각 구역과 매칭된다. 상기한 것은 본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상기 각 구역의 개수는 임의로 설정가능하고 또한 대표부수도 변경이 가능할 것임은 이미 밝힌바 있으며 나아가, 도 8(a)에서 대표부수키(11)의 개수와 도 8(b)에서 전체 부수의 개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표부수를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한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가 존재하는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를 먼저 입력한다. 이어,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입력한다. 상기 부수의 입력은 상기 지정키(15), 상기 대표부수키(15)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중문자발생수단(30)에서 처리하여 실현된다. 또한,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구역에 다수개의 부수가 포함된 경우 각각의 부수에 번호를 설정하여 번호선택키를 입력함으로써 부수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상기 대표부수키(11)를 반복해서 누름으로써 부수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외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도 가능할 것임은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새로운 키를 설정하는 것은 크기의 확대를 야기할 것이며 또한 번호선택키와 같은 다른 키를 입력하는 것은 키 입력횟수가 증가하여 불편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부수를 나타내는 대표부수키(11)를 반복해서 입력하는 것이 사용상 간편하고 편리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부수를 표시수단(60)에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 안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들에게 더욱 편리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지정키(15),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한다. 이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두개의 부수 즉, 「」와「子」로 구성된 중문자「字」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부수 「」는 제1번 부수키의 제2 구역에 있으므로 먼저, 상기 제2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를 입력한다. 이어, 상기 부수 「」를 나타내는 상기 1번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입력한다. 상기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는 것은 구역에 첫번째 부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부수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계속하여, 나머지 부수「子」는 11번 부수키의 제1 구역에 있으므로 먼저, 제1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5)를 입력하고 상기 11번 대표부수키(1)를 한번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11)는 설정하지 않고 상기 지정키(15)의 입력없이 바로 해당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면 부수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제1 구역의 지정키(15)를 설정한 경우를 예를 든 것이다. 이로써, 상기 부수 「子」가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한다. 이어, 중문자발생수단은 상기 부수들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된 각 지정키(15),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 「字」를 발생시킨다.
5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예를 들어 「暻」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구성부수 즉, 제1 부수 「日」의 입력은 제1구역의 지정키(15)입력한 후 8번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고 제2부수도 상기 제1 부수와 동일하게 입력하며, 제3부수 「」의 입력은 제4구역의 지정키(15)를 입력한 후 5번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고 제4부수 「口」의 입력은 제1구역의 지정키(15)를 입력한 후 14번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하며, 나머지 제5부수「人」의 입력은 제1구역의 지정키(15) 및 6번 대표부수키(11)를 한번 입력함으로써 실행된다. 상기 5개의 부수를 입력한 후 종료키(13)를 입력한다.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5개의 각 지정키(15), 각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각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 「暻」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 입력횟수는 소정의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입력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입력되는 부수의 순서도 임의로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필순에 따라 그 입력순서를 정한다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정키(15)와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순서도 상호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많은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키의 입력횟수가 그 만큼 증가하게 되어 불편하다. 그래서, 앞서 기술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을 소정의 개수로 설정하여 최대 N개의 부수만을 입력하여 입력하면 중문자를 입력하도록 설정하면 편리할 것이다. 상기 N은 바람직하게는 4개이내이다.
만약, 상기 N을 4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예를 든 6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慫」의 경우는 상기 6개의 부수중 4개의 부수만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게 되며, 4개 이상의 부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종료키(13)를 입력하지 않아도 중문자발생수단(30)은 부수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입력되는 4개의 부수는 상기 6개의 부수 중 임의로 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순에 따라 입력개수 및 그 입력순서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지막 네번째 입력되는 부수는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을 수개 이내로 설정하면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되는 중문자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가 있다. 이를 경우, 앞서 기술한 중복자처리수단(50)에서 이를 처리하여 하나의 중문자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은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몇개의 부수를 입력하든지 종료키(13)의 입력없이도 중문자를 발생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는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소정의 키를 입력한 후 상기 소정의 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와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이를 부수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에 대한 구성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상기 장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11),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 및 다음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개수결정키(14)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40)과, 상기 입력키수단(10)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S1)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20)과, 상기 신호변환수단(20)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수신하며 제1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12)가 입력되어 상기 제1 부수가 선택되어 입력되고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된 후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결정된 개수만큼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가 입력되어 상기 나머지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각각 입력된 대표부수키들(11) 및 상기 선택키들(12)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30)과,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50) 및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 또는 상기 중복자처리수단(50)에 의해 결정되는 중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포함한다.
도 9에 보이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휴대폰에서 대표부수키(11), 지정키수단 선택키(12), 신호변환수단(20), 중복자처리수단(50) 및 표시수단(60)은 도 2에 보이는 일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 및 다른 기능의 중문자발생수단(3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장치의 큰 특징은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입력시 상기 하나의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가 바로 발생된다는 것이며 두 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입력시 제1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한 후,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함으로써 다음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미리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입력개수만큼의 부수가 입력되면 이를 판단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정키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 입력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며, 이하에서 상기 중문자 입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고 다음에 별도의 종료키(13) 또는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하지 않고 계속해서 다른 중문자의 대표부수키(11)가 입력되면 상기 하나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즉,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한번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면 종료키(12)의 입력없이도 즉시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해당하는 중문자가 발생된다. 이로써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종료키(13) 또는 입력개수결정키(14)의 입력이 필요없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에서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 및 제1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한 후 상기 제1 부수를 제외하고 다음에 입력할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제1 부수를 제외한 입력할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1개이다. 따라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가 1타임을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14; 이때의 입력개수결정키를 제1입력개수결정키라 함)를 입력한다. 또한,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는 제1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2개이므로 제2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며 나아가 네 개의 부수로 구성된중문자의 경우는 제1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3개이므로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다.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는 미리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에 따라 그 종류가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는 4개가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만약,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가 4개로 설정된 경우 1개, 2개, 3개를 결정하는 각각의 입력개수결정키를 구비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입력키수단은 상기 각각의 입력개수결정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기존의 키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N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할 때는,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는 제1입력개수결정키, 제2입력개수결정키, 제3입력개수결정키..... 제N-1입력개수결정키 등 모두 N-1개의 입력개수결정키(14)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9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할 때는 제1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한 후 제8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고 나머지 8개의 부수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기 제8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와 실제 입력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가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대표부수키 및 선택키들에 의한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각각의 입력개수결정키(14)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설명한다.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는 입력할 중문자가 2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중문자 「好」를 입력하는 경우 먼저, 「女」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들 중에서 상기 부수 「女」를 선택하기 위해 해당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女」를 입력한다. 이어 제1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한 후 나머지 부수 「子」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부수들 중에서 상기 「子」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子」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를 인식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별도의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상기 두 개의 대표부수키들(11)과 상기 두 개의 선택키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好」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제2입력개수결정키를 사용하는 경우는 입력할 중문자가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時」를 입력하는 경우 먼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日」을 입력하여 입력한다. 이어, 다음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의 개수는 2개 이므로 제2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2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다음에 입력될 부수의 개수를 인식하고 있다. 상기 인식은 상기 제2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부수 즉, 「土」및 「寸」를 각각 입력한다. 상기 두 개의 부수가 각각 입력되면 상기 인식된제2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한 입력개수와 상기 입력된 부수의 개수가 동일한지 판단하여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부수 즉, 「日」,「土」및 「寸」를 입력하기 위한 대표부수키(11)와 선택키(12)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중문자, 「時」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제3입력개수결정키(14)의 경우는, 네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朝」를 입력하는 경우 먼저 「十」을 입력하여 입력한다. 이후에 입력할 나머지 부수의 개수는 3개이므로 제3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결정된 입력개수 즉, 3을 인식한다. 계속하여 나머지 부수 즉, 「日」,「十」및 「月」을 입력하기 위한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각각 입력하여 상기 부수들을 입력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인식된 입력개수(즉, 3개)와 상기 실제 입력된 나머지 부수의 개수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부수 즉, 「十」,「日」「十」및「月」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중문자 「朝」를 발생시킨다.
다섯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暻」을 입력하는 경우, 제1 부수「日」을 입력하고 제4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 제2, 제3, 제4 및 제5 부수 즉, 각각 「日」,「」,「口」및 「小」를 입력하여 입력한다. 이로써 제4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와 상기 제1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들의 입력개수가 4개로 동일하므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다섯개의 부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각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즉 「暻」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나아가, 여섯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 예를 들어, 「藻」의 경우 제1 부수 「」를 입력하고 제5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부수 즉, 각각 「水」,「口」,「口」,「口」및 「木」을 입력하여 입력한다. 이로써 상기 제5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와 상기 제1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들의 입력개수가 5개로 동일하므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다섯개의 부수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각각의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즉 「藻」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그러나,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가 4개로 설정된 경우에는 4개 이내의 부수의 입력으로 모든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하므로 5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4개의 부수만을 입력하여 입력한다. 이때는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 나머지 부수 중 3개의 부수를 입력하여 입력한다. 상기 입력되는 3개의 부수와 그 입력순서는 임의로 선정할 수 있으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또한, 마지막 네 번째 입력하는 부수는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3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와 실제 입력된 상기 나머지 부수들의 입력개수가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부수들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이에 대응하는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5개의 부수로 구성된 「暻」의 경우 제1 부수「日」을 입력하여 입력하고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 제2, 제3 부수 즉, 각각 「日」및「」를 입력하며 네 번째는 마지막 부수 즉 「小」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로써 상기 제3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와 상기 입력된 부수의 입력개수가 동일하므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네개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즉 「暻」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제3 및 제4 부수는 임의로 선정될 수 있으며 그 입력순서도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2,제3 및 제4 부수는 상기 중문자의 부수 중 임의의 부수일 수 있으며 마지막에 입력되는 제4 부수는 「口」일 수도 있다. 나아가, 필순에 따라 그 입력순서를 정하면 사용하기 편리할 것이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6개의 부수로 구성된 「藻」의 경우 제1부수「」를 입력하고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 제2, 제3 부수 즉, 각각 「水」및「口」를 입력하여 입력하고 네 번째는 마지막 부수 즉 「木」을 입력한다. 이로써 상기 제3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와 상기 실제 입력된 부수의 입력개수가 동일하므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네개의 부수들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즉 「藻」을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상기 부수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만약,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를 5개로 설정한 경우에는, 제4입력개수결정키를 두어 제1 부수의 입력 다음에 입력하는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4개가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최대 입력개수를 몇개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개수가 정해질 것이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는 앞서 기술한 중복자처리수단(50)에서 결정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한 입력키수단(10)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구성도와 비교하여 보면 대표부수키(11)와 선택키(12)는 동일하나 도 5에서 종료키(13)를 제거하고 복수개의 입력개수결정키(14)를 추가한 것이다.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 및 상기 선택키(12)는 별도의 키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의 다른 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키수단(10)은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11)와,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와,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의 입력 이후에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복수개의 입력개수결정키(1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문자를 발생시키기 위해 입력되는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에 따라 제1입력개수결정키, 제2입력개수결정키, 제3입력개수결정키,... 제N-1입력개수결정키가 존재한다. 상기 N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는 부수의 입력개수가 많아져서 입력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회수 증가하므로 사용상 불편할 것임을 이미 밝힌바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N을 4개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키수단(10)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을 5개로 설정한 경우에 입력개수결정키(14)의 개수를 4개로 설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의 개수는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N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많은 개수의 입력개수결정키(14)가 설정될 것이며 또한, 상기 N을 설정하더라도 상기 N의 설정에 따라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의 개수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을 5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는 제1입력개수결정키, 제2입력개수결정키, 제3입력개수결정키 및 제4입력개수결정키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0은 도 9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력키수단(10)을 도시한 것이며 특히,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 휴대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개수결정키(14)는 제1 부수의 입력 이후에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를 결정한다. 이하에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3)는 복수개가 존재한다. 즉, 제1입력개수결정키, 제2입력개수결정키, 제3입력개수결정키,.... 등 복수개의 입력개수결정키(14)가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각 입력개수결정키(14)는 각각 여러개의 종류로 분류되는데, 이는 각각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결합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여러개의 종류로 분류되는데, 상기 분류된 각각의 입력개수결정키(14)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부수의 입력개수 및 상기 부수의 결합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게 되면 이후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가 1개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가 가지고 있는 결합형태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수의 결합형태를 살펴본다. 통상적으로 중문자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중문자들은 복수개의 부수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수의 결합으로 중문자를 구성할 경우 상기 결합부수들은 소정의 결합형태를 가지면서 중문자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好」의 경우에는 두 개의 부수「女」와 「子」가 좌우로 결합되어 상기 중문자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형태는 「」의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결합형태는 좌우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부분에 상기 구성부수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다른 예를 들면, 「章」의 경우에는 세 개의 부수 「立」,「日」및 「十」가 상하 3단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결합형태는 「」의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의 각 종류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구분되며 그 결합형태의 종류는 무수히 많다.
한편, 입력개수결정키(14)의 사용은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입력할 중문자가 두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사용한다. 상기 1제입력개수결정키에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여러개의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두개의 부수가 좌우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좌우 결합형태의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고 또는, 두개의 부수가 상하로 결합한 경우에는 상하 결합형태의 제1입력개수결정키, 「」를 입력한다.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상기와 같이 좌우결합 또는 상하결합이외에도 다양한 결합형태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回」등과 같은 결합형태가 있을 것이다. 입력할 중문자의 결합형태에 맞는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설정하여 입력하면 된다.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른 제2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나머지 부수를 입력한다. 같은 원리로 네 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에도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각각의 중문자의 결합형태에 따른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 후 나머지 부수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좌우 결합형태의 제1입력개수결정키 「」를 입력하면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키코드값(S1)은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되어 중문자발생수단(30)으로 입력된다. 즉, 상기 좌우 결합형태의 제1입력개수결정키 「」의 입력은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는 1개이며 또한,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는 좌우 결합형태라는 두 개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두 정보는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정보를 가진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수신하여 이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대부분의 중문자는 부수들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그 결합형태도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 결합형태를 모두 나타내는 입력개수결정키(14)로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중문자의 모든 결합형태를 분석하여 크게 수개의 결합형태로 분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입력개수결정키를 좌우 결합형태 및 상하 결합형태의 두가지 종류로 분류하여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즉,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및 「」로 분류하고 다른 모양의 결합형태들은 상기 두가지중 어느 하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일실시예로서 두개의 부수로구성되는 경우는 그 결합형태가 좌우 또는 상하로 크게 분류될 것이며 그 외의 결합형태는 상기 두가지 결합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임의로 포함시키면 될 것이다. 또한, 세 개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에는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기준으로 한 결합형태를 적용하면 될 것이다. 이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기술한 것이며 키수를 감안하여 적절한 개수로 설정이 가능함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제2입력개수결정키, 제3입력개수결정키.... 등도 좌우 결합형태 및 상하 결합형태로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입력키수단(1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결합형태의 입력개수결정키(14)의 종류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를 비롯한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의 다른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好」를 입력하는 경우, 「女」를 입력한다. 이후에 입력될 부수는 「子」뿐이므로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개수는 1개이다. 따라서,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할 중문자 「好」는 두 개의 부수 「女」와「子」가 좌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되 두 종류 중에서 좌우 결합형태의 제1입력개수결정키(13-1) 「」를 입력한다. 계속하여 「子」를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부수의 입력개수와 중문자의 결합형태를 결정하는 제1입력개수결정키(13-1)가 입력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13-1)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 및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를 인식하고, 이후에 입력되는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와 상기 인식된 부수의 입력개수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의한 변화된 데이터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입력개수결정키(14)를 여러가지 종류로 구분하는 것은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日」을 입력하고 제1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한 후 「文」을 입력하면 「」과「」의 두 중문자가 발생된다. 왜냐하면 상기 두 중문자는 그 구성부수가 같으며 동일한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두 개의 중문자를 구성하는 두 개의 구성부수는 동일하고 입력하는 입력개수결정키(14)는 동일하나, 상기 구성부수의 결합형태는 다르다. 즉, 전자는 상하 결합형태 「」를 가지며 후자는 좌우 결합형태 「」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의 결합형태를 미리 설정해줌으로써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만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세 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도 그 결합형태가 다양하며특히, 상하 결합형태, 좌우 결합형태, 포함 결합형태 등이 혼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에도 각각의 결합형태에 맞는 입력개수결정키(14)를 설정하여 입력하면 된다. 그러나, 이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키수가 늘어나며 사용상 불편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맥락에서 상하 결합형태 및 좌우 결합형태의 두가지 종류로 분류하여 다른 결합형태를 상기 두 결합형태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키수가 줄어들고 크기도 작게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상에서도 간편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세 개 이상의 부수 중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부수들의 결합형태에 따른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한 후 나머지 부수키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결정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 및 부수의 결합형태를 인식하고 상기 입력된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이용하여 별도의 종료키(13)의 입력없이도 소정의 데이터값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결정되는 결합형태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입력되는 부수는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세 개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여러가지의 결합형태를 혼합한 복잡한 결합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지만 상기 세 개이상의 구성부수 중 임의의 제1 부수를 기준으로 한 결합형태를 입력개수결정키(14)상에 나타내어 상기 키(14)를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이 되는 제1 부수와 제2 부수와의 결합형태를 설정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준이 되는 제1 부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이며 또한, 상기 제2 부수는 필순상 두번째 부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 제2 부수의 결합형태는 상하 또는 좌우 결합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를 상기 두 개의 결합형태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개수결정키를 두 종류로 분류한 경우에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기준으로 필순상 두번째 부수와의 결합형태에 따라 상기 두 종류 중 하나를 입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時」의 경우, 상기 중문자는 「日」,「土」및 「寸」의 세 부수가 좌우 및 상하 결합형태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필순상 첫번째 부수 「日」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부수 「日」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후에 입력할 부수의 개수는 2개 이므로 제2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상기 첫번째 부수 「日」와 상기 필순상 두번째 부수 「土」와의 결합형태는 좌우 결합형태이므로 도 11에서 「」의 제2입력개수결정키(14-4)를 입력를 입력한다. 상기 「」의 제2입력개수결정키(14-4)는 좌우 결합형태 및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개수가 2개임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상기 결합형태는 그 구성부수가 좌우로 세 개가 나란히 연결되어 구성된다는 것이 아니다는 것이다. 따라서, 「日」을 입력한 후 좌우 결합형태 「」의 제2입력개수결정키(14-4)를 입력하고 이후에 「土」및 「寸」을 입력한다. 이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좌우 결합형태「」의 제2입력개수결정키(14-4)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와 이후에 입력되는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좌우 결합형태 「」의 정보를 가지면서 상기 입력된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의한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나아가, 네 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다.
한편, 두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수 중 하나의 부수가 다른 하나의 부수 내부에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좌우 및 상하 결합형태외에 다른 결합형태를 가진 입력개수결정키를 둘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좌우 결합형태로 간주하여 좌우 결합형태의 입력개수결정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문자 「怒」의 경우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순상 첫번째 부수인 「女」는 좌우로 먼저 결합된 후 다시 상하로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첫번째 부수 「女」는 필순상 좌우 결합이 먼저이므로 상기 제2입력개수결정키는 좌우 결합형태 「」의 2입력개수결정키(14-4)를 입력한다. 이어, 나머지 부수 즉, 「又」및 「心」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좌우 결합형태 「」의 제2입력개수결정키(14-4)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와 좌우 결합형태 「」를 인식한다. 이어,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는 2개이다. 즉, 「又」및「心」의 두 부수의 입력개수와 상기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가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부수키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과 상기 인식된 결합형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부수의 입력순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수의 입력순서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좌우 결합형태 및 상하 결합형태 중 어느 결합형태를 입력하여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할 것인지도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중문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기준으로한 결합형태에 따라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에도 이를 분석하면 필순상 첫번째 부수는 상하 또는 좌우 결합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첫번째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상하 결합형태 또는 좌우 결합형태의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여 입력한다.
여기서, 두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에는 상하 또는 좌우 결합형태가 아닌 포함 결합형태를 가진 경우가 있다. 이는 포함 결합형태의 제1입력개수결정키(14-3)를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하나, 상기 포함 결합형태를 좌우 또는 상하로 통합시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입력개수결정키(14)는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에 대한 정보와 입력할 중문자의 결합형태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에 대한 키코드값(S1)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키코드값(S1)은 신호변환수단(20)을 거쳐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변환되어 중문자발생수단(30)으로 입력된다.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두 정보를 인식하며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에 대한 키코드값(S2)과 합쳐서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값은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과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대한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은 상기 부수의 입력개수 및 상기 부수의 결합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부수의 입력시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선택,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복수개의 대표부수의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의 구현은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입력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별도의 지정키를 설정하여 상기 지정키수단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에서의 중문자 발생 및 표시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중문자가 발생되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입력하고자 하는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한다(S100).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에서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하기 위하여 해당 제1 선택키(12)를 입력한다(S101). 상기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는 대표부수 및 종속부수이며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 입력에 의해 발생된다. 이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지정키수단의 구현에 대한 일예이며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별도의 지정키(15)를 입력하여 상기 지정키수단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정키수단은 일예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택키(12)의 입력은 입력할 부수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키(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마우스, 터치패드 등과 같은 키 또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해당 제1 대표부수키(11) 등과 같은 특정키를 반복해서 입력함으로써 상기 부수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선택키(1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부수를 입력하는 방법도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방법으로 제1 선택키(12)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부수가 입력된다(S102). 상기 제1 부수 입력의 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13)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판단결과 종료키(13)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상기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 및 제1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116)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S117).
그러나, 상기 단계(S103)에서 종료키(13)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에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는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제2 부수에 대응하는 제2 대표부수키(11)의 입력임을 인식한다(S104). 상기 제2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2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2 선택키(12)를 입력한다(S105). 이로써, 상기 제2 부수가 입력된다(S106). 이어, 다음에 상기 대표부수키들(11) 및 상기 선택키들(12)의 입력의 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13)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07) 상기 제1, 제2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1,제2 선택키(11)의 입력에 의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116)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S117). 상기 단계(S107)에서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에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는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제3 부수에 대응하는 제3 대표부수키(11)의 입력임을 인식한다(S108).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각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한 후 종료키(13)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3 대표부수키(11) 및 제3 선택키, 제4 대표부수키(11) 및 제4 선택키, 제5 ... 을 계속하여 인식한다(S109,S110,S111). 상기 과정은 종료키(13)가 입력될 때까지 계속된다. 왜냐하면, 대표부수키(11)와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입력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키들(11,12)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인식하고 있다가 상기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인식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제N 부수에 대응하는 제N 대표부수키(11)가 입력되고(S112) 상기 제N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된 복수개의 부수중 상기 제N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N 선택키(12)가 입력되며(S113). 이로써 상기 제N 부수가 입력된다(S114). 상기 제N 부수가 입력된 이후에는 종료키(13)를 입력한다(S115). 상기 제1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1 선택키(12), 상기 제2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2 선택키(12)....제N-1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N-1 선택키(12), 제N 대표부수키(11) 및 제N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상기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116)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S117).
상기 단계(S117)에서 중문자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중문자의 개수가 복수개인지 판단한다(S118). 이 경우는 앞서 설명한 예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日」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와, 「文」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고 종료키(12)가 입력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두 부수 「日」과「文」으로 구성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두 개의 부수 즉, 日」과「文」으로 구성된 중문자는 「」과 「」두 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예와 같은 경우는 상기 단계(S117)에서 두 개의 중문자가 발생된다. 상기 단계(S118)의 판단결과, 상기 단계(S117)에서 발생되는 중문자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는 상기 복수개의 중문자 처리과정을 통해 처리하여(S119) 원하는 중문자를 표시한다(S120). 그러나 상기 단계(S118)에서 발생되는 중문자의 개수가 하나이면 상기 발생된 하나의 중문자를 바로 표시한다(S120).
도 12의 중문자 발생과정에서 N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N은 2,3,4...중 하나로 설정되며 발생되는 중문자의 개수를 감안하면 N=4가 바람직하다. 상기 N은 최대로 입력되는 부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즉, 최대 N개의 부수를 입력함으로써 모든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N 부수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마지막 부수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문자 입력장치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N의 설정은, 중문자가 많은 부수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모든 구성부수를 다 입력하면 입력타수가 많을 뿐 아니라 입력이 번거럽게 된다. 따라서, 최대 입력개수를 정하여 최대 N개의 부수만을 입력하면 모든 중문자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1 부수, 제2 부수 ... 제N-1 부수를 차례로 입력하고 마지막 N번째 입력되는 제N 부수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사용의 편의를 위해 필순상 마지막 부수로 하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N을 4개로 설정한 경우(즉, 4타 이내의 부수키로 모든 중문자를입력하도록 설정된 경우), 6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할 때는 제1 부수, 제2 부수, 제3 부수를 입력하고 마지막 부수를 입력한 후 종료키를 입력하면 하나의 데이터값이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가 발생된다. 여기서, 제4 부수 및 제5 부수의 입력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중복자처리단계(S119)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자가 발생되면(S501) 상기 중복된 중문자를 표시한다(S502). 상기 표시된 중복자 중 원하는 특정 중문자를 입력한다(S503). 이어,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한다(S504).여기서, 상기 단계(S502)에서 중복되는 중문자를 표시하는 경우, 중복되는 중문자를 모두 표시한 후 그 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고, 중복되는 중문자 중 상기 임의의 키 입력시마다 하나씩의 중문자를 표시하여 해당하는 중문자가 표시될때 상기 중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그 외 각 중문자에 번호를 지정하고 상기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중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중문자의 입력은 바람직하게는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또는 마우스 등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해 결정된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부수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대표부수의 입력은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대표부수 중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소정 간격의 반복 입력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대표부수가 입력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장치에서의 중문자 발생 및 표시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보이는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마지막에 종료키를 입력하지 않고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하였듯이 중문자를 발생시키기 위해 입력될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즉, N은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수를 모두 입력하고 상기 구성부수의 입력을 위해 입력된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들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모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이 많아져서 사용상 불편하며 도 13에서는 상기 N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부수를 최대 N개까지만 입력하여도 모든 중문자를 다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설정되는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즉, N을 먼저 설정하여 카운트한다(S211).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N은 2이상의 정수이며 중문자 입력전에 미리 설정된다. 이어,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한다(S212). 상기 제1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하기 위하여 제1 선택키(12)를 입력한다(S213). 이로써 상기 제1 부수가 입력된다(S214). 다음에 종료키(13)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215). 상기 단계(S215)의 판단결과 종료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1 선택키(12)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233)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한다(S234). 그러나, 상기 단계(S215)의 판단결과 종료키(13)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운트는 N-1로 줄어들고(S216), 다음에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는 상기 중문자의 제2 부수에 대응하는 제2 대표부수키(11)의 입력임을 인식한 다음(S217), 상기 입력된 제2 대표부수키(11)에 의해 표시된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2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2 선택키(12)의 입력으로(S218) 상기 제2 부수를 인식하고(S219), 이후, 상기 카운트가 1인지를 체크한다(S220). 상기 체크결과 상기 카운트가 1이면 상기 입력된 제1, 제2 대표부수키들(11) 및 상기 제1, 제2 선택키(12)들에 의한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233)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한다(S234). 상기 체크결과 카운트가 1이 아니면, 다음에 종료키(13)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221). 상기 단계(S221)에서 종료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1 선택키(12), 상기 제2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2 선택키(12)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233) 이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S234). 그러나, 상기 단계(S221)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운트는 N-2로 줄어들고(S222), 다음에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는상기 중문자의 제3 부수에 대응하는 제3 대표부수키(11)의 입력임을 인식한 후(S223), 상기 입력된 제3 대표부수키(11)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3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3 선택키(12)의 입력으로(S224) 상기 제3 부수를 인식하고(S225), 또 다시 상기 카운트가 1인지를 판단한다(S226). 이를 계속해서 반복하여 상기 카운트가 1이 될 때까지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계속해서 입력한다. 결국 상기 카운트가 1이 되면(S228) 다음에 입력되는 대표부수키(11)는 최대 입력개수의 마지막 부수인 제N 부수에 대응하는 제N 대표부수키(11)로 인식하고(S229) 상기 제N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N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N 선택키(12)가 입력되면(S230) 이로써 상기 제N 부수로 인식하여(S231) 이후, 상기 카운트가 1임을 인식하고(S232), 다음 단계(S233)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1 선택키(12), 상기 제2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2 선택키(12), 상기 제3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3 선택키(12).... 상기 제N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제N 선택키(12)들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키코드값들(S2)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233)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S234). 이어, 상기 단계(S234)에서 발생된 중문자의 개수가 복수개인지 판단하여(S235), 복수개이면 중복자 처리단계(S236)로 진행하여 중복자를 처리하고 복수개가 아니면 발생된 중문자를 바로 표시한다(S237). 상기 중복자 처리단계(S236)는 앞서 기술한 도 16과 동일하다.
도 13의 경우는 N이 미리 설정된 경우(부수의 최대 입력개수가 정해진 경우)에 마지막 부수의 입력후에는 종료키(12)를 입력하지 않아도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N=4로 설정된 경우 상기 N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時」를 입력하는 경우 「日」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 상기 「日」을 입력하는 제1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日」을 입력하고 이어, 「土」및 「寸」에 대응하는 제2, 제3 대표부수키(11)가 입력되고 이를 입력하는 제2, 제3 선택키(12)가 입력되어 상기 나머지 두 부수를 입력한 후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1, 제2 및 제3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입력된 제1,제2 및 제3 선택키(12)들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발생시킨다. 그러나, 4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예를 들어, 「彰」의 경우는 각각「立」,「日」,「十」및 「」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가 입력되어 상기 네개의 부수들이 입력되면 (종료키의 입력없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은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이는 이미 N이 4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후에 4개의 부수가 입력되기만 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설정된 N개수와 실제로 입력된 부수의 개수를 비교하여 즉시, 이들 4개의 부수에 대응하는 키들(11,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5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때는 제1 부수, 제2 부수, 제3 부수 및 제4 부수를 입력하면 이에 대한 데이터값이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N이 4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5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라도 상기 5개 이상의 부수중 최대 4개의 부수만을 입력하면 종료키(13)의 입력없이 즉시 중문자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등의 숫자는 중문자의 필순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부수들의 입력은 필순에 따라 그 입력순서를 정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할 것이며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필순에 따라 그 입력순서를 정하게 되면 상기 제N 부수는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중문자 발생 및 표시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서는 입력개수결정키(14)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한 중문자 발생 및 표시과정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가 입력된다(S311). 상기 입력된 제1 대표부수키(11)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1 선택키(12)가 입력되면(S312), 상기 제1 부수가 입력된다(S313). 계속하여 다음에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314). 상기 단계(S314)에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부수를 표시한다(S348). 여기까지의 상기 단계들은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金」을 입력하는 경우 「金」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하고(S311) 상기 제1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부수 「金」을 입력하는 제1 선택키(12)가 입력되어(S312) 상기 부수 「金」이 입력된다(S313). 이어, 입력개수결정키(14)가 다음에 입력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대표부수키(11)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314), 상기 부수 「金」을 표시하게 된다(S348). 이로써 상기 입력할 중문자 「金」의 입력을 종료된다.
따라서, 도 14의 플로우차트에서 보이는 입력방법은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종료키(13)의 입력이 필요없다.
그러나, 상기 단계(S314)에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입력개수결정키(14)에 해당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단계(S314)에 입력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제1입력개수결정키이면(각 입력개수결정키에 대한 설명은 앞서 본 발명의 중문자 입력장치에서 설명함) 단계(S315)로 진행하고 제2입력개수결정키이면 단계(S319)로 진행하며 제3입력개수결정키이면 단계(S326)로,... 제N입력개수결정키이면 단계(S336)로 진행하여 각각의 해당 입력개수결정키를 인식한다. 상기 인식은 중문자발생수단(30)에서 실행되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단계(S315)로 진행한 경우는 입력할 중문자가 두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이며 상기 제1 부수의 입력이후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가 1개인 경우이다. 계속하여 나머지 부수 즉, 제2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를 입력한다(S316).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개의 부수 중 상기 제2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제2 선택키(12)가 입력되면(S317) 상기 제2 부수가 입력된다(S318).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만큼의 부수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모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의 입력으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344)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검색하여 발생시킨다(S345). 다시 말하면, 상기 단계(S315)에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제1입력개수결정키(14)의 입력에 의해 결정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인식하고 있다가 이후에, 상기 인식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만큼 실제로 나머지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모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단계(S314)에서 입력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제2입력개수결정키인 경우(S319)는 입력할 중문자가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로서 이후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2개인 경우이다. 따라서, 제2 부수에 대응하는 제2 대표부수키(11) 및 제2 선택키(12)를 입력하여(S320,S321) 상기 제2 부수가 입력된다(S322). 이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부수에 대응하는 제3 대표부수키(11) 및 제3 선택키(12)가 입력되어(S323,S324) 상기 제3 부수가 입력된다(S325). 이후,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1,제2, 및 제3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들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344), 이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S345).
한편, 상기 단계(S314)에서 입력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제3입력개수결정키인 경우(S326)에는 입력할 중문자가 네 개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로서 이후에 입력될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3개인 경우이다. 따라서, 제2 부수에 대응하는 제2 대표부수키(11) 및 제2 선택키(12)가 입력되어(S327,S328) 상기 제2 부수가 입력되다(S329). 이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부수에 대응하는 제3 대표부수키(11) 및 제3 선택키(12)가 입력되어(S330,S331) 상기 제3 부수가 선택,입력된다(S332). 계속하여 제4 부수에 대응하는 제4 대표부수키(11) 및 제4 선택키(12)가 입력되어 상기 제4 부수가 입력된다(S333,S334,S335). 이후,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제3 및 제4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각각의 선택키(12)들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344) 이어 중문자를 발생시킨다(S345).
한편, 상기 단계(S314)에서 입력되는 입력개수결정키(14)가 제N입력개수결정키이면(S336), 이는 입력할 중문자가 N+1개의 부수롤 구성된 경우로서 이후에 입력되는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는 N개인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부수에 대응하는 제2 대표부수키(11) 및 제2 선택키(12)가 입력되어 상기 제2 부수가 입력된다(S337,S338,S339). 계속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부수, 제4 부수 ..... 제N+1 부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각각의 선택키가 입력되어 상기 제3, 제4, .... 제N+1 부수가 입력된다(S340, ... S341,S342,S343). 이후,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1, 제2, 제3,...제N+1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각각의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각각의 선택키(12)들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S2)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S344) 이어 중문자를 발생시킨다(S345).
상기 단계(S345)에서 발생된 중문자의 개수가 복수개인지를 판단한다(S346). 상기 판단결과 복수개이면 다음 단계(S347)에서 중복자처리를 실행하여 원하는 중문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중문자를 표시하며(S348), 상기 판단결과 복수개가 아니면 상기 발생된 중문자를 바로 표시한다(S348). 상기 중복자처리단계(S229)는 앞서 기술한 도 16의 단계를 실행한다.
도 14의 입력방법은,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는 상기 하나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한번씩만 입력함으로써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2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경우는 제1 부수의 입력후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입력개수와 실제 입력된 부수의 개수가 동일하면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N 역시 중문자 입력전에 미리 설정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3개이다.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 N을 3개로 설정한 경우, 두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 예를 들어, 「好」를 입력할 때는 「女」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11) 및 제1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 「女」를 입력하고, 뒤에 오는 부수는 1개이므로 제1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1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부수의 입력개수는 1개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子」에 대응하는 제2 대표부수키(11) 및 제2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제2 부수를 입력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결정된 입력개수만큼의 부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된 부수 즉, 「女」및 「子」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들과 상기 선택키들로부터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상기 중문자「好」를 발생시킨다.
또한, 세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예를 들어, 「時」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日」을 입력하고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개수가 2개이므로 제2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다. 이어, 「土」및 「寸」을 입력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제1, 제2 및 제3 부수들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들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 즉, 「時」를 발생시킨다.
한편, 네 개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 예를 들어, 「朝」의 경우 「十」을 입력하고 제3입력개수결정키(13)를 입력한 후 상기 3입력개수결정키(13)에 의해 결정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만큼, 즉, 3개의 부수 「日」,「十」 및 「月」이 입력되면 중문자발생수단(30)은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이어, 중문자 「朝」를 발생시킨다.
또한, 5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의 경우에도 최대 4개의 부수를 입력하도록 설정되므로 제1 부수의 입력후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한다. 왜냐면 제1 부수를 포함하여 총 4개의 부수를 입력해야 하므로 제1 부수의 입력후 3개의 부수를 입력하도록 결정하는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부수의 입력이후에 상기 제3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고 이어, 제2,제3, 제4 부수를 입력하면 상기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입력된 모든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킨다. 상기에서 제1,제2,제3 및 제4는 중문자의필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중 입력되는 부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입력되는 부수는 필순에 따라 그 순서를 설정하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필순에 따라 부수의 입력순서를 설정한면 상기 제4 부수는 필순상 마지막 부수가 된다.
도 15에서 도 14에서 설명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3)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문자 입력과정을 나타낸다. 도 15의 단계들은 도 14에서와 유사한 과정을 보인다. 다만, 단계(S414)에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각각 해당하는 단계(S415,S419,S426,S436)로 진행하여 상기 각각의 단계에서 인식하는 대상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14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314)에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각각의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입력개수결정키(14)를 인식하되,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그러나, 도 15에서는 상기한 부수의 입력개수를 인식함과 동시에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따라서, 도 15에서는 입력개수결정키(14)는 부수의 결합형태에 따라 입력하는 종류도 여러가지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되면,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 및 상기 부수의 결합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결합형태는 입력할 중문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많은 개수의 결합형태를 표시하게 되면 키수가 늘어날 것이므로 적절하게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1에서는 적절하게 분류된 결합형태의 입력개수결정키를 설명하였는바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중문자 입력과정을 설명한다. 단계(S414)에서 입력개수결정키(14)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입력개수결정키를 인식하여, 만약 상기 단계(S414)에서 제1입력개수결정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415)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S415)에서는 제1입력개수결정키임을 인식하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후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는 물론이며 입력할 중문자의 구성부수의 결합형태를 인식하게 된다(S415). 이후 인식된 부수의 입력개수만큼 나머지 부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부수들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선택키(12) 및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S2)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값을 생성한다(S444). 즉, 상기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값은 대표부수키(11)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과 상기 선택키(12)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과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대한 변환된 키코드값(S2)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14)에 의해 인식되는 결합형태를 가진 중문자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S414)의 판단에 따라 단계들(S419,S426,... S436)에서 제2입력개수결정키, 3입력개수결정키, .... N입력개수결정키를 인식할 때도 상기 단계(S415)에서와 동일하다. 즉, 각 입력개수결정키를 인식하되 그 종류에 따라 이후에 입력되는 부수의 입력개수와 결합형태를 인식한다.
앞서 중문자 입력장치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문자의 결합형태는 무수히 많고 하나의 중문자중에는 여러개의 결합형태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이를 다 표시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도 9과 같이 소정의 개수로 분류하여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나아가, 여러개의 결합형태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문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기준으로한 결합형태에 따라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 입력개수결정키를 두 종류로 구분하는 것은 단계(S445)에서 발생되는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동일한 부수로 구성되는 중문자가 복수개가 있는 경우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결합형태를 미리 결정해 줌으로써 발생되는 중문자의 개수를 하나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중문자발생수단(30)은 상기 대표부수키(11) 및 상기 선택키(12)에 의해 결정된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부수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대표부수의 입력은 여러가지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대표부수 중 상기 대표부수키(11)의 소정 간격의 반복 입력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대표부수가 입력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상기에서 부수의 입력시 상기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11) 및 선택키(12)를 입력하여 상기 부수를 선택,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표부수키(11)에 나타난 복수개의 대표부수의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의 구현은 상기 대표부수키(11)의 반복입력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별도의 지정키를 설정하여 상기 지정키수단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부수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이 설명되어 있지만, 부수가 아니며 상기 설명한 부수들로 구성된 자체로서 완성된 중문자를 소정의 키에 나타내어 상기 중문자를 상기 부수와 같이 적용할 수도 있고 상기 소정의 키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문자의 인식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완성된 중문자는 인칭대명사, 전·후치사, 조사, 명령어, 부정어 및 간체자 등 문장에 많이 쓰이거나 다른 부수와 결합력이 뛰어난 완성된 중문자를 말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개수로 한정하여 적용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중문자가 부수로 사용되는 경우와 그 역의 경우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원리와 같이, 중문자를 구성하는 소정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중문자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표부수에 「人」을 나타내고 또한, 종속부수에 「口」를 나타내어 상기 부수들을 입력할 수 있듯이, 부수가 아닌 자체로서 완성된 중문자인, 「來」,「我」, 「三」등을 대표부수 또는 종속부수로 설정하여 상기 부수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상기 자체로서 완성된 중문자를 임의의 키에 표시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수만으로도 상기 중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체로서 완성된 중문자 중에서는 간체자가 있는 중문자의 경우 그 중요성과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표시하면 현재 중국에서 정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활용성이 높을 것이다. 또한, 문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동사, 형용사, 전치사, 조사등과 같은 품사를 기재하고 명령어, 부정문 등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기재하면 문장을 사용하는데 더욱 편리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두 가지 외에 문장에 자주 사용되거나 다른 부수와 많이 결합하는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중문자키수단에 표시하면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상기 중문자는 상기 부수의 결합에 의해 입력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각각 별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 각각의 일실시예들을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부분을 적절히 입력하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소형기기에 있어서 중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기술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례로서 기술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의 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에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를 직접 입력하고 원하는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를 입력한 후 종료키를 입력함으로써 기존방식의 간접입력 방식에서 탈피하여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직접 입력하여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며 중문자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키의 개수가 적은 소형기기의 경우 그 크기의 제한성으로 인해 중문자를 구성하는 구성부수를 많이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부수들 중에서 대표성을 갖는 대표부수들을 다수개 표시하고 상기 대표부수키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구성부수들에 대한 직접적인 선택이 가능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중문자의 읽기 발음 및 영문자 발음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사용자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입력할 중문자를 모두 분석하여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구성부수와 상기 구성부수들의 결합형태를 분석하여 일정한 체계를 분류한 후 상기 구성부수들 중 대표부수를 소정의 키상에 표시하고 상기 대표부수에 대응하는 종속부수를 설정하여 상기 결합형태에 따라 소정의 방식으로 중문자를 조합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체계적인 중문자 발생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중문자 입력 휴대폰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통신용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13)

  1.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와,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후 상기 종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대표부수는 10~6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가장 먼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첫 번째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의 개수는 120~24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는,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또는 대표부수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에 의해 입력되는 부수는 최대 2~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발생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4.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와, 상기 입력할 부수 중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 후 상기 부수의 입력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후 상기 종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 및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발생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자처리수단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또는 특정키의 반복입력에 의해 상기 중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가장 먼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첫 번째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의 개수는 120~24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대표부수의 개수는 10~6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는,
    입력할 중문자에 따라 그 입력순서 중 어느 순서에도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를 모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 중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한개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0.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미리 설정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에 대응하는 마지막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들에 의해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발생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자처리수단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또는 특정키의 반복입력에 의해 상기 중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를 모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 중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한개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0.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에 의해 입력되는 부수는 최대 2~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는,
    입력할 중문자에 따라 그 입력순서 중 어느 순서에도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가장 먼저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첫 번째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6.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의 개수는 120~24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7.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의 개수는 10~6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8. 하나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대표부수를 각각 하나 이상 나타내는 복수의 대표부수키와,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난 복수의 대표부수에 대하여 구역을 지정하는 지정키수단과,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대표부수와 종속부수들 중 입력할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와, 상기 중문자의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의 입력후 다음에 입력될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개수결정키를 포함하는 입력키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되며 각각 데이터값이 할당된 다수의 중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상기 입력키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키코드값을 후단에서 처리가능한 키코드값으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키코드값을 받으며 상기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 및 상기 제1 선택키가 입력되고 다음에 입력되는 제2 입력키가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인 경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만큼의 나머지 대표부수키,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나머지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 상기 제1 선택키, 상기 나머지 대표부수키, 상기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상기 나머지 선택키에 의해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변환된 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데이터값을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생성된 데이터값에 해당하는 중문자를 검색하여 발생시키는 중문자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1.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2.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한자발생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3.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설정키는,
    상기 중문자의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 및 상기 입력된 부수들의 결합형태를 동시에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나타난 결합형태는 2~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5.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나타난 결합형태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기준으로 한 결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6.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중문자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중문자를 결정하는 중복자처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7.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자처리수단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또는 특정키의 반복입력에 의해 상기 중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8.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은,
    상기 제2 선택키가 상기 임의의 대표부수키인 경우 상기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 및 상기 제1 선택키에 대응하는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5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되는 부수의 입력개수는 1~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0.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표부수키는,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1.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첫 번째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2.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시,
    마지막에 입력하는 부수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3.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및 상기 지정키수단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4.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를 모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6.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발생된 두 개 이상의 중문자 중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한개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67.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고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의 입력의 완료를 지시하는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종료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69.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0.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1.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2.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가 두 개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표부수키, 상기 제1 지정키수단 및 상기 제1 선택키의 입력과 상기 종료키의 입력사이에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나머지 대표부수키,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나머지 선택키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3.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첫 번째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상기 나머지 대표부수키, 상기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상기 나머지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4.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5. 제 74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중문자의 입력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마우스 및 특정키의 반복입력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6.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표부수키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7.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수의 입력시,
    마지막에 입력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7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에 대응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장치.
  79.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개수는 5타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0. 세 개이상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의 개수이하로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를 설정하고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고 상기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들 중 상기 제1 부수와 마지막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중간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대표부수키, 중간 지정키수단 및 중간 선택키를 입력하되 상기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과 상기 제1 선택키, 상기 중간 대표부수키들, 상기 중간 지정키수단들과 상기 중간 선택키들 및 상기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마지막 대표부수키, 마지막 지정키수단과 마지막 선택키 등 상기 각 쌍의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의 개수가 상기 최대 입력개수가 되게하고 상기 마지막 대표부수키, 마지막 지정키수단 및 상기 마지막 선택키를 입력하며 상기 마지막 대표부수키, 상기 마지막 지정키수단 및 상기 마지막 선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2.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3.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4.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5.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최대 입력개수는 3~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6.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중문자의 개수가 복수개인지 판단하여 복수개의 중문자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개의 중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중문자 중 원하는 중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7.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중문자의 입력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마우스 및 특정키의 반복입력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8.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표부수키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89.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표부수키, 상기 제2 지정키수단 및 상기 제2 선택키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첫 번째 입력된 부수 및 마지막에 입력된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0.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대표부수키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1. 제 80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에 대응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2. 복수의 부수들로 구성된 중문자를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수들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제1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를 결정하는 입력개수결정키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만큼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나머지 대표부수키, 나머지 지정키수단 및 나머지 선택키를 입력하여 상기 나머지 부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의 입력에 의해 결정된 입력개수만큼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3.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4.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5.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6.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7.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는,
    상기 중문자의 상기 나머지 부수의 입력개수 및 상기 입력된 부수의 결합형태를 동시에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8. 제 9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나타난 상기 결합형태는 2~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99. 제 9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나타난 상기 결합형태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번째 부수를 기준으로 한 결합형태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0.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중문자가 복수개인 경우 원하는 하나의 중문자를 입력하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1. 제 100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중문자의 입력은,
    커서이동키, 번호선택키, 마우스 및 특정키의 반복입력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2.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의 입력개수는 5개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3.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개수결정키에 의해 결정된 부수의 입력개수는 1~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4.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표부수키는,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첫 번째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5.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수의 입력시,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제1 부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를 상기 중문자의 필순에 따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6.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부수의 입력시,
    마지막에 입력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가 상기 입력할 중문자를 구성하는 부수 중 상기 중문자의 필순상 마지막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7. 제 9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에 대응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8.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제1 중문자와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제2 중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하는 중문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문자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의 부수에 대응하는 대표부수키, 지정키수단 및 선택키를 각각 입력하고 상기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제1 중문자 다음에 연속적으로 입력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상기 제2 중문자를 구성하는부수 중 제1 부수에 대응하는 제1 대표부수키, 제1 지정키수단 및 제1 선택키를 입력하며 상기 제2 중문자의 상기 제1 선택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중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09. 제 10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 상기 지정키수단 및 상기 선택키에 대응하는 부수는 완성된 중문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10. 제 10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횟수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11. 제 10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키수단은,
    별도의 지정키에 의해 상기 구역을 지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12. 제 10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와 상기 지정키의 입력순서는 상호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113. 제 108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부수키의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표부수키에 나타낸 대표부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문자 입력방법.
KR1020010055187A 2001-09-07 2001-09-07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30021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87A KR20030021775A (ko) 2001-09-07 2001-09-07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87A KR20030021775A (ko) 2001-09-07 2001-09-07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75A true KR20030021775A (ko) 2003-03-15

Family

ID=2772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187A KR20030021775A (ko) 2001-09-07 2001-09-07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7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17B1 (ko) * 2014-02-17 2015-04-23 이웅희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22597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2164A (ja) * 1985-02-07 1986-08-14 Fujitsu Ltd 中国語入力装置
US4684926A (en) * 1984-05-14 1987-08-04 Yong Min Wang Universal system of encoding chinese characters and its keyboard
US5119296A (en) * 1989-11-27 1992-06-02 Yili Zhe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radical-encoded chinese characters
JPH05151195A (ja) * 1991-11-27 1993-06-18 Toshiba Corp 漢字入力装置
JPH06337857A (ja) * 1993-05-28 1994-12-06 Fujitsu Ltd 漢字入力方式
JPH07191979A (ja) * 1993-12-27 1995-07-28 Canon Inc 部首による漢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漢字入力方法
KR19990046749A (ko) * 1999-04-21 1999-07-05 금하연 컴퓨터사용을위한한자조합방법및그구조
KR20010069565A (ko) * 2001-04-17 2001-07-25 어윤형 부수를 활용한 한자 입력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926A (en) * 1984-05-14 1987-08-04 Yong Min Wang Universal system of encoding chinese characters and its keyboard
JPS61182164A (ja) * 1985-02-07 1986-08-14 Fujitsu Ltd 中国語入力装置
US5119296A (en) * 1989-11-27 1992-06-02 Yili Zhe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radical-encoded chinese characters
JPH05151195A (ja) * 1991-11-27 1993-06-18 Toshiba Corp 漢字入力装置
JPH06337857A (ja) * 1993-05-28 1994-12-06 Fujitsu Ltd 漢字入力方式
JPH07191979A (ja) * 1993-12-27 1995-07-28 Canon Inc 部首による漢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漢字入力方法
KR19990046749A (ko) * 1999-04-21 1999-07-05 금하연 컴퓨터사용을위한한자조합방법및그구조
KR20010069565A (ko) * 2001-04-17 2001-07-25 어윤형 부수를 활용한 한자 입력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17B1 (ko) * 2014-02-17 2015-04-23 이웅희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22596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조합키를 이용한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WO2015122597A1 (ko) * 2014-02-17 2015-08-20 이웅희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150096950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팔락성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N105164615A (zh) * 2014-02-17 2015-12-16 八乐成株式会社 中文字输入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8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inese input using a joystick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0662553B1 (ko)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40068031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8441A (ko) 문자인식장치 및 방법
KR101657886B1 (ko) 한자 입력장치와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자 검색방법
KR20010088892A (ko)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10065139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599873B1 (ko)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1775A (ko)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0444747B1 (ko) 중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200132070A (ko)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060789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355377B1 (ko) 스크린 자판상에서의 끊어지지 않는 연속된 드래그에 의한 한국어 음절 입력방법
KR20090077086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03025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KR100383228B1 (ko) 한정된 수의 키를 사용하는 한글입력시스템
WO20030257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KR101275365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38462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09228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