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697B1 -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697B1
KR101514697B1 KR1020130019070A KR20130019070A KR101514697B1 KR 101514697 B1 KR101514697 B1 KR 101514697B1 KR 1020130019070 A KR1020130019070 A KR 1020130019070A KR 20130019070 A KR20130019070 A KR 20130019070A KR 101514697 B1 KR101514697 B1 KR 10151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rosewood
present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170A (ko
Inventor
고은성
정관영
정태화
김은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6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로즈우드(Rosewood) 오일의 향취 성분 및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즈우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산업 분야에서 멸종위기에 처하여 국제 교역이 금지된 로즈우드 오일의 대체품으로 새로운 대체방안을 제공하며, 멸종위기에 처한 로즈우드 식물을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와 매우 유사하고, 높은 기호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Natural Rosewood}
본 발명은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로즈우드 오일 성분인 Limonene, Linalool Oxide, Linalool, Benzyl Benzoate, Terpineol과 인공합성물질인 Ethyl Linalo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료 조성물의 주원료인 정유(essential oil)는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의 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성 오일로 향기를 지닌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증류, 압착, 추출 또는 냉침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정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수백 내지 수천가지에 이른다.
우리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및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다양한 향을 내는 향료 조성물이 첨가되어있다. 특히, 로즈우드향은 동양의학에서 항우울 효과가 있고, 신장을 강하게 하여 밝고 유쾌한 기분을 갖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남녀노소 무관하게 기호성이 우수하여 향료 조성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물질은 천연에서 산출된 물질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향료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인공물질들이다. 이러한 화학적으로 합성된 향료 조성물은 향 성분이 알러지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천연에서 산출된 향료 조성물은 향기의 강도와 지속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브라질 원산의 로즈우드(학명:Aniba rosaeodora Ducke)는 남미의 북부지방에서 자라는 나무이다. 주산지는 브라질 이외에도 남아메리카북부, 기아나, 페루, 멕시코 등이다. 황색에서 적색의 무겁고 단단한 목재는 예로부터 가구나 피아노 실로폰 등의 건반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향료산업에서는 Rosewood Oil의 목재를 분쇄하여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향료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무분별한 벌목으로 인하여 현재는 국제 자연 보호 연맹(IUCN)협의 협약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ㆍ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 CITES)의 멸종위기 식물로 등재되어 더 이상 벌목 및 향료원료로 국제교역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렇게 멸종위기의 식물로 등재되어 향료산업에서는 예로부터 많이 사용된 천연 Rosewood Oil의 대체 향료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특허 10-2012-0109021(발명의 명칭 :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감국꽃의 향취성분을 화학적 분석을 통해 밝혀낸 다음 상기 향취성분을 포함하는 감국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US 공개특허 1989-350510(발명의 명칭 : Synthetic rosewood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에서는 로즈우드 목재를 재현한 인공목재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해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을 GC 및 GC Mass 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Limonene, Linalool Oxide, Linalool, Benzyl Benzoate 및 Terpineol 등이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주성분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주성분들과 유사한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로즈우드 오일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천연로즈우드 오일의 주성분을 합성향료로 대체하여 조향된 로즈우드 대체품은 전문가 집단인 조향사들의 관능검사에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후레쉬 플로럴한 향취감에 미미한 차이가 있어, 이들 성분만으로는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를 완벽히 재현할 수 없음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기 로즈우드 오일 향기 주성분에 인공합성물질인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로즈우드 오일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기호성도 매우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즈우드 오일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향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향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향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해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을 GC 및 GC Mass 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Limonene, Linalool Oxide, Linalool, Benzyl Benzoate 및 Terpineol 등이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주성분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주성분들과 유사한 합성향료를 이용하여 로즈우드 오일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천연로즈우드 오일의 주성분을 합성향료로 대체하여 조향된 로즈우드 대체품은 전문가 집단인 조향사들의 관능검사에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후레쉬 플로럴한 향취감에 미미한 차이가 있어, 이들 성분만으로는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를 완벽히 재현할 수 없음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상기 로즈우드 오일 향기 주성분에 인공합성물질인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로즈우드 오일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기호성도 매우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와 유사하면서, 사용자에게 매우 뛰어난 기호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 또는 식품 조성물의 향취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로즈우드(Rosewood) 오일의 향취 성분 및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즈우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로즈우드(Dalbergia nigra)는 브라질이 원산지이고 높이가 20m에 달하며 38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꽃은 크기가 작으며 나비 모양이고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나무가 자라면서 심재 부분이 썩어 없어지므로 나무 가운데 부분에 구멍이 생긴다. 목재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줄무늬나 점무늬가 많으며 검은 색의 수지층이 있고 아름다운 광택이 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즈우드 오일’은 상기 로즈우드에서 추출한 오일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향취’는 인간 또는 동물의 후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신호 중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기분 좋은 느낌을 나타내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리모넨(Limonene), 리나로올 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나로올(Linalool),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및 테르피네올(Terpineol)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모넨, 리나로올 옥사이드, 리나로올, 벤질 벤조에이트 및 테르피네올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리모넨 0.1-1.0 중량%, 리나로올 옥사이드 2.0-3.0 중량%, 리나로올 40.0-80.0 중량%, 벤질 벤조에이트 1.0-5.0 중량% 및 테르피네올 0.01-0.2 중량%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성분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왜냐하면, 상기 로즈우드 오일에는 상술한 물질 이외에 대단히 많은 물질을 포함하고 있지만, 다른 물질은 로즈우드 오일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에틸 리나로올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8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 리나로올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향료 조성물의 향취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와 유사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에틸 리나로올을 20 중량% 이상 포함할 경우 향료 조성물의 향취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와 유사성은 있으나, 전체적인 기호성이 떨어지고, 향료 조성물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이외에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왜냐하면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만 포함한 향료 조성물은 전문가의 관능평가 결과 천연 로즈우드 오일과 비교하여 유사성이 현저히 떨어졌으나, 상기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할 경우 천연 로즈우드 오일과 매우 유사한 향취를 나타내면서 향료의 기호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 리나로올을 10-15 중량%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왜냐하면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중량범위 내에서 기호성 점수가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된 사항은 상기 향료 조성물 발명과 공통되므로 본 발명이 과도하게 복작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약 조성물과 관련된 사항은 상기 향료 조성물 발명과 공통되므로 본 발명이 과도하게 복작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과 관련된 사항은 상기 향료 조성물 발명과 공통되므로 본 발명이 과도하게 복작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향료 조성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포함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스쿠알란 및 소듐 시트레이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부틸렌 글라이콜, 시트릭산, 판테놀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 모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0.1-100 ㎎/kg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에 대한 세포 생존율 분석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로즈우드(Rosewood) 오일의 향취 성분 및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즈우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료산업 분야에서 멸종위기에 처하여 국제 교역이 금지된 로즈우드 오일의 대체품으로 새로운 대체방안을 제공하며, 멸종위기에 처한 로즈우드 식물을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와 매우 유사하고, 높은 기호성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 GC GC - MS 분석법을 이용한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분석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분석을 위하여 브라질산 천연 로즈우드 오일을 GC 분석하여 정량을 확인하고 GC-MS을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GC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조건>
- 분 석 기 기 : Agilent 6890A
- 컬 럼 : HP-INNOWAX (60m X 0.32mm, 0.25μm)
- 이동상 기체 : O2
- 주 입 온 도 : 250℃
- 오 븐 온 도 : 50℃~200℃(10℃/min)
그 결과, GC 기기분석법에 의해 분석된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성분
향료명 함량(중량%)
Beta-Pinene 0.05
Myrcene 0.04
Limonene 0.3
Cis-Linalool Oxide 1.3
Trans-Linalool Oxide 1.4
Camphor 0.06
Linalool 90.4
Terpineol 0.16
Benzyl Benzoate 0.32
기타 5.97
합계 10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연 로즈우드 오일은 Limonene, Linalool Oxide, Linalool, Benzyl Benzoate, Terpineol 등을 주요 향기 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은 전체 중량의 93.88중량%를 차지하였다.
실시예 2 : 분석결과로 조성된 향료와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와의 관능 비교평가
천연 로즈우드 오일(샘플 A)과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조합향료(샘플 B)를 만들고, 이 조합향료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조합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성분
향취성분 함량(중량%)
Beta-Pinene 0.05
Myrcene 0.04
Limonene 0.3
Cis-Linalool Oxide 1.3
Trans-Linalool Oxide 1.4
Camphor 0.06
Linalool 90.4
Terpineol 0.16
Benzyl Benzoate 0.32
DPG(Dipropyleneglycol) 5.97
총함량 100
20~45세의 일반남녀 3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하였으며, 천연 로즈우드 샘플 A와 재현한 조합향료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과 향취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재현한 조합향료의 경우 정확한 관능평가를 위하여 천연 로즈우드 오일 향기 강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희석하여 시향지에 찍어 제시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조합 로즈오일 관능평가용 설문지
설문지
질문 1.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비슷)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상당히 유사하다.
질문 2.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상당히 좋다.
조합 로즈오일 관능평가 결과
평가자 질문 1 질문 2
1 2 2
2 3 2
3 2 1
4 2 2
5 2 3
6 3 3
7 2 2
8 1 2
9 2 2
10 2 2
11 2 3
12 2 2
13 2 2
14 2 3
15 3 2
16 2 3
17 2 3
18 1 2
19 2 2
20 3 2
21 2 3
22 2 2
23 2 2
24 2 3
25 3 2
26 2 3
27 2 3
28 1 2
29 2 2
30 3 2
평균 2.1 2.25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인 샘플 B는 유사성이 3점을 넘지 않아 천연 로즈우드 오일과 향취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도 2.25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실시예 3 :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 성분과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비교
실시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GC 기기분석에 의한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한 조성물 향은 천연 로즈우드 향취와의 유사성이 부족하였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천연 로즈우드 오일의 각각 단품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천연 로즈우드의 향기성분들 중, Limonene, Linalool Oxide, Linalool, Benzyl Benzoate, Terpineol 이 천연 로즈우드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상기 5가지 성분을 함유할 경우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를 더욱 잘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주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으로부터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 고유 주성분이 Limonene, Linalool Oxide, Linalool, Benzyl Benzoate, Terpineol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5가지 성분을 함유하여,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1 내지 #7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 향료 #1부터 #7은 이들 5가지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5가지 향료의 총함량을 50~80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기호성이 향상된 조합 향료의 조성
향취성분 #1
(50%)
#2
(55%)
#3
(60%)
#4
(65%)
#5
(70%)
#6
(75%)
#7
(80%)
Limonene 0.1 0.2 0.3 0.4 0.5 0.6 0.65
Linalool Oxide 2.1 2.2 2.3 2.4 2.5 2.6 2.7
Linalool 45 49.5 54 58.5 63 67.5 72
Terpineol 0.04 0.06 0.08 0.10 0.12 0.14 0.16
Benzyl Benzoate 2.76 3.04 3.32 3.6 3.88 4.16 4.49
DPG(Dipropyleneglycol) 50 45 40 35 30 25 20
실시예 5 :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새롭게 조합된 상기 실시예 4의 7가지 향료(#1-#7)에 대하여, 천연 로즈우드와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 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는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기호성이 향상된 조합 향료의 유사성 평가
평가요원 조합향료번호
#1 #2 #3 #4 #5 #6 #7
1 2 2 2 2 3 2 3
2 1 1 2 2 3 3 2
3 1 2 2 2 2 3 3
4 2 2 2 3 2 2 2
5 2 1 2 2 2 3 3
6 2 2 2 2 2 3 3
7 2 3 2 3 2 2 3
8 2 2 3 2 3 3 2
9 2 2 2 3 2 3 3
10 2 1 2 3 2 2 3
11 2 1 2 2 2 3 2
12 1 2 3 2 2 2 3
13 2 2 2 2 2 2 2
14 3 2 2 3 2 2 3
15 2 2 2 3 2 2 2
16 1 1 3 2 3 3 3
17 2 2 2 2 3 3 2
18 1 2 2 3 3 3 3
19 1 2 2 2 3 3 3
20 2 2 2 2 3 2 3
21 2 1 2 2 2 3 2
22 1 2 3 2 2 2 3
23 2 2 2 2 2 2 2
24 3 2 2 3 2 2 3
25 2 2 2 3 2 2 2
26 1 1 3 2 3 3 3
27 2 2 2 2 3 3 2
28 1 2 2 3 3 3 3
29 1 2 2 2 3 3 3
30 2 2 2 2 3 2 3
평균 1.75 1.80 2.15 2.35 2.40 2.55 2.65
기호성이 향상된 조합 향료의 기호성 평가
평가요원 조합향료번호
#1 #2 #3 #4 #5 #6 #7
1 1 1 2 2 3 3 3
2 2 2 2 3 2 2 3
3 1 2 2 2 2 2 2
4 2 2 2 2 2 2 3
5 1 2 2 2 2 2 2
6 1 2 2 2 2 2 2
7 2 2 2 3 2 2 3
8 2 2 2 2 2 3 3
9 1 2 2 2 2 3 2
10 2 2 2 2 2 2 3
11 2 2 2 2 2 3 3
12 2 2 2 3 2 3 3
13 2 2 2 2 2 2 3
14 1 1 2 3 2 3 3
15 2 2 2 2 2 2 2
16 2 2 2 3 2 2 2
17 2 2 2 3 2 3 3
18 2 2 2 2 2 3 2
19 2 2 2 3 2 2 2
20 2 2 2 2 2 2 3
21 2 2 2 2 2 3 3
22 2 2 2 3 2 3 3
23 2 2 2 2 2 2 3
24 1 1 2 3 2 3 3
25 2 2 2 2 2 2 2
26 2 2 2 3 2 2 2
27 2 2 2 3 2 3 3
28 2 2 2 2 2 3 2
29 2 2 2 3 2 2 2
30 2 2 2 2 2 2 3
평균 1.70 1.90 2.00 2.35 2.05 2.40 2.60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천연 로즈우드의 유사성과 기호성면에서는 천연 로즈우드 향취 성분 중 주요 5가지 성분의 총 함량이 80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7가 조합향료 중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보였다. 그리고 조합향로 샘플 #7의 경우에도,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2.65와 2.60으로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상기 표 7에서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7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샘플 #7에 인공 합성 물질인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을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항료를 제조하였다. 인공합성물질의 농도는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 2-14 중량%로 변화시켜 가면서 첨가하고, 그 외 성분들은 이 물질의 함량변화에 따라 총 함량 100을 맞추기 위해 조정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8과 같다.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의 조성
항료명 #8 #9 #10 #11 #12 #13 #14
Limonene 0.65 0.65 0.65 0.65 0.65 0.65 0.65
Linalool Oxide 2.7 2.7 2.7 2.7 2.7 2.7 2.7
Linalool 72 72 72 72 72 72 72
Terpineol 0.16 0.16 0.16 0.16 0.16 0.16 0.16
Benzyl Benzoate 4.49 4.49 4.49 4.49 4.49 4.49 4.49
Ethyl Linalool 2 4 6 8 10 12 14
DPG(Dipropyleneglycol) 18 16 14 12 10 8 6
총함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7 :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6에서 9가지(#8-#14)의 조합 향료들에 대해, 천연 로즈우드에 비교하여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의 관능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편, 두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을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는 하기 표 9 및 표 10에 나타내었다.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의 유사성 평가
평가요원 조합향료번호
#8 #9 #10 #11 #12 #13 #14
1 2 2 3 3 3 3 4
2 2 2 3 3 3 4 4
3 3 3 3 3 4 4 5
4 3 3 4 4 4 5 5
5 3 3 3 3 3 4 4
6 2 3 3 4 4 4 5
7 3 3 3 3 3 5 4
8 2 3 3 3 3 4 4
9 2 2 3 2 3 3 3
10 3 3 3 3 4 4 5
11 2 2 2 3 3 4 4
12 2 2 3 3 4 4 4
13 3 3 3 3 4 5 4
14 2 2 2 3 3 4 3
15 2 3 3 3 3 4 4
16 3 3 3 3 4 3 4
17 3 3 3 3 3 4 5
18 2 3 2 3 4 4 4
19 2 2 2 3 3 4 4
20 2 2 2 3 3 4 5
21 2 2 2 3 3 4 4
22 2 2 3 3 4 4 4
23 3 3 3 3 4 5 4
24 2 2 2 3 3 4 3
25 2 3 3 3 3 4 4
26 3 3 3 3 4 3 4
27 3 3 3 3 3 4 5
28 2 3 2 3 4 4 4
29 2 2 2 3 3 4 4
30 2 2 2 3 3 4 5
평균 2.40 2.60 2.80 3.05 3.40 4.00 4.20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의 유사성 평가
평가요원 조합향료번호
#8 #9 #10 #11 #12 #13 #14
1 2 2 2 3 3 5 4
2 2 3 3 3 3 4 4
3 3 3 3 3 4 4 4
4 3 3 3 3 3 4 4
5 2 2 3 4 4 4 4
6 2 3 3 3 3 3 5
7 3 2 3 3 3 4 4
8 2 3 3 3 3 4 5
9 2 2 3 3 4 4 4
10 3 3 3 3 3 4 4
11 2 2 2 3 3 4 4
12 2 3 3 3 3 4 4
13 3 3 3 3 3 4 3
14 2 3 3 3 3 4 4
15 2 2 3 3 3 4 4
16 3 3 3 3 4 3 4
17 3 3 3 3 3 4 4
18 2 2 3 3 3 4 5
19 2 2 3 3 3 3 4
20 2 2 2 3 3 4 4
21 2 2 2 3 3 4 4
22 2 3 3 3 3 4 4
23 3 3 3 3 3 4 3
24 2 3 3 3 3 4 4
25 2 2 3 3 3 4 4
26 3 3 3 3 4 3 4
27 3 3 3 3 3 4 4
28 2 2 3 3 3 4 5
29 2 2 3 3 3 3 4
30 2 2 2 3 3 4 4
평균 2.35 2.55 2.85 3.05 3.20 3.90 4.10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연 로즈우드의 주요 향취성분에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을 14 중량% 포함할 때, 천연 로즈우드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었고,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4.0이상).
제형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인공 로즈우드 향료 0.05
1,3-부틸렌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기타 향료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한 화장료 중 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인공 로즈우드 향료 0.05
글리세린 5.1
프로필렌글리콜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4.6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란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폴리솔베이트 60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프로필파라벤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기타 향료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인공 로즈우드 향료 0.05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2.1
유동파라핀 5.3
스쿠알란 3.0
밀납 2.6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
폴리솔베이트 6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기타 향료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인공 로즈우드 향료 0.05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에틸 리나로올을 포함하는 향료를 포함한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중량%)
인공 로즈우드 향료 0.05
에틸알코올 3.0
EDTA-2Na 0.02
프로필렌 글리콜 5.1
글리셀린 4.5
카보폴 1.0
폴리옥사이드 0.1
방부제 미량
기타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Claims (9)

  1. 로즈우드(Rosewood) 오일의 향취 성분 및 에틸 리나로올(Ethyl Linalool)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이 리모넨(Limonene), 리나로올 옥사이드(Linalool Oxide), 리나로올(Linalool),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및 테르피네올(Terpineol)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로즈우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은 리모넨, 리나로올 옥사이드, 리나로올, 벤질 벤조에이트 및 테르피네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우드 오일의 향취 성분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리모넨 0.1-1.0 중량%, 리나로올 옥사이드 2.0-3.0 중량%, 리나로올 40.0-80.0 중량%, 벤질 벤조에이트 1.0-5.0 중량% 및 테르피네올 0.01-0.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 리나로올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 리나로올은 상기 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7. 향취 성분으로 상기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향취 성분으로 상기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9. 향취 성분으로 상기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30019070A 2013-02-22 2013-02-22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14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70A KR101514697B1 (ko) 2013-02-22 2013-02-22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70A KR101514697B1 (ko) 2013-02-22 2013-02-22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170A KR20140105170A (ko) 2014-09-01
KR101514697B1 true KR101514697B1 (ko) 2015-05-20

Family

ID=5175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70A KR101514697B1 (ko) 2013-02-22 2013-02-22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6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873A (ko) * 2001-08-08 2008-07-0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조성물
US20090018212A1 (en) * 2005-08-24 2009-01-15 Neuroscent Pty Ltd. Methods of relieving str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873A (ko) * 2001-08-08 2008-07-0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조성물
KR100910728B1 (ko) * 2001-08-08 2009-08-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조성물
US20090018212A1 (en) * 2005-08-24 2009-01-15 Neuroscent Pty Ltd. Methods of relieving st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170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4015A1 (en) Sympathetic-activating perfume composition
Svoboda et al. Lemon scented plants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CN103340217A (zh) 纯天然植物保健香薰的制备方法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2209B1 (ko)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KR101780836B1 (ko) 3,5-디히드록시-2-멘텐일스틸벤, 그것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채취 방법과 그 응용
JP2004067634A (ja) 育毛素材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16869884A (zh) 一种含柠檬果皮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14697B1 (ko) 천연 로즈우드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29921B1 (ko) 천연 정유 및 천연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미스트 조성물
KR101976415B1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02079A (ko) 오미자 추출물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20140054951A (ko)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7683A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alli et al. In vitro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leaf essential oils and extracts of selected indigenous Pelargonium (Geraniaceae) species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41724A (ko) 산자나무 씨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5056B1 (ko) 천연 레몬그라스의 향취를 재현한 피부 자극이 없는 인공향료조성물
KR101964837B1 (ko) 쇄양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şayeva et al. Chemical composition,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otential of essential oil from flowers of Rhaponticoides iconien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