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321B1 -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 Google Patents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321B1
KR101513321B1 KR1020100043785A KR20100043785A KR101513321B1 KR 101513321 B1 KR101513321 B1 KR 101513321B1 KR 1020100043785 A KR1020100043785 A KR 1020100043785A KR 20100043785 A KR20100043785 A KR 20100043785A KR 101513321 B1 KR101513321 B1 KR 10151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anji
aluminum
grid
p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428A (ko
Inventor
이도영
맹관범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4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32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에 구비되는 창호에 있어서, 보다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고, 슬림화의 도모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은,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 및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어 감성(感性)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한지(韓紙);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는, 벽체에 고정된 창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되는 창짝; 및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어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한지(韓紙)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에 설치된 한지창;을 포함하거나,
벽체에 고정된 창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되는 내창 및 외창; 및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어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한지(韓紙)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에 설치된 한지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Korean paper window and fittings with the korean paper}
본 발명은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건축물에 구비되는 창호에 있어서, 보다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고, 슬림화의 도모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주상 복합 건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는 창호가 설치되어 있다. 즉, 미서기 창호의 경우 방이나 거실등의 벽체에 창틀이 구비되고, 상기 창틀에 창짝이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창틀에는 통상 유리(glass)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러한 유리를 통해 방이나 거실의 외부 상황을 살피거나 조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기능성이나 단열성은 좋으나, 외부 미관이 떨어진다.
또한, 종래의 창호는 상기 유리가 단순히 투명 재질로서 창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다 차별화된 감성(感性)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유리 자체가 규사,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등을 고온으로 녹인 후 냉각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친환경 소재로 보기 곤란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유리가 장착되는 창틀의 주 소재가 폴리염화비닐(PVC)로서, 유리를 지탱하기 위해서 일정 이상의 크기(폭(W) 및 높이(H))를 가져야 하므로 슬림(slim)화를 도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고, 슬림화의 도모가 가능한 창호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따뜻함과, 안락감, 친밀감을 자극하여 기존 유리 대비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틀이나 내창의 크기(폭(W) 및 높이(H))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 및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어 감성(感性)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한지(韓紙);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지창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가 설치되는 창짝 또는 내창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지창은, 단창, 안방 이중창, 외부 이중창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고정된 창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되는 창짝; 및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어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한지(韓紙)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에 설치된 한지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에 고정된 창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되는 내창 및 외창; 및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어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는 한지(韓紙)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에 설치된 한지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자부 또는 내창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창짝 또는 내창의 내부에 구비된 격자부 일측에 부착된 전통적 소재인 한지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따뜻함과, 안락감, 친밀감을 자극하여 기존 유리 대비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 폴리염화비닐(PVC)로만 구성되던 창틀 또는 내창이 알루미늄(Al)을 통해 소재의 다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창틀이나 내창의 크기(폭(W) 및 높이(H))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격자 가공 및 조립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5는 겉창이 달려 있지 않은 외겹 창, 즉 단창(單窓)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창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레일(12)상에 창짝(1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창짝(14)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된다. 즉, 실내측에서 사용자의 손과 직접 접촉하는 창짝은 알루미늄(Al) 소재로, 그리고 실외측에서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창짝은 폴리염화비닐(PVC)로서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종래 폴리염화비닐(PVC)로만 구성되던 창틀이 알루미늄(Al)을 통해 소재의 다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창틀의 크기(폭(W) 및 높이(H))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10)이나, 창짝(14)의 알루미늄 표면에 나무무늬 필름을 입힐 경우, 천연나무 느낌을 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창짝(14)의 내부에는 다수의 수평부재(16a)와 수직부재(16b)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16)가 구비되고, 상기 격자부 일측에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지(韓紙)(1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16a) 및 수직부재(16b)는 공지의 격자 가공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격자 조립홈을 가공한 후 격자 조립구를 이용하여 격자를 조립한다.
도 8은 격자 가공 및 조립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격자부(16)의 중앙은 편평한 조립구를 사용하여 격자를 조립하고, 각 모서리부는 'ㄱ'자형 조립구를 사용하여 격자를 조립한다.
상기 한지는 조습성이 우수해 사계절 습도 변화가 큰 국내 기후에 적합하고, 통기성이 좋으며, 유해 공기 및 악취제거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최근 친환경 건축 마감재로서 각광받고 있다.
무엇보다 상기 한지는 전통적인 소재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따뜻함과, 안락감, 친밀감을 자극하여 기존 유리 대비 차별화된 감성 디자인의 구현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6은 이중창 특히, 안방 이중창(내창 이중창)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창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레일(22)상에 내창(24) 및 외창(2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실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내창(24)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소재의 다변화를 통해 내창(24)의 크기(폭(W) 및 높이(H))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창(24)의 알루미늄 표면에 나무무늬 필름을 입힐 경우, 천연나무 느낌을 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창(24)의 내부에는 다수의 수평부재(24a-1)와 수직부재(24a-2)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24a)가 구비되고, 상기 격자부 일측에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지(韓紙)(2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24a-1) 및 수직부재(24a-2)는 전술한 공지의 격자 가공기를 이용하여 격자 조립홈을 가공한 후 격자 조립구를 이용하여 격자를 조립한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 및 도 7은 이중창 특히, 외부 이중창(외창 이중창)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창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레일(32)상에 내창(34) 및 외창(3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실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내창(34)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소재의 다변화를 통해 내창(34)의 크기(폭(W) 및 높이(H))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창(34)의 알루미늄 표면에 나무무늬 필름을 입힐 경우, 천연나무 느낌을 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창(34)의 내부에는 다수의 수평부재(34a-1)와 수직부재(34a-2)가 서로 교차하여 구조체를 이루는 격자부(34a)가 구비되고, 상기 격자부 일측에 감성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지(韓紙)(3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34a-1) 및 수직부재(34a-2)는 상기한 공지의 격자 가공기를 이용하여 격자 조립홈을 가공한 후 격자 조립구를 이용하여 격자를 조립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20,30 : 창틀 12,22,32 : 레일
14 : 창짝 16,24a,34a : 격자부
24,34 : 내창 26.36 : 외창
18,28,38 : 한지

Claims (9)

  1. 창짝에 설치되고 격자 조립홈을 구비한 수평부재와 격자 조립홈을 구비하는 수직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부는 별도의 'ㄱ'자형 조립구에 의하여 조립되는 격자부; 및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는 한지(韓紙);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부는,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소재는 실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창은,
    단창, 안방 이중창, 외부 이중창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
  5. 벽체에 고정된 창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 되는 창짝; 및
    격자 조립홈을 구비한 수평부재와 격자 조립홈을 구비하는 수직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부는 별도의 'ㄱ'자형 조립구에 의하여 조립되는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는 한지(韓紙)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에 설치된 한지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창짝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부는,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소재는 실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
  6. 삭제
  7. 벽체에 고정된 창틀;
    상기 창틀에 설치되어 좌우 슬라이딩되는 내창 및 외창; 및
    격자 조립홈을 구비한 수평부재와 격자 조립홈을 구비하는 수직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며, 결합되는 4개의 모서리부는 별도의 'ㄱ'자형 조립구에 의하여 조립되는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 일측에 부착되는 한지(韓紙)를 포함하고, 상기 창짝에 설치된 한지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창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부는,
    폴리염화비닐(PVC)과 알루미늄(Al)의 복합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소재는 실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
  8. 삭제
  9.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창은,
    단창, 안방 이중창, 외부 이중창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창을 구비한 창호.
KR1020100043785A 2010-05-11 2010-05-11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13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85A KR101513321B1 (ko) 2010-05-11 2010-05-11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85A KR101513321B1 (ko) 2010-05-11 2010-05-11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28A KR20110124428A (ko) 2011-11-17
KR101513321B1 true KR101513321B1 (ko) 2015-04-20

Family

ID=4539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85A KR101513321B1 (ko) 2010-05-11 2010-05-11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197A (ko) 2021-07-08 2023-01-17 김경림 한지 유리 창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514B1 (ko) * 2019-10-08 2022-08-26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63Y1 (ko) * 1996-08-02 1999-06-15 이기주 창호지 부착용 창테 맞춤새
KR100231915B1 (ko) * 1996-11-27 1999-12-01 공길상 주택의 내부 출입용 방음한지문 제조 및 설치방법
KR200309078Y1 (ko) * 2002-12-31 2003-03-29 지 형 조 창문의 열손실 차단판
JP2004308171A (ja) * 2003-04-03 2004-11-04 Tostem Corp 開口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63Y1 (ko) * 1996-08-02 1999-06-15 이기주 창호지 부착용 창테 맞춤새
KR100231915B1 (ko) * 1996-11-27 1999-12-01 공길상 주택의 내부 출입용 방음한지문 제조 및 설치방법
KR200309078Y1 (ko) * 2002-12-31 2003-03-29 지 형 조 창문의 열손실 차단판
JP2004308171A (ja) * 2003-04-03 2004-11-04 Tostem Corp 開口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197A (ko) 2021-07-08 2023-01-17 김경림 한지 유리 창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428A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508B1 (ko) 단열 창호
KR101513321B1 (ko) 한지창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6483347B2 (ja) 建物
JP608618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21167564A (ja) 建物
KR101387470B1 (ko)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6403531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断熱改修方法
JP5299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110036397A (ko) 커튼 웰 시스템 창호용 보조문
JP5355535B2 (ja) 建具および建具の施工方法
JP6548252B2 (ja) 窓構造体
JP490749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6137630B2 (ja) 韓紙窓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戸
JP4338197B2 (ja) サッシ框
JP5308239B2 (ja) 集合住宅の玄関の採光構造
CN216924640U (zh) 一种采用磁吸式安装的洁净室铝合金百叶风口
JP6286799B2 (ja) ドア
JP4791127B2 (ja) 収納室付き建物
JPH08177318A (ja) 引違い窓の窓枠
JP3635025B2 (ja) 透光性・透視性を有する断熱日射遮蔽板及びそれを構成する断熱板並びに断熱日射遮蔽装置
KR20100137040A (ko) 단열창문
KR200331493Y1 (ko) 2중 철재판을 가진 문틀
JP5586276B2 (ja) 建物の間仕切壁構造
CN206071353U (zh) 一种隔音隔热节能的内开内倒窗
JP3148083B2 (ja) 面格子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