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82B1 -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 Google Patents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82B1
KR101512482B1 KR1020130125613A KR20130125613A KR101512482B1 KR 101512482 B1 KR101512482 B1 KR 101512482B1 KR 1020130125613 A KR1020130125613 A KR 1020130125613A KR 20130125613 A KR20130125613 A KR 20130125613A KR 101512482 B1 KR101512482 B1 KR 10151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lactobacillus plantarum
activity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동
김기성
도정룡
조성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억제능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Q180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비만억제능이 우수하고,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생장억제 활성이 있으며, 담즙내성과 강한 내산성을 가진다. 또한, 탈지유에서 우수한 산 생성 발효특성을 나타내므로, 발효유제품 제조를 위한 발효스타터 균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Novel Strains of Lactobacillus plantarum Q180 with Anti-Obesity Ability}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Q180 균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유 제조에 적합한 비만억제능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Q180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당질이나 지질 등의 에너지원이 생체 조직, 특히 피하 지방 조직이나 장기 주변 조직의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으로서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결과, 체중이 골격계 혹은 생리 기능의 한계를 넘어서 증가한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장간막 등의 내장 주위에 축적되는 내장 지방조직은 당질대사나 지질대사의 이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심혈관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증, 당뇨병, 지방간 등의 생활 습관병으로 진전하는 경우도 있다. 비만의 치료방법은 크게 식이-운동요법, 수술 요법 및 약물 요법이 있다. 식이-운동 요법은 저칼로리-저지방 섭취와 산소를 소비하는 육체의 활동을 통한 치료 방법인데, 이는 인내심을 가지고 반복적,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중적인 효과를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수술요법은 외과적 수술을 통해 체지방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술을 해야 하는 점, 효과의 지속성이 없다는 점,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 등 때문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약물 요법은 식욕 감소를 유발하거나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약제들을 이용해서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최근에는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가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제(pancreatic lipase inhibitor)이다.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를 2-모노아실글리세롤(2-monoacylglycerol)과 지방산(fatty acid)으로 분해하는 핵심 효소로 작용한다[Bitou, N., M. Nimomiya, T. Tsjita and H. Okuda. 1999. Screening of lip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Lipids 34, 441-445]. 대표적인 췌장 지방분해소 저해제는 Streptomyces toxitricini로부터 유래된 lipstatin의 유도체인 tetrahydrolipstatin (Orlistat)으로서 섭취된 지방의 약 30%를 저해할 정도로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Drent, M. L., et al., 1995. Orlistat (RO 18-0647), a lipase inhibitor, in the treatment of human obesity: a multiple dose study. Int. J. Obes. 19, 221 -226.], 현재 의약품으로도 시판중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tetrahydrolipstatin은 위장장애, 과민증, 담즙분비장애, 지용성 비타민 흡수억제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작용이 없는 식품 및 천연물로부터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산균은 통상 소비하는 당에 대하여 약 50% 이상의 유산을 대사산물로 생성하는 세균을 의미하는 것으로, 글루코오스로부터 다량의 유산을 생성하면서 식품이나, 사람과 동물의 장내에서 인체에 해로운 물질, 예컨대, 인돌(indole), 스카톨(skatole), 페놀(phenol), 아민(amine), 암모니아과 같은 물질을 생성하지 않고 부패를 방지하는 등의 유익한 작용을 하는 세균을 개념적으로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유산균은 오래 전부터 발효유, 유산균 음료, 발효 버터 등의 유제품 등의 식품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고 있으나, 유산균 자체도 정장효과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건강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9661호에는 혈중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균주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8260호에는 비피도박테리움의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0015호에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존소니 균주가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96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82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0015호
본 발명자들은 비만억제능이 뛰어난 젖산균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분변으로부터 비만억제능이 매우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Q180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이 균주의 발효제품에 대한 응용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 젖산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 균주는 젖산균으로서 분변에서 분리하였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스크리닝 및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미생물의 동정은 미생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졌다.
미생물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의 신규 미생물은 성인분변에서 분리되었으며, 펩톤(peptone) 희석액으로 희석하여 NaN3를 첨가한 변형 MRS배지(하기 실시예 1의 표 1 참조)에 0.1 ㎖ 씩 평면도말법으로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고 각 균락을 변형 MRS배지에서 순수 분리한 다음 노란색으로 변한 균락을 잠정적 젖산균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전기 변형 MRS 배지에 도말한 후, 호기 배양하여 순수분리 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를 동정한 결과, 균주는 그람 양성의 간균이며, 산소유무와 상관없이 잘 생장하고 카탈라아제와 운동성에 대해서는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5℃와 45℃에서 생장하지 않았으며, 글루코오스(glucose)로부터 가스와 알기닌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지 않아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genus)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종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49종의 당 발효 시험을 실시한 결과, 글루코스 등 26종의 당으로부터 산을 생성하였고(하기 실시예의 표 3 참조), ATB 동정시스템에 입력하여 조사한 결과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Gene Sequence)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도 1)가 일치되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인 것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성인분변에서 분리한 비만억제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Q180로 명명하고, 2013년 10월 1일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수탁번호 KACC 91865P로 기탁하였다.
미생물의 생장
생균수와 pH를 측정하여 본 발명 젖산균의 생장을 시험한 결과, 생장최적온도는 40℃이었다.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시험을 위해 항생제 존재하에서 생장여부를 관찰하여 항생제의 최저억제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을 측정한 결과, 폴리마이신과 반코마이신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반면 겐타마이신, 페니실린, 노보바이오신에 감수성이 높았다. (하기 실시예 표 4 참조).
효소 활성
분리한 본 발명 젖산균에 대한 효소활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은 β-갈락토시다제 및 N-아세칠-β-글루코스아민니다제에서 효소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담즙내성 및 pH 내성
본 발명 젖산균을 MRS 배지에서의 성장을 시험하여 담즙에 대한 내성을 측정한 결과, 7 시간 배양 후 담즙을 첨가하지 않을 때와 첨가할 때와는 0.2 log의 차이로 약간 억제를 받기는 하나 담즙에 대한 충분한 내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H 내성을 시험한 결과, 대조구 pH인 6.4에 비해 강산인 pH 2에서 조차도 거의 생장에 영향을 받지 않음에 따라 강한 내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균력
항균력 시험에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이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해 56.5%의 억제력을 보였고, 스테피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48.5% 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는 34.7%로서 다른 식중독균에 비해 약간 억제력이 낮았다.
비만억제활성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MD366 균주는 우수한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분화 활성 실험에서 우수한 항-지방세포분화활성(anti-adipogenic activity)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는 췌장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비만억제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가 접종된 발효기질을 포함하는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젖산균은 발효 출발 물질의 스타터(starter) 균주로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기질은 우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가 포함된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가 포함된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만억제능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Q180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비만억제능이 우수하고,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생장억제 활성이 있으며, 담즙내성과 강한 내산성을 가진다. 또한, 탈지유에서 우수한 산 생성 발효특성을 나타내므로, 발효유제품 제조를 위한 발효스타터 균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성인분변에서 분리된 Q180 균주의 계통수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의 지방세포분화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Q180에 대해 10% 탈지분유를 사용하여 34℃, 37℃ 및 40℃에서 24시간 동안 생장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Q180에 대해 10% 탈지분유를 사용하여 34℃, 37℃ 및 40℃에서의 24시간 동안 배지에서의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Q180의 담즙내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Q180의 탈지유에서의 발효 특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미생물의 분리
시료로 사용된 원유와 성인분변을 수거하여 브롬크레졸 퍼플(Bromcresol purple)과 소듐아자이드(sodium azide)를 첨가한 변형 MRS 배지(표 1 참조)에 0.3 ㎖씩 평면도말법으로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각각의 균락을 상기한 변형 MRS 배지에서 순수분리하고, 노란색으로 변한 균락을 잠정적 젖산균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상기 변형 MRS 배지에 3회 백금이로 도말한 후 호기배양 하여 순수분리 하였다. 하기 표 1은 미생물 분리에 사용된 변형 MRS 배지의 조성을 나타낸다.
성분 성분비(g/l)
프로테오스 펩톤 #3 10.0
쇠고기 추출물 10.0
효모 추출물 5.0
락토오스 20.0
트윈 80 1.0
암모늄 시트레이트 2.0
소디움 아세테이트 5.0
마그네슘 설페이트 0.1
망간 설페이트 0.05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2.0
소듐 아자이드 0.25
브롬크레졸 퍼플 0.04
실시예 2: 비만억제능 젖산균주 선발
원유에서 분리한 1,272개 균주와 분변에서 분리한 269개 균주 중 돼지 췌장지방분해효소(porcine pancreatic lipase)를 이용하여 지방분해효소(lipase) 활성저해 정도를 측정하여 지방분해 억제활성(anti-lipase activity)이 65% 이상인 4개 균주를 먼저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4개의 균주를 10% 탈지분유(skim milk) 용액에 1% 접종하고 37℃에서 배양한 후 얻어진 배양액을 동결건조한 다음 3T3-L1 세포주에 100㎍/ml 농도를 첨가하여 이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및 지방축적(adipogenesis)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지방분화 유도활성(adipogenic activity)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다음 표 2와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95097648-pat00001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된 젖산균 Q180 균주는 지방분해억제율이 83.61%이고, 지방분화율이 85.37%로서 다른 균주에 비해 가장 비만억제 능력이 우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고 이 균주를 선발하였다.
실시예 3: 미생물의 동정
미생물의 분류학적 동정은 Hammes 등[The prokaryotes, 1563-1578, 2nd Edition, Springer-Verlag Co.(1992)]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는 모두 그람 양성, 간균이었으며, 산소유무와 상관없이 잘 생장하였고, 카탈라아제와 운동성은 음성이었다. 또한, 15℃와 45℃에서는 생장하지 않았으며 포도당(glucose)으로부터 가스(gas)와 알기닌(arginine)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지 않아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genus)에 속하는 균임을 확인하였다. 종(species)을 동정하기 위하여 API 50CHL kit(API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49종의 당발효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글루코스 등 26종으로부터 산을 생성하였고, ATB 동정시스템에 입력하여 조사한 결과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도 1)가 일치되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성인분변에서 분리한 비만억제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Q180으로 명명하고, 2013년 10월 1일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수탁번호 KACC 91865P로 기탁하였다.
아래 표 3은 본 발명 신규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의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그램 반응
세포 형태
포자 형성
운동성
호기적 성장
혐기적 성장
카탈라제 반응
15℃에서 성장
45℃에서 성장
포도당으로 부터 가스생성
알기닌으로 부터 암모니아 생성
+
rod
-
-
+
+
-
-
-
-
-
당이용 능력
글리세롤
에리티톨
D-아라비노스
L-아라비노스
리보스
글루코스
프락토스
만노스
소르보스
람노스
둘시톨
이노시톨
만니톨
솔비톨
α-메칠-D-만노사이드
α-메칠-D-글루코사이드
N 아세칠 글루코스아민
아미그달린
아르부틴
에스쿨린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스
락토스
멜리비오스
-
-
-
+
+
+
+
+
-
+
-
-
+
-
+
-
+
+
+
+
+
+
+
+
+
D-사이로스
L-사이로스
아도니톨
β-메칠-D-사이로사이드
갈락토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이눌린
멜레지토스
라피노스
스타치
글리코겐
실리톨
겐티오비오스
D-투라노스
D-라이소스
D-타가토스
D-후코스
L-후코스
D-아라비톨
L-아라비톨
글루코네이트
2-케토-글루코네이트
5-케토-글루코네이트
-
-
-
-
+
+
+
-
+
+
-
-
-
+
+
-
-
-
-
+
-
+
-
-
실시예 4: 미생물의 생장시험
젖산균의 생장은 생균수 및 pH를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생균수는 10% 탈지분유 150㎖에 젖산균을 1 ㎖용 피펫으로 1 방울 접종한 후 34℃, 37℃, 40℃에서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까지 배양한 각 시료를 0.1% 펩톤용액에 희석하여 BCP plate count agar 평판에서 부어 굳힌 후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계수하였고, 온도 및 시간별로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젖산균 생장 최적온도는 40℃이었다.
실시예 5: 항생제 내성시험
항생제 내성시험은 트립틱 소이 브로스(tryptic soy broth, Difco, USA)를 사용하여 2배 희석방법에 의해 생장여부를 관찰하여 최저억제농도(MIC) 값을 정하였으며, 측정한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4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의 항생제 감수성을 측정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항생제 최저억제농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아미카신 40
겐타마이신 10
가나마이신 100
네오마이신 25
스트렙토마이신* 200
β-락탐계
페니실린-G* 10
메치실린 40
옥사실린 30
암피실린 320
그램-양성 스펙트럼
바시트라신* 15
리팜피신 960
노보바이오신 7.5
린코마이신 12.5
그램-음성 스펙트럼
폴리마이신B* 1200
광범위 스펙트럼
클로람페니콜 40
반코마이신* 1600
* : units/㎖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은 타 계열의 항생제에 비해 폴리마이신과 반코마이신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반면 겐타마이신, 페니실린, 노보바이오신에 감수성이 높았다.
실시예 6: 효소활성시험
효소활성시험은 MRS 액체배지에서 37℃, 18시간 동안 배양한 균주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105 - 106 cfu/㎖ 수준의 시료를 조제한 후, API ZYM 키트(API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37℃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효소반응을 시켰다. 효소활성은 표준색상표를 비교하여 0-5의 수치로 표시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의 효소활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효 소 효소활성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에스테라제(C4)
에스테라제 리파제(C8)
리파제(C14)
류신 아릴아미다제
발린 아릴아미다제
시스틴 아릴아미다제
트립신
카이모트립신
산 포스파타제
나프톨-AS-BI-포스포하이드로라제
α-갈락토시다제
β-갈락토시다제
β-글루쿠로니다제
α-글루코시다제
β-글루코시다제
N-아세칠-β-글루코스아민니다제
α-만노시다제
β-푸코시다제
1
2
2
1
3
2
2
1
1
1
3
2
4
1
3
1
4
3
2
*: 0에서 5까지 단계별로 표준색이 명시되어 있으며, 0은 음성이고 5는 최대의 강도를 나타낸다. 1은 5 나노몰(nanomoles), 2는 10 나노몰, 3은 20 나노몰, 4는 30 나노몰, 5는 40 나노몰 이상의 효소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은 β-갈락토시다제 및 N-아세칠-β-글루코스아민니다제에서 효소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7: 담즙내성시험
담즙내성시험은 길리랜드와 월커의 방법(Gilliland & Walker, J. Dairy Sci., 73, 905, 1990)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7 시간 배양 후 담즙을 첨가하지 않을 때와 첨가할 때와는 0.2 log의 차이로 약간 억제를 받기는 하나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pH 내성시험
pH 내성 시험은 클라크 등의 방법(Clark et al., Cultured Dairy Products J., 28(4), 11, 1993)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6에는 염산용액에서 3 시간 후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 내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배양시간(hr) pH 2 pH 3 pH 4 pH 6.4
0 7.61 7.63 7.46 7.37
1 7.64 7.64 7.56 7.45
2 7.66 7.65 7.68 7.56
3 7.70 7.69 7.70 7.75
단위: CFU per ㎖ (Log number)
상기 표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대조구 pH인 6.4에 비해 강산인 pH 2에서 조차도 생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에 따라 매우 강한 내산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항균력 시험
항균력 시험은 길리랜드와 스펙(Gilliland & Speck, J. Food Prot., 40(12), 820, 1977)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7은 MRS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 식중독균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식중독균 생 장
식중독균a L. plantarum Q180*,a 억제율(%)
CFU/㎖ pH CFU/㎖ pH
Escherichia coli 2.0×108 6.44 8.7×107 5.60 56.5
Salmonella typhimurium 7.2×106 6.42 4.7×106 5.53 34.7
Staphyloccous aureus 3.3×108 6.44 1.7×108 5.56 48.5
* L. plantarum Q180의 초기 수 : 3.6 X 106 CFU/㎖
a 37℃에서 6시간 배양 후 측정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이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해 56.5%의 억제력을 보였고, 스테피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48.5% 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는 34.7%로서 다른 식중독균에 비해 약간 억제력이 낮았다.
실시예 10: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L. plant arum) Q180 균주의 제품적용을 위한 pH 변화 측정
본 발명의 균주가 발효유 스타터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을 탈지유에 배양하면서 시험에 사용하였다. 탈지유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Q180을 1.0%씩 접종하고 37℃에서 3시간 별로 24시간까지 배양한 후의 pH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탈지유에서 발효가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젖산균은 발효유의 스타터 균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865P 20131001

Claims (5)

  1.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억제활성 및 항-지방세포분화활성(anti-adipogenic activity)을 갖는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
  2. 삭제
  3.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억제활성 및 항-지방세포분화활성(anti-adipogenic activity)을 갖는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가 접종된 발효기질을 포함하는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
  4. 제 3 항의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로서, 췌장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 억제활성 및 항-지방세포분화활성(anti-adipogenic activity)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Q180 (수탁번호: KACC 91865P) 균주가 포함된 발효물.
  5. 제 4 항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30125613A 2013-10-21 2013-10-21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KR10151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613A KR101512482B1 (ko) 2013-10-21 2013-10-21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613A KR101512482B1 (ko) 2013-10-21 2013-10-21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82B1 true KR101512482B1 (ko) 2015-04-16

Family

ID=5305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613A KR101512482B1 (ko) 2013-10-21 2013-10-21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829B1 (ko) 2015-06-08 2016-04-14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bt sl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8242B1 (ko) 2018-11-30 2019-04-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06366B1 (ko) *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180A (ko) * 2002-09-27 2004-04-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발효 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3478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항비만 및 뇌기능개선 관련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는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
KR20110120780A (ko) * 2010-04-29 2011-11-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acillus subtilis sp. 균주에 의한 항비만 기능성 발효두유
KR20120128260A (ko) * 2011-05-17 2012-11-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180A (ko) * 2002-09-27 2004-04-01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유산균발효 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3478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항비만 및 뇌기능개선 관련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는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
KR20110120780A (ko) * 2010-04-29 2011-11-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acillus subtilis sp. 균주에 의한 항비만 기능성 발효두유
KR20120128260A (ko) * 2011-05-17 2012-11-2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829B1 (ko) 2015-06-08 2016-04-14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cbt sl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8242B1 (ko) 2018-11-30 2019-04-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06366B1 (ko) * 2022-08-16 2023-03-09 (주)지에이치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jayakumar et al. In-vitro assessment of the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C-24 isolated from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forage
DK1859022T3 (en) New acid tolerant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with the ability to inhibit growth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antiallergic effect
EP1743042B1 (en)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exhibiting probiotic properti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20170015688A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45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06738A (ko) 유산균을 이용한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산양삼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993617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110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08586B1 (ko)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휘칼리스 md366 균주
KR101512482B1 (ko)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q180 균주
Park et 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Q180 isolated from feces
KR101471033B1 (ko)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웨이젤라 에스피 f22 균주
KR101512481B1 (ko)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fh185 균주
Xu et al. Probiotic activity of ropy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NA isolated from Chinese northeast sauerkraut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its live and heat-killed cell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RAW 264.7 macrophage stimulation
KR101451810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KR101996080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9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2021010693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63024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5992073B (zh) 一株可转化鞣花单宁调控线粒体自噬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KR101477228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 균주
KR101068524B1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럼 μ23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유 및이의 제조방법
Kim et al. Characterization of lactic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raw milk
KR2017004519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0367B1 (ko)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rcm1033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12981B1 (ko) 산양유가 함유된 면역증진용 프로바이오틱스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0441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02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