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47B1 -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47B1
KR101512447B1 KR1020130146048A KR20130146048A KR101512447B1 KR 101512447 B1 KR101512447 B1 KR 101512447B1 KR 1020130146048 A KR1020130146048 A KR 1020130146048A KR 20130146048 A KR20130146048 A KR 20130146048A KR 101512447 B1 KR101512447 B1 KR 10151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ameter
main shaft
connector
variabl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김명윤
김희일
김정동
김시만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체가 통과하는 파이프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직경의 확장을 통해 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직경의 축소를 통해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변셔터와; 상기 가변셔터의 직경을 조절시키는 직경조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직경조절부에 동력을 인가하여 직경조절부로 하여금 가변셔터를 동작시키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가변셔터의 직경 변화를 통해 유량조절이 수행됨으로써, 유체의 유동저항이 작아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닫힌 상태에서의 밀폐력이 우수하여 유량제어 성능이 뛰어나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이 거의 없고, 양방향 사용이 가능하므로 배관작업시 장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Flow control valve having Link structure}
본 발명은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를 통과하는 각종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한 밸브 중 글로브밸브는 밸브의 개폐속도가 빠르며 저유량 제어시 또는 저개도 운전시의 캐비테이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글로브밸브는, 보통 구형태의 밸브하우징을 가지며,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일직선상에 있고, 하우징내 유체가 S자 모양으로 흐르게 되는 밸브이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유동구를 갖는 수평의 디스크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시트의 상부에는 디스크가 승강 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디스크는 외부에서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하강하여 유동구를 차단하거나 상승하여 개방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글로브밸브는, 유입한 유체가 수평의 디스크시트의 저면에 먼저 부딪힌 후 유동구를 통과하므로, 디스크시트의 하부에 와류가 형성되고 디스크시트의 뒷쪽에 배압공간이 발생하여, 유체의 흐름이 원활치 않고 진동과 소음이 심하며 밸브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24395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글로브밸브는,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트림하우징과, 상기 트림하우징에 지지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토오크에 의해 진퇴운동하며 출구를 개폐하는 트림과, 상기 트림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오크를 트림으로 전달하는 가이드바, 링크아암, 무빙가이더부 등의 부품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글로브밸브는 구성부품이 많아 내부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구성 부품이 많으므로 그만큼 고장발생확률이 높고, 부품의 마모시 동력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유체의 차단성능이 좋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하우징내에 설치된 가변셔터의 직경 변화를 통해 유량조절이 수행됨으로써, 유체의 유동저항이 작아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닫힌 상태에서의 밀폐력이 우수하여 유량제어 성능이 뛰어나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이 거의 없고, 양방향 사용이 가능하므로 배관시 설치가 편리한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는, 유체가 통과하는 파이프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직경의 확장을 통해 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직경의 축소를 통해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변셔터와; 상기 가변셔터의 직경을 조절시키는 직경조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직경조절부에 동력을 인가하여 직경조절부로 하여금 가변셔터를 동작시키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셔터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부에 위치하며 그 일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되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나사산에 치합한 상태로 메인샤프트의 축회전시 고정디스크에 대해 진퇴하는 가동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에 그 일단부가 핀 연결되며 회동 가능한 다수의 제 1회동바와, 상기 제 1회동바의 연장단부에 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가동디스크에 그 일단부가 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핀연결되고, 상기 가동디스크의 진퇴운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 2회동바와, 상기 제 1회동바와 제 2회동바와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감싸 그 내부에 포함하는 차단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는 메인샤프트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각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디스크와 가동디스크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2회동바는 동일한 길이의 막대형 부재로서 그 사이각은 180도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조절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연장단부에 핀연결되며 그 중앙부에 지지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동디스크가 고정디스크측으로 이동하여 제1,2회동바의 사이각이 줄어듦에 따라 하우징의 내주면측으로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시트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간의 간격을 등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가동디스크의 이동에 따라 직경이 변화하는 지지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링은; 부분 원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양단부에 상기 커넥터의 지지핀을 통과시키는 핀구멍을 가지고, 상기 메인샤프트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수의 제 1링편과, 상기 제 1링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 1링편과 동일한 곡률의 부분원호의 형태를 취하고, 제 1링편에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상기 제 1링핀의 핀구멍을 통과한 지지핀을 통과시키는 슬릿을 갖는 제 2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경조절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연장단부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며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샤프트를 축회전시키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한 상태의 가변셔터를 지지하여, 수압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디스크와 가동디스크는 상호 대향하는 일정직경의 디스크형 부재로서, 대향면에는 상기 차단시트의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차단시트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가변셔터의 직경 변화를 통해 유량조절이 수행됨으로써, 유체의 유동저항이 작아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닫힌 상태에서의 밀폐력이 우수하여 유량제어 성능이 뛰어나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발생이 거의 없고, 양방향 사용이 가능하므로 배관작업시 장착이 편리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의 전제적인 구조와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가변셔터를 일부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가변셔터내의 골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5b는 도 4에 도시한 지지링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회동바와 디스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11)의 전제적인 구조와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11)는, 일정내경의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는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의 내부공간(13c)에 설치되며 그 직경 조절을 통해 하우징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가변셔터(19)와, 상기 가변셔터(19)를 동작시키는 직경조절부와; 상기 하우징(13)의 외부에 설치되는 손잡이(15)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3)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관형 부재로서 양단부에 유입부(13a) 및 유출부(13b)를 갖는다. 상기 유입부(13a) 및 유출부(13b)는 외부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연결부이다.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의 형상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셔터(19)는 차단시트(도 3의 33)로 뒤집어 씌워진 부분으로서 그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가변셔터(19)의 직경이 확장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우징(13)의 내벽면에 접하면 유동통로가 가변셔터(19)에 막혀 유체의 유동이 차단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변셔터(19)의 직경이 줄어들면, 가변셔터(19)와 내벽면의 사이 공간으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이와같은 가변셔터(19)의 직경은 후술할 가동디스크(3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아지고, a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확장된다. 가동디스크(31)가 화살표 a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가변셔터(19)의 외주면이 하우징(13)의 내벽면에 접하여 유체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가동디스크(31)의 이동은 후술할 직경조절부와 손잡이(15)에 의해 구현된다. 결국 손잡이(15)를 회전시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상기 가변셔터(19)의 세부 구성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가변셔터를 일부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가변셔터내의 골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변셔터(19)는, 하우징(13)의 중심축부에 위치하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일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샤프트(21)와, 상기 메인샤프트(21)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도 1의 27)과, 상기 메인샤프트(21)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길이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디스크(29)와, 상기 고정디스크(29)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상기 나사부(21a)에 치합하는 가동디스크(31)와, 상기 고정디스크(29)에 그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제 1회동바(35)와, 상기 제 1회동바(35)의 연장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39)와, 상기 가동디스크(31)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넥터(39)에 링크되는 제 2회동바(37)와, 상기 제 1회동바(35)와 제 2회동바(37)와 커넥터(39)를 뒤집어 씌우고 전체적으로 감싸는 차단시트(33)를 갖는다.
상기 메인샤프트(21)는 하우징(13)의 중심축부에 설치되는 환봉으로서 프레임(27)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다. 상기 메인샤프트(21)의 회전중심축과 하우징(13)의 내부 중심축선은 일치한다. 상기 메인샤프트(21)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27)은 하우징(13)의 내벽면에 지지되며 베어링(25)을 통해 메인샤프트(21)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27)에 의해 메인샤프트(21)는 그 자리에서 양방향 축회전만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디스크(29)는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원판형 부재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심부에 관통구멍(29a)을 갖는다.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회동바와 디스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고정디스크(29)는 일정직경의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측면에 보스부(29c)를 갖는다. 상기 보스부(29c)는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부분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 배치된 다수의 힌지장착구(29d)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보스부(29c)의 중심에는 메인샤프트(21)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29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21)는 관통구멍(29a)을 통과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지만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는 못한다. 이를 위하여 관통구멍(29a)의 내부에 스토퍼 등을 추가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힌지장착구(29d)에는 힌지(43)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힌지(43)는 각 힌지장착구(29d)에 결합한 상태로 제 1회동바(3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43)에는 핀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구멍(43a)은 제 1회동바(35)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힌지연결부(35a)의 핀구멍(35b)에 맞추어진 상태로 링크용 핀(미도시)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 1회동바(35)는 핀구멍(43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스부(29c)의 외측부에는 차단시트고정홈(29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시트고정홈(29b)은 그 중심에 보스부(29c)를 둔 링형 홈으로서 그 내부에 차단시트(33)의 일단부 테두리부를 수용 고정한다.
상기 고정디스크(29)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가동디스크(31)는, 고정디스크(29)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되 다만 상기 관통구멍(29a) 대신 암나사구멍(31a)을 갖는다. 상기 암나사구멍(31a)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상기 메인샤프트(21)의 나사부(21a)에 치합한다.
상기 가동디스크(31)에는 제 2회동바(37)가 연결되는데, 가동디스크(31)에 대한 제 2회동바(37)의 연결 구조는, 상기한 고정디스크(29)의 경우와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회동바(35)와 제 2회동바(37)는 동일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막대형 부재로서, 각각의 일단부가 고정디스크(29) 및 가동디스크(31)에 링크된 상태로, 타단부는 연결핀(51)을 통해 커넥터(39)에 링크된다.
상기 커넥터(39)는 상기 제 1,2회동바(35,37)의 타단부를 상대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재로서 중앙에 지지핀(39b)을 갖는다. 상기 지지핀(39b)은 커넥터(39)에 일체를 이루는 일정직경의 막대형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한 핀구멍(41d)과 슬릿(41c)을 동시에 통과한다.
다시 도 3,4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디스크(29)와 가동디스크(31)가 이격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상기한 제 1,2회동바(35,37) 및 커넥터(39)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회동바(35)는, 그 일단부가 고정디스크(29)에 링크된 상태로 메인샤프트(21)의 원주방향으로 등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회동바(35)는 회동운동에 따라 메인샤프트(21)로부터 벌어지거나, 메인샤프트(21)측으로 근접한다. 이는 마치 우산을 펴거나 접을 때의 우산살을 연상케 한다.
상기 제 2회동바(37)는 제 1회동바(35)에 일대일 대응하며, 제 1회동바(35)와 마찬가지로 메인샤프트(21)로부터 멀어지거나 메인샤프트(21)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운동 한다. 상기한 제 1,2회동바(35,37)의 회동운동은 가동디스크(31)의 화살표 a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이동에 의한 것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 1회동바(35)와 제 2회동바(37)의 사이에는 지지링(41)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링(41)은 커넥터(39)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커넥터(39)와 커넥터(39)의 간격이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줄어들도록 구속하여, 제 1회동바(35) 및 제 2회동바(37)의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a, 5b는 도 4에 도시한 지지링(41)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지지링(41)의 직경이 최대한 확장된 모습이고, 도 5b는 직경이 최소화된 모습니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링(41)은, 부분 원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양단부에 상기 커넥터(39)의 지지핀(39b)을 통과시키는 핀구멍(41d)을 가지는 네 개의 제 1링편(41a)과, 상기 제 1링편(41a)의 사이 사이에 위치하며 제 1링편(41a)과 일부 겹쳐지는 네 개의 제 2링편(4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링편(41b)은 제 1링편(41a)과 동일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슬릿(41c)을 갖는다. 상기 슬릿(41c)은 핀구멍(41d)을 통과한 지지핀(39b)을 통과시키는 장공으로서, 제 2링편(41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결국 상기 커넥터(39)의 지지핀(39b)은 핀구멍(41d)과 슬릿(41c)에 끼워진 상태로, 제 1,2회동바(35,37)의 회동시, 슬릿(41c)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 4의 화살표 b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지지핀(39b)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링(41)의 직경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13)의 내주면에 한 쌍의 밀림방지턱(17)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밀림방지턱(17)은 하우징(13)의 내벽면에 고정된 돌출부로서 두 개가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밀림방지턱(17)의 사이는 지지홈(18)으로서 가변셔터(19)의 최외곽부를 수용한다.
즉, 상기 가변셔터(19)의 직경이 최대로 확장되었을 때의 최외곽 외주면이 상기 지지홈(18)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가변셔터(19)가 밀림방지턱(17)에 지지됨으로써, 하우징(13)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셔터(19)가 밀리지 않는다.
상기 가변셔터(19)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직경조절부는, 상기 손잡이(15)에 고정되며 하우징(13)의 내부로 연장된 구동축(15a)과, 상기 구동축(15a)의 연장단부에 고정된 구동기어(15b)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고정되며 구동깅(15b)와 치합하는 종동기어(2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15b)와 종동기어(23)는 베벨기어로서 손잡이(15)를 통해 입력된 회전토오크를 메인샤프트(21)로 전달하여 가동디스크(31)의 직선운동을 유도해 가변셔터(19)의 직경을 조절케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 구조형 유량조절밸브(11)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손잡이(15)를 돌려 가동디스크(31)를 화살표 a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키면, 상기 제 1,2회동바(35,37)의 작용에 의해, 가변셔터(19)의 직경이 확장되고 가변셔터(19)의 외주면이 상기 밀림방지턱(17) 사이의 지지홈(18)내에 삽입되어, 하우징(13)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해, 손잡이(1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동디스크(31)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 1,2회동바(35,37)의 사이각이 벌어지고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변셔터(19)의 직경이 축소된다. 당연히 가변셔터(19)의 외주면은 지지홈(18)으로부터 나와, 가변셔터(19)와 하우징(13) 내벽면 사이로 유체를 통과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밸브(11)는 가변셔터(19)의 형상이 전후방향으로 대칭이므로, 거꾸로 설치해도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도 1의 유출부(13b)를 유입부로, 유입부(13a)를 유출부로 정하여 배관해도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유량조절밸브 13:하우징 13a:유입부
13b:유출부 13c:내부공간 15:손잡이
15a:구동축 15b:구동기어 17:밀림방지턱
18:지지홈 19:가변셔터 21:메인샤프트
21a:나사부 23:종동기어 25:베어링
27:프레임 29:고정디스크 29a:관통구멍
29b:차단시트고정홈 29c:보스부 29d:힌지장착구
31:가동디스크 31a:암나사구멍 33:차단시트
35:제 1회동바 35a:힌지연결부 35b:핀구멍
37:제 2회동바 39:커넥터 39b:지지핀
41:지지링 41a:제 1링편 41b:제 2링편
41c:슬릿 41d:핀구멍 43:힌지
43a:핀구멍 51:연결핀

Claims (9)

  1. 유체가 통과하는 파이프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직경의 확장을 통해 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직경의 축소를 통해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체를 통과시키는 가변셔터와;
    상기 가변셔터의 직경을 조절시키는 직경조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직경조절부에 동력을 인가하여 직경조절부로 하여금 가변셔터를 동작시키게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셔터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부에 위치하며 그 일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되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에 대해 이격 배치되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나사산에 치합한 상태로 메인샤프트의 축회전시 고정디스크에 대해 진퇴하는 가동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에 그 일단부가 핀 연결되며 회동 가능한 다수의 제 1회동바와,
    상기 제 1회동바의 연장단부에 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가동디스크에 그 일단부가 핀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커넥터에 회동 가능하게 핀연결되고, 상기 가동디스크의 진퇴운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 2회동바와,
    상기 제 1회동바와 제 2회동바와 커넥터를 전체적으로 감싸 그 내부에 포함하는 차단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한 상태의 가변셔터를 지지하여, 수압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는 메인샤프트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각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디스크와 가동디스크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회동바는 동일한 길이의 막대형 부재로서 제 1회동바와 제 2회동바의 사이각은 180도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조절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연장단부에 핀연결되며 제 1회동바와 제 2회동바의 중앙부에 지지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동디스크가 고정디스크측으로 이동하여 제1,2회동바의 사이각이 줄어듦에 따라 하우징의 내주면측으로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시트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와 커넥터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구속하여 등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가동디스크의 이동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거나 최소화되도록 변화하는 지지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은;
    부분 원호의 형태를 취하며 그 양단부에 상기 커넥터의 지지핀을 통과시키는 핀구멍을 가지고, 상기 메인샤프트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수의 제 1링편과,
    상기 제 1링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 1링편과 동일한 곡률의 부분원호의 형태를 취하고, 제 1링편에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상기 제 1링편의 핀구멍을 통과한 지지핀을 통과시키는 슬릿을 갖는 제 2링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조절부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연장단부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며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메인샤프트를 축회전시키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와 가동디스크는 상호 대향하는 일정직경의 디스크형 부재로서, 대향면에는 상기 차단시트의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차단시트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8. 삭제
  9. 삭제
KR1020130146048A 2013-11-28 2013-11-28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KR10151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48A KR101512447B1 (ko) 2013-11-28 2013-11-28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48A KR101512447B1 (ko) 2013-11-28 2013-11-28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47B1 true KR101512447B1 (ko) 2015-04-16

Family

ID=5305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048A KR101512447B1 (ko) 2013-11-28 2013-11-28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834B1 (ko) 2018-07-25 2019-01-07 정웅권 부단수 차단공법용 부단수 차단장치
KR101948584B1 (ko) 2018-07-20 2019-02-15 박선희 부단수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차단공법
KR102158974B1 (ko) * 2019-04-30 2020-09-23 이명상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플러그 직진성이 향상된 수동식 유체제어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727U (ko) * 1974-04-16 1975-10-31
JP2004044625A (ja) * 2002-07-09 2004-02-12 Tanaka Giken Kk ガス等の気体遮断具
KR101187000B1 (ko) * 2010-07-22 2012-09-28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링크식 파이프 스토퍼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727U (ko) * 1974-04-16 1975-10-31
JPS5250014Y2 (ko) * 1974-04-16 1977-11-14
JP2004044625A (ja) * 2002-07-09 2004-02-12 Tanaka Giken Kk ガス等の気体遮断具
KR101187000B1 (ko) * 2010-07-22 2012-09-28 경남에너지 주식회사 링크식 파이프 스토퍼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584B1 (ko) 2018-07-20 2019-02-15 박선희 부단수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차단공법
KR101935834B1 (ko) 2018-07-25 2019-01-07 정웅권 부단수 차단공법용 부단수 차단장치
KR102158974B1 (ko) * 2019-04-30 2020-09-23 이명상 조립식 유체제어용 개폐밸브의 플러그 직진성이 향상된 수동식 유체제어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2148C (en) Rotationally-actuated flapper valve and method
KR101512447B1 (ko) 링크구조형 유량조절밸브
US4436280A (en) Valve actuator mechanism for lift-turn type valves
JP4683159B1 (ja) ロータリー弁
RU2236623C2 (ru) Пара дисков из тверд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диск из тверд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4530846A (ja) ピボット作動型スリーブバルブ
TWI699493B (zh)
KR20170084932A (ko) 미세유량 조절용 하이브리드 밸브
WO2005040655A1 (en) Dual segment ball valve
KR102006336B1 (ko) 랙 앤드 피니언 타입의 볼 밸브 장치
KR20160048536A (ko) 인렛 가이드 베인
JP2007064461A (ja) 3方ロータリバルブ
KR101238422B1 (ko) 나이프게이트밸브의 가이드 구조
US7469877B2 (en) Throttle device
JP7385821B2 (ja) ボール弁
KR101127896B1 (ko) 볼 밸브
KR101173306B1 (ko) 이중 개폐형 디스크를 갖는 버터플라이밸브
KR200220216Y1 (ko) 중심축 유량조절밸브
KR20090081663A (ko) 스윙 버터플라이 댐퍼
JP2001050401A (ja) 弁装置
KR100604966B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장치
KR200334614Y1 (ko) 유량 조절밸브
JPH11230388A (ja) 逆止バタフライ弁
JP3038897U (ja) 風量調整ダンパ
JP4484488B2 (ja) 流体バルブ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