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366B1 - 체인가공용 금형 - Google Patents

체인가공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366B1
KR101512366B1 KR20130084394A KR20130084394A KR101512366B1 KR 101512366 B1 KR101512366 B1 KR 101512366B1 KR 20130084394 A KR20130084394 A KR 20130084394A KR 20130084394 A KR20130084394 A KR 20130084394A KR 101512366 B1 KR101512366 B1 KR 10151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hain
pair
guide groove
rai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887A (ko
Inventor
한상택
Original Assignee
한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택 filed Critical 한상택
Priority to KR2013008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3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5/00Finishing or dressing chains or chain links, e.g. removing burr material, calibrating
    • B21L15/02Twisting already closed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9/00Appurtenances for chain-making not restricted to any particular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21/00Tools or implements for repairing chains using metal-working operations, e.g. for detaching deformed chai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9/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 B21L9/02Making chains or chain links, the link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different parts, e.g. drive chains of roller-chain or other plate-link type
    • B21L9/04Punching or bend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hai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가공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하부금형(10); 및 상부금형(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면 및 상기 상부금형(20)의 하면에 융기부(14, 24) 및 함몰부(16, 26)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이 맞물리게 되어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밀림에 의한 불량률 없이 체인을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인가공용 금형 {CHAIN MANUFACTURING MOLD}
본 발명은 체인가공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의 비틀림 가공 중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을 타격할 때 각 금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가공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CHAIN)은 고리 형태의 금속을 차례로 연결한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쇠사슬이 이에 해당한다. 체인은 선박계류용(船舶繫留用)으로 사용되는 굵기 5 ~ 6cm, 길이 500 ~ 600m인 것에서부터 장신용(裝身用)으로 사용되는 목걸이와 같이 작은 것까지 존재하여 사용범위가 넓은 뿐만 아니라 모양도 다양하다. 이 중에서 장신용 체인은 BC 4 ∼ 5세기 때부터 금줄목걸이가 사용되었는데, 금세공(金細工)은 많은 사람에 의해 계승되어 고대·중세로 이어지면서 점점 발달하여, 극히 정교한 장신용 체인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옛날에 금줄(금으로 만든 체인)은 화폐와 동등하게 사용되었으며 오늘날과 같이 하나의 재산이었다. 1830년경부터 기다란 금줄을 목에 감는 풍습이 생겨났으며, 체인에 시계를 연결하여 늘어뜨리기도 했다. 줄은 금·은·백금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여성들의 목걸이·시곗줄·팔찌 등 장식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체인은 액세서리로서 많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목에 걸어서 장식하는 목걸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체인을 납작한 체인으로 가공하는 체인가공기에서 나오는 체인은 특성상 한쪽으로 뒤틀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체인가공기의 후미에 별도의 가공체인용 비틀림 보정장치를 설치하여 선가공인 1차 압착과정, 중간가공인 2차 압착가공, 후가공인 비틀림 압착과정의 3단계로 가공함으로써 가공된 체인을 비틀림 없이 가공한다.
이러한 체인가공기의 비틀림 가공금형이 '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인가공기의 비틀림 가공금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 상기 하부금형(1)에 대해 승강하여 체인을 가공하는 상부금형(2);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 형성되는 절단면(3); 및 상기 절단면(3)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압착부(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한 번의 금형작업으로 비틀림 가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단일 금형만으로 체인의 비틀림 가공이 가능하여 금형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체인의 이음부 밀착가공이 긴밀하여 강도 및 미려함이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인가공기의 비틀림 가공금형은 압착부(4)를 비틀어지도록 형성하기 위해 절단면(3)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부금형(2)이 하부금형(1)을 타격할 때 경사진 절단면(3)으로 인하여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체인이 형상이 변형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501870 B1 2005. 7.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금형의 타격 시 금형간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체인가공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은 상면에 슬릿 형태의 하부 가이드 홈이 비틀어지게 형성되는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 가이드 홈과 대응되게 상부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 및 상기 상부금형의 하면에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융기부 및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은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이 맞물리게 되어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림에 의한 불량률 없이 체인을 가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인가공기의 비틀림 가공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도시한 평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체인가공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은 상면에 슬릿 형태의 하부 가이드 홈(12)이 비틀어지게 형성되는 하부금형(10); 및 상기 하부금형(10) 상부에 대응 배치되고, 저면에 상기 하부 가이드 홈(12)과 대응되게 상부 가이드 홈(22)이 형성되는 상부금형(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0)은, 육면체 형상의 하부본체(11); 상부에 평평한 하부 융기면(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1) 상면에서 대각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융기부(14); 및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1) 상면 중 상기 한 쌍의 하부 융기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함몰면(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20)은, 상기 하부본체(11) 상부에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본체(21); 하부에 상기 하부 함몰면(17)과 맞닿는 평평한 상부 융기면(2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1) 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융기부(24); 및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20) 저면 중 상기 한 쌍의 상부 융기부(24)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융기면(15)과 맞닿는 한 쌍의 상부 함몰면(2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융기면(15, 25) 및 상기 상·하부 함몰면(17, 27)의 내측 경계는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금형(10)은 육면체로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30)의 비틀림 가공 시 받침대 역할을 하여 체인(30)이 안정적으로 가공되도록 한다. 하부금형(10)의 상면에는 슬릿 형태의 하부 가이드 홈(12)이 형성된다.
하부 가이드 홈(12)은 체인(30)이 지나가는 통로역할을 하고, 그 형상에 따라 체인(30)이 가공된다. 하부 가이드 홈(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30)이 진입되는 진입부(12a) 및 가공된 체인(30)이 배출되는 배출부(12b)로 구분되고, 그 형상이 나선형과 같이 비틀리게 형성된다. 진입부(12a)의 선단은 수평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0 내지 50˚ 기울어지고 내측으로 갈수록 수평으로 서서히 기울게 되며, 진입부(12a)와 배출부(12b) 사이의 중간지점에서는 수평이 되고, 배출부(12b)의 후단에 이르면 수평면에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10 내지 50˚, 즉, 진입부(12a)의 선단과는 상반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부금형(20)은 하부금형(10)과 같이 육면체로 형성되고, 하부금형(10)을 지나가는 체인(30)을 타격하여 체인(30)을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금형(20)의 하면에는 슬릿 형태의 상부 가이드 홈(22)이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 홈(22)은 하부 가이드 홈(12)과 동일한 형태로 하부 가이드 홈(12)에 마주보도록 상부금형(20)에 형성된다. 즉, 상부 가이드 홈(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 홈(12)의 진입부(12a)에 대응되는 진입부(22a) 및 하부 가이드 홈(12)의 배출부(12b)에 대응되는 배출부(22b)로 구분되고,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 홈(22)은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에 맞닿게 될 때 하부 가이드 홈(12)과 맞닿음으로써 체인(30)이 지나가는 홀(HOLE)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을 타격함에 따라 하부 가이드 홈(12)과 맞닿음으로써 체인(30)을 가공하게 된다.
융기부(14, 24)는 하부금형(10)의 상면 및 상부금형(20)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한 쌍이 각각의 금형에서 대각위치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융기부(14, 24)는 하부금형(10)에 형성되는 하부 융기부(14) 및 상부금형(20)에 형성되는 상부 융기부(24)로 구성된다.
하부 융기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쌍이 대각위치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융기부(24)는 상부금형(20)의 하면에 형성되고, 한 쌍이 대각위치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과 맞닿는 시점에서 하부 융기부(14)와 상부 융기부(24)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는 융기부(14, 24)가 후술할 함몰부(16, 26)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함몰부(16, 26)는 융기부(14, 24)와 마찬가지로 하부금형(10)의 상면 및 상부금형(20)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한 쌍이 각각의 금형에서 융기부(14, 24)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함몰부(16, 26)는 하부금형(10)에 형성되는 하부 함몰부(16) 및 상부금형(20)에 형성되는 상부 함몰부(26)로 구성된다.
하부 함몰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한 쌍이 하부 융기부(14)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하부 함몰부(16)는 상부 융기부(2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과 맞닿게 될 시 상부 융기부(24)가 하부 함몰부(16)에 안착되어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부 함몰부(26)는 상부금형(20)의 하면에 형성되고, 한 쌍이 상부 융기부(24)의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함몰부(26)는 하부 융기부(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과 맞닿게 될 시 하부 융기부(14)가 상부 함몰부(26)에 안착되어 맞물리게 된다.
한편, 융기부(14, 24)의 상단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융기부(14, 24)의 상단과 대응되는 함몰부(16, 26)의 부위는 평평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이 맞닿게 될 때 융기부(14, 24)와 함몰부(16, 26)가 안정적으로 맞물리게 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체인(30)의 가공을 위해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을 수직으로 타격하게 되면, 매끄럽고 경사지게 형성된 각 금형으로 인하여 상부금형(20)의 수직운동 방향이 바뀌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이 어긋나게 되어 체인(30)이 밀리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공용 금형은 각 융기부(14, 24) 및 함몰부(16, 26)가 맞닿는 부위의 일부를 평평하게 형성하여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을 수직으로 타격하였을 시 평평하게 맞닿는 융기부(14, 24) 및 함몰부(16, 26)로 인하여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융기부(14, 24) 및 함몰부(16, 26)의 평평하게 형성되는 부분의 경계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10)을 타격하여 맞닿게 될 시 그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도 유연하게 하부금형(10)과 맞물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10: 하부금형 12a, 22a: 진입부
12: 하부 가이드 홈 12b, 22b: 배출부
14: 하부 융기부 16: 하부 함몰부
20: 상부금형 22: 상부 가이드 홈
24: 상부 융기부 26: 상부 함몰부
30: 체인

Claims (4)

  1. 상면에 슬릿 형태의 하부 가이드 홈(12)이 비틀어지게 형성되는 하부금형(10) 및
    상기 하부금형(10) 상부에 대응 배치되고, 저면에 상기 하부 가이드 홈(12)과 대응되게 상부 가이드 홈(22)이 형성되는 상부금형(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0)은, 육면체 형상의 하부본체(11); 상부에 평평한 하부 융기면(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1) 상면에서 대각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융기부(14); 및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11) 상면 중 상기 한 쌍의 하부 융기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함몰면(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20)은, 상기 하부본체(11) 상부에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본체(21); 하부에 상기 하부 함몰면(17)과 맞닿는 평평한 상부 융기면(2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21) 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융기부(24); 및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20) 저면 중 상기 한 쌍의 상부 융기부(24)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융기면(15)과 맞닿는 한 쌍의 상부 함몰면(2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융기면(15, 25) 및 상기 상·하부 함몰면(17, 27)의 내측 경계는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가공용 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30084394A 2013-07-17 2013-07-17 체인가공용 금형 KR10151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394A KR101512366B1 (ko) 2013-07-17 2013-07-17 체인가공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394A KR101512366B1 (ko) 2013-07-17 2013-07-17 체인가공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87A KR20150009887A (ko) 2015-01-27
KR101512366B1 true KR101512366B1 (ko) 2015-04-15

Family

ID=5248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394A KR101512366B1 (ko) 2013-07-17 2013-07-17 체인가공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881B1 (ko) * 2016-05-27 2017-09-19 한상택 체인가공용 금형, 이를 이용한 체인의 가공방법 및 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3956A (zh) * 2018-01-16 2018-07-13 湖州众诚链传动制造厂 一种链条加工用链板平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772A (ko) * 1996-05-20 1997-12-10 박태규 체인가공용 금형
KR100501870B1 (ko) * 2003-05-28 2005-07-20 (주)서보통상 체인가공기의 뒤틀림 가공금형
KR20080077999A (ko) * 2005-12-21 2008-08-26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요람형 압력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엠보싱 장치
KR101282476B1 (ko) 2011-06-13 2013-07-04 김영규 장식용 체인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772A (ko) * 1996-05-20 1997-12-10 박태규 체인가공용 금형
KR100501870B1 (ko) * 2003-05-28 2005-07-20 (주)서보통상 체인가공기의 뒤틀림 가공금형
KR20080077999A (ko) * 2005-12-21 2008-08-26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요람형 압력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엠보싱 장치
KR101282476B1 (ko) 2011-06-13 2013-07-04 김영규 장식용 체인 성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881B1 (ko) * 2016-05-27 2017-09-19 한상택 체인가공용 금형, 이를 이용한 체인의 가공방법 및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87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366B1 (ko) 체인가공용 금형
US6139456A (en) Bicycle sprocket
US4435963A (en) Means for retaining jewelery for interlocking with precise preforms
US20150335108A1 (en) Articles of gold and silver jewelry
US9364053B2 (en) Fastener element
CN106572729A (zh) 大致环状饰品
US20160213104A1 (en) Diamond cuts providing increased light amplification
US200801963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jewelry chains formed from links
KR101775881B1 (ko) 체인가공용 금형, 이를 이용한 체인의 가공방법 및 체인
CN103211362A (zh) 一种无焊内嵌式饰品锁扣结构
CN205428911U (zh) 一种具有燕尾结构的薄型引线框架
KR101639679B1 (ko) 장식용 체인
JP6314848B2 (ja) プレス用成形型
EP1361301A3 (de) "Kablierspindel sowie Verwendung einer selbsteinfädelnden Fadenführer-bzw. Zentrieröse im Bereich der Kablierhaube (Schutzhaube) einer Kablierspindel"
KR100501870B1 (ko) 체인가공기의 뒤틀림 가공금형
US2302100A (en) Method of forming spectacle temples
JP3213155U (ja) 装身具の装飾構造
JP4456599B2 (ja) 平鋼の製造方法
FR2507447A1 (fr) Procede permettant la formation d'un produit semi-ouvre essentiellement filiforme pour la production de chaines d'ornement et autres emplois, equipement pour sa mise en oeuvre et produit semi-ouvre obtenu
CN106077417B (zh) 小壳体加工工艺
CN210788867U (zh) 一种挂扣组合型珠宝装饰品成型模具
KR200322921Y1 (ko) 체인가공기의 뒤틀림 가공금형
TWI573899B (zh) 線桿壓持式電鍍用掛架
KR102194531B1 (ko) 고리 연결식 레이어드 구조에 의해 볼륨감과 입체감이 우수한 단조 가공 귀금속 장신구
US2227941A (en) Safety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