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45B1 -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45B1
KR101512045B1 KR1020080087669A KR20080087669A KR101512045B1 KR 101512045 B1 KR101512045 B1 KR 101512045B1 KR 1020080087669 A KR1020080087669 A KR 1020080087669A KR 20080087669 A KR20080087669 A KR 20080087669A KR 101512045 B1 KR101512045 B1 KR 10151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unit
gain
level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781A (ko
Inventor
김상호
김경준
변재완
신성호
최오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04B10/0777Monitoring line amplifier or line repeat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5Monitoring or measuring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이 원격지에 설치된 중계 전송 장치를 감시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 전송 장치의 상태를 자체 감시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장치의 순방향 출력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중계 전송 장치의 후단 시스템이나 단말기에서 순방향 출력이 없는 것을 감지하여 문제가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은,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리모트 장치;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도너 장치; 및 상기 리모트 장치 또는 상기 도너 장치로부터의 순방향 출력이 오프된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계 전송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 전송 시스템의 상태를 자체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 전송에 문제가 발생 시에 자동으로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킴으로써 중계 전송 장비의 후단에 있는 시스템이나 단말기가 역방향 장애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NMS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장비의 서비스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시스템마다 NMS를 설치하지 않아 도 되므로 장비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계 전송 장치, NMS, 모뎀, 음영 지역, 순방향, 역방향, 출력, 기지국, 이득, RF, Tone, 도너, 리모트

Description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backward obstacle about transmission relay device}
본 발명은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기지국이 원격지에 설치된 중계 전송 장치를 감시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 전송 장치의 상태를 자체 감시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장치의 순방향 출력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중계 전송 장치의 후단 시스템이나 단말기에서 순방향 출력이 없는 것을 감지하여 문제가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망에 있어서 서비스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 트래픽(Traffic) 밀도에 따라 기지국과 중계 전송 장치가 사용된다. 기지국은 트래픽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 영역 내에 분포하는 가입자 수와 무선 통신망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면서 기지국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중계 전송 장치는 상대적으로 가입자 밀도가 적거나 지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도달하기 어려운 빌딩의 지하층, 터널, 지하철, 농어촌 산간 지역 등의 차폐공간이나 음역지역(RF Null Area)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때,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에게 지속적으로 최적의 통화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망을 구성하는 시스템에 대한 관리 및 유지보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용 중계 전송 장치의 상태 감시를 위해서 종래에는 중계 전송 장치 내의 장비 제어와 통신 상태 감시 및 보고역할을 수행하는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보드를 망관리 센터의 중앙 관리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많은 중계 전송 장치들 내의 NMS 보드로부터 기지국으로 상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이를 다시 망 관리 센터의 중앙 관리 시스템으로 재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른 트래픽 정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중계 전송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별도의 모뎀을 이용하여 상태 데이터를 전송해야 했으므로, 출력이나 그 커버리지가 큰 장치는 추가적으로 별도의 NMS 전송용 모뎀을 설치하여도 장치의 단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출력이 낮은 소형 장치의 경우 장치의 가격에 비하여 NMS 모뎀의 비용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NMS 기능을 추가하는데 비효율적이고 장치의 비용 증가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위 보고 기능이 없는 장치에서는 기지국으로 상태를 보고할 수가 없으며, 이 경우 중계 전송 장치의 순방향 특성은 양호하나 역방향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시에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서비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이상 해당 장치의 고장 유무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지국이 원격지에 설치된 중계 전송 장치를 감시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 전송 장치의 상태를 자체 감시하여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장치의 순방향 출력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중계 전송 장치의 후단 시스템이나 단말기에서 순방향 출력이 없는 것을 감지하여 문제가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방향 입력 레벨과 출력 레벨을 이용하거나,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일정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리모트 장치 및 리모트 장치의 순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은,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고, 두 레벨의 차를 이용해 제1 이 득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리모트 장치;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의 역방향 서비스 신호의 입력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 레벨을 역방향 출력 레벨과 비교해 제2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도너 장치; 및 상기 리모트 장치 또는 상기 도너 장치로부터 순방향 출력이 오프됨을 감지한 경우에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계 전송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도 상기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너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 상기 역방향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할 때, 역방향 입력단에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상기 역방향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도 상기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상기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너 장치는,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상기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는,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순방향 출력부; 상기 중계 전송 장치 측으로부터의 역방향 입력 레벨 및 도너 장치 측으로의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레벨 검출부; 상기 입력 레벨 및 상기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하여 장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및 상기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계 전송 장치로부터 역방향 경로의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역방향 입력부;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는 톤신호 발생부; 및 상기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상기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하는 톤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득 산출부는 상기 톤신호 감지부를 통해 상기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된 상기 무선 주파수 톤과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서 발생된 무선 주파수 톤을 비교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계 전송 장치 측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역방향 경로를 따라 활성화 되는 다수의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소자에 대한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너 장치는,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순방향 출력부; 상기 리모트 장치 측으로부터의 역방향 입력 레벨 및 기지국 측으로의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레벨 검출부; 상기 입력 레벨 및 상기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하여 장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및 상기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너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 역방향 경로의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역방향 입력부;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는 톤신호 발생부; 및 상기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상기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하는 톤신호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득 산출부는 상기 톤신호 감지부를 통해 상기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된 상기 무선 주파수 톤과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서 발생된 무선 주파수 톤을 비교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도너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 측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역방향 경로를 따라 활성화 되는 다수의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소자에 대한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전송 장치는,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뎀부;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의 순방향 출력이 오프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리모트 장치로의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부; 및 상기 상태 감지부를 통해 상기 리모트 장치의 순방향 출력이 오프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알람 발생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은, 도너 장치, 리모트 장치 및 중계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으로서, (a)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c) 중계 전송 장치가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로부터 상기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역방향 입력 레벨과 상기 역방향 출력 레 벨의 차를 이용해 상기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고,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여, 상기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상기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은, 도너 장치, 리모트 장치 및 중계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으로서, (a)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c) 중계 전송 장치가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로부터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은, (a) 리모트 장치로부터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은, (a)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역방향 입력 레벨과 상 기 역방향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해 장치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은, (a)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은, (a)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읽은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중계 전송 시스템의 상태를 자체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 전송에 문제가 발생 시에 자동으로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킴으로써 중계 전송 장비의 후단에 있는 시스템이나 단말기가 역방향 장애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NMS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장비의 서비스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스템마다 NMS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비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저출력 저가의 시스템에서도 장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이동 통신 서비스 공급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기지국(110), 도너 장치(120), 리모트 장치(130), 중계 전송 장치(140) 및 무선 단말 기(150 ~ 154)를 포함한다.
기지국(110)은 무선 단말기(150 ~ 154)에게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신호를 도너 장치(120)로 전송한다.
도너 장치(120)는 기지국(110)에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기지국(1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130)로 전달한다. 또한, 도너 장치(12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의 역방향 서비스 신호의 입력 레벨을 검출하고, 이 역방향 입력 레벨을 역방향 출력 레벨과 비교해 장치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
또한, 도너 장치(12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할 때, 역방향 입력단에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고, 역방향 출력단에서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도너 장치(120)는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
리모트 장치(130)는 도너 장치(120)로부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여 중계 전송 장치(140)로 전달한다. 또한,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고, 두 레벨의 차를 이용해 장치 이득을 산출하고, 산출된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
또한,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고, 역방향 출력단에서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
그리고,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
중계 전송 장치(14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자신의 커버리지에 있는 무선 단말기(150 ~ 154)에게 무선으로 송출한다. 또한, 중계 전송 장치(140)는 리모트 장치(130) 또는 도너 장치(120)로부터 순방향 출력이 오프됨을 감지한 경우에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너 장치(120)는, 순방향 출력부(210), 신호레벨 검출부(220), 이득 산출부(230), 역방향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순방향 출력부(210)는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130) 측으로 출력한다.
신호레벨 검출부(220)는 리모트 장치(130) 측으로부터의 역방향 입력 레벨 및 기지국(110) 측으로의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한다.
이득 산출부(230)는 역방향 입력 레벨 및 역방향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하여 장치 이득을 산출한다.
역방향 출력부(24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기지국(110) 측으로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이득 산출부(230)를 통해 산출된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부(210)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130)는, 순방향 출력부(310), 신호레벨 검출부(320), 이득 산출부(330), 역방향 출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다.
순방향 출력부(310)는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140) 측으로 출력한다.
신호레벨 검출부(320)는 중계 전송 장치(140) 측으로부터의 역방향 입력 레벨 및 도너 장치(120) 측으로의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한다.
이득 산출부(330)는 역방향 입력 레벨 및 역방향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하여 장치 이득을 산출한다.
역방향 출력부(240)는 중계 전송 장치(14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도너 장치(120) 측으로 출력한다.
제어부(350)는 이득 산출부(330)를 통해 산출된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 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부(310)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전송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전송 장치(140)는, 통신부(410), 상태 감지부(420), 알람 발생부(430), 서비스 신호 중계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리모트 장치(130)와 통신한다.
상태 감지부(42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의 순방향 출력이 오프된 상태를 감지한다. 즉, 상태 감지부(42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아무런 서비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된 경우에 리모트 장치(130)의 순방향 출력이 오프된 것으로 감지한다.
알람 발생부(430)는 리모트 장치(130)로의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
서비스 신호 중계부(440)는 통신부(410)를 통해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무선 단말기(150 ~ 154)에게 중계한다.
제어부(450)는 상태 감지부(420)를 통해 리모트 장치(130)의 순방향 출력이 오프된 상태를 감지하면, 알람 발생부(430)를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너 장치(120)는, 순방향 출력부(510), 역방향 입력부(520), 역방향 출력부(530), 톤신호 발생부(540), 톤신호 감지부(550), 이득 산출부(560) 및 제어부(570)를 포함한다.
순방향 출력부(51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130) 측으로 출력한다.
역방향 입력부(52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역방향 경로의 서비스 신호를 수신한다.
역방향 출력부(53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기지국(110) 측으로 출력한다.
톤신호 발생부(540)는 역방향 입력부(520)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발생시킨다.
톤신호 감지부(550)는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역방향 출력부(530)에서 감지한다.
이득 산출부(560)는 톤신호 감지부(550)를 통해 역방향 출력부(530)에서 감지된 무선 주파수 톤과 역방향 입력부(520)에서 발생된 무선 주파수 톤을 비교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한다.
제어부(570)는 이득 산출부(560)를 통해 산출된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레 벨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부(510)를 오프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130)는, 순방향 출력부(610), 역방향 입력부(620), 역방향 출력부(630), 톤신호 발생부(640), 톤신호 감지부(650), 이득 산출부(660) 및 제어부(670)를 포함한다.
순방향 출력부(610)는 도너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140) 측으로 출력한다.
역방향 입력부(620)는 중계 전송 장치(140)로부터 역방향 경로의 서비스 신호를 수신한다.
역방향 출력부(630)는 중계 전송 장치(14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도너 장치(120) 측으로 출력한다.
톤신호 발생부(640)는 역방향 입력부(620)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발생시킨다.
톤신호 감지부(650)는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역방향 출력부(630)에서 감지한다.
이득 산출부(660)는 톤신호 감지부(650)를 통해 역방향 출력부(630)에서 감지된 무선 주파수 톤과 역방향 입력부(620)에서 발생된 무선 주파수 톤을 비교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한다.
제어부(670)는 이득 산출부(660)를 통해 산출된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부(610)를 오프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너 장치(120)는, 순방향 출력부(710), 다수의 역방향 소자(720), 전력 검출부(730) 및 제어부(740)를 포함한다.
순방향 출력부(71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130) 측으로 출력한다.
역방향 소자(720)는 리모트 장치(130) 측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역방향 경로를 따라 활성화 되는 다수의 소자이다.
전력 검출부(730)는 다수의 역방향 소자(720)에 대한 전력을 검출한다. 여기서, 전력 검출부(730) 대신에 역방향 소자(720)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나, 역방향 소자(720)의 저항을 검출하는 저항 검출부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부(710)를 오프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130)는, 순방향 출력부(810), 다수의 역방향 소자(820), 전력 검출부(830) 및 제어부(840)를 포함한다.
순방향 출력부(810)는 도너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140) 측으로 출력한다.
역방향 소자(820)는 중계 전송 장치(140) 측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역방향 경로를 따라 활성화 되는 다수의 소자이다.
전력 검출부(830)는 다수의 역방향 소자(820)에 대한 전력을 검출한다. 여기서, 전력 검출부(830) 대신에 역방향 소자(720)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나, 역방향 소자(720)의 저항을 검출하는 저항 검출부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840)는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부(810)를 오프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너 장치(12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130)로 전송하고, 리모트 장치(130)는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140)로 전송한다(S902).
이어,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가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한다(S904).
이어,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해 장치 이득을 산출한다(S906).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산출된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S908).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가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게 됨에 따라 중계 전송 장치(140)는 리모트 장치(130)로부터 아무런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계 전송 장치(140)는 리모트 장치(130)의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S910).
따라서, 사용자는 중계 전송 장치(140)에서 발생된 알람 신호를 통해 역방향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출된 서비스 신호가 도너 장치(120)와 리모트 장치(130)를 경유해 중계 전송 장치(140)로 전송된다(S1010).
이때,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발생시킨다(S1020).
이어,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무선 주파수 톤을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한다(S1030).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출력단에서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한다(S1040).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S1050).
중계 전송 장치(140)는 리모트 장치(130)의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S1060).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출된 서비스 신호가 도너 장치(120)와 리모트 장치(130)를 경유해 중계 전송 장치(140)로 전송된다(S1110).
이때,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한다(S1120).
도너 장치(120) 또는 리모트 장치(130)는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킨다(S1130).
중계 전송 장치(140)는 리모트 장치(130)의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킨다(S11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은 (a) 역방향 입력 레벨과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역방향 입력 레벨과 상기 역방향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해 장치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 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a) 리모트 장치로부터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a)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을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은 (a) 역방향 경로의 활성화 된 소자의 전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중계 전송 시스템을 설치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 송출된 서비스 신호를 무선 단말기에게 중계 해 주는 중계 전송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로 전달해 주는 도너 장치 및 리모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전송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110 : 기지국
120 : 도너 장치 130 : 리모트 장치
140 : 중계 전송 장치 150 ~ 154 : 무선 단말기
210 : 순방향 출력부 220 : 신호레벨 검출부
230 : 이득 산출부 240 : 역방향 출력부
250 : 제어부 310 : 순방향 출력부
320 : 신호레벨 검출부 330 : 이득 산출부
340 : 역방향 출력부 350 : 제어부
410 : 통신부 420 : 상태 감지부
430 : 알람 발생부 440 : 서비스 신호 중계부
450 : 제어부 510 : 순방향 출력부
520 : 역방향 입력부 530 : 역방향 출력부
540 : 톤신호 발생부 550 : 톤신호 감지부
560 : 이득 산출부 570 : 제어부
610 : 순방향 출력부 620 : 역방향 입력부
630 : 역방향 출력부 640 : 톤신호 발생부
650 : 톤신호 감지부 660 : 이득 산출부
670 : 제어부 710 : 순방향 출력부
720 : 다수의 역방향 소자 730 : 전력 검출부
740 : 제어부 810 : 순방향 출력부
820 : 다수의 역방향 소자 830 : 전력 검출부
840 : 제어부

Claims (25)

  1. 리모트 장치, 도너 장치 및 중계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에 포함된 제1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제1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상기 서비스 신호와 함께 상기 리모트 장치에 포함된 제1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제1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리모트 장치;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 역방향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할 때, 상기 도너 장치에 포함된 제2 역방향 입력단에 특정 레벨의 제2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상기 역방향 서비스 신호와 함께 상기 도너 장치에 포함된 제2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제2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여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도너 장치; 및
    상기 리모트 장치 또는 상기 도너 장치로부터 순방향 출력이 오프됨을 감지한 경우에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중계 전송 장치
    를 포함하는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비스 신호를 중계 전송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순방향 출력부;
    상기 중계 전송 장치 측으로부터의 역방향 입력 레벨 및 도너 장치 측으로의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레벨 검출부;
    상기 입력 레벨 및 상기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하여 장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상기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부;
    상기 중계 전송 장치로부터 역방향 경로의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역방향 입력부;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는 톤신호 발생부; 및
    상기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하는 톤신호 감지부
    를 포함하는 리모트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산출부는 상기 톤신호 감지부를 통해 상기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된 상기 무선 주파수 톤과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서 발생된 무선 주파수 톤을 비교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전송 장치 측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역방향 경로를 따라 활성화 되는 다수의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소자에 대한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장치.
  11. 서비스 신호를 리모트 장치 측으로 전송하는 순방향 출력부;
    상기 리모트 장치 측으로부터의 역방향 입력 레벨 및 기지국 측으로의 역방향 출력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레벨 검출부;
    상기 입력 레벨 및 상기 출력 레벨의 차를 이용하여 장치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상기 장치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의 동작을 오프시키는 제어부;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 역방향 경로의 서비스 신호를 수신하는 역방향 입력부;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는 톤신호 발생부; 및
    상기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하는 톤신호 감지부
    를 포함하는 도너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산출부는 상기 톤신호 감지부를 통해 상기 역방향 출력부에서 감지된 상기 무선 주파수 톤과 상기 역방향 입력부에서 발생된 무선 주파수 톤을 비교해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 측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신호의 전송을 위해 역방향 경로를 따라 활성화 되는 다수의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소자에 대한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력이 상한 레벨과 하한 레벨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상기 순방향 출력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너 장치.
  16. 삭제
  17. 도너 장치, 리모트 장치 및 중계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으로서,
    (a)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상기 역방향 이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 순방향 출력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c) 중계 전송 장치가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로부터 상기 순방향 출력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면 역방향 장애를 알리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도너 장치 또는 리모트 장치가 역방향 입력단에 서비스 신호 이외의 특정 레벨의 무선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키고,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서비스 신호와 함께 역방향 출력단으로 전달하여, 상기 역방향 출력단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톤을 이용해 상기 역방향 이득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 17 항에 있는 리모트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80087669A 2008-09-05 2008-09-05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69A KR101512045B1 (ko) 2008-09-05 2008-09-05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69A KR101512045B1 (ko) 2008-09-05 2008-09-05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81A KR20100028781A (ko) 2010-03-15
KR101512045B1 true KR101512045B1 (ko) 2015-04-20

Family

ID=4217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669A KR101512045B1 (ko) 2008-09-05 2008-09-05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85B1 (ko) * 2006-09-21 2007-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케이블 결선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자동 보상 및 고장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85B1 (ko) * 2006-09-21 2007-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케이블 결선 시스템의 케이블 손실 자동 보상 및 고장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81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170B2 (en) Fault monitoring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CA2033763C (en) Distributed amplifier network management system
KR1010132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국, 기지 송수신국 및 그 이용 방법
US20050151659A1 (en) Transmission/distribution line fault indicator with remote polling and current sensing and reporting capability
US20050163088A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WO1995009512A1 (en) Radio system and a subscriber terminal for a radio system
JP3848624B2 (ja) 地震防災通信システム
CN102356412A (zh) 无线防灾节点以及无线防灾系统
KR101512045B1 (ko) 중계 전송 장치의 역방향 장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H06102308A (ja) 送電線情報伝送装置
KR101043113B1 (ko) 중계기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91361A (ko) 중계기 제어 시스템
KR20000060856A (ko) 통신시스템의 원격중계기 감시장치
JP4452360B2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KR100967439B1 (ko) 중계 기능이 탑재된 셋탑 장치
KR100597868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30730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462708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90041193A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JP2007201855A (ja) デジタル放送再送信装置
JP2002094449A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4274432A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3158767A (ja) ディジタル移動電話通信方法と通話チャネル切換方法及びそれらを実現するための移動局と基地局
JP2023074169A (ja) 通信監視装置、通信監視システム、通信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089133A (zh) 用于监测至少一个扬声器线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