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193A -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193A
KR20090041193A KR1020070106777A KR20070106777A KR20090041193A KR 20090041193 A KR20090041193 A KR 20090041193A KR 1020070106777 A KR1020070106777 A KR 1020070106777A KR 20070106777 A KR20070106777 A KR 20070106777A KR 20090041193 A KR20090041193 A KR 20090041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m
downlink
process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205B1 (ko
Inventor
정재훈
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to KR102007010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2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로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하향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상향 신호처리부; 제1 하향 신호(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감지부;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하여,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 절체/변경하여 모뎀의 입/출력 신호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중계기, 모뎀, 이동통신,

Description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용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전파가 미약하거나 도달하지 못하는 곳에 위치하여 그 지역에 양호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장치를 말한다.
예컨대,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미약한 신호를 양호한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전송(이하, '순방향 전송' 혹은 ‘하향 전송’이라 한다.)하거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미약한 신호를 양호한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이하, '역방향 전송' 혹은 ‘상향 전송’이라 한다.)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심지역에서 전파의 사각지대인 지하공간 및 아파트 단지, 대형건 물, 언덕, 지하 등에는 전파가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 취약 지역에 중계기들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또한, 트래픽은 적지만 커버리지(coverge) 측면에서 중요한 고속도로, 국도, 개활지 및 산간벽지 등의 지역에도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기지국 대신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실정이다.
그런데 수많은 중계기들이 설치됨에 있어서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중계기의 영역에 있는 사용자들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계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제어가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중계기를 관리하기 위하여 중계기에 통신 모뎀을 내장한다. 통상적으로 중계기에 내장되는 모뎀은 기지국과 통신하여 중계기 상태를 보고하고, 중계기를 관리/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즉, 중계기 모뎀을 통하여 해당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얻고, 또한 중계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신호(혹은 명령)를 중계기로 전송함으로써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의 상태를 적절히 모니터링하고 중계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계기 모뎀의 입/출력 신호가 양호해야 한다. 중계기 모뎀으로/으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가 미약하거나 장애가 발생하면 중계기 상태정보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거나, 중계기로 제어 신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무선 중계기 관리용 모뎀의 입/출력 신호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모뎀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뎀의 입/출력 신호 경로를 자동으로 변경 혹은 절체하는 무선 중계기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로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하향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상향 신호처리부;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감지부;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상향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로 분배하는 제1 커플러; 및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기 제1 스위치로 제공하는 제2 커플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하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 털 신호의 채널 파워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채널 파워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모뎀 입력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선택 신호를 더 발생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가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 운영 방법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하향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뎀이 상기 모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하향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로서,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의 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너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 절체/변경함으로써, 모뎀의 입/출력 신호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가 미약하여 모뎀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지국과 제대로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무선 중계기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12)과, 기지국(12)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중계하기 위한 무선중계기(20)와, 무선중계기(20)에 설치되어 무선중계기(20)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모뎀(23)과, 모뎀(23)으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수신받아 무선중계기(20)의 상태를 분석하고, 또한 무선중계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망(10)을 통해 해당 무선중계기(20)의 모뎀(230)으로 전송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14)를 포함한다.
중계기 모뎀(23)은 이동통신 단말기처럼 메시지(단문 메시지 및/또는 멀티미 디어 메시지) 송수신 기능,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 및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계기 모뎀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전화번호 및/또는 ESN 등)를 가진다. 중계기 모뎀(23)은 또한 중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중계기를 제어 및 관리 하기 위하여 중계기의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어장치)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기 모뎀(23)이 중계기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게 되면, SMS서버(13)에서 이를 수신하여 무선중계기(20)의 상태정보인 경우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이를 중계기 관리 서버(14)로 전송함으로써 중계기 관리 서버(14)에서는 해당 무선중계기(20)의 상태를 분석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폭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무선 중계기(20)는 제1 및 제2 안테나(31, 32), 제어부(21), 감지부(22), 모뎀(23), 스위치(24), 증폭처리부(25), 제1 및 제2 커플러(26, 27)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31)는 기지국(미도시)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도너(donor) 안테나라 칭하기도 한다. 제1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된 제1 신호(또는 하향 신호라 칭함)는 제1 포트(33)를 통하여 감지부(22) 및 제1 커플러(26)로 입력된다.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를 제어부(21)로 제공한다. 제1 하향 신호는 중계기의 하향 경로(순방향 경로, 즉 기 지국에서 단말기 방향으로의 경로)상의 신호로서, 증폭 처리부(25)의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일 구성요소의 출력 신호 혹은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21)는 감지부(22)로부터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24)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신호(CON1)를 발생한다.
스위치(24)는 선택 신호(CON1)에 응답하여, 증폭 처리부(25)의 하향 신호 처리부(40)로 입력되기 전의 신호(IS1), 즉, 하향 신호 처리부(40)에 의해 증폭되지 않은 신호(IS1)를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하거나, 혹은 증폭 처리부(25)의 하향 신호 처리부(40)에 의해 증폭된 출력 신호(IS2)를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한다. 증폭 처리부(2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예컨대,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80 dbm 혹은 -60dbm) 이하 혹은 미만일 때는 플래그 신호를 "1"로 설정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80 dbm 혹은 -60dbm) 이상 혹은 초과할 때는 플래그 신호를 "0"으로 설정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하향 신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인 경우 기준치는 -60dbm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1 하향 신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입력 신호, 즉, 제1 대역통과 필터(41)의 출력 신호인 경우 기준치는 -80dbm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하향 신호가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나 제1 대역통과 필터(41)의 출력 신호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다른 구성요소의 출력 신호 혹은 입력 신호 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는 감지부(22)에서 출력되는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CON1)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는 플래그 신호가 "1"인 경우에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출력 신호(IS2)가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되도록 스위치(24)를 제어하고, 플래그 신호가 "0"인 경우에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입력 신호(IS1)가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되도록 스위치(2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출력 신호(IS2)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2 커플러(27)에 의해 커플링할 신호일 수 있고,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입력 신호(IS1)는 제1 포트(33)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제1 커플러(26)에 의해 커플링할 신호일 수 있다.
즉, 제1 커플러(26)는 제1 포트(33)를 통해 입력된 하향 신호를 증폭처리부(25) 및 스위치(24)로 분배하고, 제2 커플러(27)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출력 신호를 커플링하여 스위치(24)로 제공할 수 있다.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제1 하향 신호의 채널 파워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하향 신호의 스펙트럼 분석을 위하여,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디지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22)가 제1 하향 신호의 레벨로서 채널 파워를 측정하는 경우, 감지부(22)는 측정된 채널 파워가 소정의 범위(예컨대, -105 dbm 내지 -80 dbm 사이 혹은 -85 dbm 내지 -60 dbm 사이)이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80 dbm 혹은 -60 dbm) 이하일 때 플래그 신호를 "1" 설정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부(21)가 스위치(24)를 제어하여 모뎀 입력 신호를 자동 절체할 수 있도록 한다.
증폭처리부(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신호 처리부(40) 및 상향 신호 처리부(50)를 포함한다. 하향 신호 처리부(40)는 제1 안테나(31)를 통하여 수신된 하향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1 대역통과 필터(41), 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1 저잡음 증폭기(42),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기(43), 제1 증폭기(43)의 출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신호와 믹싱(mixing)함으로써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1 믹서(44), 제1 믹서(44)의 출력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1 쏘우(SAW) 필터(45), 제1 쏘우(SAW) 필터(45)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46), 및 제2 증폭기(46)의 출력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제2 대역통과 필터(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신호 처리부(50) 역시, 하향 신호 처리부(40)와 유사하게, 제2 안테나(33)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또는 상향 신호라 함)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3 대역통과 필터(51), 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52), 제2 저잡음 증폭기(52)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3 증폭기(53), 제3 증폭기(53)의 출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신호와 믹싱(mixing)함으로써 제2 저잡음 증폭기(52)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2 믹서(54), 제2 믹서(54)의 출력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2 쏘우(SAW) 필터(55), 제2 쏘우(SAW) 필터(55)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4 증폭기(56), 및 제4 증폭기(56)의 출력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제4 대역통과 필터(57)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중계기(20)의 구성요소는 실시예에 따라 가감 혹은 변경되거나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무선 중계기(20)는 제1 및 제2 믹서(44, 54)로 입력되는 기준주파수 신호(예컨대, 로컬 발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로컬 오실레이터, 하나의 안테나(예컨대, 제1 안테나, 31)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가 직접적으로, 혹은 반사되어 다른 안테나(예컨대, 제2 안테나, 32)로 궤환되어 입력되는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향 신호가 출력되는 위치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제1 하향 신호의 출력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치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 운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너 안테나(제1 안테나, 31)를 통하여 제1 신호를 수신하고(S10), 수신된 제1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S20), 검출된 신호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한다(S30). 비교 결과 검출된 신호레벨이 기준 레벨이상이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가 양호한 상태이므로, 중계기 입력 신호(즉,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를 모뎀 입력 신호로 제공하고(S40),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가 양호한 상태가 아니므로, 중계기 출력 신호(즉, 제1 신호가 하향 신호 처리부에 의해 증폭 처리된 신호)를 모뎀 입력 신호로서 제공한다(S50).
모뎀(23)은 상기 모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 및 해석하여, 제어부(21)로 분석/해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1)는 모뎀(23)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중계기(20)를 제어하거나, 무선 중계기(20)를 제어 혹은 모니터링한 결과를 모뎀(23)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는 제1 및 제2 안테나(31, 32), 제어부(21), 감지부(22), 모뎀(23), 증폭처리부(25), 스위치(61), 제3 및 제4 커플러(62, 6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는 모뎀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며, 그 구성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의 구성 및 동작과 유사하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여, 구성 및 동작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1)는 감지부(2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61)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CON2)를 발생한다.
스위치(61)는 제2 선택 신호(CON2)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23)의 출력 신호(OS)가 상기 증폭처리부(25)의 상향 신호처리부(50)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50)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스위칭한다.
상기 모뎀(23)의 출력 신호(OS)가 상향 신호 처리부(50)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는 경우에, 제3 커플러(62)는 스위치(61)에서 출력되는 모뎀 출력 신호(OS1)와 상향 신호 처리부(50)의 출력 신호를 합함으로써, 상향 신호 처리부(50)에 의하여 증폭되지 않은 모뎀 출력 신호와 상향 신호 처리부(50)에 의하여 증폭된 상향 신호가 합쳐진 신호가 제1 포트(33)를 통하여 제1 안테나(31)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4 커플러(63)는 상기 모뎀(23)의 출력 신호(OS)가 상기 증폭처리부(25)의 상향 신호처리부(50)로 입력되는 경우에, 스위치(61)에서 출력되는 모뎀 출력 신호(OS2)와 제2 포트(34)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를 합하여 증폭 처리부(25)의 상향 신호 처리부(50)로 제공함으로써, 모뎀 출력 신호 및 상향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 처리부(50)에 의하여 증폭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모뎀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 및 도 5에 도시된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이 하나의 무선 중계기에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어부(21)는 감지부(2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들(24, 61)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선택 신호(CON1, CON2)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22)에 의해 감지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간 무선 환경이 열악한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는 모뎀 입력 신호(IS) 및 모뎀 출력 신호(OS)가 모두 증폭 처리부(25)에 의해 증폭될 수 있도록 스위치들(24, 6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에 의 해 감지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21)는 모뎀 입력 신호(IS) 및 모뎀 출력 신호(OS)가 모두 증폭 처리부(25)를 거치지 않도록 스위치들(24, 61)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도너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어 서비스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될 하향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 절체함으로써,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가 미약하여 모뎀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지국과 제대로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폭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모뎀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Claims (8)

  1.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하향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상향 신호처리부;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감지부;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향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상향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로 분배하는 제1 커플러; 및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기 제1 스위치로 제공하는 제2 커플러를 더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하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채널 파워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채널 파워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모뎀 입력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선택 신호를 더 발생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가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모뎀 입력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할 때,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는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신호는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의 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
  7.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하향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뎀이 상기 모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향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은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를 상향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를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시키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
KR1020070106777A 2007-10-23 2007-10-23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KR10091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77A KR100915205B1 (ko) 2007-10-23 2007-10-23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77A KR100915205B1 (ko) 2007-10-23 2007-10-23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93A true KR20090041193A (ko) 2009-04-28
KR100915205B1 KR100915205B1 (ko) 2009-09-02

Family

ID=4076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777A KR100915205B1 (ko) 2007-10-23 2007-10-23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308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0494A (ko)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서화정보통신 Rf 중계 장치의 감시용 모뎀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675231B1 (ko) * 2015-08-10 2016-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중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992A (ko) * 1999-08-17 2001-03-05 조정남 중계기 무선 감시 시스템
KR100761034B1 (ko) * 2005-10-17 2007-09-27 이태현 중계기 제어 및 감시 장치
KR200406676Y1 (ko) * 2005-10-17 2006-01-24 이태현 중계기 제어 및 감시 장치
KR100872704B1 (ko) * 2007-05-15 2008-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308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0494A (ko) 2014-10-29 2016-05-11 주식회사 서화정보통신 Rf 중계 장치의 감시용 모뎀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1675231B1 (ko) * 2015-08-10 2016-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205B1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7269B1 (en)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reof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US88380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mobile operating through a repeater
US72096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ating signal by using wireless optical transmission
KR100915205B1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JP3300552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中継装置
US1163762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gain of RF repeater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KR10162995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35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
KR20100077836A (ko)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KR100377935B1 (ko) 무선 기지국의 인접채널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0051408A (ko) 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2997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설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282056B1 (ko) 전력 증폭기의 동작제어방법 및 그에따른 장치
KR100416338B1 (ko) 전계강도 측정형 중계기 감시장치
KR20010017992A (ko) 중계기 무선 감시 시스템
KR10070176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인-빌딩용 소형 중계기 및 이의 운용관리 방법
KR101313688B1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강전계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484071B1 (ko) 기지국에서의 광중계 제어 장치
KR20220093997A (ko) 간섭 신호 진단장치
KR100683860B1 (ko) 이동통신용 중계기의 이득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990909B1 (ko)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KR101304435B1 (ko) 중계기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404308B1 (ko) 무선 통신 중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18586B1 (ko) 중계기의 이득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