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909B1 -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 Google Patents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909B1
KR100990909B1 KR1020080035160A KR20080035160A KR100990909B1 KR 100990909 B1 KR100990909 B1 KR 100990909B1 KR 1020080035160 A KR1020080035160 A KR 1020080035160A KR 20080035160 A KR20080035160 A KR 20080035160A KR 100990909 B1 KR100990909 B1 KR 10099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base station
termi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768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102008003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90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펨토셀 기지국(Femto Cell Station)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이 개시된다.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송수신회로는 기존의 이동 단말기 신호 수신 경로(UE Signal Receiver Path)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Node-B)이 송출하는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Node-B Signal Receiver Path)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송수신회로는 이동 단말기와의 다운 링크에 사용되는 듀플렉서(Duplexer)를 경유하지 않도록,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무선수신부로 직접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35160
펨토셀, 무선송수신회로, RF Transceiver, 스위치, Node-B Signal Receiver Path, Macro Cell Signal Receiver Path

Description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RF Transceiver for Femto Cell Station and the Femto Cell Station}
본 발명은, 펨토셀(Femto Cell) 기지국의 무선송수신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 신호 수신 경로(UE Signal Receiver Path)와 매크로 기지국이 송출하는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Node-B Signal Receiver Path)를 하나로 통합하여 수신할 수 있는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펨토 셀(Femto Cell)은 반경 200m 내외의 지역을 대상으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소형 기지국으로서 홈 노드-B(Home Node-B)라고도 한다.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셀(Macro Cell)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지역에 설치되거나, 가입자가 밀집되어 기지국 채널용량이 부족하게 되는 인빌딩 환경에 설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펨토셀은 이동 통신망의 핵심 제어국인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의 통신에 범용의 인터넷 회선을 이용 함으로서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인터넷 회선이 설치된 지역은 어디에서나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WCDMA(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펨토셀을 위한 펨토셀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UE)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종래의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기지국 송수신 경로를 별도로 구성한 트랜시버(Transceiver) 구조를 가지며, 이동 단말기(UE)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펨토셀 신호 송신경로(Femto-Cell Signal Transmitter Path)와 이동 단말기(UE)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신호 수신경로(UE Signal Receiver Path)가 그것이다.
다만, 펨토셀 기지국은 스니퍼(Sniffer) 기능을 위해 주변의 매크로 기지국(Node-B)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도 수신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Node-B Signal Receiver Path)를 구비하여야 한다. 펨토셀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동기를 맞추고, 자신의 셀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펨토셀의 커버리지(Coverage)를 인식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 신호 수신 경로(UE Signal Receiver Path)와 매크로 기지국이 송출하는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Node-B Signal Receiver Path)를 하나로 통합하여 수신할 수 있는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제1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송신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2무선신호 및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3무선신호 중 하나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무선송신부와 무선수신부를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하는 듀플렉서; 상기 듀플렉서, 안테나 및 무선수신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안테나와 무선수신부를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무선수신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3무선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BPF(Band Pass Filter); WCDMA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송신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모뎀부; 및 상기 모뎀부의 디지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송신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무선수신부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부에 제공하는 변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수신부는,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수신되는 제2무선신호와 상기 제1BPF로부터 수신되는 제3무선신호에 대해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출력을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수신부-BPF; 상기 제2무선신호 또는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발진주파수를 가지는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가변국부발진부; 및 상기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무선신호와 상기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믹서(Mixer)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위치는, 외부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파워 온(Power On) 되어 초기화된 후 출력되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1BPF를 연결하였다가, 상기 제3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뎀부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다운링크(Down Link)와의 동기가 완료된 후에 상기 안테나를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펨토셀을 운영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펨토셀 기지국은, 무선송수신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무선송수신회로는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상기 단말기로 제1무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무선신호를 수신하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의 다운링크 동기를 맞춘다.
제어부는 상기 무선송수신회로가 상기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는 기존의 이동 단말기 신호 수신 경로(UE Signal Receiver Path)를 매크로 기지국이 송출하는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Node-B Signal Receiver Path)로 사용함으로써 펨토셀 기지국의 소형화 및 저가격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은 매크로 셀의 송신신호를 보다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Macro Cell)의 기지국 정보를 분석하여, 스니퍼(Sniffer) 모드의 본래의 목적인 동기획득 및 자동 셀 플래닝(Auto Cell Planning)을 할 수 있으며, 매크로 셀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기초로 무선출력 제어(Power Control)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회로를 구비한 펨토셀 기지국의 펨토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회로(200)를 구비한 펨토셀 기지국(1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간단히 '단말기'라 함)(130)와 연결되고 매크로 기지국(Node-B)(150)과도 연결된다.
무선 송수신회로(200)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규약의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기지국 송수신 경로를 별도로 구성한 트랜시버 구조를 사용한다. 단말기(13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에 1920 ㎒에 서 1980 ㎒까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단말기(130)로의 데이터 송신에 2110 ㎒에서 2170 ㎒까지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회로(200)는 펨토셀 기지국(110)의 스니퍼(Sniffer) 기능을 위해 주변의 매크로 기지국(150)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도 수신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하나의 무선수신부를 이용하여 단말기 신호 수신경로(UE Signal Receiver Path) 및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Node-B Signal Receiver Path)를 형성할 수 있다. 펨토셀 기지국(110)은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다운링크 채널의 동기를 매크로 기지국(150)의 다운링크 채널에 맞추게 되고, 자신의 셀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펨토셀의 커버리지(Coverage)를 인식하는데 사용한다.
제어부(300)는 무선 송수신회로(200)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기본적으로 무선 송수신회로(200)에 포함된 하나의 무선수신부가 단말기 신호 수신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무선수신부가 기지국 신호 수신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펨토셀 기지국(110)에서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제1주파수 대역(예컨대, 2140 ㎒)의 무선신호를 '제1무선신호'라 하고, 단말기(130)가 펨토셀 기지국(110)으로 전송하는 제2주파수 대역(예컨대, 1950 ㎒)의 무선신호를 '제2무선신호'라 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150)으로부터 수신하는 제1주파수 대역(예컨대, 2140 ㎒)의 무선신호를 '제3무선신호'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도이 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회로(200)는 모뎀(Modem)부(210), 변환부(230), 무선송신부(250), 무선수신부(270), 듀플렉서(Duplexer)(291), 스위치(293), 제1BPF(Band Pass Filter)(295) 및 안테나(297)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회로(200)는 소정의 제어부(300)에 연결되어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모뎀부(210)는 변환부(230)에 포함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31) 및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33)에 연결된다. 모뎀부(210)는 WCDMA 규약에 기초하여, 단말기(130)로 전송할 전송 채널에 대한 확산, 혼합화 및 변조를 수행하여 DAC(231)에게 제공하며 변환부(230)의 ADC(233)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한다. 모뎀부(210)는 ADC(233)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중 매크로 기지국(15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 정보를 분석하여, 동기획득 및 자동 셀 플래닝(Auto Cell Planning)을 수행하며, 매크로 셀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체크하여 무선출력 제어(Power Control)에 이용한다.
변환부(230)의 DAC(231)는 모뎀부(2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부(250)에게 제공하고, ADC(233)는 무선수신부(270)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부(210)에게 제공한다. 모뎀부(210)에서 변환부(230)를 거쳐 무선송신부(250)(또는 무선수신부(270))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는 I 스트림(Stream)과 Q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다만, I 스트림과 Q 스트림의 혼합 및 분리 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이하에서는 구분하여 설명하지 아니한다.
무선 송수신회로(200)의 나머지 구성은 무선신호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먼저 펨토셀 신호 송신경로(Femto-Cell Signal Transmitter Path)를 통한 제1무선신호를 설명한다.
펨토셀 기지국(110)으로부터 단말기(130)로의 다운링크에는 다양한 채널이 사용되며, 파일럿 채널, 동기화 채널, 브로드캐스팅 채널, 페이징을 위한 채널 등이 해당하며, 이러한 채널들이 제1무선신호에 해당한다. 모뎀부(210) 및 변환부(230)로부터 제공되어 단말기(130)로 전송되는 제1무선신호는 무선송신부(250) → 듀플렉서(291) → 스위치(293) → 안테나(297)를 경유한다.
무선송신부(250)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Node-B)의 물리계층의 무선 송수신회로(RF Transceiver)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송신회로이면 가능하다. 도 2의 무선송신부(250)의 포함된 구성은 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송신국부발진부(251), 송신국부발진부(251)를 이용하여 DAC(23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변조하는 송신부-믹서(Mixer)(253), 송신부-믹서(253)의 출력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송신부-BPF(255) 및 송신부-BPF(255)의 출력을 증폭하는 파워증폭기(Power Amp)(257)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무선송신부(250)는 무선신호를 체크하기 위한 커플러(Coupler) 또는 신호출력을 안테나(297) 쪽으로 고정하고 파워증폭기(257)를 보호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Isolator)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무선송신부(2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듀플렉서(291)를 통해 스위치(293)로 전달된다. 듀플렉서(291)는 필터로서, 하나의 안테나(297)와 연결되는 무선송신부(250) 및 무선수신부(270)를 분리한다. 이에 따라 듀플렉서(291)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송신부(250)와 무선수신부(270)가 하나의 안테나(297)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293)에 전달된 신호는 안테나(297)를 거쳐 단말기(130)에게 송출된다. 스위치(293)의 기능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되는 제2무선신호는 안테나(297) → 스위치(293) → 듀플렉서(291) → 무선수신부(270)로 입력되어 기저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 변환부(230)로 전달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15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3무선신호는 안테나(297) → 스위치(293) → 제1BPF(295) → 무선수신부(270)로 입력된다. 스위치(293)와 무선수신부(270) 사이에 마련되는 제1BPF(295)는 제1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듀플렉서(291)를 통과하지 아니한 제3무선신호를 수신한다.
무선수신부(270)는 임피던스 매칭부(271), 임피던스 매칭부(271)를 통과한 신호를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273), 수신부-BPF(275), 수신부-믹서(277) 및 가변국부발진부(279)를 포함하며, 제2무선신호와 제3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무선수신부(270)는 수신부-믹서(277)의 전단 또는 후단에 마련되어 저잡음증폭기(273)에서 증폭된 이미지 주파수(Image Frequency) 성분을 제거하는 이미지제거필터(Image Reject Filter)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부(271)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임피던스에 의한 전송특성을 고려하여 제2무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단자와 제3무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2단자를 구비하고, 내부에 제2무선신호와 제3무선신호를 위한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구비하여 제2무선신호 및 제3무선신호와 개별적으로 정합함으로써, 감쇄없이 제2무선신호와 제3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임피던스 매칭부(271)를 통과한 무선신호는 저잡음증폭기(273) 및 수신부-BPF(275)를 통과한다. 저잡음증폭기(273) 및 수신부-BPF(275)는 제1주파수 대역과 제2주파수 대역 전체를 인밴드(in-band)로 하여 균일한 무선 특성이 있어야 한다.
수신부-BPF(275)를 통과한 신호는 수신부-믹서(277)로 입력되며, 수신부-믹서(277)는 수신부-BPF(275)를 통과한 신호를 가변국부발진부(279)에서 입력되는 신호와 곱함으로써 기저대역(Zero IF: Zero-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한다.
가변국부발진부(279)는 제어부(300)의 발진제어신호에 따라, 제2주파수의 제2무선신호와 제1주파수의 제3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부-믹서(277)로 제공되는 신호의 발진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수신부(270)가 제2무선신호를 처리할지 제3무선신호를 처리할지 여부는 발진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국부발진부(279)와 수신부-믹서(277)에 의해 결정되며, 무선수신부(270)로 제2무선신호가 입력될지 제3무선신호가 입력될지 여부는 스위치(293)에 의해 결정된다.
스위치(293)는 기본적으로 안테나(297)와 듀플렉서(291)를 연결함으로써, 듀플렉서(291)와 안테나(297) 사이의 제1무선신호 및 제2무선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스위치(293)는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따 라 안테나(297)와 제1BPF(295)를 연결함으로써, 매크로 기지국(150)이 송출하는 제3무선신호를 듀플렉서(291)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수신부(270)에게 제공하며 단말기(130)와의 연결을 차단한다. 스위치(293)는 SP2T(Single Pole 2 Throw) 디지털 스위치가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293)와 무선수신부(270) 사이에는 듀플렉서(291)를 대신하여 제1BPF(295)를 둠으로써, 제3무선신호를 필터링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중심으로 제어부(300)의 동작을 중심으로 매크로 기지국 신호인 제3무선신호의 수신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 신호 수신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펨토셀 기지국(110)이 파워 온(Power On) 되고 초기화 되면(S301), 제어부(300)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293)로 하여금 안테나(297)와 제1BPF(295)를 연결하도록 하여 제3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303).
제어부(300)는 무선수신부(270)가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발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변국부발진부(279)가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S305). 이후에, 제어부(300)는 모뎀부(210)가 변환부(230)가 제공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매크로 기지국(150)의 다운링크 채널에 자신의 다운링크 채널의 동기를 맞추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7).
S307 단계의 판단결과, 펨토셀 기지국(110)의 다운링크 채널이 매크로 기지국(150)의 다운링크 채널에 동기되었다면, 스위치(293)로 하여금 안테나(297)와 듀플렉서(291)를 연결하도록 하여 제1무선신호 및 제2무선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한 다(S309).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펨토셀 기지국(110)은 하나의 무선수신부(270)를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150) 신호와 단말기(130)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 예는, 제어부(300)는 파워 온 후에 한하여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무선 송수신회로(200)를 제어하게 되고, 일반(Normal) 상태에서는 무선 송수신회로(200)가 단말기(130)와 송수신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필요한 때에 무선 송수신회로(200)가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적 디스크, 하드(Hard)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회로를 구비한 펨토셀 기지국의 펨토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 신호 수신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Claims (6)

  1.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한 펨토셀 기지국 내에 마련되어 상기 기지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회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제1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송신부;
    상기 단말기가 전송하는 제2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자와 매크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무선신호 및 제3무선신호 중 하나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무선송신부와 무선수신부를 상기 안테나에 연결하는 듀플렉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단자와 듀플렉서 중 하나를 상기 안테나로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제2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3무선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BPF(Band Pass Filter);
    WCDMA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송신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모뎀부; 및
    상기 모뎀부의 디지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송신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무선수신부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부에 제공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는,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수신되는 제2무선신호와 상기 제1BPF로부터 수신되는 제3무선신호에 대해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출력을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수신부-BPF;
    상기 제2무선신호 또는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발진주파수를 가지는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가변국부발진부; 및
    상기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무선신호와 상기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믹서(Mi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외부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파워 온(Power On) 되어 초기화된 후 출력되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1BPF를 연결하였다가, 상기 제3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뎀부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다운링크(Down Link)와의 동기가 완료된 후에 상기 안테나를 상기 듀플렉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4. 펨토셀을 운영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펨토셀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상기 단말기로 제1무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무선신호를 수신하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의 다운링크 동기를 맞추는 무선송수신회로; 및
    상기 무선송수신회로가 상기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회로는,
    상기 제1무선신호를 출력하는 무선송신부;
    상기 단말기가 전송하는 제2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자와 매크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제3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무선신호 및 제3무선신호 중 하나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수신부;
    상기 무선송신부와 무선수신부를 안테나에 연결하는 듀플렉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단자와 듀플렉서 중 하나를 상기 안테나로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제2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3무선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BPF(Band Pass Filter);
    WCDMA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송신부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조하는 모뎀부; 및
    상기 모뎀부의 디지털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송신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무선수신부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부에 제공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부는,
    상기 듀플렉서로부터 수신되는 제2무선신호와 상기 제1BPF로부터 수신되는 제3무선신호에 대해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임피던스 매칭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
    상기 저잡음증폭기의 출력을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수신부-BPF;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무선신호 또는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발진주파수를 가지는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가변국부발진부; 및
    상기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무선신호와 상기 제3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믹서(Mix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기지국.
KR1020080035160A 2008-04-16 2008-04-16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KR10099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160A KR100990909B1 (ko) 2008-04-16 2008-04-16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160A KR100990909B1 (ko) 2008-04-16 2008-04-16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768A KR20090109768A (ko) 2009-10-21
KR100990909B1 true KR100990909B1 (ko) 2010-11-01

Family

ID=4153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160A KR100990909B1 (ko) 2008-04-16 2008-04-16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9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4844A (ja) 1997-01-31 1998-08-2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5970410A (en) 1996-02-27 1999-10-19 Airnet Communications Corp. Cellular system plan using in band-translators to enable efficient deployment of high capacity base transceiver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410A (en) 1996-02-27 1999-10-19 Airnet Communications Corp. Cellular system plan using in band-translators to enable efficient deployment of high capacity base transceiver systems
JPH10224844A (ja) 1997-01-31 1998-08-2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768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s
EP2044704B1 (en) Radio frequency signal distribution using data cable system
KR100896172B1 (ko) 주파수 변환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0799679B1 (ko)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방식의 마이크로웨이브중계기시스템
JP3742372B2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990909B1 (ko)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KR0144208B1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KR19990039463A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100377927B1 (ko) 무선 기지국의 송신기 원격 감시장치 및 방법
JP2926574B1 (ja) 高周波折り返し送受信回路と該回路を含む送受信無線装置
JP3781543B2 (ja) 無線端末機、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システム
US8462830B2 (en)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with spreading
JP2008236370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KR100377935B1 (ko) 무선 기지국의 인접채널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KR100645356B1 (ko) Cctv 설비를 이용하여 전파 음영지역의 통화 품질을개선하는 rf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686866B1 (ko) 광대역무선가입자망의 아이에스엠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채널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6314B1 (ko) 하드 핸드 오프가 가능한 개선된 비콘 장치
KR102474910B1 (ko) 차량용 무선 통신 증폭 시스템
KR20070079431A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70084707A (ko) 간섭 제거 시스템에서 fa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232445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도우너 모듈
KR100291631B1 (ko) 통신음영지역을해소하기위한이동통신시스템및통신방법
KR20000012697U (ko) 주파수 변환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용 초소형 중계장치
KR200430832Y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