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32Y1 -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32Y1
KR200430832Y1 KR2020060023492U KR20060023492U KR200430832Y1 KR 200430832 Y1 KR200430832 Y1 KR 200430832Y1 KR 2020060023492 U KR2020060023492 U KR 2020060023492U KR 20060023492 U KR20060023492 U KR 20060023492U KR 200430832 Y1 KR200430832 Y1 KR 200430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peater
antenna
donor antenna
a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정
원유실
강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노스
Priority to KR202006002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안테나; 상기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된 신호를 단말기에 전달하는 서비스 안테나; 및 상기 도너 안테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중계기에 전달하는 듀얼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RF신호를 이용한 장비의 입력신호 크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중계기 기준입력신호에 적합한 신호를 인입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중계기, 듀얼 LNA, 서비스 안테나, 도너 안테나, 입력신호증폭기

Description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Repeater Signal complement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중계기 일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듀얼 증폭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듀얼 증폭기의 내부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듀얼 증폭기의 송신부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의 듀얼 증폭기가 적용된 동기 및 비동기에서의 신호 개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의 듀얼 증폭기가 적용되는 산림휴양지에서의 실제 신호 개선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너 안테나 20 : 듀얼 증폭기
30 : 중계기 40 : 서비스 안테나
50 : 단말기
본 고안은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너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기에 전달함으로써 미약한 신호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량 및 서비스 불능을 개선할 수 있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기(50)에 신호를 전달한 후 단말기(50)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기(50)와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말하여 기지국은 셀로 구분되는 특정 영역 바운더리 내에 다수개의 단말기(50)들과 무선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채널 형성 후 일정 크기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일정 거리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특정 거리 간격으로 기지국들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단말기(50)와 기지국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는 지형지물이나 특정 환경을 가지는 상황에서 신호가 감쇄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음영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즉, 기지국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 내에 동일한 거리라 하더라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영역과 없는 영역이 생기게 되며, 일정 영역 이상의 거리에서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은 설치시 다양한 시설물들이 건립되어야 함에 따라, 기지국을 설치할 수 있는 일정 조건이 필요한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지국의 설치 및 기지국 내 혹은 필요한 지역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중계기를 사용하게 된다. 즉,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50) 사이에 배치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증폭 및 재생하여 단말기(50)에 전달함으로써, 기지국의 실질적인 신호 송수신 거리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통화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기지국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됨으로써 통화 불능 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중계기에 전달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는 기준이되는 입력신호가 있어야 제대로 동작을 할 수 있으나, 무선환경이 중계기 입력신호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중계기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에 입력되는 RF신호는 일정 크기 이상을 가져야 하는데, 특정 지역에서 수신할 수 있는 RF신호의 크기가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중계기 설치 자체가 불가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RF신호를 이용한 장비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외부 RF신호가 미약해서 중계기를 시설못하거나, 시설되었더라도 제대로 동작을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너 안테나 하나로 동기/비동기를 동시에 서비스하는 중계기는 입력되는 동기/비동기의 신호의 크기가 서로 달라 서비스 불균형이나 장애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중계기는 외부환경이 변할 경우, 그에 상응하여 입력신호의 크기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그에 대한 대응책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통화가 안되는 등 통화품질이 매우 낮아져 고객들의 불만사항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RF신호를 이용한 장비의 입력신호 크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중계기 기준입력신호에 적합한 신호를 인입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너 안테나가 기준이 되어 입력되는 신호레벨을 사용자가 조정함으로써 안정된 서비스와 양질의 통화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신호 중 동기/비동기 신호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동기/비동기 신호의 크기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불균형 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안테나; 상기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된 신호를 단말기에 전달하는 서비스 안테나; 및 상기 도너 안테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중계기에 전달하는 듀얼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증폭기는 상기 수신된 신호 중 동기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 절하는 동기신호 조절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중 비동기 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비동기신호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신호 조절부 및 상기 비동기신호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증폭기는 상기 도너 안테나와 접속되는 안테나단;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3G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3G단;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2G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2G단; 상기 중계기와 접속되는 레퍼런스단;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 및 전원 공급 유무, 기기의 정상 유무를 나타내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도너 안테나(10), 중계기(30), 서비스 안테나(40), 듀얼 증폭기(Dual Low Noise Amplifier)(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너 안테나(10)는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다. 이러한 도 너 안테나(10)는 기지국과의 원활한 신호송수신을 위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일방향성을 가지며 설치될 수 있다.
중계기는 산이나 빌딩 혹은 기타 지형지물로 인한 전파 차단 지역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과 같이 전파 도달이 어려운 음영지역을 대상으로 기지국의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증폭해 음영지역을 서비스하며, 음영 지역 단말기(50)의 신호가 기지국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저가의 비용으로 셀 커버리지 확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계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도너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기지국 신호는 듀플렉서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LNA)에 입력돼 저잡음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는 국부 발진기의 발진주파수와 혼합해 중간주파수로 다운 컨버전한다. 중간 주파수대에서 스커트(skirt) 특성이 우수한 표면 탄성파(SAW)필터를 통해 원하는 주파수대만을 통과시키고 다시 업컨버전해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를 통해 증폭한 후 서비스 안테나(40)를 이용하여 음영 지역을 서비스한다. 반대로 단말기(50)의 신호는 서비스 안테나(40)로 수신되고 이 신호를 필터 및 증폭기들을 통해 증폭 및 여과한 뒤 도너 안테나(10)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되게 한다. RF 중계기의 장점은 소규모 빌딩 서비스에 적합하며, 시설비용이 매우 저렴하지만, 안테나 아이솔레이션(isolation)확보의 문제점과 'Near Far'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RF 중계기의 단점을 보완한 변파 중계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변파 중계기는 기지국의 RF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빈 FA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로 전송한 후,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다시 원래의 주파수 신로로 변환하면 입출력 안테나간의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변파 중계기의 장점은 안테나 아이솔레이션의 확보가 용이해 다소 넓은 지역의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고, 아이솔레이션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적합하지만, 변파 중계기에 배정된 대역내에 반드시 빈주파수 대역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역내 주파수 사용률이 높은 도심 등에서는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기(30)는 크게 순방향처리부(200)와 역방향처리부(205)로 이루어진다.
순방향처리부(200)는 제 1 저잡음증폭기(212), 제 1 다운컨버터(214), 제 1 탄성표면파 필터(216), 제 1 업컨버터(218), 제 1 고주파 대역필터(220) 및 제 1 전력증폭기(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방향처리부(205)는 제 2 저잡음증폭기(232), 제 2 다운컨버터(234), 제 2 탄성표면파필터(236), 제 2 업컨버터(238), 제 2 고주파 대역필터(240) 및 제 2 전력증폭기(242)로 이루어진다. 제 1 저잡음증폭기(212)와 제 2 전력증폭기(242)사이에는 도너측 듀플렉서(210)가 연결되어 있어 도너안테나(202)를 통해 수신되는 통화 신호를 순방향처리부(200)로 인가하고, 도너안테나(202)를 통해 역방향처리부(205)의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 1 전력증폭기(222)와 제 2 저잡음증폭기(232)사이에는 커버리지측 듀플렉서(230)가 연결되어 있어, 이 커버리지측 듀플렉서(230)는 순방향처리부(200)로부터 증폭된 신호가 커버리지안테나(204)를 통해 이동국(250)에 접속되도록 하고, 커버리지 안테나(230)을 통해 수신받은 이동국(250)의 통화주파수가 역방향처리부(205)로 인가 되도록 한다.
제 1 저잡음증폭기(212)는 도너측 듀플렉서(210)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후술될 제 1 다운컨버터(214)로 인가한다. 제 1 다운컨버터(214)는 저잡음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에 용이한 중간주파수로 변환한다. 제 1 탄성표면파 필터(216)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탄성표면파 필터링하여 후술될 제 1 업컨버터(218)에 인가한다. 제 1 업컨버터(218)는 제 1 탄성표면파 필터(216)로부터 탄성표면파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1RF대역필터(220)는 업 컨버팅된 고주파 신호를 대역 필터링하여 커버리지측 듀플렉서(230)로 인가한다.
제 2 저잡음증폭기(232)는 커버리지측 듀플렉서(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후술될 제 2 다운컨버터(234)로 인가한다. 제 2 다운컨버터(234)는 저잡음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에 용이한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제 2 탄성표면파 필터(236)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탄성표면파 필터링한다. 제 2 업컨버터(238)는 제 2 탄성표면파 필터(236)로부터 탄성표면파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 2 고주파대역필터(240)는 업 컨버팅된 고주파 신호를 대역 필터링하여 도너측 듀플렉서(210)로 인가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계기는 다수의 기지국과 통신 접속되어 있으며,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이 아닌 음영지역에 존재하는 이동국(250)은 중계기(200)를 통해 무선기지국과 통신 접속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중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RF 중계기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에서 기재되고 있는 중계기는 RF 중계기, 변파 중계기, 광 중계기 등 기지국과 단말기(50) 사이에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어떠한 중계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RF 중계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RF 중계기는 본원 고안에서 설명하고 있는 형태 뿐만 아니라, 소자의 변경이나 구성의 변경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안테나(4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중계기(3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단말기(50)에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듀얼 증폭기(20)는 도너 안테나(10)와 중계기(30) 사이에 배치되어 도너 안테나(10)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기(3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증폭기(2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증폭기(20)의 내부 회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듀얼 증폭기(20)는 도너 안테나(10) 측과 연결되는 ANT단(ANT), 중계기(30) 측과 연결되는 REP단(REP), 입력되는 신호 중 3G(The Third Generation) 신호를 조절하는 3G단(3G), 입력되는 신호 중 2G 신호를 조절하는 2G단(2G), 전원이 입력되는 커넥터(DC), 전원 공급 여부 및 정상상태 여부를 나타낸 알람부(lam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외부 구성을 가지는 듀얼 증폭기(20)는 내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신호가 동기 방식일 경우 동기 신호를 증폭 및 조절하는 동기신호 조절부(22), 입력되는 신호가 비동기 방식일 경우 비동기 신호를 증폭 및 조절하는 비동기신호 조절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ANT단(ANT)은 도너 안테나(10)와 연결되는 단으로서, 도너 안테나(10)가 수신한 신호를 듀얼 증폭기(20)에 전달하는 단이다.
REP단(REP)은 듀얼 증폭기(20)의 내부 동기신호 조절부(22) 및 비동기신호 조절부(24)에 의해 조절된 신호를 중계기(30)에 전달하기 위하여 중계기(30)와 접속되는 단이다.
3G단(3G)은 도너 안테나(10)가 수신한 신호 중 3G 예를 들면, CDMA2000, IMT2000, W-CDMA 등 제 3 세대 이동통신 방식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를 조절하는 단이다. 이 3G단(3G)은 실질적으로 내부 구성인 비동기신호 조절부(24)의 제 2 딥 스위치(25)와 연결되어 있어 신호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그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는 3G단(3G)이 비동기신호를 송수신하는 단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 3 세대 이동통신 방식은 동기 방식 및 비동기 방식 둘 중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G단(3G)이 비동기신호 뿐만 아니라 동기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2G단(2G)은 도너 안테나(10)가 수신한 신호 중 2G 예를 들면, CDMA 통신 방식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를 조절하는 단이다. 이 2G단(2G)은 실질적으로 내부 구성인 동기신호 조절부(22)의 제 1 딥 스위치(23)와 연결되어 있어서 2G 신호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그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 2G단(2G)이 동기신호를 조절하는 단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2G에 채택되는 통신방식이 비동기 방식일 경우에, 동기신호 크기 조절과 동일한 방식으로 비동기 신호의 크기 조 절이 가능할 것이다.
커넥터(DC)는 듀얼 증폭기(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곳으로서 실제로 12V 1A의 직류 전원이 연결되는 곳이다.
알람부(lamp)는 커넥터(DC)에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램프를 녹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으로 나타내고, 또한, 듀얼 증폭기(20)의 기타 내부구성에 이상이 없음을 나타내게 된다.
동기신호 조절부(22)는 송신부(Tx)와 수신부(Rx)로 구성되며, ANT단(ANT)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동기방식에 따른 신호를 수신 및 증폭 조절하여 중계기(3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기신호 조절부(22)는 신호 조절을 위하여 제 1 딥 스위치(23)를 구비한다.
비동기신호 조절부(24)는 동기시호 조절부(22)와 유사하게 송신부(Tx)와 수신부(Rx)로 구성되며, ANT단(ANT)으로부터 전성되는 신호 중 비동기방식에 따른 신호를 수신 및 증폭 조절하여 중계기(30)에 전달한다. 비동기신호 조절부(24)도 비동기 신호의 이득 조절을 위하여 제 2 딥 스위치(25)를 구비한다.
도 5는 동기신호 조절부(22) 및 비동기신호 조절부(24)에 포함된 송신부(Tx)의 실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증폭기(20)의 동기신호 조절부(22) 및 비동기신호 조절부(24)의 송신부 각각은 해당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증폭기 및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딥 스위치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를 동기신호 및 비동기신호로 구분하여 각각 조절함으로써, 동기신호와 비동기신호간의 신호레벨을 차이를 줄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동기신호 및 비동기신호의 신호레벨을 조절할 수 있어, 동기신호 및 비동기신호의 크기 불균형으로 인한 신호감쇄 및 노이즈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증폭 또는 신호 조절을 실시함으로써, 서비스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의 좌측 상단 그래프는 듀얼 증폭기(2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기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검사한 값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72.41 dBm을 나타낸다. 한편, 도 6의 좌측 하단 그래프는 듀얼 증폭기(20)를 사용한 상태에서의 동기 방식에 따른 신호 레벨을 검사한 값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은 -57.04 dBm으로 사용 이전에 비하여 15 dBm 이상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우측 상단 그래프는 듀얼 증폭기(20)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동기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을 검사한 값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76.65 dBm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의 우측 하단 그래프는 듀얼 증폭기(20)를 사용한 상태에서 비동기 방식에 따른 신호 레벨을 검사한 값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레벨이 -63.78 dBm으로 13 dBm 이상 이득값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d는 실제 산림휴양림 등지에서 시범적용한 사례를 나 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산림휴양림 시범 지역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 영역에서 검사한 외부 입력신호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외부 입력신호를 듀얼 증폭기(20)를 이용하여 증폭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d는 증폭된 신호를 중계기(30)에 전달한 후, 중계기(30)를 통한 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신호가 매우 낮은 산림휴양림 등지에서 듀얼 증폭기를 사용하여 외부 입력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양호한 중계기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RF신호를 이용한 장비의 입력신호 크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여 중계기 기준입력신호에 적합한 신호를 인입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도너 안테나가 기준이 되어 입력되는 신호레벨을 사용자가 조정함으로써 안정된 서비스와 양질의 통화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은 동기신호 및 비동기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조절함으로써 동기/비동기간 입력신호가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따라 고정된 도너 안테나를 이동, 교체하지 않게됨으로써, 시설비, 운용비 등을 절감할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도너 안테나;
    상기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된 신호를 단말기에 전달하는 서비스 안테나; 및
    상기 도너 안테나와 상기 중계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중계기에 전달하는 듀얼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증폭기는
    상기 수신된 신호 중 동기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기신호 조절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 중 비동기 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비동기신호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조절부 및 상기 비동기신호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증폭기는
    상기 도너 안테나와 접속되는 안테나단;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3G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3G단;
    상기 도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2G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2G단;
    상기 중계기와 접속되는 레퍼런스단;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 및
    전원 공급 유무, 기기의 정상 유무를 나타내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20060023492U 2006-08-31 2006-08-31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0430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92U KR200430832Y1 (ko) 2006-08-31 2006-08-31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492U KR200430832Y1 (ko) 2006-08-31 2006-08-31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29A Division KR100782922B1 (ko) 2006-08-31 2006-08-31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32Y1 true KR200430832Y1 (ko) 2006-11-13

Family

ID=4177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492U KR200430832Y1 (ko) 2006-08-31 2006-08-31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0706B2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KR20010107015A (ko) 피코 기지국의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
US20010031623A1 (en) Channel booster amplifier
KR100799679B1 (ko)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방식의 마이크로웨이브중계기시스템
KR100627189B1 (ko) 무선통신망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20130078889A (ko) 긴급재난재해 이동통신 시스템
KR100375318B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200430832Y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0144208B1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19990039463A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101879286B1 (ko) 터널 내 2주파 단신 중계 시스템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CN211769564U (zh) 一种分布式电梯信号放大系统新型接入单元
KR100491088B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200346327Y1 (ko) 양방향 안테나 내장형 구조를 갖는 무선 중계기
KR100537412B1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저출력 스위치를 이용한무선 송수신 스위칭 회로
JP3717599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200232445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도우너 모듈
JP4886595B2 (ja) 移動通信リピータ装置、子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233511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안테나 모듈
KR20060057431A (ko) 기지국에서의 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990909B1 (ko) 펨토셀 기지국의 무선 송수신회로 및 그 펨토셀 기지국
KR1006731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시스템
JPH1198048A (ja) 無線固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