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463A -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463A
KR19990039463A KR1019970059676A KR19970059676A KR19990039463A KR 19990039463 A KR19990039463 A KR 19990039463A KR 1019970059676 A KR1019970059676 A KR 1019970059676A KR 19970059676 A KR19970059676 A KR 19970059676A KR 19990039463 A KR19990039463 A KR 1999003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frequency
high frequency
intermediat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1685B1 (ko
Inventor
윤영찬
이강주
Original Assignee
이강주
윤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246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394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주, 윤영찬 filed Critical 이강주
Priority to KR101997005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6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04B7/15514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for shadowing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 CDMA 단말기간의 중계를 위한 구성이 옥내와 옥외에 분리설치되는 옥내 중계기와 옥외 중계기로 분리구성하고, 옥내·외 중계기 간은 중간주파대역을 전송하는 전송케이블로 연결접속함으로써, 중계되는 신호의 손실을 저감시키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고주파 신호의 출력레벨을 일정레벨 이하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한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 대향 안테나(A1)와 근접하여 안테나케일블로 접속되어, 변환되는 중간주파대역신호와 RF대역 간을 변환중계하는 옥외 중계부(3); 각각의 단말기 대향 안테나(B1, …, Bm)와 근접하여 안테나케이블로 접속되어, 변환되는 중간주파대역신호 중 분할된 해당 대역과 RF대역간을 변환중계하는 다수의 옥내 중계부(51, 52, …5m); 상기 옥외 중계부(3)와 상기 옥내 중계부(51, 52, …5m)간을 공통접속하여 중간주파신호를 전달하는 전송케이블(l);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전송되는 저역의 DTMF 톤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저역 여파기(81); 상기 여파된 신호로 부터 톤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기(83); 및 상기 검출된 톤 신호의 해당 기호를 표시하는 표시기(8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안테나케이블에 의한 RF 신호전송경로를 짧게 함으로써 잡음지수에 의한 신호손실을 제거하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중계기의 출력을 낮출 수 있어 고출력 종단 증폭기 등의 필요성을 배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CDMA)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의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신호중계에 있어서 중계과정의 신호손실을 저감시키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과 CDMA 단말기간의 중계를 위한 구성이 옥내와 옥외에 분리설치되는 옥내 중계기와 옥외 중계기로 분리구성하고, 옥내·외 중계기 간은 중간주파대역을 전송하는 전송케이블로 연결접속함으로써, 중계되는 신호의 손실을 저감시키고,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고주파 신호의 출력레벨을 일정레벨 이하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옥외의 타 이동 단말기의 통신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한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 등 전파음영지역에서도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이동전화기용 중계장치는 RF 중계방식, IF 중계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RF 중계방식의 중계방치는, 도 10과 같이 구성된다.
도 10과 같이 구성된 RF 중계방식에서는 제 1 안테나(A1)로 수신되는 RF 신호가 제 1 여파기(401), 제 1증폭기(410) 그리고 제 2 여파기(402)를 거쳐, 제2안테나(B1)를 통해 재송신되고, 제2안테나(B1)로 수신도는 RF 신호는 제 3 여파기(403), 제 2 증폭기(411), 그리고 제 4 여파기(404)를 거쳐 제 1 안테나(A1)를 통해 재송신되는데, 이 방식의 특징은 전구간에서 주파수의 변환없이 중계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동 전화기용 중계장치 중 IF 중계방식은, 도 11과 같이 구성되는데, 그 중계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 1 안테나(A1)로 수신되는 RF 신호는 제1 여파기(501), 제 1 저접음 증폭기(502)를 거쳐 제 1 믹서(503)에서 중간주파수(IF)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 1 중간주파여파기(504)에 의해 방해파나 인접 채널의 주파수들이 제거된 후 증폭되고, 다시 제 2 믹서(505)를 통해 다시 원래의 주파수로 상향된 다음 제 1 증폭기(506)와 제 2 여파기(507)를 거쳐 제 2 안테나(B1)를 통해 재송신된다. 제2안테나(B1)로 수신되는 신호는 제 3 여파기( 511), 제 2 저잡음 증폭기(512), 제 3 믹서(513), 제 2 중간주파여파기(514), 제 4 믹서(515), 제 2 증폭기(516), 그리고 제 4 여파기(517)를 거치면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어 제 1 안테나(A1)를 통해 재송신된다.
상기와 같은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중계장치는 CDMA방식 이전의 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FDMA)이나 시분할 다중접속방식(TDMA)등의 중계방식을 그대로 답습함으로써, 이하에 설명되는 CDMA 방식의 독특한 특성에 적합한 중계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먼저, CDMA 방식의 고유특성을 살펴보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이나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에서는 어느 특정한 통화로(또는 어느 한 이동단말기로 부터의 무선신호)의 잡음이나 신호세기에 문제가 있어도, 주파수 혹은 사용시간이 타 사용자와 분리되므로 다른 통신회선에는 별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데 반해, CDMA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다른 코드를 이용해 중복 사용하므로, 어느 한 통화로의 잡음이나 신호세기가 너무 크면 다른 이동단말기의 통신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통신 단절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세력이 기지국에 동일한 세기로 수신되도록 기지국에서는 단말기의 출력을 상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CDMA 방식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느 한 통화로의 잡음이 다른 통화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통화를 방해하므로, 중계과정에서의 잡음의 중요성이 다른 방식에서의 중계시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여러개의 개별적인 통화로(각 채널)를 동일 주파수대역(IFA(Frequency Allocation), 보통 1,23MHz의 주파수대역)으로 다중화하고, 각 통화로의 구분은 각 이동 단말기 고유의 코드로 구분하게 되므로, 하나의 FA 내에는 다수의 통화로(채널)가 있고, 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다수의 FA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CDMA방식을 이용하는 중계장치들은 하나의 이동통신 사업자에 속하여 하나 혹은 다수개의 FA를 중계하게 되는 특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CDMA 방식을 중계하는 경우에는 각 이동 단말기로 부터 송신되는 전파세력이 기지국에 동일한 세기로 수신되게 하기 위한 제어가 완벽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는 기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또한 CDMA 기지국 장치는, 최대 동시통화채널수 및 비트 오율(Bit errorrate) 등을 고려하여, 수신되는 각 채널의 잡음 스펙트럼 밀도에 대한 비트당 에너지, 즉 Eb/No를 일정수준(보통 7dB 내외)에 두고, 신호의 세기를 이에 맞도록 각 이동 단말기로 부터의 출력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만약 어느 특정 단말기로 부터의 신호세기가 설정된 Eb/No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출력을 줄이도록 기지국이 제어를 하게 되지만, 단말기로 부터의 과도한 출력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이로 인해 타 단말기들의 통신이 두절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처음 켰을 때에나,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이나 중계장치의 안테나에 가까이 근접했을 때에는 이러한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다른 이동 단말기의 통신을 통화불능상태로 되게 하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
주로 지하공간 등 지사의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공간에 설치되는 중계장치의 안테나(또는 짧은 누설 동축케이블)와 이동단말기와의 거리가 아주 가까운 경우 상기와 같은 타 단말기의 통화불능상태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CDMA 중계장치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해소시키기 위해 어느 한계레벨을 정해 두고 출력단의 전력증폭기의 기능을 정지시키거나 전원을 차단시키는 등의 조처를 취하여 중계장치의 기능자체를 중단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고, 중계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안테나와 중계장치 사이에는 안테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안테나와 중계장치 본체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안테나 케이블이 길 경우(실제로, 지하 등을 중계하기 위해서는 한쪽단의 안테나와는 필연적으로 긴 안테나 케이블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에는 안테나 케이블의 감쇄량만큼 전체 중계기 잡음지수(NF : Noise Figure)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에 도달되는 잡음 또한 증가하여 중계기를 통한 깨끗한 통화품질을 보장할 수가 없었다.
또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FA를 중계하는 한 이동통신 사업자가 다층지하(지하 1, 2, 3…층) 등을 중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지하층마다 중계하고자 하는 전체 FA를 일률적으로 중계할 수 밖에 없어서, 해당 음영지역에 대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효율적인 중계를 수행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으로서,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통신을 위한 중계장치에 있어서 중계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중계대역의 할당이 자유로운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단말기의 과출력에 의한 타 단말기의 통신장애나 중계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기능의 오류 발생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도록 한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옥외 중계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옥내 중계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구성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에 사용된 중간주파수 할당대역(frequency allocation)을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도1의 옥내 중계부 각각에 할당되는 순방향 및 역방향의 분할 주파수대(frequency allocation)가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었을 때에 각 할당대역(frequency allocation, FA)에 해당하는 중간주파수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입·출력 신호의 중계전력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구성 및 설계예를 신호대역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가 적용되는 다양한 중계방식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이동전화기용 RF 중계방식의 중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이동전화기용 IF 중계방식의 중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 기지국향 안테나B1,B2,…,Bm : 이동 단말기향 안테나
3 : 옥외 중계부51,52,53,…5m: 옥내 중계부
81, 102, 106, 108, 114, 123, 130, 202, 208, 210, 212, 219, 226, 233, 401~404, 501, 511, 507, 517 : 여파기
83 : 톤 검출기84 : 표시기
103, 213, 502, 512 : 저잡음 증폭기
104, 110, 206, 214, 503, 505, 513, 515 : 혼합기(mixer)
107, 113, 220, 222 : 방향성 결합기
105, 117, 221, 224 : 레벨 검출기
109, 205, 209 : 중간주파 증폭기
112, 209 : RF 증폭기115 : 이득 조정기
119 : 이득 제어기122, 225 : 톤 발생기
131, 232, 410, 411, 506, 516 : 증폭기
132 : 주파수 체배기(frequency multplier)
133, 133m: 재생부230 : 국부 발진기
231 : 주파수 분주기(frequency divider)
234 : 발진부504, 514 ; 여파 증폭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CDMA)의 통신을 위한 중계장치에 있어서, CDMA 기지국으로 부터 무선수신되는 고주파신호에서 하향 신호대역을 검출하여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기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애경이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대역폭으로 하여 상기 원거리 송신되는 순방향 중간주파내의 신호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하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재변환한 후무선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하나 이상의 임의할당된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에서 하나 이상의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변환대역으로 하여 CDMA 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에서 신호대역을 검출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기 원거리 송신되는 역방향 중간주파대역내의 각각의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여 상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재변환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출력하는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상기 하나의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에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발진신호를 저주파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단일의 발진수단; 및 상기 발진수단으로 부터 원거리 전송된 저주파변환 발진신호를 원래의 주파수로 복원하여,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그리고 상기 발진수단에 의한 발진신호를 직접 제공받지 않는 다른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에 각각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진 재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는,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이 송신신호를 증폭함에 있어서, 입력전력레벨에 비례하여 전력증폭하되, 증폭된 출력전력의 레벨이 설정된 증폭이득 한계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설정된 한계전력으로 출력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는, 상기 원거리 송신이 공통접속된 단일의 유선통신회선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의 유선통신회선에는,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그리고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에서 별도로 생성, 출력되는 DTMF의 저역신호를 검출확인하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에서는, 안테나에 근접한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에 의해 CDMA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로부터 신호대역을 손실없이 검출하게 되고, 상기 검출된 신호는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어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으로 원거리 송신되게 된다. 상기 송신되 중간주파대역의 신호는,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이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대역폭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에 의해 대역별로 각각 검출되어 다시 고주파신호로 변환되게 되고, 상기 변환된 고주파신호는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에 근접되어 있는 안테나 또는 누설케이블을 통해 CDMA 단말기로 무선출력되게 된다.
한편, CDMA 단말기에서 무선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 또는 누설케이블에 근접되어 있는 상기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어 신호대역이 검출되게 되고, 상기 검출된 신호대역내의 신호는 임의할당된 역방향 중간주파 대역에서 하나 이상의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변환대역으로 하여 해당 대역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으로 원거리 송신되게 된다.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 수단은 상기 변환된 중간주파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재변환하게 되고, 상기 재변환된 고주파 신호는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에 근접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잡음지수에 의한 손실없이 기지국을 향해 무선출력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과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의 고주파 변환 및 중간주파 변환은 상기 발진수단에서 제공되는 발진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과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에서의 중간주파 변환 및 고주파 변환은, 상기 발진수단으로 부터 원거리 전송되어 온 저주파변환 발진신호로 부터 복원하는 원래의 발진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각 수단간의 주파수 편차없는 주파수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향고주파 송신수단은 CDMA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레벨이 설정된 한계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입력신호의 레벨에 무관하게, 기설정된 한계전력으로 출력함으로써 지나치게 높은 기지국으로의 송신절력에 의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의 전체 구성도로서, 기지국 대향 안테나(A1)와 근접하여 안테나케일블로 접속되어, 변환되는 중간주파대역신호와 RF대역 간을 변환중계하는 옥외 (기지국향)중계부(3); 각각의 단말기 대향 안테나(B1, …, Bm)와 근접하여 안테나케이블로 접속되어, 변환되는 중간주파대역신호 중 분할된 해당 대역과 RF대역간을 변환중계하는 다수의 옥내 중계부(51, 52, …5m); 상기 옥외 중계부(3)와 상기 옥내 (단말향)중계부(51, 52, …5m)간을 공통접속하여 중간주파신호를 전달하는 전송케이블(l);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전송되는 저역의 DTMF 톤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저역 여파기(81); 상기 여파된 신호로 부터 톤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기(83); 및 상기 검출된 톤 신호의 해당 기호를 표시하는 표시기(8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옥내 중계부(51, 52, …5m) 및 옥외 중계부(3)에는 각 중계하는 주파수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옥내 중계부 중 하나의 중계부(51)에는 발진부(234)를 두고 여타의 옥내 중계부 및 옥외 중계부에는 상기 전송케이블로 전송되는 저주파수의 발진신호로 부터 고주파 발진신호를 재생하는 재생부(133m)을 둠으로써, 상기 발진부(234)내의 주발진기에서 발생시킨 국부발진 주파수를 옥내 및 옥외 중계부 전체가 공유하도록 한다.
도2는 상기 옥외 중계부(3)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구성도로서, 기지국향 안테나(A1)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에서 해당 신호대역을 여파하는 순방향 RF 수신여파기(102); 상기 여파된 RF 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는 순방향 저잡음 증폭기(103); 상기 저잡음 증폭된 RF 신호를 일부 분리하는 제 1 방향성 결합기(107);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107)의 통과 신호를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하는 제 1 혼합기(104); 상기 혼합되어 생성되는 중간주파신호대역을 통과시키는 순방향 iF송신여파기(106); 및 상기 제 1 방향성 결합기(107)로 부터 분리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1 레벨 검출기(10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순방향 구성요소와,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원거리 전송되어 수신되는 중간주파신호를 대역여파시키는 역방향 iF 수신여파기(108); 상기 대역여파된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역방향 가변 iF 증폭기(109); 상기 증폭된 중간주파 신호를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하여 RF 신호대역으로 변환하는 제 2 혼합기(110); 상기 혼합되어 생성된 RF 신호를 가변전력증폭하는 가변 전력증폭기(112); 상기 가변증폭된 신호에서 일부 신호성분을 분리하는 제 2 방향성결합기(113); 상기 제 2 방향성결합기(113)를 통과한 고주파신호로 부터 RF 송신대역을 여파하는 역방향 RF 송신여파기(114); 상기 제 2 방향성결합기(113)로 부터 분리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2레벨검출기(117); 상기 제2레벨검출기(117)에서 검출된느 송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의 증폭율을 제어하는 이득제어기(119);와 상기 가변되는 역방향 가변 iF 증폭기(109)의 증폭율을 제어하는 이득조정기(11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역방향 구성요소와, 옥내 중계부에서 발생되어 전송케이블(l)을 통해 보내온 저주파 변환된 발진신호를 대력여파하는 대역여파기(130); 대역여파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131); 상기 증폭기(131)에 의해 증폭된 저주파 발진신호의 주파수를 체배시켜 각 혼합기(104, 110)에 국부발진 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 체배기(132); 상기 제 1 및 제 2 레벨검출기의 신호전력의 검출여부에 따라 DTMF 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톤 발생기(122); 및 상기 발새된 톤 신호를 저역여파하여 상기 전송케이블(l)로 송신하는 제 1 저역여파기(1243);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옥내 중계부(51, 52, …5m)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상세구성도로서,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중간주파대역으로 원거리 전송되어 수신되는 신호 중 할당된 순방향 분할대역내의 신호를 대역여파하는 순방향 iF 수신여파기(202); 상기 여파된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순방향 iF 증폭기(205); 상기 증폭된 중간주파 신호를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하는 제 3 혼합기(206); 상기 혼합결과 변환된 RF 신호를 대역여파하는 순방향 RF 여파기(208); 상기 여파된 RF 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순방향 전력증폭기(209); 상기 전력증폭된 RF 신호를 일부 분리하는 제 3 방향성결합기(220); 상기 제 3 방향성결합기(220)의 통과신호를 고주파 송신대력으로 여파하는 순방향 RF 여파기(210); 및 상기 제 3 방향성결합기(220)로 부터 분리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3 레벨검출기(22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순방향 구성요소와, CDMA 단말기로 부터 안테나(Bx)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대역여파시키는 역방향 RF 수신여파기(212) ; 상기 대역여파된 고주파 신호를 저잡음증폭하는 역방향 저잡음증폭기(213); 상기 저잡음증폭된 신호를 일부분리하는 제 4 방향성결합기(222); 상기 제 4 방향성결합기(222)의 통과신호를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하는 제 4 혼합기(214); 상기 혼합결과 변환된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역방향 가변 iF 증폭기(216); 상기 증폭된 중간주파 신호를, 할당된 역방향 분할신호대역으로 여파하여 상기 전송케이블(l)로 송신하는 역방향 iF 송신여파기(219); 상기 제 4 방향성결합기(222)에서 분리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제 4 레벨검출기(22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역방향 구성요소와, 중간주파변환과 RF 변환을 위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주발진기(230); 상기 주발진기(230)의 출력을 분주시키는 주파수 분주기(231); 상기 분주기(231) 출력을 증폭시키는 증폭기(232); 상기 증폭기(232)의 출력을 통과시켜 이를 전송케이블(l)을 통해 옥외 중계부와 여타의 각 옥내 중계부로 출력시키는 대역여파기(233); 상기 제 3 및 제 4 레벨검출기(221, 224)의 신호전력의 검출여부에 따라 DTMF 톤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톤발생기(225); 및 상기 발생된 톤 신호를 저역여파하여 상기 전송케이블(l)로 송신하는 제 2 저역여파기(2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m)개로 구성되어 있는 옥내 중계부(51, 52, …5m)의 중간주파 송수신 대역은 각기 상이하며, 이에 따라 각 옥내 중계부(51, 52, …5m)의 IF 여파대역은 각기 상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에서는, 먼저 기지국으로 부터 고주파 입력되는 신호가 기지국 대향 안테나(A1)를 통해 옥외 중계부(3)로 수신되게 되고, 상기 옥외 중계부(3)에서는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되는 주파수(RF1)만을 여파하기 위한 상기 순방향 RF 수신여파기(102)와 순방향 저잡음 증폭기(103)를 차례로 통과되게 된다. 상기 통과된 RF 신호는 저잡음 증폭되어 상기 제 1 혼합기(104)에 입력되게 되는데, 상기 RF 신호는, 하나의 옥내 중계부(51)로 부터 발진전송되어 대역여파기(130), 증폭기(131), 주파수 체배기(132)에 의해 원래의 발진신호로 복원된 후 상기 제 1 혼합기(104)로 인가되는 국부발진 주파수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의설정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인 70±5MHz 대의 중간주파수(IF1)로 변환된 후, 순방향 중간주파대역만을 통과시키는 상기 순방향 iF 송신여파기(106)를 거쳐 여파되어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다수의 상기 옥내 중계부(51, 52, …5m)로 전송된다.
상기 옥외 중계부(3)로 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긴 전송케이블(l)을 통해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 중계부(51, 52, 53,…5m)로 전달되는데, 중계부 간의 전송길이가 길어지는 대신, 기지국으로 부터 고주파 수신되는 안테나 케이블의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안테나 케이블에 의해 중계장치 전체에 미치는 잡음지수의 영향은 감소되게 된다. 상기 긴 중간주파 전송케이블(l)에 의해 신호손실이 있더라도, 상기 순방향 저잡음 증폭기(103)의 증폭이득에 의해, 상기 손실이 장치 전체에 미치는 잡음지수의 영향이 감소하게 되는데, 그 감쇄의 영향은 상기 순방향 저잡음 증폭기(103)의 이득분의 1만큼에 근접하여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주파 전송케이블(l)이 길어지면서 손실이 증가하게 되어도, 그 손실이 상기 순방향 저잡음 증폭기(103)의 이득에 비해 적을 동안에는 장치 전체의 잡음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방향 저잡음 증폭기(103)의 이득을 25-30dB로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전송케이블(l)의 길이를 500m 이상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원거리 전송된 70±5MHz대의 중간주파신호는, 지하층(지하 1층, 지하 2층,...) 별로 하나씩 설치되는 복수의 옥내 중계부(51, 52, 53,…5m)에 각각 입력되게 되고, 이들 각각의 중계부(51, 52, 53, ..., 5m)의 중간주파수신대역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 대역인 65~75MHz 대역을 1FA(=1.25MHz) 단위로 분할된 8개의 FA 가운데 하나 또는 복수로 할당받은 FA 대역이 된다.
상기 전송된 중간주파 신호 중, 상기 순방향 iF 수신여파기(202)의 할당된 통과대역내의 신호만이 상기 순방향 iF 수신여파기(202)를 통과하여 상기 순방향 iF 증폭기(205)에 의해 증폭된다. 상기 순방향 iF 수신여파기(202)는 인접채널 주파수 등, 불요파의 제거에 성능이 우수한 여파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는 상기 제 3 혼합기(206)에 인가된 후, 상기 주발진기(230)에서 발진되는 RF 변환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되고 상기 혼합결과,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되는 원래의 RF 주파수대로 주파수 변환된 후, 상기 순방향 RF여파기(208), 순방향 전력증폭기(209) 및 순방향 RF 송신여파기(210)를 거치면서 RF 송신대역의 신호만이 충분한 전력으로 단말기 대향 안테나(Bx) 혹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무선송신된다.
상기 주발진기(230)에서 발진되는 상기 국부발진용 주파수는,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한 전송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각 중계부에서 필요한 국부발진 주파수를 그대로 보내지 않고, 이를 상기 주파수 분주기(231)에서 분주(devide)하여 저주파수로 변환한 뒤, 상기 증폭기(232)에서 증폭하여 상기 대역여파기(233)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각 옥내 및 옥외 중계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되는 저주파 변환된 국부발진용 주파수를 체배하여 상기 주발진기(230)의 발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 주파수로 재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발진기(230)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분주하는 대신 주발진을 위해 체배하기 전 신호를 상기 증폭기(232)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동일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의 실시에에서와는 달리, 상기 발진부(234)를 옥내 중계부(51)에 구성하는 대신 옥외 중계부(3)에 구성하고, 타 중계부에는 재생부(133m)를 구성함으로써, 변환 주파수의 편차없이 중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단말기 대향 안테나(Bx) 혹은 누설동축 케이블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는, 각각의 옥내 중계부(51, 52, 53,…5m)의 상기 역방향 RF 수신여파기(212)에 의해 여파되어, 상기 역방향 저잡음 증폭기(213)에서 저잡음 증폭된 후 상기 제 4 혼합기(214)로 인가되게 된다. 상기 역방향 저잡음 증폭기(213)는 옥내중계를 위한 안테나(Bx)와 짧은 안테나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이후의 중간주파 전송케이블(l)의 긴거리 전송에 의한 손실을 보상하게 되므로 장치 전체의 잡음지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 3 혼합기(214)로 인가된 고주파 신호는 상기 주발진기(230)에서 발진되는 IF 변환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되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0±5MHz이ㅡ 중간주파수(IF2)대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 변환된 중간주파신호(IF2)는 상기 역방향 가변 iF증폭기(216)와 상기 역방향 iF송신여파기(219)를 거쳐, 해당 대역의 신호(IF21)만이 상기 전송케이블(l)로 입력되게 된다. 상기 역방향 iF송신여파기(219)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채널의 주파수 영향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여파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역방향 iF송신여파기(219)에 할당되는 여파대역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으로 할당된 160±5MHz대역이 FA(=1.25MHz) 단위로 분할된 8개의 할당 주파수대 가운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상기 순방향 iF수신여파기(202)가 할당받은 만큼 할당된 FA 대역이 된다.
따라서, 해당 옥내 중계부(5m)에 할당되어 있는 RF 내의 신호가, 타 옥내 중계부에서 전송되는 타 대역의 중간주파신호와 함께 상기 역방향 iF 수신여파기(108)를 통과하고, 상기 역방향 가변 iF 증폭기(109)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되어 상기 제 2 혼합기(110)로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제 2 혼합기(110)에 의해, 상기 일정 레벨 증폭된 중간주파신호는 상기 주파수 체배기(132)로 부터의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되어 이동 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원래의 RF 신호로 변환되게 되고, 상기 RF 신호는 가변 전력증폭기(112)에서 입력신호의 전력의 크기에 따라 전력증폭되고, 상기 역방향 RF송신여파기(114)에서 역방향 RF송신대역 이외의 신호대역이 제거된 후 기지국 대향 안테나(A1)를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출력되게 됨으로써, 기지국과 전파음영지역내의 CDMA 단말기간에, 중계에 의한 신호손실없이 깨끗한 통화로의 중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역방향 중계경로 가운데,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상기 제 2 방향성 결합기(113)에 의해 일부 분리되어 상기 제 2 레벨검출기(117)로 인가되게 되고, 상기 제 2 레벨검출기(117)는 상기 인가되는 전력의 세기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직류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직류신호는 이득 제어기(119) 및 상기 이득조정기(115)에 입력되어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 및 상기 역방향 가변 iF 증폭기(109)의 증폭률 조정의 기준신호로서 이용되는데, 상기 이득 조정기(115)는 상기 입력되는 직류신호가 증폭레벨에서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상기 역방향 가변 iF 증폭기(109)의 증폭률을 조정하게 되고, 상기 이득제어기(119)는,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의 출력이 도 6a의 곡선(Cp)과 같은 입·출력관계식 및 도 6b의 이득곡선에 따르도록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의 전력증폭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신호의 전력이 낮은 구간에서는, 상기 역방향 가변 iF증폭기(109)의 입력과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의 출력이 1:1로 비례하게 되는데, 상기 입력이 1dB, 2dB, 3dB로 각각 증가하게 되면 출력도 이에 비례하여 각각 1dB, 2dB, 3dB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 입력이 변곡입력점을 초과하여 한계입력점이 되기까지의 변곡구간에서는 상기 입력이 4dB, 5dB, 6dB로 각각 증가하더라도 종래(Co)와는 달리, 그 출력은 3.5dB, 3.8dB, 4.2dB씩의 증가에 그치게 되어 입력의 증가분만큼 출력이 증가하지 않게 되고, 그 증가분은 조금씩 줄어들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한계입력 이상인 포화구간에 해당하는 전력의 단말기 신호가 입력되어도 상기 가변 전력증폭기(112)는 한계출력이상의 전력으로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중게장치의 고출력신호에 의한 옥외의 타 단말기에의 잡음유입 및 이로 인한 통화단절 또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계출력으로의 제한에 의해 초기 통화설정시 또는 단말기 전력제어 장애에 의한 단말기의 과출력이 발생하여도 타 단말기의 통화장애없이 정상적인 단말기 전력제어가 이루어지게 되거나, 한계출력으로서 통화가 타 단말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중계부(3, 51, 52, 53, ..., 5m)내에 포함되어 있는 방향성 결합기(107, 113, 220, 222)와 레벨 검출기(105, 117, 221, 224)는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전송과정에서, 신호전송 경로상의 증폭기 출력단의 신호를 일부 분리하여 그 전력에 비례하는 직류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출력되는 직류신호의 레벨이 일정 이하이면, 상기 각각의 중계부(3, 51, 52, 53, ..., 5m)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톤 발생기(122, 225)는 기 지정되어 있는 DTMF 톤을 발생시키고 각 저역여파기(123, 226)는 그 신호대역을 여파하여 중간주파신호가 송수신되고 있는 전송케이블(l)로 입력시키게 된다. 이 때 발생되는 DTMF 톤은 어느 중계부 내의 신호전송경로에 기인하여 발생되었는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 상이하게 지정하여 설정해 두게 된다.
상기 전송케이블(l)을 통해 송신도는 저역의 DTMF 신호는 상기 저역 여파기(81)에 의해 여파되어 상기 톤 검출기(83)에 인가되고, 상기 톤 검출기(83)는 인가된 DTMF신호로 부터 그에 해당하는 코드(숫자 및 기호)를 검출하여 이를 상기 표시기(84)로 출력하여 표시함으로써, 증폭기 출력단에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이상발생된 해당 중계부를 즉시 파악하여 이를 조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옥외 중계부(3)를 단일로 구성하지 않고, 이동통신 사업자별로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계장치를 각기 별도로 설치하는 종래와는 달리 도 2의 옥외 중계부를 추가로 상기 전송케이블(l)에 공통접속시키고, 사용하는 순방향 중간주파대역과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을 각기 다르게 할당하며, 옥내 중계부는 이에 대응하여 중간주파대역을 할당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별로도 공유하여 전파음영대역을 용이하게 중계할 수 있으며, 또한 FA 할당이 자유로와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의 구성 및 설치예를 신호대역을 중심으로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옥외 중계부와 세개의 옥내 중계부로 구성설치되고, 순방향 중간주파대경은 70±5MHz, 역방향 중간주파댁역은 160±5MHz를 할당하여 사용한 것이다.
도 7의 역방향 구성에서 옥내 중계부로 부터 각각 할당된 대역으로 다중출력된 신호가 타 옥내 중계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없애기 위해 각각의 중간주파 송신단에 단향관(아이솔레이터 : isolator)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8 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가 적용되는 다양한 중계방식을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도 8은 전술한 도 1 의 실시예를 건물 지하에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타 건물 등에 의해 기지국이 차단된 건물(BD3) 등을 중계하기 위해, 해당 건물(BD3)에 대향하는 지상에 단일의 옥내 중계부(5a)를 설치한 것을 보여준다(P1). 이에 따라 기지국이 차단된 건물(BD3)내의 이동 단말기들은 해당 건물내의 중계장치와 중계 건물(BD1)내의 중계부를 통해 기지국 1과 신호교환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계방식에 의해, 건물 등의 건설 등에 의해 기지국으로 부터 차단된 건물이나 지역 등을 자유롭게 할당되는 FA 단위로 손쉽게 중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의 옥내 중계부와 옥외 중계부를 유선으로 통신하는 대신, 중간주파대역으로 무선통신에 의해 신호교환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8에서 IFA 원격 셀은 이러한 중계방식에 의한 중계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중계방식은 통화량이 적은 고립된 원거리 지역을, 중계장치의 여유 중계대역을 이용하여 중계하는 경우(P2)에 유리한 방식이다.
도 9는, 지하철과 같은 다층 및 상하굴곡이 있는 구조의 지하 내를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에 의해 중계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중계영역을 갖는 지상의 기지국들 가운데, 기지국 1과 기지국 2는 중계영역내에 있는 각각의 옥외 중계부를 통해 IF 신호대역으로 지하터널 내의 옥외 중계부와 유선중계하게 되고, 지하터널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옥내 중계부는 안태나를 통해 지하차량 또는 지하구 내의 이동단말기를 중계하게 된다. 이는 단일의 중계장치가 긴 거리의 누설 동축케이블을 통해 중계하는 방식에 비해 잡음지수에 의한 신호손실 및 중계장치의 출력면에서 훨씬 유리한 방식이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신호의 송수신에 장애가 되는 굴곡된 지하터널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구간만을 외피를 없앤 누설 동축케이블을 짧은 구간 배치함으로써, 최소한의 신호손실로써 굴곡내의 이동 단말기를 기지국에 중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는, 안태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경로를 짧게 함으로써, 잡음지수에 의한 신호손실을 제거하고, 장치내의 발진 주파수 편차를 없애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동일 신호대 잡읍비를 유지하기 위한 중계기의 출력을 낮출 수 있어 고출력 종단 증폭기 등의 사용 필요성을 배제하였으며, 또한 일정레벨 이상의 단말기 출력에 대해서는 중계기의 이득을 감소시켜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으로의 입력의 과도함을 완화시켜, 통화채널에의 방해현상 및 타 통화채널의통화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중 할당 중간주파수대(IFA)에 의하여 원하는 지역에 원하는 할당 주파수대(FA)로 중계함으로써 보다 넓은 지역을 효율적으로 중계할 수 있으며, FA로 구분하여 중계함으로써 이동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송신잡음의 제거는 물론, 각 옥내장치가 해당 FA의 주파수 대역만큼만 받아들이고 여타 FA에 해당도는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옥외장치에서 송신되는 이동 단말기의 잡음누적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옥내장치에서는 해당 FA 또는 FA들만을 증폭하여 중계하므로 저전력증폭기의 사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FA들간에 발생되는 상호변조파를 줄임으로써 여타 통화채널에의 방해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CDMA)의 통신을 위한 중계장치에 있어서,
    CDMA 기지국으로 부터 무선수신되는 고주파신호에서 하향 신호대역을 검출하여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기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이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대역폭으로 하여 상기 원거리 송신되는 순방향 중간주파내의 신호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하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재변환한 후무선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하나 이상의 임의할당된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에서 하나 이상의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변환대역으로 하여 CDMA 단말기로 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에서 신호대역을 검출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기 원거리 송신되는 역방향 중간주파대역내의 각각의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여 상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재변환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출력하는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상기 하나의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에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발진신호를 저주파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단일의 발진수단; 및
    상기 발진수단으로 부터 원거리 전송된 저주파변환 발진신호를 원래의 주파수로 복원하여,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그리고 상기 발진수단에 의한 발진신호를 직접 제공받지 않는 다른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에 각각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진 재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추가로 구성되는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에 발진신호를 각각 복원하여 제공하는 상기 발진 재생수단이 상기 추가되는 수만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및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간에는 서로 상이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과 서로 상이한 역방향 주간주파대역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수단은,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주발진기;
    상기 발진출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분주하는 주파수 분주기;
    상기 주파수 분주된 신호를 중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분주된 주파수대역으로 여파하여 원거리 전송하는 대역여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진 재생수단은,
    상기 발진수단으로 부터 원거리 전송된 발진신호를 대역여파하는 대역여파기;
    상기 대역여파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의 주파수를 체배하여 원래의 발진주파소로 복원하는 주파수 체배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송신은 공통접속된 단일의 유선 통신회선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고주파 수신 수단은,
    입력되는 하향신호 대역내의 고주파신호를 여파하는 대역여파기;
    상기 대역여파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잠음 증폭기;
    상기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중간주파 변환기; 및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를 대역여파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대역여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 수단은,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임의분할대역 내의 신호를 대역여파시키는 대역여파기;
    상기 대역여파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를 하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기; 및 상기 고주파변환된 신호를 상기 하향 신호대역으로 대역여파하는 대역여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은,
    입력되는 상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를 여파하는 대역여파기;
    상기 대역여파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중간주파 변환기; 및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를 대역여파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대역여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은,
    상기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신호를 대역여파시키는 대역여파기;
    상기 대역여파된 신호를 증폭출력하되, 그 증폭이득이 가변되는 가변증폭기;
    상기 가변증폭기 신호를 상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변환하는 고주파 변환기; 및
    상기 고주파 변환된 신호를 상기 상향 신호대역으로 대역여파하는 대역여파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송신은 공통접속된 단일의 유선 통신회선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부의 출력레벨과 상기 가변증폭부의 출력레벨의 일정값 이상 검출여부에 따라 제 1DTMF 신호를 발생하는 제 1DTMF 신호발생부;
    상기 발생되는 제 1DTMF신호 대역을 여파하여 상기 단일의 유선통신회선으로 송신하는 제 1 저역여파부;
    상기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내의 고주파 변환부의 출력레벨과 상기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 내의 증폭부의 출력레벨의 일정값 이상 검룰여부에 따라 제 2 DTMF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DTM 신호 발생기; 및
    상기 발생되는 제 2 DTMF 신호 대역을 여파하여 상기 단일의 유선통신회선으로 송신하는 제 2 저역여파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유선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회선내에 저역의 DTMF신호를 여파하는 제 3 저역여파부;
    상기 여파된 신호대역에서 DTMF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된 DTMF신호에 상응하는 식별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증폭부는, 입력 전력레벨에 비례하여 전력증폭하되, 증폭된 출력전력의 레벨의 설정된 증폭이득 한계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설정된 한계전력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증폭이득 한계레벨은, 장치의 종단증폭기 최대수용 출력레벨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증폭부는 상기 증폭이득 한계레벨 이하의 입력신호에 대해서, 선형비례 증폭구간과 입력신호가 증가하면 증폭율이 감소하는 비선형 증폭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은 65-75MHz, 상기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은 155-165MHz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분할은 1.25MHz 단위로 구획구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14.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CDMA)의 통신을 위한 중계방치에 있어서,
    CDMA 기지국으로 부터 무선수신되는 고주파신호에서 하향 신호대역을 검출하여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의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기 임의할당된 순방향 중간주파대역이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대역폭으로 하여 상기 원거리 송신되 순방향 중간주파내의 신호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하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재변환한 후 무선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
    하나 이상의 임의할당된 역방향 중간주파대역에서 하나 이상의 분할된 분할대역을 각각의 변환대역으로 하여 CDMA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에서 신호대역을 검출하여,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
    상기 원거리 송신되는 역방향 중간주파대역내의 각각의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여 상향 신호대역의 고주파신호로 재변환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출력하는 상향고주파 송신수단;
    상기 상향 고주파 송신수단 및 하향 고주파 수신수단의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발진신호를 저주파 변환하여 원거리 송신하는 발진수단; 및
    상기 발진수단으로 부터 원거리 전송된 저주파변환 발진신호를 원래의 주파수로 복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향 고주파 수신수단 및 하향 고주파 송신수단에 주파수 변환을 위한 발진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진 재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1019970059676A 1997-11-08 1997-11-08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10025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676A KR100251685B1 (ko) 1997-11-08 1997-11-08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676A KR100251685B1 (ko) 1997-11-08 1997-11-08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63A true KR19990039463A (ko) 1999-06-05
KR100251685B1 KR100251685B1 (ko) 2000-04-15

Family

ID=1952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676A KR100251685B1 (ko) 1997-11-08 1997-11-08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6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114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전력 증폭기 이중화 장치
KR20010016363A (ko) * 2000-12-05 2001-03-05 조성국 이동 통신용 양방향 능동 증폭장치
KR20030068334A (ko) * 2002-02-15 2003-08-21 주식회사 지티앤티 지상형 중계기 시스템
KR100719474B1 (ko) * 2005-12-19 2007-05-17 (주) 엘지텔레콤 옥외용 중계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발진 현상 제어 방법
KR100744362B1 (ko) * 2001-09-26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링크의 수신신호의 간섭억제장치 및 방법
KR100757304B1 (ko) * 2005-06-24 2007-09-11 주식회사 에어텍시스템 불요 의사잡음 부호를 식별 및 제거하는 방법과 이를이용한 신호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37A (ko) * 2000-05-04 2000-09-05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KR100537501B1 (ko) * 2002-10-15 2005-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옥내 무선통신용 벽체 매립형 안테나 시스템
KR101282069B1 (ko) * 2012-02-08 2013-07-04 주식회사 엠티아이 Mimo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114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전력 증폭기 이중화 장치
KR20010016363A (ko) * 2000-12-05 2001-03-05 조성국 이동 통신용 양방향 능동 증폭장치
KR100744362B1 (ko) * 2001-09-26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링크의 수신신호의 간섭억제장치 및 방법
KR20030068334A (ko) * 2002-02-15 2003-08-21 주식회사 지티앤티 지상형 중계기 시스템
KR100757304B1 (ko) * 2005-06-24 2007-09-11 주식회사 에어텍시스템 불요 의사잡음 부호를 식별 및 제거하는 방법과 이를이용한 신호처리 장치
KR100719474B1 (ko) * 2005-12-19 2007-05-17 (주) 엘지텔레콤 옥외용 중계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발진 현상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1685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2259B1 (en) Regenerative RF bi-directional amplifier system
KR100352852B1 (ko) 광기지국용 수신신호 전송장치
CN1089511C (zh) 蜂窝无线电系统、中继器和基站
US6889033B2 (en)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US6374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s
US200300452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additional frequency band through an in-build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5828946A (en) CATV-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scheme
EP1091508A1 (en) Repeating installation using telephone line
US20080214221A1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US20010031623A1 (en) Channel booster amplifier
KR10038561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중계장치
KR100412014B1 (ko) 전력제어 기능을 갖는 중간 주파수 방식의 중계기와전력제어 방법
KR100251685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0144208B1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KR100287751B1 (ko) Cdma이동전화특수지역서비스시스템
JP3781543B2 (ja) 無線端末機、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システム
KR10069910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신호 전용 중계 장치
KR100325437B1 (ko) 무선통신 선로 증폭회로
JP3095126B2 (ja) 移動無線周波数選択形中継装置
WO2002098014A2 (en)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KR100315307B1 (ko) 전화선 또는 전용회선을 이용한 중계장치
KR100691376B1 (ko)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KR200232445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도우너 모듈
KR200100971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