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376B1 -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376B1
KR100691376B1 KR1019990046673A KR19990046673A KR100691376B1 KR 100691376 B1 KR100691376 B1 KR 100691376B1 KR 1019990046673 A KR1019990046673 A KR 1019990046673A KR 19990046673 A KR19990046673 A KR 19990046673A KR 100691376 B1 KR100691376 B1 KR 10069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frequency
mixer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622A (ko
Inventor
조봉열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1999004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3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표면 탄성파 필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킨다. 믹서는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전력 증폭기는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일정레벨 차이가 있는 서비스 주파수 대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전력 증폭기는 상기 믹서와 주파수 생성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안테나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핸드오프를 원활히 할 수 있고,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중계기, 도우너, CATV, 네트워크, 음영지역

Description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Repeater System for hand-off well}
도1은 종래의 CATV선을 이용한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도2는 안테나 모듈의 상세도이다.
도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음영지역에서 멀티 주파수 할당(multi frequency assignment)을 하여 핸드 오프(hand-off)를 원활히 하도록 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기지국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 구성된다.
기지국과 이동국은 일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각 기지국은 일정한 통화반경을 가진다. 따라서, 다수의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기지국의 통화 반경을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지역을 넓힌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의 기지국의 배치에 의해 도시 전체를 커버(cover)한다고 하더라도 대형 건물 지하공간 및 고층 빌딩의 내부에서는 통화가 가능하지 않는 통화 음영 지역(blanket area)이 발생한다.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의 발생으로 인해 이동 전화기 사용자는 통화 음영 지역 내에서 원활한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통화 음영 지역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중계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계기 설치 방법의 하나로서 기존의 포설된 CATV선을 이용하여 중계기를 설치하여 음영지역을 해소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도1에 도시하였다.
도1은 CATV선을 이용한 중계기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종래의 중계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파 송신에 관한 부분이므로 송신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1에서와 같이, 종래의 중계기는, 케이블 TV 방송국(20)에 설치된 기지국(10)에 케이블 TV선으로 안테나 모듈(31, 32, 33)이 연결된다.
따라서, 기존의 중계기는 케이블 TV망이 설치된 어느곳이나 안테나 모듈을 설치함에 의해 음영지역을 해소한다.
이와 같은 안테나 모듈의 구성도를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모듈은,
표면탄성파(Saw)필터, 믹서(11, 16), 전력증폭기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안테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으로부터 114MHz의 중간 주파수 신호가 케이블 TV선을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는 표면탄성파 필터에서 해당 주파수 대역만이 통과된다.
그러면, 믹서는 이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후, 변환된 신호는 전력증폭기(15)에서 증폭이 되어, 안테나를 통해 음영지역에 방사된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 전화기에서 송신되는 고주파 신호는 서비스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신경로를 통해 기지국쪽으로 송신이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한 중계기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를 하게 되는데, 이는 도심지역의 지하의 음영지역은 비교적 큰 호 용량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밖의 일반기지국의 통화영역내에 있다가, 건물안 지하의 중계기 영역으로 들어올 경우, 핸드오프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는 건물 밖의 멀티 주파수 할당지역 예를 들어 250, 300, 350CH 서비스 지역에서 250 또는 350CH로 서비스를 받다가 건물 내부로 이동하면서 300CH만이 있는 지역으로 들어오게 되면, 주파수의 차이로 인해 핸드오프가 실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계기로 다수의 주파수를 할당하면, 이 문제가 해결되지만 다수의 주파수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보통 하나의 주파수만을 서비스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은 비용으로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도록 하는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은,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일정레벨 차이가 있는 서비스 주파수 대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
상기 믹서와 주파수 생성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은,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
노이즈를 상기 믹서의 출력에 실어주기 위한 노이즈 생성원;
상기 노이즈 생성원의 출력에서 일정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밴드패스필터;
상기 믹서의 출력과 상기 밴드패스필터의 출력의 합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그러면, 본 발명을 이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지닌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하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300)은,
외부의 기지국(10)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220)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10)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310);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310)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320);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310)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일정레벨 차이가 있는 서비스 주파수 대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330);
상기 믹서(320)와 주파수 생성기(330)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340);
상기 전력 증폭기(340)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220)에 방사하는 안테나(35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기지국으로부터 114MHz의 중간 주파수 신호가 케이블 TV선을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는 표면탄성파 필터(310)에서 해당 주파수 대역만이 통과된다. 이때, 외부 지상은 250, 300, 350CH의 멀티 주파수 할당 지역이다.
그러면, 믹서(320)는 이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서비스 주파수인 300CH의 1855MHz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믹서(331)는 이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믹서(320)의 출력보다 2.5MHz 작은 서비스 주파수인 250CH의 1852.5MHz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믹서(333)는 이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믹서(320)의 출력보다 2.5MHz 큰 서비스 주파수인 350CH의 1857.5MHz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믹서(331, 333)의 출력들은 각각 표면 탄성파 필터(332, 334)에서 각각 필터링되고, 저항(R)을 통해 레벨이 델타dB만큼 낮아진 상태로 믹서(320)의 출력과 합쳐져 전력증폭기(340)에서 증폭된다.
그러면, 안테나(350)는 전력 증폭기(340)의 출력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한다. 이때, 방사되는 신호의 파형은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300CH의 신호보다 양쪽 250, 350CH의 신호가 낮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 전화기(220) 사용자가 멀티 주파수 할당지역인 외부에서 250이나 350CH로 통화를 하면서 중계기 시스템(300)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 전화기(220)는 일단 중계기 시스템(300)의 안테나(350)에서 방사하는 250이나 350CH의 전파로 핸드오프가 된다.
이후, 이동 전화기(220)는 일단 중계기 시스템(300)의 안테나(350)에서 방사하는 250이나 350CH을 잡았으나, 이 주파수대역은 이동 전화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이어지는 역방향 경로(Reverse path)가 없다. 따라서, 이동 전화기(220)가 중계기 시스템(300)의 250이나 350CH을 잡은 직후 역방향 경로가 없음을 인식하여 바로 중계기 시스템(300)의 300CH로 수신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중계기 시스템(300)의 안테나(350)를 통하여 방사되는 주파수 채널 중 250과 350CH이 300CH보다 델타dB 작은 이유로, 중계기 시스템(300)의 300CH의 수신전력이 충분히(델타dB) 커진 후에야 핸드오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전화기가 외부의 채널을 수신하다가 중계기 시스템(300)이 서비스하는 채널로 핸드오프한 이후에 전파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다시 외부의 채널로 핸드오프를 하여 돌아가는 핑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4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400)은,
외부의 기지국(10)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220)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220)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10)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410);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410)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420);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410)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원래 주파수의 상하로 2.5MHz 스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441);
상기 믹서(441)의 출력에서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밴드패스필터(442);
상기 전력 증폭기(420)의 출력과 상기 밴드패스필터(442)의 출력을 저항(R)에 의해 레벨을 낮춘 출력을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로 변환하는 믹서(430);
상기 믹서(430)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45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는 근본 개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믹서를 하나 덜 쓰고, 인터 모듈레이션(inter-modulation)을 이용하여 해당 주파수를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제2 실시예는 도4에서와 같이, 포워드 링크에서 표면탄성파 필터(410)의 출력에 2.5MHz를 곱하여 인터 모듈레이션을 이용하여 250CH과 350CH을 만들어 낸다. 이 경우, 250, 350CH 이외에도 여러 주파수대의 신호가 발생하므로 원하는 대역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대역을 제거하기 위해 밴드패스필터(442)를 이용한다.
이때, 여기에서 300CH 성분도 발생될 수 있는데, 윗 브랜치의 원래의 신호와 합쳐질 경우 간섭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저항(R2)을 통해 레벨을 10dB정도 다운시켜 출력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저항값을 조정하여 출력레벨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건물 외부의 멀티 주파수 할당지역에서 250 또는 350CH을 잡고 있다가 건물안으로 들어오는 이동 전화기(220)는 중계기 시스템(400)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250 또는 350CH도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핸드오프가 이루어진다.
또한, 저항(R2)을 통해 250, 350CH의 신호레벨을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시스템에 일종의 히스테리시스를 주어 충분히 300CH의 신호가 클 때 핸드오프가 이루어짐으로써 핑퐁(PING-PONG)현상을 방지한다.
도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500)은,
외부의 기지국(10)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10)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510);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510)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520);
노이즈를 상기 믹서의 출력에 실어주기 위한 노이즈 생성원(540);
상기 노이즈 생성원(540)의 출력에서 일정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만을 통과시 키기 위한 밴드패스필터(550);
상기 믹서(520)의 출력과 상기 밴드패스필터(550)의 출력의 합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530);
상기 전력 증폭기(530)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하는 안테나(5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제3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3 실시예의 근본 개념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차이점은 노이즈 생성원(540) 및 밴드패스필터(550)를 통해 10MHz 대역의 노이즈 플로어(floor)를 함께 방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건물 밖에서 250 혹은 350CH을 잡고 있다가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이동 전화기는 10Mhz 전대역의 노이즈에 의해 신호 대 잡음비가 나빠지게 되는데, 300CH은 중계기 시스템(500)에서 서비스하므로 다른 채널(250, 350CH)에 비해 신호 대 잡음비가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전화기는 자연스럽게 250 또는 350CH에서 300CH로 핸드오프가 된다.
제3 실시예는 간단한 노이즈 생성원(540)과 적정 대역폭의 밴드패스필터(550)의 추가만으로 멀티 주파수 할당지역에서 중계기 시스템이 서비스하는 1주파수 할당 지역으로 이동시에 원활한 핸드오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3 실시예도 10MHz대역의 노이즈 플로어의 레벨을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핑퐁현상을 없앨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PC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은 비용으로 핸드오프를 원활히 할 수 있고, 핑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일정레벨 차이가 있는 서비스 주파수 대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
    상기 믹서와 주파수 생성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생성기는,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에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제1 주파수 만큼 작은 서비스 주파수인 상기 제2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믹서;
    상기 제2 믹서의 출력에서 원하는 소정 대역 부분을 필터링 하는 제1 밴드패스필터;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에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상기 제1 주파수 만큼 큰 서비스 주파수인 제3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믹서;
    상기 제3 믹서의 출력에서 소정의 대역 부분을 필터링 하는 제2 밴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중계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믹서는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에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2.5Mhz 작은 서비스 주파수인 250CH의 1852.5MHz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3 믹서는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에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2.5MHz 큰 서비스 주파수인 350CH의 1857.5MHz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3.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믹서의 출력보다 일정레벨 차이가 있는 서비스 주파수 대의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
    상기 믹서와 주파수 생성기의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생성기는,
    상기 표면탄성파 필터의 출력을 인터 모듈레이션하여 출력하는 제2 믹서;
    상기 제2 믹서의 출력에서 일정 대역폭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를 포함하는 중계기 시스템.
  4.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중간 주파수대의 신호를 입력받아, 서비스 주파수인 고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기로 방사하고, 상기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대의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표면탄성파 필터;
    상기 표면 탄성파 필터의 출력신호에 일정 주파수를 곱하여 서비스 주파수인 제1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믹서;
    노이즈를 상기 믹서의 출력에 실어주기 위한 노이즈 생성원;
    상기 노이즈 생성원의 출력에서 일정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밴드패스필터;
    상기 믹서의 출력과 상기 밴드패스필터의 출력의 합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통화음영지역내의 이동 전화기에 방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중계기 시스템.
KR1019990046673A 1999-10-26 1999-10-26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KR10069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673A KR100691376B1 (ko) 1999-10-26 1999-10-26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673A KR100691376B1 (ko) 1999-10-26 1999-10-26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22A KR20010038622A (ko) 2001-05-15
KR100691376B1 true KR100691376B1 (ko) 2007-03-09

Family

ID=1961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673A KR100691376B1 (ko) 1999-10-26 1999-10-26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612A (ko) * 2002-01-10 2003-07-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멀티 채널의 중간주파수 처리기 및 그를 이용한 멀티채널의 중계 장치
KR100672663B1 (ko) * 2004-12-28 2007-01-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99A (ja) * 1994-07-01 1996-01-19 N T T Ido Tsushinmo Kk 移動無線のサービス領域拡張方法
KR970068206A (ko) * 1996-03-19 1997-10-13 이돈신 고주파 고출력(중출력) 이동통신(무선통신)용 중계장치
KR20000012697U (ko) * 1998-12-21 2000-07-15 구관영 주파수 변환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용 초소형 중계장치
KR20000074988A (ko) * 1999-05-27 2000-12-15 정용문 인빌딩용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99A (ja) * 1994-07-01 1996-01-19 N T T Ido Tsushinmo Kk 移動無線のサービス領域拡張方法
KR970068206A (ko) * 1996-03-19 1997-10-13 이돈신 고주파 고출력(중출력) 이동통신(무선통신)용 중계장치
KR20000012697U (ko) * 1998-12-21 2000-07-15 구관영 주파수 변환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용 초소형 중계장치
KR20000074988A (ko) * 1999-05-27 2000-12-15 정용문 인빌딩용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22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362B2 (en) Multi-sector in-building repeater
US6415132B1 (en) Blossom/wilt for dynamic reallocation in a distributed fiber system
US5828946A (en) CATV-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scheme
US6374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s
JPH0744495B2 (ja) 区画式無線電話性能向上回路
US20030143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isy-chained optical repeaters
US20020103001A1 (en) Dynamic capacity allocation of in-building system
US20080119197A1 (en) Antenna Diversity Arrangement and Method
US2003000391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building structure
KR100615419B1 (ko) 역방향 성능 향상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100691376B1 (ko) 핸드오프를 원활히 하는 중계기 시스템
JPH1113673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3742372B2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9990039463A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0144208B1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JP3080204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移動通信の通信中チャネル切替方法
US20030058891A1 (en) Low noise transmitter architecture using foldover selective band filtering and method thereof
KR1003179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선택장치를 구비한 중계기
JP3080205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移動通信の通信中チャネル切替方法
KR20010050670A (ko) 수신기의 다이나믹 랜지 경감을 위해 파워에 근거한 동적채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21481B1 (ko) 공간파 유기를 이용한 이동전화망에서의 가상주파수 변환 발생기
KR100315307B1 (ko) 전화선 또는 전용회선을 이용한 중계장치
KR20060014113A (ko) 채널주파수 선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장치
KR100322382B1 (ko) 동일 fa를 이용한 cdma용 광대역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28322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용 순방향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