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637A -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 Google Patents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637A
KR20000054637A KR1020000032965A KR20000032965A KR20000054637A KR 20000054637 A KR20000054637 A KR 20000054637A KR 1020000032965 A KR1020000032965 A KR 1020000032965A KR 20000032965 A KR20000032965 A KR 20000032965A KR 20000054637 A KR20000054637 A KR 2000005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base station
cable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텔레콤
Priority to KR102000003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637A/ko
Publication of KR2000005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9Arrangements for range control, e.g. by using remot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는 기지국측 안테나부, 단말기측 안테나부, 옥외 증폭부, 중계 회로부 및 케이블을 구비한다. 케이블은 옥외에 설치되는 기지국측 안테나부와 옥내에 설치되는 중계 회로부를 연결한다. 그런데, 케이블의 길이가 길면, 케이블에서 상당한 손실이 발생한다. 옥외 증폭부는 케이블에서의 감쇄량이 커도 충분한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는 신호가 중계 회로부로 입력되도록 케이블에서의 감쇄량을 보상한다. 또한, 옥외 증폭부는 케이블에서의 감쇄량을 보상하여, 이득이 크지 않은 저가의 기지국측 안테나를 통해서도 충분히 큰 송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에 의하여, 저가의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 및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의 케이블 길이가 긴 경우에도,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중계 특성이 뛰어난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Relay Device for mobile-phone having outdoor amplification circuit}
본 발명은 기지국과 휴대용 단말기(PCS, AMT, GSM, CDMA 셀룰러폰 등의 모든 이동 가능한 전화 단말기를 포함한다)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측 안테나부와 단말기측 안테나부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케이블 손실이 많은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는 기지국측 안테나(101), 중계 회로부(14), 단말기측 안테나(107) 및 케이블(12)로 구성된다. 기지국측 안테나(101)는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된다. 단말기측 안테나(107)는 전파 음영 지역의 휴대용 단말기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전파 음영 지역인 옥내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기지국측 안테나(101)와 단말기측 안테나(107)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멀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기지국측 안테나(101)와 단말기측 안테나(107)에 연결되어 있는 중계 회로부(14)까지를 동축 케이블(12)로 연결한다. 중계 회로부(14)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향하는 수신 경로로는,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102), 수신 저잡음 증폭기(103), 수신주파수 대역 필터(104), 수신 전압 증폭기(105), 수신 전력 증폭기(106) 및 단말기측 주파수 분할기(108)를 포함하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송신 경로로는, 단말기측 주파수 분할기(108), 송신 저잡음 증폭기(109), 송신 주파수 대역 필터(110), 송신 전압 증폭기(111), 송신 전력 증폭기(112) 및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102)를 포함하는 회로이다. 중계 회로부(14)는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는 중계기의 핵심 회로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단말기측 안테나(107)와 함께 옥내에 설치된다.
그런데, 기지국측 안테나(101)에서 중계 회로부(14)까지 연결되는 케이블(12)의 길이가 길면, 케이블(14)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기지국측 안테나(101)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 경로를 고려하면, 중계 회로부(14)의 입력단에 수신되는 신호가 케이블(12)에서의 감쇄로 인하여, 그 감쇄된 만큼 잡음지수(Noise Figure)가 증가한다. 따라서,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가 열화되어 신호를 증폭하더라도 잡음지수가 개선되지 않는다. 그리고, 송신측 경로를 고려하면, 송신 신호의 케이블(12)에서의 손실로 인하여, 옥외의 기지국측 안테나(101)의 송신 출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에서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손실이 아주 적은 고가의 케이블 또는 이득이 큰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득이 큰 안테나는 야기 안테나와 같이 지향성을 강하게 하거나,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와 같이, 다이폴 또는 패치 소자를 여러 개를 배열하는 등의 종류가 있다. 그리고, 손실이 아주 적은 고가의 케이블은 굵기가 굵고 뻣뻣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옥외의 기지국측 안테나에서 중계 회로부 및 단말기측 안테나까지 긴 케이블로 연결되는 종래의 휴대폰 단말기의 중계기는 중계기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손실이 적은 케이블의 사용으로 인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에 있어서의 전원 공급을 나타내는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측 안테나부와 단말기측 안테나부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케이블 손실이 많은, 기지국과 휴대용 단말기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필터링하여 송신 중계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 감쇄 신호를 증폭, 필터링하여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로 전송하는 중계 회로부; 상기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수신 증폭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송신 감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로 전송하는 옥외 증폭부; 및 상기 옥외 증폭부와 상기 중계 회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수신 감쇄 신호는 상기 수신 증폭 신호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감쇄된 신호이고, 상기 송신 감쇄 신호는 상기 송신 중계 신호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감쇄된 신호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는 DC 전원 공급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고주파 신호와 DC전원을 함께 전송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는 기지국측 안테나부(21), 단말기측 안테나부(23), 옥외 증폭부(25), 중계 회로부(27) 및 케이블(29)을 구비한다.
기지국측 안테나부(21)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단말기측 안테나부(23)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한다. 옥외 증폭부(25)는 기지국측 안테나부(2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RS1)를 증폭하여 수신 증폭 신호(RS2)를 출력한다. 옥외 증폭부(25)는 또한, 입력되는 송신 감쇄 신호(TS3)를 증폭하여 기지국측 안테나부(21)로 전송한다. 중계 회로부(27)는 단말기측 안테나부(2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TS1)를 증폭, 필터링하여 송신 중계 신호(TS2)를 출력한다. 중계 회로부(27)는 또한, 수신 감쇄 신호(RS3)를 증폭, 필터링하여 단말기측 안테나부(23)로 전송한다.
케이블(29)은 옥외 증폭부(25)와 중계 회로부(27)를 연결한다. 케이블(29)은 본 실시예에서는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며, 상당한 손실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옥외 증폭부(25)의 출력 신호인 수신 증폭 신호(RS2)는 케이블(29)에서 감쇄되어 수신 감쇄 신호(RS3)로 출력되고, 중계 회로부(27)의 출력 신호인 송신 중계 신호(TS2)는 케이블(29)에서 감쇄되어 송신 감쇄 신호(TS3)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보면, 기지국측 안테나부(21) 및 단말기측 안테나부(23)는 각각 송수신 공용 안테나(201, 213)로 구현된다. 옥외 증폭부(25)는, 수신 경로를 보면,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202), 제1 수신 저잡음 증폭기(203), 제1 수신주파수 대역필터(204), 제1 수신 전력 증폭기(205) 및 제1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6)를 포함한다. 수신 경로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송신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송신 경로를 보면, 옥외 증폭부(25)는 제1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6), 제1 송신 저잡음 증폭기(218), 제1 송신주파수 대역필터(219), 제1 송신 전력 증폭기(220) 및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202)를 포함한다. 송신 경로란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중계 회로부(27)는 수신 경로에서, 제2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7), 제2 수신 저잡음 증폭기(308), 제2 수신주파수 대역필터(209), 수신 전압 증폭기(210), 제2 수신 전력 증폭기(211) 및 단말기측 주파수 분할기(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계 회로부(27)는 송신 경로에서, 단말기측 주파수 분할기(212), 제2 송신 저잡음 증폭기(214), 제2 송신주파수 대역필터(215), 송신 전압 증폭기(216), 제2 송신 전력 증폭기(217) 및 제2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7)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측 안테나(201)로 들어온 수신 신호(RS1)는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202)에서 분리되어, 제1 수신 저잡음 증폭기(303)로 들어간다. 여기서 a1만큼 증폭된 신호는 제1 수신주파수 대역필터(304)에서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되며, 제1 전력증폭기(205)에서 a2만큼 다시 증폭된다. 그리고, 제1 전력증폭기(205)의 출력 신호는 제1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6)를 통해, 케이블(29)로 전송된다. 케이블(29)로 입력되는 수신 증폭 신호(RS2)는 케이블(29)에서 a3만큼 감쇄된다. 케이블(29)에서의 감쇄량(a2)은 케이블 길이에 크게 좌우된다. 케이블(29)에서의 감쇄량(a3)이 커도 충분한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는 신호가 중계 회로부(27)로 입력되도록 케이블(29)에서의 감쇄량을 보상하는 것이 옥외 증폭부(25)의 주 역할이다. 케이블(29)의 출력 신호인 수신 감쇄 신호(RS3)는 중계 회로부(27)의 제2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7)에서 분리되어, 제2 수신 저잡음 증폭기(208)로 입력된다. 여기서 a4만큼 증폭된 신호는 제2 수신주파수 대역필터(209)에서 대역 필터링되며, 수신 전압 증폭기(210)에서 a5만큼 다시 증폭된다. 그리고, 수신 전압증폭기(210)의 출력 신호는 제2 수신 전력 증폭기(211)에서 a6만큼 다시 증폭되고 단말기측 주파수 분할기(212)를 통해 단말기측 안테나(307)로 송신된다.
한편, 단말기측 안테나(213)로 들어온 송신 신호(TS1)는 단말기측 주파수 분할기(212)에서 분리되어, 제2 송신 저잡음 증폭기(214)로 들어간다. 여기서 a11만큼 증폭된 신호는 제2 송신주파수 대역필터(215)에서 송신 주파수로 대역 필터링되며, 송신 전압 증폭기(216)에서 a12만큼 다시 증폭된다. 그리고, 송신 전압 증폭기(216)의 출력 신호는 제2 송신 전력 증폭기(217)에서 a13만큼 증폭되어, 제2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7)를 통해 케이블(29)로 입력된다. 케이블(29)로 입력되는 송신 중계 신호(TS2)는 케이블(29)에서 a14만큼 감쇄된다. 케이블(29)의 출력 신호인 송신 감쇄 신호(TS3)는 옥외 증폭부(25)의 제1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206)에서 분리되어, 제1 송신 저잡음 증폭기(218)로 입력된다. 여기서 a15만큼 증폭된 신호는 제1 수신주파수 대역필터(219)에서 대역 필터링되며, 제1 송신 전력 증폭기(220)에서 a16만큼 다시 증폭된다. 그리고, 제1 송신 전력 증폭기(220)의 출력 신호는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202)를 통해 기지국측 안테나(201)로 송신된다. 그러므로, 옥외 증폭부(25)의 주 역할은 수신 경로에서와 마찬가지로, 케이블(29)에서의 감쇄량(a14)을 보상하여, 이득이 크지 않은 저가의 기지국측 안테나(201)를 통해서도 충분히 큰 송신 신호(TS4)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측 안테나(201)가 배치되는 옥외에 옥외 증폭부(25)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29)의 감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도, 도 2의 실시예처럼, 기지국측 안테나부(31), 단말기측 안테나부(33), 옥외 증폭부(35), 중계 회로부(37) 및 케이블(39)을 구비한다. 기지국측 안테나부(31), 단말기측 안테나부(33), 옥외 증폭부(35), 중계 회로부(37) 및 케이블(39)의 각 기능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보면, 단말기측 안테나부(33), 중계 회로부(37) 및 케이블(39)은 각각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의 단말기측 안테나부(23), 중계 회로부(27) 및 케이블(29)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단말기측 안테나부(33), 중계 회로부(37) 및 케이블(39)의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기지국측 안테나부(31)는 도 2의 기지국측 안테나부(21)와는 달리, 송/수신이 분리된 수신 안테나(301)와 송신 안테나(302)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옥외 증폭부(35)에서는 수신 신호(RS1)와 송신 신호(TS4)를 분리하기 위한 기지국측 주파수 분할기(도 2의 202)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옥외 증폭부(35)는 제1 수/송신 저잡음 증폭기들(303, 318), 제1 수신주파수 대역필터(304), 제1 송신주파수 대역필터(319), 제1 수/송신 전력 증폭기들(305, 320) 및 제1 케이블측 주파수 분할기(30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측 안테나부(31)는 수신 안테나(301)와 송신 안테나(302)로 이루어지는 듀얼 안테나(dual antenna)이다. 듀얼 안테나(301, 302)는 전방 또는 전후방 지향특성을 가지고, 안테나축 방향으로의 지향특성을 갖지 않는 안테나를 사용한다. 안테나의 지향특성을 보면, 안테나가 배치되는 면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전후방으로는 특정 패턴의 지향 특성을 가지나, 안테나축 방향으로는 지향특성을 가지지 않는 안테나가 있다.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패치 안테나라고도 함)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전방/전후방 지향 특성을 가지나, 안테나축 방향으로는 지향특성을 갖지 않는 두 개의 안테나를 적절히 배치하면, 상호 간섭이 원하는 값 이하가 되는 듀얼 안테나(301, 302)를 얻을 수 있다.
듀얼 안테나(301, 302)간 상호 간섭을 소정의 값 이하가 되게 하기 위해서, 듀얼 안테나(301, 302)는 서로 평행하는 두 평면상 또는 동일 평면상에서, 안테나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측 안테나부(31)는 듀얼 안테나(301, 302)이고, 단말기측 안테나부(33)는 송수신 공용 안테나(313)로 구현된다. 그러나, 단말기측 안테나부를 듀얼 안테나로 구현하고, 기지국측 안테나부는 송수신 공용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측의 주파수 분할기는 필요하지 않고, 대신에, 단말기측의 주파수 분할기가 필요하다. 또한, 기지국측 안테나부와 단말기측 안테나부를 모두 듀얼 안테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에 있어서의 전원 공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옥외에 위치하는 옥외 증폭부(45)와 전파 음역 지역, 예를 들어 옥내에 위치하는 중계 회로부(47)를 연결하는 하나의 케이블(49)을 이용하여, 고주파 신호 및 DC 전원이 함께 전송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는 전원 공급용 회로(42)를 더 구비한다.
전원 공급용 회로(42)는 커패시터(C1, C2) 및 코일(L1, L2)로 구현된다. 커패시터(C1, C2)는 고주파의 신호는 잘 통과시키되, DC 신호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코일(L1, L2)은 DC 신호는 잘 통과시키되, 고주파의 신호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파 음영 지역의 코일(L2)로 DC 전원을 공급하면, DC 전원은 커패시터(C2)에 의해 차단되므로, 케이블(49)을 통해 옥외에 있는 회로로 전송된다. 그런데, 케이블(49)을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은 옥외 증폭부(45) 앞단에 위치하는 커패시터(C1)로 인해 차단되므로, 코일(L1)을 통해 DC 전원을 필요로 하는 회로에 사용된다.
한편,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는 고주파 신호이다. 그러므로, 중계기가 증폭하여 중계하는 신호도 고주파 신호이다. 이 고주파 신호는 코일(L1, L2)에 의해서는 차단되고. 커패시터(C1, C2)는 잘 통과하므로, DC 전원의 전송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블로 고주파 신호 및 DC 전원의 전송이 가능하다.
기지국측 안테나부로부터 중계 회로부 및 단말기측 안테나부까지의 거리가 멀어 케이블로 인한 손실이 너무 큰 경우에는 중계 회로부로 입력되는 신호의 잡음지수가 너무 커진다. 따라서, 중계 회로부에서 신호를 다시 증폭하더라도 신호대 잡음비가 나빠져 통화 불능의 경우가 생긴다. 또한 기지국측 안테나부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도 케이블로 인하여 상당 부분 감쇄되어 연결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기지국측 안테나부와 케이블 사이에 옥외 증폭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케이블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중계기를 사용하면,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0dBi 내지 수 dBi 이득을 갖는 간이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거리당 손실이 적은 고가의 케이블을 사용할 필요도 없다. 손실이 아주 적은 케이블(예를 들어, LCF 1/2" 케이블)은 굵기가 굵고, 뻣뻣하여, 가공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중계기를 사용하면, 옥외 증폭부에서 케이블로 인한 감쇄를 충분히 보상하므로, 값싸고 가공이 쉬운 동축 케이블(예를 들어, RG-8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옥외 증폭부는 범용적인 증폭기 및 대역 필터 등으로 구성되므로,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나 구현의 복잡성없이 간단하게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에 의하여, 저가의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 및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의 케이블 길이가 긴 경우에도,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중계 특성이 뛰어난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기지국측 안테나부와 단말기측 안테나부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케이블 손실이 많은, 기지국과 휴대용 단말기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기측 안테나부;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필터링하여 송신 중계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 감쇄 신호를 증폭, 필터링하여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로 전송하는 중계 회로부;
    상기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수신 증폭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송신 감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로 전송하는 옥외 증폭부; 및
    상기 옥외 증폭부와 상기 중계 회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수신 감쇄 신호는 상기 수신 증폭 신호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감쇄된 신호이고, 상기 송신 감쇄 신호는 상기 송신 중계 신호가 상기 케이블에 의해 감쇄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는 DC 전원 공급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고주파 신호와 DC전원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와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는 각각
    송수신 공용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측 안테나부와 상기 기지국측 안테나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듀얼 안테나이고, 상기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는 각각 소정 방향으로의 지향특성을 가지고, 안테나축 방향으로의 지향특성을 갖지 않으며,
    상기 듀얼 안테나는 동일한 평면상 또는 서로 평행하는 두 평면상에서, 상기 듀얼 안테나간의 상호 간섭이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안테나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중계기.
KR1020000032965A 2000-05-04 2000-06-15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KR20000054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965A KR20000054637A (ko) 2000-05-04 2000-06-15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66 2000-05-04
KR1020000032965A KR20000054637A (ko) 2000-05-04 2000-06-15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637A true KR20000054637A (ko) 2000-09-05

Family

ID=1967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65A KR20000054637A (ko) 2000-05-04 2000-06-15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6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63A (ko) * 2000-12-05 2001-03-05 조성국 이동 통신용 양방향 능동 증폭장치
KR100852419B1 (ko) * 2006-12-07 2008-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0964280B1 (ko) * 2008-05-09 2010-06-16 알파웨이브(주) 댁내형 무선 중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642B1 (ko) * 1995-04-21 1998-11-02 이재영 선로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시스템
KR19990084159A (ko) * 1999-09-20 1999-12-06 장인봉 무선 중계기의 신호 손실 보상 장치
KR100251685B1 (ko) * 1997-11-08 2000-04-15 이강주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642B1 (ko) * 1995-04-21 1998-11-02 이재영 선로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중계시스템
KR100251685B1 (ko) * 1997-11-08 2000-04-15 이강주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KR19990084159A (ko) * 1999-09-20 1999-12-06 장인봉 무선 중계기의 신호 손실 보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63A (ko) * 2000-12-05 2001-03-05 조성국 이동 통신용 양방향 능동 증폭장치
KR100852419B1 (ko) * 2006-12-07 2008-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0964280B1 (ko) * 2008-05-09 2010-06-16 알파웨이브(주) 댁내형 무선 중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647B2 (en) Portable wireless repeater system for indoor wireless coverage enhancement of residential, small office, and vehicular applications
US6983174B2 (en) Distributed active transmit and/or receive antenna
US11095332B2 (en) Signal amplifier of multi-antenna system
US790359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fficient band amplification
US2008021250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and Amplification with a Shared Amplifier
CN106229676B (zh) 一种天线单元及其天线系统
US6381473B1 (en) Distributed antenna for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92194A1 (en) Dual band bidirectional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000054637A (ko) 옥외용 증폭 회로를 구비하여 케이블 손실을 보상하는휴대용 단말기의 중계기
KR200200707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중계 장치
JP4075759B2 (ja) 送受信フィルタ装置および通信装置
WO200005119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ly coupling an antenna through an insulator and for amplifying signals adjacent the insulator
JP2001077720A (ja) 無線装置
JP2950676B2 (ja) 無線中継装置
KR20090053268A (ko) Rf 음영지역의 통화품질 개선을 위한 중계 시스템.
KR20080040538A (ko) Rf 방식으로 구현된 일체형 초소형 중계장치
CN221010118U (zh) 一种卫星通信系统
KR10054564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신품질 개선 장치
EP1081878A2 (en) Single antenna repeater and method of repeating a signal
KR100591856B1 (ko) 무선중계장치
US20130045695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in various frequency ranges
KR20010016363A (ko) 이동 통신용 양방향 능동 증폭장치
WO2023007301A1 (en) Wide-band cable loss compensation system
KR100285963B1 (ko) 음영지역용기지국
US8150353B2 (en) Masthead amplifi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