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836A -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836A
KR20100077836A KR1020080135893A KR20080135893A KR20100077836A KR 20100077836 A KR20100077836 A KR 20100077836A KR 1020080135893 A KR1020080135893 A KR 1020080135893A KR 20080135893 A KR20080135893 A KR 20080135893A KR 20100077836 A KR20100077836 A KR 2010007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signal
graph
distribution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667B1 (ko
Inventor
노위상
유성상
이희준
조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6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RF 중계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대한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그래프를 제공하는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와 기 송신된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피드백 신호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처리부를 포함한다.
ICS 중계기, 상호 상관관계, 자기 상관관계, 피드백 분포 그래프

Description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 of feedback graph in RF repeater system}
본 발명은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RF 중계기의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대한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이제까지 비수요 지역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완전하게 제공되지 못했던 산간 벽지, 낙도, 도심 전파 사각 지대, 지하철, 터널, 아파트 단지 등에서도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사업자의 이동 통신망 환경도 보다 넓은 지역과 시스템 용량의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과 인구 밀집도의 특수성으로 인해 최적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많은 음영 지역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여기서, 음영 지역이라 함은 기지국과 이동 통신 단말 간의 전파 통로가 단 절된 지역을 의미한다. 즉, 건물이나 지형에 의하여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영 지역의 해소를 위해서 기존에는 추가적으로 기지국을 설치하였으나, 사업자가 음영 지역에 기지국 증설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통신 품질과 서비스 범위를 개선할 수 있는 중계기가 사용되고 있다.
중계기란 산이나 빌딩 혹은 기타 지형 지물로 인해 전파가 차단된 지역 또는 터널, 지하 주차장, 해상 등과 같이 전파 도달이 어려운 음영 지역을 대상으로 기지국의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증폭해 음영 지역을 서비스하며, 음영 지역 단말기의 신호가 기지국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중계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연결하는 방식과 내부처리방식에 따라 광중계기(Fiber Optic Repeater), 주파수 변환 중계기,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중계기, 레이저 중계기, 초소형 중계기,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 인빌딩(In-builing) 중계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음영 지역의 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거나, 음영 지역을 이동하는 차량 또는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기는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동작 상태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중계기를 관리하는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설치되는 중계시스템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직접 받는 RF(Radio Frequency) 중계시스템 설치 시에는 반드시 서비스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출력성분이 링크 안테나로 유입되어 방사되지 않게 안테나 간 이격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만약, 안테나 간 이격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경우, 서비스 안테나에서 방사된 출력 신호가 링크 안테나로 들어오게 되는 감쇠량(격리도, Isolation)이 중계시스템의 시스템 이득보다 작아져 시스템 발진(oscill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는 출력신호가 다시 입력 안테나로 수신되어 발생할 수 있는 피드백 성분을 자체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존 RF 중계기 보다 높은 출력을 방사(radiation)할 수 있다. 또한, ICS 중계기는 지상 무선 구간에서 데이터 송수신 간에 피드백되는 신호를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기술을 이용해 간섭량을 찾아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중계장치이며, 도심지 외곽 및 교외지역과 고속도로나 지방도로 등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중계 시스템이다.
그러나, RF 중계기의 경우 RF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송신된 RF 신호가 어떠한 경로로 다시 입력으로 유입된 경우, 어떠한 지연을 갖고 어떠한 신호 감쇠를 받아 유입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 문제가 생기거나 새롭게 구축을 할 때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F 중계기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또는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분석하여 무선통신 환경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도록 하며, 추후 장비 개발 시 이러한 자료들을 반영하여 좀 더 최적화를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그래프를 제공하는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와 기 송신된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피드백 신호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그래 프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와 기 송신된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피드백 신호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RF 중계기의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또는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생성함으로써,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통해 변화하는 피드백 신호의 시간 지연, 진폭, 위상 및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 등을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무선 통신 환경에서 발생되는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여 분석 및 체크함으로써, 무선통신 환경 및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추후 장비 개발 시 이러한 자료들을 반영하여 좀 더 최적화를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을 학문적으로 응용할 경우 무선 채널에 대한 모델링을 하는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ICS 중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제공하는 시스템은 통신망(100), 중계기(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중계기(200)는 ICS 중계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망(10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 통신망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망(100)이 WCDMA망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이 WCDMA망인 경우, 통신망(100)은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적용한 기지국(110) 및 기지국(110)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120)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채널 코딩, 인터리빙, 변조와 복조 등 다양한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한다. 기지국(110)은 일반적으로 중계기(200)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제어기(12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며, 기지국(110)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20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중계기(200)의 수신 안테나(21)로 입력받고, 증폭기(26)를 통해 이득(Gain) G만큼 신호를 증폭시킨 후, 송신 안테나(27)를 통해 방사한다. 여기서, 수신 안테나(21)가 입력받은 입력신호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원 입력 신호(즉, rin(t))와 피드백 신호(fintra(t))가 합성된 신호(즉, r'in(t)=rin(t)+fintra(t))로 이해될 수 있으며, 송신 안테나(27)를 통해 방사되는 출력신호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계기(200)의 증폭기(26)를 통해 증폭 출력되는 증폭신호가 다시 중계시스템의 입력으로 인가되는 것을 피드백(feedback) 루프라고 하며, 피드백 신호는 중계기(200)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다시 수신 안테나(21)를 통해 유입되는 신호를 말한다.
또한, 중계기(200)는 수신 안테나(21)로 입력된 수신 신호의 상관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를 검출하는 피드백 신호 검출기(24)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피드백 신호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필터(23)를 이용하여 발진(oscillation)의 원인이 되는 반사 신호를 제거한 후, 증폭기(26)를 통해 신호를 증폭시킨 후, 송신 안테나(27)를 통해 출력한다.
즉, 중계기(2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중계기(200)의 수신 안테나(21)로 입력받고, A/D 컨버터(22)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피드백 신호 검출기(24) 및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3)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서 피드백 신호를 제거한다.
그 다음, D/A 컨버터(25)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기(26)는 D/A 컨버터(25)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이득 G만큼 증폭한 후, 송신 안테나(27)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중계기(200)는 수신 안테나(21)로 수신되는 입력 신호와 송신 안테나(27)로 송신되는 출력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Cross correlation) 또는 수신 안테나(21)로 수신되는 입력신호 및 송신 안테나(27)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자기 상관관계(Auto correlation)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이하, "피드백 분포 그래프"라 한다)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에 대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통해 변화하는 피드백 신호의 시간 지연, 진폭, 위상 및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 등을 체크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 중계기(2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단말기(300)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단말기(300)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300)를 식별해 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단말기(300)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별로 할당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이하,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라 한다)(2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ICS 중계기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200)는 수신부(210), 송신부(220), 계산부(230), 그래프 처리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 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신호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원 입력 신호와 피드백 신호가 합성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10)는 도 1에서 설명한 ICS 중계기의 수신 안테나(2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 한다.
송신부(220)는 증폭기를 통해 이득 G만큼 증폭된 출력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출력신호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출력신호는 피드백 신호 검출기 및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를 통해 피드백 신호를 제거한 후, 증폭기를 통해 이득 G만큼 증폭된 신호이다. 또한, 송신부(22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ICS 중계기의 송신 안테나(27)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계산부(230)는 수신부(210) 및 송신부(220)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관관계(correlation)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관관계는 수신부(210) 및 송신부(220)를 통해 송수신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Cross correlation) 또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 및 송신부(220)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자기상관관계(Auto correlation)로 나누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220)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통해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이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고, 상호 상관관계 및 수신 부(2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통해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모두 계산하여 피드백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한다.
즉, 계산부(23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즉,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원 입력 신호와 피드백 신호가 합성된 신호)와 송신부(220)을 통해 기 송신된 출력신호(즉,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를 계산한다. 여기서, 계산부(230)로부터 상관관계가 계산되면, 그래프 처리부(240)는 계산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피드백 신호의 시간 지연, 진폭, 위상 및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 등을 나타내는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1]은 상호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수학식이다.
Figure 112008090039609-PAT00001
Figure 112008090039609-PAT00002
여기서, X는 원 입력 신호를 말하며, G는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200)의 이득을 말하며, Y는 출력 신호(즉, Y=X*G: 원 입력신호에 이득을 더해진 신호)를 말한다. 또한,
Figure 112008090039609-PAT00003
는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200)의 입 력 신호(즉, 원 입력신호와 피드백 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말하며, Yfeed (즉, 피드백 신호)는
Figure 112008090039609-PAT00004
이다. 여기서, Yfeed는 여러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피드백 루프 중 하나의 경로를 거쳐서 들어오는 피드백 양으로 가정하며,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은 일반적으로 피드백 경로의 총 양으로 표시하나 이 수식에서는 하나의 경로에 대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200)의 송신 안테나(27)로부터 수신 안테나(21)까지의 피드백 신호의 경로 손실을 말한다.
하기 [수학식 2]는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수학식이다.
Figure 112008090039609-PAT00005
Figure 112008090039609-PAT00006
여기서, 자기 상관관계는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대하여 자기 상관관계를 각각 구함으로써,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200)에서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을 체크할 수 있다. 즉, 입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나타내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 처리부(240)는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된 상관관계(즉, 상호 상관관 계 또는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하여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한다. 이하, 도 5a 및 도 5b에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자세히 설명한다.
즉, 상호 상관관계 및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통해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고, 송신부(220)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통해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이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함으로써, 변화하는 피드백 신호에 대한 분포 상황(즉, 시간 지연, 진폭, 위상 및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 등)을 체크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그래프 처리부(240)가 생성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캡처(capture)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캡처 작업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관련 자료를 수집 및 관리 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210 내지 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즉, ICS 중계기)(200)의 수신부(21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410). 여기서, 입력신호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원 입력 신호와 피드백 신호가 합성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다음, 계산부(23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즉, 하나 이상 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원 입력 신호와 피드백 신호가 합성된 신호)와 송신부(220)을 통해 기 송신된 출력신호(즉,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또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입력신호의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한다(S420). 여기서,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또는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수학식은 상기 [수학식1] 및 [수학식2] 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계산부(230)는 송신부(220)을 통해 송신된 출력신호(즉,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한다(S430). 여기서,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이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다음, 그래프 처리부(240)는 계산부(230)가 계산한 상관관계(즉,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의 분포를 나타내는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한다(S440). 이에, 생성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분석하여 변화하는 피드백 신호에 대한 분포 상황(즉, 시간 지연, 진폭, 위상 및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 등)을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된 피드백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무선통신 환경 및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생성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캡처(capture)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관련 자료를 수집 및 관리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신호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피드백 분포 그래프의 가로측은 피드백 분포를 나타내며, 피드백 분포 그래프의 세로측은 상관관계의 양을 나타 낸다. 여기서는, 입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신호 분호를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과 제거된 후의 피드백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초록색으로 표기된 부분(A)은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전의 신호 분포를 나타내고, 빨간으로 표기된 부분(B)은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후의 신호 분포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대한 상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전의 신호분호(A)와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후의 신호 분호(B)를 나타낸다.
또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의 가로측은 피드백 경로의 딜레이를 나타내며, 피드백 분포 그래프의 세로측은 이득(G)과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의 차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래프의 세로측에서 '0' 지점은 이득(G)과 아이솔레이션이 같은 지점을 말하며, '-20' 지점은 이득(G)가 아이솔레이션 보다 20dB 낮다는 것으로, 즉 아이솔레이션이 충분히 확보되었음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RF 중계기는 통화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계기의 이득과 아이솔레이션의 차이가 CDMA에서는 15dB, WCMDA에서는 18dB 이상이 되도록 아이솔레이션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EVM이 CDMA에서는 17.5%, WCDMA에서는 12.5%를 확보해 야 음성/영상/데이터 통화의 품질이 나오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계기 이득 대비 아이솔레이션이 너무 크면 피드백되어 들어오는 신호가 미비하므로 DSP 단의 잡음의 레벨과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중계기 이득과 아이솔레이션의 차이가 20~30dB까지 보는 것이 적정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중계기 이득보다 아이솔레이션이 작은 경우는 DSP 단의 피드백 제거 성능 및 용량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그래프 세로축에 대한 적정한 범위를 선정하여야 한다.
즉, 도 5b와 같이 제시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통해 피드백 신호에 대한 분포 상황(즉, 시간 지연, 진폭, 위상 및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양 등)을 체크할 수 있어, 무선통신 환경 및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추후 장비 개발 시 이러한 자료들을 반영하여 좀 더 최적화를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캡처(capture)함으로써 조금 더 간편하게 관련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캡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피드백 분포 그래프가 디스플레이된 화면 상에 제공된 캡처 버튼(61)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피드백 분포 그래프가 캡쳐되며, 이때 캡처된 이미지를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바로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보다 편리하게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관리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캡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 중계기(피드백 분포 그래프 제공 장치)
210 : 수신부 220 : 송신부
230 : 계산부 240 : 그래프 처리부
250 : 제어부

Claims (9)

  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와 기 송신된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피드백 신호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처리부를 포함하는,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처리부는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계산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는,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초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며, 상기 그래프 처리부는 상기 계산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는,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장치.
  4.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와 기 송신된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피드백 신호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원 입력 신호와 피드백 신호가 합성된 신호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는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신호인,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며, 상기 계산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는,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상관관계는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를 기초로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자기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가 제거되기 이전의 피드백 분포 그래프를 생성하는,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방법.
  9. RF 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와 기 송신된 출력신호 사이의 상호 상관관계 및 상기 출력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관계 및 자기 상관관계를 기초로 피드백 신호의 분포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80135893A 2008-12-29 2008-12-29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KR10105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893A KR101058667B1 (ko) 2008-12-29 2008-12-29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893A KR101058667B1 (ko) 2008-12-29 2008-12-29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836A true KR20100077836A (ko) 2010-07-08
KR101058667B1 KR101058667B1 (ko) 2011-08-22

Family

ID=4263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893A KR101058667B1 (ko) 2008-12-29 2008-12-29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9421A (zh) * 2013-06-26 2013-11-13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goose通讯的孤岛检测装置和方法
KR20200088147A (ko) * 2019-01-14 2020-07-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 경로 연속 중계 프로토콜을 위한 다중 처프 기반의 중계기 간 간섭 완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01B1 (ko) * 2017-01-16 2018-08-10 주식회사 씨에스 Ics 중계기의 간섭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763B1 (ko) * 2006-12-20 2008-05-1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과출력 방지기능을 갖춘 이동통신용 무선중계기의간섭제거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9421A (zh) * 2013-06-26 2013-11-13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goose通讯的孤岛检测装置和方法
KR20200088147A (ko) * 2019-01-14 2020-07-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 경로 연속 중계 프로토콜을 위한 다중 처프 기반의 중계기 간 간섭 완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667B1 (ko) 201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s
US8902806B2 (en) Repeater-assisted management of macro network coverage
KR100661335B1 (ko) 동일 채널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중계시스템의 다중경로간섭제거 장치 및 방법
US20050288060A1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JP2008131623A (ja) アンテナを内蔵したフィードーバック干渉信号除去無線中継装置
US79299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multi-service repeater
KR101058667B1 (ko) Rf중계기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분포를 그래프로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KR20040097683A (ko)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간섭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중계장치
US8626061B2 (en) Isolation distance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ance of inter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system
KR100259868B1 (ko)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JP2006166463A (ja) 疑似雑音コードの識別及び除去により通信品質を改善させる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信号処理装置
KR100915205B1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KR101217885B1 (ko) 간섭 제거 시스템에서 fa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337223B1 (ko) 다중 주파수 대역 광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0758883B1 (ko) 중계기의 디지탈 다중경로 신호정합기
JP2003179977A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676227B1 (ko) 선박용 이동 통신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092682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pn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 그방법
US8462830B2 (en)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with spreading
KR100529830B1 (ko) 무선 중계기 및 무선 중계 방법
JP2018011137A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047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 제어 중계 장치
KR101524679B1 (ko) 무선 중계 장치 및 무선 중계 방법
KR19990080649A (ko) 이동전화시스템,의사주파수송수신장치및의사주파수중계기
WO2021170379A1 (en) Shifting a frequency band of an interference signal out of a pass band of a signal p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