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868B1 -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868B1
KR100259868B1 KR1019980018394A KR19980018394A KR100259868B1 KR 100259868 B1 KR100259868 B1 KR 100259868B1 KR 1019980018394 A KR1019980018394 A KR 1019980018394A KR 19980018394 A KR19980018394 A KR 19980018394A KR 100259868 B1 KR100259868 B1 KR 10025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frequency
mobile terminal
signal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776A (ko
Inventor
이준성
오혜기
유현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8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중계기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에 있어서,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다수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배기, 분배기에서 분리된 신호에서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의 여파기, 여파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주파수 증폭기, 각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출력 신호 레벨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전계 강도(RSSI) 측정기, 각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에서 측정한 신호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인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조합기로 전달하는 비교/제어기 및 각 비교/제어기에서 선택된 신호들을 합하여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보내는 조합기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전 대역의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보내는 채널 여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본 발명은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할당(Frequency Assignment: FA) 별로 선별 증폭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중계기(Repeater) 및 그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과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은 전파의 감도가 약하거나 전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 지역(Shadow Area)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중계기(Repeater)를 사용한다. 중계기는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연계하여 사용되며, 주로 설치되는 지역은 도심환경 내에서 고층 빌딩이나 건물의 지하, 지하철 내부, 그리고 터널 등이다.
상기와 같이 중계기는, 수신 전파 레벨이 낮아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없는 지역에서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다시 송신하거나 반대로 음영지역 내의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 MS)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링크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중계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미세한 고주파(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기가 수신 가능하게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는 음영 지역의 통화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주파수 할당 별로 증폭을 각각 수행하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증폭 방식을 채택하고, 대역 통과 여파기(Band Pass Filter: BPF)를 설치하여 잡음 증폭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타 대역의 간섭을 막는다.
도 1 은 통상적인 양방향 중계기의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방향의 안테나와 연결되는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 DC)(100)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순방향 경로와 역방향 경로를 연결하는 순환기(Circulator)(200), 상기 순환기(200)와 연결된 순방향 증폭 경로(300), 상기 순환기(200)와 연결된 역방향 증폭 경로(400), 상기 순방향 증폭 경로(300)와 역방향 증폭 경로(400)와 연결되는 순환기(500) 및 상기 순환기(500)를 이동 단말기 방향의 안테나와 연결하는 방향성 결합기(600)를 포함한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의 순방향 증폭 경로(3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기(20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중계기가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걸러내는 대역 통과 여파기(BPF)(310)와, 상기 여파기(310)와 연결된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320), 상기 저잡음 증폭기(32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할당의 수만큼 분배하는 분배기(Divider)(330), 상기 분배기(330)에서 분배된 신호에서 원하는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여파기(340)(342)(344), 상기 여파기(340)(342)(344)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주파수 증폭기(IF Amp)(350)(352)(354), 상기 각 증폭기(350)(352)(354)의 신호를 결합하는 조합기(Combiner)(360), 상기 조합기(36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대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370) 및 상기 증폭기(37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순환기(500)로 전달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380)로 구성된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의 역방향 증폭 경로(4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기(50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중계기가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걸러내는 대역 통과 여파기(410)와, 상기 여파기(410)와 연결된 저잡음 증폭기(420), 상기 저잡음 증폭기(42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할당의 수만큼 분배하는 분배기(430), 상기 분배기(430)에서 분배된 신호에서 원하는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여파기(440)(442)(444), 상기 여파기(440)(442)(444)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주파수 증폭기(450)(452)(454), 상기 증폭기(450)(452)(454)의 신호를 결합하는 조합기(460), 상기 조합기(46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대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470) 및 상기 증폭기(47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순환기(200)로 전달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480)로 구성된다.
기지국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대역 통과 여파기(310)(410)를 거쳐 저잡음 증폭기(320)(420)에서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분배기(330)(430)에서 여러 개의 신호로 분리된 다음 여파기(340)(342)(344)(440)(442)(444)를 통해 주파수 할당의 신호로 분리된다. 상기 순방향 증폭 경로(300)의 중간 주파수 증폭기(350)(352)(354) 및 상기 역방향 증폭 경로(400)의 중간 주파수 증폭기(450)(452)(454)는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신호는 조합기(360)(460)에서 다시 합쳐지고, 전력 증폭기(370)(470)에서 대전력으로 증폭된 후, 전력 여파기(380)(480)를 거쳐 다시 송신 안테나로 송출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는, 중계기가 지원하는 모든 주파수 할당에 대해서 증폭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순방향 증폭 경로(300)에서 어느 한 주파수 할당에 통화가 없는 경우, 통화가 없는 주파수 할당에 대하여 증폭을 수행하게 되면 해당 주파수 할당의 잡음 마루(Noise Floor)가 상승하게 된다. 즉, 모든 주파수 할당에 대해서 증폭을 수행하게 되므로 특정 주파수 할당만을 분리해서 증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미국특허 제 5,634,191 호, "Self-adjusting RF repeater arrangements for wireless telephone systems"에는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증폭할 신호의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증폭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고주파(Radio Frequency: RF) 중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중계기는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무조건 증폭을 수행하여 중계하게 되므로, 통화가 없는 주파수 할당도 증폭하게 되어 잡음을 증폭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모든 주파수 할당을 증폭한 후 중계하는 종래 증폭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화가 없는 주파수 할당에서 발생되는 잡음 마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순방향 증폭 경로에서 주파수 할당별 선택 기능을 가지는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파수 할당별 선택이 필요없는 역방향 증폭 경로에서는 경로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채널을 여파하는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통상적인 양방향 중계기의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의 순방향 증폭 경로(3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의 역방향 증폭 경로(4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의 순방향 증폭 경로(3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5 은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의 역방향 증폭 경로(4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교/제어기(395)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390)(392)(394)와 비교/제어기(395)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4 : 비교회로
5 : 제어회로
100,600 : 방향성 결합기(DC)
200,500 : 순환기(CIR)
300 : 순방향 증폭 경로
310,340,342,344,380,410,440,442,444,480 : 대역 통과 여파기(BPF)
320,420 : 저잡음 증폭기(LNA)
330,430 : 분배기
350,352,354,450,452,454 : 중간 주파수 증폭기(IF AMP)
360,460 : 조합기
370,470 : 전력 증폭기
390,392,394 : 수신 전계 강도(RSSI) 측정기
391,393,395 : 비교/제어기
400 : 역방향 증폭 경로
490 : 채널 여파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별 중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
상기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다수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서 분리된 신호에서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의 여파기;
상기 여파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주파수 증폭기;
상기 각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출력 신호 레벨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전계 강도(RSSI) 측정기;
상기 각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에서 측정한 신호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인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조합기로 전달하는 비교/제어기; 및
상기 각 비교/제어기에서 선택된 신호들을 합하여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보내는 조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할당의 개수만큼의 경로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교/제어기는, 상기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넘게되는 주파수 할당의 정보를 제어회로로 넘겨주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에서 임계치를 넘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조합기로 전달하고,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선별 중계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전대역의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보내는 채널 여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널 여파기는, SAW(Surface Acoustic Wave) 여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구비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다수의 경로로 분배하는 과정;
상기 분리된 신호에서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과정;
상기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
상기 증폭된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한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인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신호들을 합하여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보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과정은,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할당의 개수만큼의 경로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넘게되는 주파수 할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임계치를 넘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전달하고,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Repeater)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전대역의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보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Repeater)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 중에서 통화가 있는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중계하고, 통화가 없는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중계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화의 판단 여부는,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이면 통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치 이하이면 통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Repeater)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주파수 할당별로 선택하지 않고 전대역 여파만을 수행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는 중계할 주파수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의 방향(순방향, Forward)으로 향하는 각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가 일정 수준 이하라면 해당 경로를 조합(Combination)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에서 기지국의 방향(역방향, Reverse)으로 향하는 신호는 주파수별로 증폭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대역 여파기를 사용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선별 중계기의 순방향 증폭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방향의 순환기(20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중계기가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걸러내는 대역 통과 여파기(310)와, 상기 여파기(310)와 연결된 저잡음 증폭기(320), 상기 저잡음 증폭기(32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할당의 수만큼 분배하는 분배기(330), 상기 분배기(330)에서 분배된 신호에서 원하는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여파기(340)(342)(344), 상기 여파기(340)(342)(344)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중간 주파수 증폭기(350)(352)(354), 상기 중간 주파수 증폭기(350)(352)(354)의 출력 신호 레벨을 측정하는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RSSI)(390)(392)(394), 상기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390)(392)(394)에서 측정한 신호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인 주파수 할당만을 조합기(360)로 전달하는 비교/제어기(395), 상기 각 비교/제어기(395)에서 선택된 신호들을 합하는 조합기(360), 상기 조합기(36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대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370) 및 상기 증폭기(37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이동 단말기 방향의 순환기(500)로 전달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380)로 구성된다.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계기의 역방향 증폭 경로(4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방향의 순환기(50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중계기가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를 걸러내는 대역 통과 여파기(410)와, 상기 여파기(410)와 연결된 저잡음 증폭기(420), 상기 저잡음 증폭기(42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는 채널 여파기(490), 상기 채널 여파기(490)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대전력으로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470) 및 상기 증폭기(470)로부터 전해진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기지국 방향의 순환기(200)로 전달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480)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를 참조하여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중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먼저 여파기(310)를 거치고 저잡음 증폭기(320)에서 증폭된 다음 분배기(330)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신호는 수신 전계 강도(RSSI) 값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390)(392)(394)에 입력되며, 수신되는 각 주파수 할당에 대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측정하여 비교/제어기(395)로 전달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교/제어기(395)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파수 할당에서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 RSSI_레벨_1,2,3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1)(2)(3)를 통해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값은 비교회로(4)로 입력되어 임계치와 비교된다.
비교회로(4)에서는 각 주파수 할당별로 전달되는 수신 전계 강도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넘게 되는 주파수 할당의 정보를 제어회로(5)로 넘겨준다. 제어회로(5)는 이 정보를 통해 조합기(360)에서 조합할 주파수 할당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조합기(360)는 임계치를 넘는 신호만을 조합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390)(392)(394)와 비교/제어기(395)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390)(392)(394)에서 각 주파수 할당1,2,3의 RSSI_레벨_1,2,3을 측정한다.(10) 그러면 비교회로(4)가 각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레벨 임계치와 비교한다.(20) 어떤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이 레벨 임계치보다 높으면 해당 주파수 할당을 조합기(360)로 출력한다.(30) 어떤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이 레벨 임계치보다 낮으면 해당 주파수 할당을 막는다.(40)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합기(360)에서 조합된 신호는 전력 증폭기(370)를 통해 대전력 증폭된 다음 여파기(380)를 거쳐 이동 단말기 방향의 안테나로 송출된다.
다음 도 5 를 참조하여 중계기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중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먼저 여파기(410)를 거치고 저잡음 증폭기(420)에서 증폭된다. 저잡음 증폭된 신호는 주파수 할당별로 분리되지 않고 전대역 여파기(490)를 통해 여파된 후, 전력 증폭기(470)와 여파기(480)를 통해 기지국 방향의 안테나로 송출된다. 상기 전대역 여파기(490)는 대역 통과 특성이 좋은 SAW(Surface Acoustic Wave) 여파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다수의 주파수 할당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기가 통화가 없는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해당 주파수 할당의 잡음 마루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계기의 불필요한 동작과 경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단순한 중계기에 주파수 할당 선택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인접 기지국이나 그 밖의 불요파의 증폭을 피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품질의 개선과 중계기 사용의 효율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중계하고자 하는 해당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과 중계기 서비스 영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이 일치되어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
    상기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다수의 경로로 분리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에서 분리된 신호에서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의 여파기;
    상기 여파기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주파수 증폭기;
    상기 각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출력 신호 레벨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전계 강도(RSSI) 측정기;
    상기 각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에서 측정한 신호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인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조합기로 전달하는 비교/제어기; 및
    상기 각 비교/제어기에서 선택된 신호들을 합하여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보내는 조합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할당의 개수만큼의 경로로 분리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제어기는,
    상기 수신 전계 강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넘게되는 주파수 할당의 정보를 제어회로로 넘겨주는 비교회로; 및
    상기 비교회로에서 임계치를 넘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조합기로 전달하고,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기.
  4.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 및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전대역의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보내는 채널 여파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여파기는, SAW(Surface Acoustic Wave) 여파기로 구성되는, 주파수 선별 중계기.
  6.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구비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다수의 경로로 분배하는 과정;
    상기 분리된 신호에서 하나의 주파수 할당 신호만을 걸러내는 과정;
    상기 주파수 할당의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
    상기 증폭된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한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인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신호들을 합하여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과정은,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할당의 개수만큼의 경로로 분리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된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수신 전계 강도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임계치를 넘게되는 주파수 할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임계치를 넘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전달하고,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9.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Repeater)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전대역의 신호에서 불요파를 제거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10.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Repeater)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 중에서 통화가 있는 주파수 할당의 신호만을 상기 이동 단말기로 중계하고, 통화가 없는 주파수 할당의 신호는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 중계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의 판단 여부는, 주파수 할당의 수신 전계 강도 레벨을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이면 통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치 이하이면 통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12.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하는 순방향 증폭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하는 역방향 증폭 경로를 가지는 중계기(Repeater)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방향으로부터 전해진 신호를 주파수 할당별로 선택하지 않고 전대역 여파만을 수행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주파수 선별 중계 방법.
KR1019980018394A 1998-05-21 1998-05-21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025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394A KR100259868B1 (ko) 1998-05-21 1998-05-21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394A KR100259868B1 (ko) 1998-05-21 1998-05-21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776A KR19990085776A (ko) 1999-12-15
KR100259868B1 true KR100259868B1 (ko) 2000-06-15

Family

ID=1953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394A KR100259868B1 (ko) 1998-05-21 1998-05-21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8159B2 (en) 2006-02-20 201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 station (RS) for reporting mobile station (MS)-RS channel stat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communication system
KR101572029B1 (ko) 2014-09-02 2015-11-25 신광윤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39B1 (ko) * 2000-10-16 2003-10-11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업링크 영역확장을 위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
KR20020091624A (ko) * 2001-05-31 2002-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증폭분배기
KR20030060612A (ko) * 2002-01-10 2003-07-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멀티 채널의 중간주파수 처리기 및 그를 이용한 멀티채널의 중계 장치
KR100664584B1 (ko) * 2004-11-18 2007-01-04 주식회사 쏠리테크 다채널 중계기의 채널별 온/오프 제어 방법
KR100855225B1 (ko) * 2005-09-28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878176B1 (ko) 2005-12-10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 전환갭을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29817B1 (ko) 2006-05-22 2008-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에서 중계기, 단말 및 기지국, 그리고기지국과 단말을 중계하는 방법
KR101537736B1 (ko) * 2009-09-07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개인용 중계기와, 상기 개인용 중계기와 통신하는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8159B2 (en) 2006-02-20 2011-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relay station (RS) for reporting mobile station (MS)-RS channel stat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communication system
KR101572029B1 (ko) 2014-09-02 2015-11-25 신광윤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776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4495B2 (ja) 区画式無線電話性能向上回路
US2008003750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259868B1 (ko)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0711015B1 (ko) 무선 시스템 결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321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경로 중계방법 및 그 장치
KR100990908B1 (ko)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KR100251685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JP3742372B2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20005312A (ko) 멀티채널 중계기
KR100728625B1 (ko) 해상용 이동통신 중계기 및 그 제어 방법
JP3080204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移動通信の通信中チャネル切替方法
KR10069910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신호 전용 중계 장치
KR1003179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선택장치를 구비한 중계기
KR100302944B1 (ko) 주파수 변환 중계장치
KR102175374B1 (ko)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175362B1 (ko)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20070084707A (ko) 간섭 제거 시스템에서 fa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961139B1 (ko) 고감도 신호검출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스마트 증폭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중계 시스템
KR101003049B1 (ko)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의 주파수 공용 통신 중계시스템
KR100285963B1 (ko) 음영지역용기지국
KR200100971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JP2000031879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2004003956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 장착되는 휴대용 중계기
KR10120374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섹터간 무선 경로를 공유하는 기지국 및 그 공유 방법
KR20020000327A (ko) 트리플 모드형 무선주파수 가변이득증폭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