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029B1 -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 Google Patents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029B1
KR101572029B1 KR1020140115948A KR20140115948A KR101572029B1 KR 101572029 B1 KR101572029 B1 KR 101572029B1 KR 1020140115948 A KR1020140115948 A KR 1020140115948A KR 20140115948 A KR20140115948 A KR 20140115948A KR 101572029 B1 KR101572029 B1 KR 10157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cation
external input
power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윤
Original Assignee
신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윤 filed Critical 신광윤
Priority to KR102014011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와 외부입력신호의 증폭에 의한 내부증폭신호의 간섭으로 발생한 불요파를 제외한 사용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를 분리하는 커플러;커플러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를 검출하는 믹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수신채널의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이 증폭전력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된 제한전력과 최대전력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에 증폭처리시키는 신호증폭처리부; 및 믹서에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차가 360°가 되도록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 변조방식의 디지털 통신신호를 조건에 따라 제한된 출력으로 증폭하여 동일한 안테나를 통하여 동일한 주파수로 재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Repeater for amplifing realtime wireless signal}
본 발명은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채널 폭으로 다수의 무선 데이터 통신채널을 운영하는 제한된 출력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캐리어가 존재하는 채널을 식별하여 증폭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허용된 출력한도 내에서 신호의 증폭도를 적용하여 비궤환적으로 원래의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로 실시간 중계하는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전송하는 거리가 멀어지면 전송신호는 감쇠한다. 이와 같이, 감쇠된 전송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재생중계장치를 중계기라고 한다.
중계기는 무선 데이터 통신의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통신규격을 만족시키면서 통신반경을 넓히는 등의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또한, 신호의 전파가 약한 터널, 지하차도, 건축물 지하 등과 같은 음영지의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특정 통신장치 사이에 전파장애요소가 있는 경우 음영구역을 우회하여 기기간의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계기는 물리적 방식과 논리적 방식으로 운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물리적 방식의 중계가 여의치 않은 경우 논리적 방식의 중계를 위해 축적형 리피터(buffered repeater)가 주로 사용된다.
물리적 방식은 신호와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세분화되나, 대표적으로는 변파형과 무변파형이 주로 사용된다.
무변파형의 경우, 전반적으로 중계기의 크기를 줄이면서 동일채널의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에 대한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고, 설치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통신 등을 비롯하여 아나로그 통신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무변파형 중계기는 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송신을 위한 안테나가 단일 몸체에 구비되어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다시 수신 안테나로 들어오는 신호 즉, 궤환신호로 인해 발진이나 스퓨리어스(sprious)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발진이나 스퓨리어스의 발생은 장치의 성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의 원인이 되며, 과도한 유지보수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중계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통신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무변파형 중계기에 대해서는 궤환신호에 대한 제거수단이 구비된 형태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거수단은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즉, 중계되어야 하는 원신호와 제거되어야 하는 궤환신호를 분별한 뒤 양자 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것을 소거하는 형태를 갖는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형태의 무변파형 중계기의 궤환신호 제거수단은 궤환신호의 크기가 원신호의 그것보다 작아야 하는 전제조건이 충족되는 범위 내에서만 중계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제약이 따른다.
이와 같은 궤환신호에 의한 문제점들을 근원적으로 회피하기 위하여 종종 변파형 중계기가 사용된다. 변파형 중계기는 단순히 입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궤환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전반적으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을 넓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전파여건에 따라 물리적 중계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디지털 데이터 통신에서는 통상 중계기가 일련의 무선 패킷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실제로 수신장치로 중계하는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이와 같은 논리적 중계기를 축적형 리피터라고 하는데, 메모리 버퍼를 가지고 있으므로 속도와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간의 정보통신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버퍼링 과정과 재송신 과정의 통신오류에 관해 중복적 검증을 수행하므로 통신오류에 대한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채널에서 동일한 통신방식으로 재전송하는 경우 통신자원을 중복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전체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특히, 12.5kHz까지의 협대역을 사용하는 열악한 무선 데이터 통신환경에서 다수의 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경우 통신자원을 고갈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현실적으로는 대역폭 등 자원이 풍부한 특정 프로토콜에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특정 대역에 대한 주파수 변조방식의 디지털 통신신호를 조건에 따라 제한된 출력으로 증폭하여 동일한 안테나를 통하여 동일한 주파수로 재전송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아나로그 회로가 아닌 디지털 프로세서가 중계기의 운영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증폭조건에 관한 제반 파라미터를 소프트웨어만으로 설정 가능하도록 하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는, 외부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와 외부입력신호의 증폭에 의한 내부증폭신호의 간섭으로 발생한 불요파를 제외한 사용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를 분리하는 커플러; 커플러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를 검출하는 믹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수신채널의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이 증폭전력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된 제한전력과 최대전력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에 증폭처리시키는 신호증폭처리부; 및 믹서에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차가 360°가 되도록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증폭처리부는,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수신채널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신호분석기; 수신채널 각각을 선택하는 채널선택기; 및 선택된 수신채널 각각의 신호를 검출하여 강도를 측정하는 신호강도측정기를 포함하고, 신호분석기는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를 분석하여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을 연산하고, 최대전력이 설정된 증폭전력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된 제한전력과 최대전력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에 증폭처리시킨다.
또한, 차이값에 따라 증폭도를 산출하는 증폭 산출기; 및 신호분석기의 증폭처리여부에 따라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증폭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신호분석기는 검출된 신호의 강도가 갖는 전력이 스퓨리어스 전력보다 낮다고 판단한 경우 검출된 신호를 불요파로 인식하여 신호가 없는 채널로 식별한다.
또한, 신호분석기가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이 스퓨리어스 전력 이하 또는 설정된 증폭전력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증폭제어기는 증폭기의 출력을 차단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 변조방식의 디지털 통신신호를 조건에 따라 제한된 출력으로 증폭하여 동일한 안테나를 통하여 동일한 주파수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나로그 회로가 아닌 디지털 프로세서가 중계기의 운영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증폭조건에 관한 제반 파라미터를 소프트웨어만으로 설정 가능하도록 하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전력 협대역(10mW 이하, 12.5kHz/ch) 통신환경에서의 효율적인 통신 네트워크 운영을 기본 전제로 하면서 나아가 WiFi 등 범용 통신방식을 갖는 통신반경의 확장성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출력의 크기에 따라 통신범위가 제한되는 범용 통신시스템에 전반적으로 적용됨으로써 통신거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의 동작결과신호와 외부입력신호의 주파수 정합을 시간영역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는 안테나(100),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BPF, 200), 커플러(coupler, 300), 믹서(mixer, 400), 신호증폭처리부(500), RF(Radio Frequency) 스위치(600), 증폭기(700) 및 위상지연기 (800)를 포함한다.
안테나(100)는 무선통신에서 통신 목적을 위해 전파를 공간에 효율적으로 방사하거나 전파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전력을 유기시키기 위해 공중에 가설한 도선이다.
대역통과필터(200)는 외부로부터 안테나(100)를 통해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와 외부입력신호의 증폭에 의한 내부증폭신호의 간섭으로 발생한 불요파를 제외한 사용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한다.
커플러(300)는 대역통과필터(200)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를 분리한다.
믹서(400)는 커플러(300)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를 검출한다.
신호증폭처리부(500)는 신호분석기(510), 채널선택기(520), 신호강도측정기 (530), 증폭 산출기(540), 증폭제어기(550) 및 D/A 컨버터(560)를 포함하는데, 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신호분석기(510)는 믹서(400)에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수신채널을 순차적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외부입력신호에 제1 수신채널, 제2 수신채널, ... , 제10 수신채널이 포함된 경우, 신호분석기(510)는 제1 수신채널부터 제10 수신채널까지 순차적으로 변경한다. 신호분석기(510)에는 증폭제어를 위한 파라미터(parameter)로 스퓨리어스 전력(Pspurious), 증폭전력(Pamp) 및 제한전력(Plimit)의 3가지 설정값을 갖는다.
신호분석기(510)는 믹서(400)에서 검출된 신호의 강도가 갖는 전력이 스퓨리어스 전력(Pspurious)보다 낮다고 판단한 경우 검출된 신호를 불요파로 인식하여 신호가 없는 채널로 식별한다. 또한, 신호분석기(510)는 믹서(400)에서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를 분석하여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Pmax)을 연산하고, 검출된 최대전력(Pmax)이 설정된 증폭전력(Pamp)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된 제한전력(Plimit)과 검출된 최대전력(Pmax)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700)에 증폭처리시킨다. 또한, 신호분석기(510)는 믹서(400)에서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Pmax)이 스퓨리어스 전력(Pspurious) 이하 또는 설정된 증폭전력(Pamp)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후술하는 증폭제어기(550)는 증폭기(700)의 출력을 차단시킨다.
이와 같이 증폭제어를 위해 3가지 설정값을 이용하는 이유는, 증폭신호의 궤환방지를 위해서이다. 동일한 안테나(100)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므로 안테나 (100) 간의 신호간섭에 따른 궤환은 발생하지 않지만 동일한 주파수로 재송신하는 과정에서 증폭과정의 시간지연효과는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 사이의 위상 부정합에 따른 불요파의 발생원인이 된다.
채널선택기(520)는 신호분석기(510)에서 변경하는 수신채널 각각을 선택한다. 상세하게는, 신호분석기(510)는 수신채널의 개수가 N개일 경우 제1 수신채널부터 제N 수신채널까지 순차적으로 수신채널을 변경하는데, 채널선택기(520)는 이와 같이 변경된 각각의 수신채널을 선택한다.
신호강도측정기(530)는 채널선택기(520)에서 선택된 수신채널 각각의 신호를 검출하여 강도를 측정한다. 신호강도측정기(530)의 예로는 RSSI(Received Singnal strength indication)를 들 수 있다. 측정된 강도는 배열(array)로 저장된다.
증폭 산출기(540)는 신호증폭처리부(550)에서 연산된 설정된 제한전력 (Plimit)과 검출된 최대전력(Pmax)의 차이값에 따라 증폭도를 산출한다.
증폭제어기(550)는 신호분석기(510)의 증폭처리여부에 따라 증폭기(700)의 출력을 제어한다.
D/A 컨버터(560)는 증폭 산출기(540)에서 산출된 증폭도의 디지털 값을 아날로그 전력값으로 변환한다.
RF 스위치(600)는 증폭제어기(550)로부터 RF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스위칭한다.
증폭기(700)는 D/A 컨버터(560)를 통해 아나로그로 변환된 전력값에 따라 수신된 외부신호를 증폭시킨다.
위상지연기(800)는 믹서(400)에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와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차가 360°가 되도록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운용방법은 S100 내지 S1200을 포함한다.
RF 스위치(600)가 오프(OFF)된 상태(Psw=OFF)에서 중계기의 출력전력(Pout)이 0이다(S100).
S100 이후, 외부로부터 안테나(100)를 통해 입력된 수신채널(Ch)이 제1 수신채널인 경우(Ch=1) 중계기의 최대전력(Pmax)은 스퓨리어스(Pspurious) 전력과 같다 (S200).
S200 이후, 채널선택기(520)가 제1 수신채널을 선택하면(S300), 신호강도측정기(530)가 제1 수신채널의 신호를 검출하여 강도를 측정한다(S400).
S400 이후, 채널선택기(520)가 제1 수신채널에서 제2 수신채널로 수신채널을 변경한다(Ch=Ch+1)(S500). 만약, 입력된 수신채널(Ch)이 제2 수신채널이면 채널선택기(520)는 제3 수신채널로 수신채널을 변경하는 것과 같이 그 이후의 수신채널로 수신채널을 변경한다.
S500 이후, 신호강도측정기(530)가 제2 수신채널의 전력(Pch)이 최대전력 (Pmax)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600).
S600에서 제2 수신채널의 전력(Pch)이 최대전력(Pmax)보다 작은 경우 제2 수신채널의 전력은 최대전력(Pmax)과 같다(S700). 그러나, S600에서 제2 수신채널의 전력(Pch)이 최대전력(Pmax) 이상인 경우 S300을 수행한다.
S700 이후, 신호강도측정기(530)가 제2 수신채널이 제N 수신채널(Chmax)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800). 즉, 제1 수신채널, 제2 수신채널, ... , 제N 수신채널(N개의 수신채널)이 있을 때, 신호선택기(520)가 제1 수신채널부터 제N 수신채널까지 변경한 상태에서 제2 수신채널이 제N 수신채널 이후의 수신채널인지 판단한다.
S800에서 제2 수신채널이 제N 수신채널보다 큰 경우 신호강도측정기(530)가 스퓨리어스 전력(Pspurious)이 최대전력(Pmax)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900). 그러나, S800에서 제2 수신채널이 제N 수신채널 이하인 경우 S300을 수행한다.
S900에서 스퓨리어스 전력(Pspurious)이 최대전력(Pmax) 미만인 경우 최대전력(Pmax)이 설정된 증폭전력(Pamp)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00). 그러나, S900에서 스퓨리어스 전력(Pspurious)이 최대전력(Pmax) 이상인 경우 S100을 수행한다.
S1000에서 최대전력(Pmax)이 설정된 증폭전력(Pamp) 이하인 경우 신호분석기(510)는 설정된 제한전력(Plimit)과 최대전력(Pmax)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700)에 증폭처리시킨다(S1100). 그러나, S1000에서 최대전력이 설정된 증폭전력보다 이상인 경우 S100을 수행한다.
S1100 이후, RF 스위치(600)가 온(ON) 상태(Psw=ON)가 된다(S1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의 동작결과신호와 외부입력신호의 주파수 정합을 시간영역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b)는 (a)의 신호 S1을 분석하여 발생하는 증폭기의 출력신호(S2)를 표현한 것이다. Plimit는 제한전력을 의미하고, Pmax는 최대전력을 의미하고, Pout은 출력전력을 의미한다. 또한, t는 시간을 의미하고, d는 시간지연을 의미한다.
외부로부터의 입력신호 S1은 커플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 S2의 간섭으로 (c)의 신호(S1+S2)와 같은 왜곡된 반송파를 발생시킨다. 도 1의 믹서는 실제의 반송파인 S1+S2로부터 S2를 제거한 후 S1을 분석하여 증폭신호로 사용한다.
원신호와 증폭신호 간에는 간섭에 의한 불요파(Spuirious)가 발생하는데, 임상적으로는 15°미만의 경우에는 ASK(Amplitude Shift Keying)나 FSK(Frequency Shift Keying)에서 신호의 페이즈 로킹(Phase Locking)에 무난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PLL(Phase Locked Loop)을 전제로 한다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도 1에서 살펴본 위상지연기가 필요하다.
위상지연기는 시간영역에서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의 흐름을 지연시키는 장치이다. 즉, 위상지연기의 위상지연회로는 지연시간(Tdelay) = T360°-시간뒤짐(Tdiff)의 시정수를 갖는 일련의 회로로서, 위상지연회로 내에서 발생하는 전체적인 시간 뒤짐(Tdiff)을 지연시켜(Tdelay) 36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S1과 S2’간의 정합효과를 얻는다.
도.3의 (d)에 도시된 신호 S2’는 위상지연기를 거쳐 증폭된 신호이고 (e)에 도시된 신호는 외부입력신호 S1와 보정된 S2’의 간섭신호(S1+S2’)이다. 증폭기로서 Pamp는 Plimit의 60%정도로 사용하고, 음영지역의 해소를 위한 중계기인 경우에는 Pamp = Plimit로 사용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안테나
200 : 대역통과필터
300 : 커플러
400 : 믹서
500 : 신호증폭처리부
510 : 신호분석기
520 : 채널선택기
530 : 신호강도측정기
540 : 증폭 산출기
550 : 증폭제어기
560 : D/A 컨버터
600 : RF 스위치
700 : 증폭기
800 : 위상지연기

Claims (5)

  1. 외부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와 상기 외부입력신호의 증폭에 의한 내부증폭신호의 간섭으로 발생한 불요파를 제외한 사용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외부입력신호와 상기 내부증폭신호를 분리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를 통과한 상기 외부입력신호를 검출하는 믹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수신채널의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이 설정된 증폭전력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된 제한전력과 상기 최대전력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에 증폭처리시키는 신호증폭처리부; 및
    상기 믹서에서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와 상기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차가 360°가 되도록 상기 내부증폭신호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증폭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외부입력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수신채널을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신호분석기;
    상기 수신채널 각각을 선택하는 채널선택기; 및
    선택된 수신채널 각각의 신호를 검출하여 강도를 측정하는 신호강도측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분석기는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를 분석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최대전력이 설정된 증폭전력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설정된 제한전력과 상기 최대전력의 차이값을 증폭도로 하여 증폭기에 증폭처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에 따라 상기 증폭도를 산출하는 증폭 산출기; 및
    상기 신호분석기의 증폭처리여부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증폭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석기는 검출된 신호의 강도가 갖는 전력이 스퓨리어스 전력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검출된 신호를 불요파로 인식하여 신호가 없는 채널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석기가 상기 검출된 신호들의 강도가 갖는 최대전력이 스퓨리어스 전력 이하 또는 설정된 증폭전력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증폭제어기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KR1020140115948A 2014-09-02 2014-09-02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KR10157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48A KR101572029B1 (ko) 2014-09-02 2014-09-02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48A KR101572029B1 (ko) 2014-09-02 2014-09-02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029B1 true KR101572029B1 (ko) 2015-11-25

Family

ID=5484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48A KR101572029B1 (ko) 2014-09-02 2014-09-02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48B1 (ko) 2016-06-08 2016-10-18 노드링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Vhf 주파수 대역에서의 메쉬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101824907B1 (ko) 2017-06-27 2018-03-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성 중계기의 위상 잡음 보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868B1 (ko) 1998-05-21 2000-06-15 윤종용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0990908B1 (ko) 2008-06-04 2010-11-01 (주) 콘텔라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868B1 (ko) 1998-05-21 2000-06-15 윤종용 주파수 선별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0990908B1 (ko) 2008-06-04 2010-11-01 (주) 콘텔라 주파수 선택형 무선 중계기 및 그 무선 중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48B1 (ko) 2016-06-08 2016-10-18 노드링크테크놀로지 주식회사 Vhf 주파수 대역에서의 메쉬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101824907B1 (ko) 2017-06-27 2018-03-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위성 중계기의 위상 잡음 보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33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신호 제거 기술을 이용한 광대역무선중계장치
US7593689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oscillation in an on-frequency repeater
US75997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og transport of RF voice/data communications
EP23192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end of a subframe in a tdd system
KR201100718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US9059794B2 (en) Method of generating interference signals and device to carry out such a method
KR101002181B1 (ko)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변조 임계
US20210409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y using cooperative jamming and spoofing
KR101202337B1 (ko) 밀리미터파를 이용하는 송수신기
KR101572029B1 (ko) 실시간 무선신호 증폭 중계기
JPH04372234A (ja) 送信電力制御方式
US20080013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election
US9942827B2 (en) Dynamic crossband link method and wireless extender
US20170215153A1 (en) Headend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800567B2 (ja) マルチパス通信用無線装置
EP095758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ransmitter overload in a transmit scanning receiver
KR20090041193A (ko)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운영 방법
KR10059672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 기반 소형 알에프 중계기용 동기장치및 방법
Tran et al. Hybrid classical relay and advanced RISs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IoT sensor networks with impaired hardware
JP5829063B2 (ja) 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2021036046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JP2590736B2 (ja) 送信出力制御方法
US10405255B2 (en) Dynamic crossband link method and wireless extender
KR2009010159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및 중계 방법
KR20090058326A (ko)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