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181B1 -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변조 임계 - Google Patents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변조 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181B1
KR101002181B1 KR1020087001024A KR20087001024A KR101002181B1 KR 101002181 B1 KR101002181 B1 KR 101002181B1 KR 1020087001024 A KR1020087001024 A KR 1020087001024A KR 20087001024 A KR20087001024 A KR 20087001024A KR 101002181 B1 KR101002181 B1 KR 10100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rst size
data burst
bursts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735A (ko
Inventor
피터 엔. 스트롱
Original Assignee
파이핑 핫 네트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핑 핫 네트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이핑 핫 네트웍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2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장거리 점 대 점 및 점 대 다점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높은 효율 및 감소된 레이턴시로 동작하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 시스템은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 및 변조 임계 레벨 모두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TDD 기술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복수 트랜시버들 및 복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특정된 수의 이전에 수신된 버스트들에서 검출된 필러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하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하고, 송신 버스트 크기에 기초하여 후속 송신을 위한 변조 임계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시스템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수용 가능한 레벨로 유지하면서, 증가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공한다. 시스템의 스루풋 요건들이 완화될 때, 변조 임계 레벨들은 감소된 패킷 에러 레이트들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트랜시버, 버스트, OFDM, 필러, 패킷

Description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 변조 임계{Self-optimization of time division duplex (TDD) timing and adaptive modulation thereshol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의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 대 점 및 점 대 다점(point-to-multipoint)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광대역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은 원격의 지리적 지역들에 위치된 사용자들에게 고속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 지역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들은 도시 환경들 내 위치들로부터 및/또는 현저한 지리적 거리들에 걸쳐 흩어져 있는 위치들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통신 링크들 및 네트워크들을 셋업하기를 바라는 사용자들에 의해 채용될 수도 있다.
종래의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가시선(line-of-sight; LOS) 또는 비-가시선(NLOS)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OS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기지국에 배치된 안테나의 가시선 내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위치들에 설치된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NLOS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송신기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 및 수신기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NLOS 시스템 내 송신기들은 알려진 공간-시간 코딩 및 변조 기술들을 사용하여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고, 수신기들은 송신된 신호들을 캡처하고 송신된 신호들을 디코딩 및 복조하고 그럼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알려진 신호 처리 기술들을 채용한다. NLOS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은 이를테면 빌딩들, 나무들, 언덕들, 자동차들 등과 같은 수많은 산란시키는 물체들을 포함하는 환경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내에서, 송신된 신호들은 일반적으로, 환경 내 여러 물체들에 의해 산란되면서 송신기들과 수신기들 간에 복수-경로 전파(propagation)를 겪는다. 이러한 복수-경로 환경은 송신기들과 수신기들 간에 복수 경로들이 수립되게 한다. 이들 복수 경로들을 통해 병렬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높은 데이터 스루풋 및 높은 스펙트럼 효율들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 기술된 LOS 및 NLOS 시스템들과 같은 종래의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은 결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이러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시분할 듀플렉스(TDD) 기술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TDD 기술들을 채용하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들이 장거리(long range) 점 대 점 및 점 대 다점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채용되었을지라도, 이러한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소스에서 목적지로의 무선 신호들의 전송 시간에 비례하는, 높은 레이턴시(latency)를 겪는다. 높은 레이턴시는 특히 점 대 점 홉들의 수가 많고 및/또는 대역폭 요건이 높을 때, 장거리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러한 시스템들의 데이터 스루풋을 현저하게 제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증가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공하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레이턴시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장거리 점 대 점 및 점 대 다점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높은 효율로 동작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거리 점 대 점 및 점 대 다점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높은 효율 및 감소된 레이턴시로 동작하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기술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며, 이전에 수신된 미리 정해진 수의 버스트들에서 검출된 필러(filler)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되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은 또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후속 송신을 위한 변조 임계 레벨들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조정하고 변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채널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복수의 트랜시버들 및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링크의 각 단부에 배치된 2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2:2 MIMO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직교 채널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FDM) 파형들이 채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TDD 기술들을 사용한 복수 채널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스템은 변조 임계 레벨, 코딩 레이트, 심볼 레이트, 송신 전력 레벨, 안테나 지향 파라미터들, 및 공간-시간 코딩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선택된 변조 모드들을 사용하여 채널들을 통해 신호들이 송신될 수 있게 하는 적응형 변조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동작 모드에서, 본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통신 링크의 반대측 단부들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트랜시버들을 포함한다. 제 1 트랜시버는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통신 링크의 일 단부에서 링크의 다른 단부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송신하도록 동작하며, 제 2 트랜시버는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 각 송신 버스트의 크기는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에 대응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송신 버스트의 크기는 10, 20, 30, 혹은 4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할 수 있는 N=4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트랜시버에 의해 수신된 각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및 제로 이상의 필러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필러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수신 버스트들의 수 "d"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데이터 패킷만을 포함하고 필러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수신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제 2 트랜시버는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며, 그에 따라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제 1 트랜시버에 명령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현재 버스트 크기가 2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고 할 때,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은 포함하지 않는 수 d의 수신 버스트들이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과 같다면(즉, d=n),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는 다음 더 큰 버스트 크기, 즉 20개의 OFDM 심볼들에서 30개의 OFDM 심볼들로 조정될 수 있다.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은 포함하지 않는 수 d의 수신 버스트들이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 크기들보다 작으면(즉, d<N),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을 위한 버스트 크기는 다음 더 작은 버스트 크기, 즉 20개의 OFDM 심볼들에서 10개의 OFDM 심볼들로 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는 변하지 않은 채로 있게 된다.
위의 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현재 버스트 크기가 2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고 할 때,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수신 버스트들의 수 d가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 이상이면(즉, d≥n),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는 다음 더 큰 버스트 크기, 즉 20개의 OFDMA 심볼들에서 30개의 OFDM 심볼들로 조정될 수 있다. 그 후,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수신 버스트들의 수 d가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 크기들보다 작으면(즉, d<n),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는 다음 더 작은 버스트 크기, 즉 20개의 OFDM 심볼들에서 10개의 OFDM 심볼들로 조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 2 동작 모드에서, 위에서 결정된 조정된 버스트 크기에 기초하여, 제 2 트랜시버는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을 위한 변조 모드를 선택하고, 제어 채널을 통해 선택된 변조 모드를 채용하기 위해 제 1 트랜시버에 명령을 제공한다. 선택된 변조 모드를 채용하는 것은 변조 임계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변조 모드는 특정된 패킷 에러 레이트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버스트 크기가 1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면, 변조 모드는 1:100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버스트 크기가 2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면, 1:20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버스트 크기가 3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면, 1:5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버스트 크기가 4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면, 1:1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이전에 수신된 미리 정해진 수의 버스트들에서 검출된 필러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되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하고, 송신 버스트 크기에 기초하여 후속 송신을 위한 변조 임계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본 개시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수용 가능한 레벨로 패킷 에러 레이트를 유지하면서, 증가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스루풋 요건들이 완화되었을 때, 변조 임계 레벨들은 감소된 패킷 에러 레이트들을 제공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기능들, 및 양상들은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한 본 개시된 기술이 채용될 수 있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한 개시된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도 1의 시스템 내 무선 신호 변조/복조 서브-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 및 제로 혹은 그 이상의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데이터 버스트를 예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b는 도 1의 시스템의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장거리 점 대 점 및 점 대 다점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높은 효율 및 감소된 레이턴시로 동작하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 1 실시예에서, 본 개시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기술들을 채용하며, 이전에 수신된 미리 정해진 수의 버스트들에서 검출된 필러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후속 데이터 송신들을 위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제 2 실시예에서,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후속 송신들을 위한 패킷 에러 레이트들이 수용 가능한 레벨들 로 유지될 수 있게 적응형 변조를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될 수 있는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트랜시버들(102A-102B), 및 복수의 고 이득 안테나들(106A-107A, 106B-107B)을 포함한다. 트랜시버(102A) 및 고 이득 안테나들(106A-107A)이 통신 링크(참조 부호 없음)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트랜시버(102B) 및 고 이득 안테나들(106B-107B)은 링크의 다른 단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정보 흐름의 두 채널들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2:2 복수 입력 복수 출력(MIMO)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FDM) 파형들은 2개의 직교 채널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정보 흐름의 단일 채널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1:2 단일 입력 복수 출력(SIMO)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2:4 MIMO 시스템, 2:n MIMO 시스템, n:n MIMO 시스템, 1:4 SIMO 시스템, 1:n SIMO 시스템, 혹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MIMO 혹은 SIMO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시버(102A)는 통신 링크의 일 단부에서 안테나들(106A-107A)에 접속되고, 트랜시버(102B)는 링크의 다른 단부에서 안테나들(106B-107B)에 접속된다. 안테나들(106A-107A, 106B-107B)은 링크의 각각의 단부들 간에 4개까지의 신호 경로들(w, x, y, z)을 따라 전파하는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트랜시버(102A)는 송신기(103A) 및 저 잡음 수신기(104A)를 포함하고 트랜시버(102B)는 송신기(103B) 및 저 잡음 수신기(104B)를 포함한다.
송신기(103A)는 다음의 기능적 구성요소들로서, 송신 변조기(110), 한 쌍의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들(112-113), 주파수 합성기(114), 한 쌍의 믹서들(116-117), 및 한 쌍의 전력 증폭기들(118-119)을 포함한다. 송신기(103B)는 송신기(103A)와 동일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예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송신기(103A)의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소스 A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 변조기(110)에 제공하며, 이 송신 변조기(110)는 변조된 데이터 출력들을 D-A 변환기들(112-113)에 제공하며, 합성기(114)의 동작을 제어한다. D-A 변환기들(112-113)은 송신 변조기(110)의 출력들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믹서들(116-117)에 제공한다. 다음에, 합성기(114)는 적합한 합성된 캐리어들을 믹서들(116-117)에 제공하며, 믹서들(116-117)은 아날로그 신호들을 무선 주파수들에 믹스한다. 이어서 전력 증폭기들(118-119)은 무선 신호들을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들을 통신 링크를 통한 다음 전송을 위해 통신 링크를 통해 안테나들(106A-107A)에 제공한다.
수신기(104B)는 다음의 기능적 구성요소들로서, 한 쌍의 믹서들(120-121), 한 쌍의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들(122-123), 주파수 합성기(124), 및 신호 처리 유닛(126)을 포함한다. 수신기(104A)는 수신기(104B)와 동일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예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수신기(104B)의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들(106B-107B)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들은 각각 믹서들(120-121)에 제공되고, 이들 믹서들은 신호들을 합성기에 의해 생성된 적합한 합성된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들에 믹싱한다. 다음에, A-D 변환기들(122-123)은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들을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로 변환한다. 이어서 신호 처리 유닛(126)은 사용자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들을 디코딩하고 복조하며, 이 사용자 데이터는 이어서 데이터 싱크 B에 제공된다. 또한, 신호 처리 유닛(126)은 합성기(1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유닛(126)은 최대 비 결합기(MRC: 최적 결합기라고도 함)로서 동작하며, 이 결합기는 개념적으로 각 신호의 위상이 정렬되게 회전시키고 결합된 신호 대 잡음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각 신호의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신호들을 결합한다.
데이터 소스들 A-B 및 데이터 싱크들 A-B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들(LAN) 또는 라우터들에 대한 각각의 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데이터 소스들 A-B 및 데이터 싱크들 A-B는 각각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직접적인 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랜시버들(102A-102B) 각각은 소프트웨어 정의된 무선(radio)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송신기(103A-103B) 내 포함된 송신 변조기(110)는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채널 변조 파형들을 채용할 수 있고, 각각의 수신기(104A-104B)에 포함된 신호 처리 유닛(126)은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복조 기술들을 사용하여 채널 파형들을 복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랜시버들(102A-102B)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능들은 예를 들면, 신호 프로세서들, 마이크로 제어기들,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혹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어떤 조합을 사용해서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과 동일 양수인에 양도된,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943 출원") 명칭의 2005년 4월 27일 출원된 공동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1/115,943호에 더 기술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신규한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신호 변조-복조 서브-시스템(2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 변조-복조 서브-시스템(200)은 송신 변조기(210)와; 수신 복조기(204), 수신 신호 프로세서(206), 및 적응형 변조 제어기(208)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유닛(226)을 포함한다. 본 개시된 실시예에서, 송신 변조기(210)는 일반적으로 송신기(103A 혹은 103B)(도 1 참조)에 포함된 송신 변조기(110)에 대응하며, 신호 처리 유닛(226)은 일반적으로 수신기(104A 및 104B)(도 1 참조)에 포함된 신호 처리 유닛(126)에 대응한다. 수신 신호 프로세서(206)는 미리 정해진 수의 수신 버스트들 내 필러 패킷들의 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필러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의 부분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수신 버스트들에 필러 패킷들의 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수신기(104A 혹은 104B)에 포함된 클럭(도시 생략)이 임의의 적합한 동기화 기술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와 동기화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적응형 변조 제어기(208)는 시스템(100)(도 1 참조)의 스루풋 요건들과 일관된 레벨로 패킷 에러 레이트가 유지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변조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응형 변조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변조기(210)와 신호 처리 유닛(226) 사이에 대표적 채널들(202-203)이 배치된다. 채널(202)은 송신기와 수신기 위치들 간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이용 가능한 통신 채널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또한, 채널(203)은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조정하고, 변조 임계 레벨, 코딩 레이트, 심볼 레이트, 송신 전력워 레벨, 안테나 지향 파라미터들, 및 공간-시간 코딩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변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송신하도록 채용될 있는 제어 채널을 나타낸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기술들을 채용하며, 이전에 수신된 미리 정해진 수의 버스트들에서 검출된 필러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버스트는 여기에서는 단일 시간 슬롯 동안에 송신 혹은 수신되는 유한 기간 무선 신호로서 정의된다. 도 3은 시스템(100)(도 1 참조) 내에 트랜시버들(102A-102B) 간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단일 시간 슬롯 동안 송신 혹은 수신될 수 있는 예시적인 버스트(3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트(300)는 복수의 패킷들(302.1-302.n)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패킷(302.1)은 프리앰블(304.1)로부터 시작하여 제 1 복수의 OFDM 심볼들(308.1-308.m)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 패킷 데이터(306.1)가 이어지는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또한, 패킷(302.n)은 패킷(302.1)과 같은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킷(302.n)은 프리앰블(304.n)로부터 시작하여 제 2 복수의 OFDM 심볼들(309.1-309.p)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 필러 데이터(306.n)가 이어지는 필러 패킷일 수 있다. 패킷들(302.1, 302.n)은 동일한 수의 OFDM 심볼들(즉, m=p)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본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각 송신 혹은 수신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및 제로 혹은 그 이상의 필러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시간 슬롯 동안 송신될 더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이 없을 때, 송신 버스트는 트랜시버들(102A-102B) 간에 패킷들의 스트림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필러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예시적인 예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도 1 참조)은 통신 링크(참조 부호 없음)의 반대측 단부들에 배치될 수 있는 트랜시버들(102A-102B)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트랜시버(102A)는 통신 링크의 일 단부에서 링크의 다른 단부로 채널(202)(도 2 참조)을 통해 미리 정해진 수 "n"개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하며, 트랜시버(102B)는 미리 정해진 수 n개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는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에 대응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미리 정해진 수 n개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19와 같고, 각 송신 버스트의 크기는 N=4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로 조정되며, 이것은 10, 20, 30, 혹은 4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한다. 트랜시버(102B)에 의해 수신된 각 버스트는 패킷(302.1)(도 3 참조)과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및 패킷(302.n)(도 3 참조)과 같은 제로 이상의 필러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02B)는 이것이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수 "d"의 버스트들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데이터만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수신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트랜시버(102B)는 다음 미리 정해진 수의 n개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제어 채널(203)을 통해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트랜시버에 명령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 크기들의 각각이 1 내지 N 범위의 대응하는 인덱스 "t"를 갖는다면,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의 인덱스 t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d=n이면, t를 1만큼 증가시킨다. (1)
그렇지 않고 d<N<n이면, t를 1만큼 감소시킨다. (2)
그렇지 않다면 t는 이전 값을 유지한다. (3)
이 예에서,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19이고, 각 송신 버스트의 크기는 10, 20, 30, 혹은 4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하는 N=4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로 조정되며, 그러면 이것은 차례로 1 내지 4 범위의 대응하는 인덱스들 t를 각각 갖는다. 따라서, 다음의 미리 정해진 수 n=19의 송신 버스트들에 대한 버스트 크기의 인덱스 t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d=19이면, t를 1만큼 증가시킨다. (4)
그렇지 않고 d<4이면, t를 1만큼 감소시킨다. (5)
그렇지 않다면 t는 이전 값을 유지한다. (6)
제 2 실시예에서, 위에서 결정된 조정된 송신 버스트 크기에 기초하여, 트랜시버(102B)는 다음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들에 대한 변조 모드를 선택하고, 제어 채널(203)을 통해 선택된 변조 모드를 채용하기 위해 트랜시버(102A)에 명령을 제공한다. 선택된 변조 모드를 채용하는 것은 변조 임계 레벨, 코딩 레이트, 심볼 레이트, 송신 전력 레벨, 안테나 지향 파라미터들, 공간-시간 코딩 파라미터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송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수반하는 것에 유의한다. 이러한 예에서, 선택된 변조 모드는 대응하는 패킷 에러 레이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인덱스 t가 송신 버스트의 크기에 대응한다면, 송신 버스트 크기에 계단식 증가를 나타내는 인덱스 t의 값에 각각의 연속한 증가에 대해서, 변조 모드는 연속적으로 더 높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위에 나타낸 바와 같이, N=4 버스트 크기들은 10, 20, 30, 혹은 40개의 OFDM 심볼들에 대응하고, 이것은 차례로 1 내지 4 범위의 인덱스들 t에 각각 대응한다. 따라서, 변조 모드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만약 t=1이면, 1:100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를 선택한다. (7)
그렇지 않고 t=2이면, 1:20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를 선택한다. (8)
그렇지 않고 t=3이면, 1:5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를 선택한다. (9)
그렇지 않고 t=4이면, 1:100의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변조 모드를 선택한다. (10)
이전에 수신된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들에서 검출된 필러 패킷들의 수에 기초하여 다음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를 결정하고, 송신 버스트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다음 송신을 위한 변조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100)은 수용 가능한 레벨로 패킷 에러 레이트를 유지하면서 증가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의 스루풋 요건들이 완화됨에 따라, 변조 모드는 감소된 패킷 에러 레이트들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예에서,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 및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 크기들에 대한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제공된 것이고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및 버스트 크기들의 수에 대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값들이 채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버스트 크기들 및/또는 패킷 에러 레이트들에 대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값들이 채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대안적 동작 모드에서, 상기 식(1)은 d가 n보다 크거나 같다면(즉, d≥n) 인덱스 t가 1만큼 증가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된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이하 도 1 및 도 4a-4b를 참조하여 개시된다. 단계 402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4a 참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대응하는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제 1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트랜시버(102A)(도 1 참조)에 의해 송신된다.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미리 정해진 수 n의 버스트들을 포함한다. 제 1 세트 내 버스트들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수의 이용가능한 버스트 크기들 중 첫 번째 것을 갖는다. 또한, 제 1 세트 내 각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 및 어떤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는 제로 이상의 필러 패킷들을 포함한다. 다음에, 트랜시버(102B)는 단계 4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한다. 그 후 트랜시버(102B)는 단계 4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제 1 세트 내 수 d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수 d의 데이터 버스트들이 미리 정해진 수 n과 같은 경우(d=n), 트랜시버(102B)는 단계 4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다음 더 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한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은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가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은 경우(상기 N은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은)(d<N<n), 트랜시버(102B)는 단계 4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다음 더 작은 버스트 크기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수 N은 미리 정해진 수의 이용가능한 버스트 크기들과 같을 수 있다.
다음 더 큰 버스트 크기가 단계 408에서 선택된 경우, 트랜시버(102B)는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단계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변조 모드에 의해 제공되는 패킷 에러 레이트에 관하여 다음 더 높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변조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408에서 다음 보다 작은 버스트 크기가 선택된 경우에, 트랜시버(102B)는 단계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변조 모드에 의해 제공된 패킷 에러 레이트에 관하여 다음 보다 낮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변조 모드를 선택한다. 단계 412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4b 참조), 그 후 트랜시버(102B)는 다음 더 큰 버스트 크기 혹은 다음 보다 작은 버스트 크기가 단계 408에서 선택된다면, 선택된 버스트 크기 및 선택된 변조 모드에 대한 표시들을 제 1 트랜시버(102A)에 제공한다. 단계 4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버스트 크기 및 선택된 변조 모드가 단계 408에서 제 1 트랜시버(102A)에 제공된 경우에,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이 선택된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트랜시버(102A)에 의해 송신되고, 여기서 제 2 세트 내 버스트들의 각각은 선택된 버스트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단계 40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고 필러 패킷들은 포함하지 않는 제 1 세트 내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단계 414에서 다음 데이터 버스트 송신을 위한 버스트 크기 및 변조 모드는 수용 가능한 레벨로 패킷 에러 레이트를 유지하면서, 최적화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들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 변조 임계값들을 위한 상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수정들 변경들이 여기 개시된 발명적 개념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8)

  1.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의해,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제 1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 내 상기 데이터 버스트들의 각각은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송신 단계;
    상기 제 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에서, 필러 패킷들(filler packets)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에서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다음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선택 단계에서,
    상기 수 d가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과 같다면(d=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 d가 제 2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고, 상기 제 2 미리 정해진 수 N이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다면(d<N<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가 상기 제 1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다면, 상기 제 1 변조 모드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패킷 에러 레이트에 관하여 더 높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변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가 상기 제 1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다면, 상기 제 1 변조 모드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패킷 에러 레이트에 관하여 더 낮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변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 중 하나가 상기 제 1 선택 단계에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에 대한 표시들을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가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제공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세트 내 상기 데이터 버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갖는,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단계;
    그렇지 않다면, 상기 제 1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세트 내 상기 데이터 버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갖는, 상기 제 1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단계는 d가 n보다 크다면(d>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상기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 및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동일한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 상기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의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이고, 상기 제 2 미리 정해진 수 N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버스트 크기들 내 데이터 버스트 크기들의 수와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에서,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에 대한 표시들은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표시들을 송신하는 상기 제 2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제 1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데이터 버스트 내 각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FDM) 심볼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는 각각의 데이터 버스트에 포함된 OFDM 심볼들의 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선택 단계에서,
    상기 수 d가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크다면(d>n), 상기 제 1 데이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수 d가 제 2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고, 상기 제 2 미리 정해진 수 N이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다면(d<N<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동작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제 1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시버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 내 상기 데이터 버스트들의 각각은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트랜시버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에서,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를 결정하며,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에서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상기 제 2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수 d가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과 같다면(d=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고, 상기 수 d가 제 2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고, 상기 제 2 미리 정해진 수 N이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다면(d<N<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에서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가 선택된다면 상기 제 1 변조 모드에 의해 제공된 상기 패킷 에러 레이트에 관하여 더 높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변조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가 선택된다면 상기 제 1 변조 모드에 의해 제공된 상기 패킷 에러 레이트에 관하여 더 낮은 패킷 에러 레이트를 제공하는 변조 모드를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 2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에 대한 표시들을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가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제공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세트 내 데이터 버스트들의 각각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은 상기 제 1 세트 내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와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 및 상기 제 2 세트의 데이터 버스트들은 동일한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 상기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의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버스트 크기들 중 하나이고, 상기 제 2 미리 정해진 수 N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버스트 크기들 내 데이터 버스트 크기들의 수와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선택된 데이터 버스트 크기 및 상기 선택된 변조 모드에 대한 표시들을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트랜시버에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 14 항에 있어서,
    각 데이터 버스트 내 각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FDM) 심볼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버스트의 크기는 각각의 데이터 버스트에 포함된 OFDM 심볼들의 수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랜시버는 통신 링크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통신 링크의 반대 단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방송 스타일 점 대 점 링크인, 무선 통신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방송 스타일 점 대 다점 링크인, 무선 통신 시스템.
  2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트랜시버는, 상기 수 d가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크다면(d>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큰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하고, 상기 수 d가 제 2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고, 상기 제 2 미리 정해진 수 N이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보다 작다면(d<N<n) 상기 제 1 데이터 버스트 크기에 관하여 더 작은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제 1 세트 내 필러 패킷들을 포함하지 않는 데이터 버스트들의 수 d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미리 정해진 수 n의 데이터 버스트들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 버스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87001024A 2005-07-14 2006-07-12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변조 임계 KR101002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907905P 2005-07-14 2005-07-14
US60/699,079 2005-07-14
US11/456,578 US7751430B2 (en) 2005-07-14 2006-07-11 Self optimization of time division duplex (TDD) timing and adaptive modulation thresholds
US11/456,578 2006-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735A KR20080023735A (ko) 2008-03-14
KR101002181B1 true KR101002181B1 (ko) 2010-12-20

Family

ID=369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024A KR101002181B1 (ko) 2005-07-14 2006-07-12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변조 임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51430B2 (ko)
KR (1) KR101002181B1 (ko)
CN (1) CN101223724B (ko)
WO (1) WO2007006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0274B2 (en) * 2005-04-05 2011-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satile system for transceiver noise reduction in a time-division duplexing wireless network
WO2007123364A1 (en) * 2006-04-24 2007-11-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generating pilot pattern for adaptive channel estimation in ofdma systems,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using the pilot pattern and apparatus thereof
US8179783B2 (en) 2008-08-13 2012-05-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djustment for a LTE shared data channel
CN102084623B (zh) 2009-03-20 2015-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自优化开关的方法、装置和系统
JP2012244477A (ja) * 2011-05-20 2012-12-10 Sony Corp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14074757A2 (en) 2012-11-08 2014-05-15 Q Factor Communications Corp. Method &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cp and other network protocol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9537611B2 (en) * 2012-11-08 2017-01-03 Instart Log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CP and other network protocol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proxy servers
US10805037B2 (en) * 2017-12-06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Modulation selection based on demodulation data
EP4236130A3 (de) * 2021-05-12 2023-09-06 Siemens Mobility GmbH Ofdm-datenübertragungs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 dessen durchführ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351A (en) * 1991-08-26 1994-04-26 Universal Data Systems, Inc.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djusting frame length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FI104527B (fi) 1997-09-17 2000-02-15 Nokia Mobile Phones Ltd Mukautuva radiolinkki
AU8766598A (en) 1997-10-02 1999-04-27 Motorola, Inc.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roughput based on quality of communications channel
GB2343342A (en) 1998-10-28 2000-05-03 Int Mobile Satellite Org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able data transmission rate
US20020184510A1 (en) 2001-04-17 2002-12-05 At&T Wireless Services, Inc. Binding information for IP media flows
US20040174855A1 (en) 2003-03-07 2004-09-09 Foster Neal C.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network resources
US6912198B2 (en) * 2003-03-26 2005-06-28 Sony Corporation Performance of data transmission using adaptive technique
US7986676B2 (en) * 2004-12-31 2011-07-2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communication rates in a wireless network
CA2571255C (en) 2005-12-23 2016-05-10 Bce Inc. Wireless device authentication between different networks
US20070255793A1 (en) * 2006-04-26 2007-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4257A1 (en) 2007-01-18
CN101223724A (zh) 2008-07-16
CN101223724B (zh) 2011-04-06
US7751430B2 (en) 2010-07-06
KR20080023735A (ko) 2008-03-14
WO2007006793A1 (en)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181B1 (ko) 시분할 듀플렉스(tdd) 타이밍의 자체-최적화 및 적응형변조 임계
US53456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enabled diversity signaling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0973634B1 (ko) 이중 페이로드 및 적응 변조
US7450548B2 (en) MIMO signal processing method involving a rank-adaptive matching of the transmission rate
US72894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a wide bandwidth channel using a plurality of sub-channels
US20030012308A1 (en) Adaptive channel estimation for wireless systems
US20040052228A1 (en) Method and system of frequency and time synchronization of a transceiver to signals received by the transceiver
WO2005093982A1 (ja) 無線通信機
US7684709B2 (en) Fiber aided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US11343700B2 (en) Spectrum management for a point-to-multipoint wireless network
Murphy et al. On building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testbed implementation and first results
EP2095252B1 (en) Piggyback networks
TWI224903B (en) A method and system of biasing a timing phase estimate of data segments of a received signal
US20060057969A1 (en) Delay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73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waveform configur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050071546A (ko) 송신 다이버시티 장치, 수신기 및 입력 기호 디코딩 방법
JP4223474B2 (ja) データ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40092183A (ko) 인터리빙 딜레이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한 송신기
CA2672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turbo-coded piggyback messages
KR2004005766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Khayatian et al. DMT analysis and optimal scheduling for two-hop parallel relay networks
JPH0243385B2 (ko)
Valentin When do cooperative networks profit from CSI feedback?-An outage capacity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