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286B1 -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286B1
KR101511286B1 KR20130089969A KR20130089969A KR101511286B1 KR 101511286 B1 KR101511286 B1 KR 101511286B1 KR 20130089969 A KR20130089969 A KR 20130089969A KR 20130089969 A KR20130089969 A KR 20130089969A KR 101511286 B1 KR101511286 B1 KR 10151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lease film
adhesion
forming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740A (ko
Inventor
서인용
이승훈
정용식
소윤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PCT/KR2013/0068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25155A1/ko
Publication of KR2014001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어데시브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어데시브층; 및 상기 어데시브층에 적층되고, 고분자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포함한다. 발명에 의하면 어데시브 테이프는 무기재 타입이면서 어데시브층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어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고, 핸들링 특성이 우수하며, 투명도가 높은 어데시브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tap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어데시브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방사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술적 목표의 주요 방향은 박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화, 고해상도화, 고휘도화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입력 장치로서 터치 패널을 탑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글래스와 ITO(Indium Tin Oxide) 필름이 부착된 형태가 사용되며, 글래스와 ITO 필름 사이는 예를 들면,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와 같은 어데시브 테이프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어데시브 테이프는, 투명하고, 열변형이 적으며, 우수한 층간 접착력 및 고정 후 발포가 생기지 않아야 하고, 패널의 휨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함과 아울러 변색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인 어데시브 테이프의 한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130933(2012년 03월 20일)에는,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또한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어데시브 테이프는 투명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투명 기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지고, 투명 기재의 투명도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영상에 영향을 받게 되고, 나아가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어데시브 테이프는 아크릴계 중합체 및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투명 점착제층으로만 구현되는 무기재 타입일 경우 핸들링 특성이 저하되어 원도우와 ITO 필름 사이에 정밀하게 부착하기 어렵고, 점착제층으로만 형성되므로 타발 특성이 나빠 정밀하게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10-1130933(2012년 03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어데시브층과 강도 보강용 웹층을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무기재 타입이면서 어데시브층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어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고, 핸들링 특성이 우수하며, 투명도가 높은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어데시브층과 강도 보강용 웹층을 형성함으로써, 타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데시브 테이프는 어데시브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어데시브층; 및 상기 어데시브층에 적층되고, 고분자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데시브층은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어데시브층 사이에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형성하는 나노 섬유의 직경은 상기 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나노 섬유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어데시브층의 일면에는 제1이형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어데시브층의 타면에는 제2이형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제1이형필름과 어데시브층 사이의 부착력과 제2이형필름과 어데시브층 사이의 부착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데시브층의 일면에는 제1이형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어데시브층의 타면에는 제2이형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제1이형필름과 제2이형필름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데시브물질은, 투명한 점착제 또는 투명한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은 망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데시브 테이프 제조방법은 어데시브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어데시브층의 표면에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다수의 기공을 갖는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에 어데시브물질을 방사하여 제2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기 전에 제1이형필름을 콜렉터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어데시브층을 형성한 후 제2어데시브층의 표면에 제2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콜렉터에 제1이형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콜렉터와 제1방사노즐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하여 제1방사노즐에서 제1이형필름의 표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필름 형태의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콜렉터와 제2방사노즐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하여 제2방사노즐에서 제1어데시브층의 표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초극세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어데시브층과 제2어데시브층은 투명한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데시브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어데시브층을 형성하고, 이 어데시브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강도 보강용 웹층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무기재 타입이면서 어데시브층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어,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고, 핸들링 특성이 우수하며, 투명도가 높은 장점을 갖는 어데시브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어데시브층을 형성하고, 이 어데시브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기 방사방법으로 망사 형태의 강도 보강용 웹층을 형성함으로써, 타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데시브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용 웹층의 확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데시브 테이프의 양면에 이형 필름이 부착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데시브 테이프를 제조하는 전기 방사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데시브 테이프는 전기 방사 방법에 의해 어데시브 물질을 방사하여 무기공 타입으로 형성되는 어데시브층(10)과,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어데시브층(10)에 적층되는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여기에서, 어데시브층(10)은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제1어데시브층(13) 및 제2어데시브층(15)으로 구성되거나, 제1어데시브층(13), 제2어데시브층(15), 제3어데시브층(17)으로 구성될 수 있고, 3 개 이상의 어데시브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데시브층(10)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데시브층(10)이 점착층일 경우 투명한 점착 테이프가 제조될 수 있고, 접착층일 경우 접착 테이프로 제조될 수 있다.
어데시브층(10)이 점착층일 경우 투명한 점착제, 전기 방사가 가능하면서 고분자 물질 및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투명한 점착물질을 만들고, 이 점착물질을 전기 방사에 의해 방사하면 나노 섬유가 형성되고,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무기공 타입의 점착층이 형성된다. 점착제는 아크릴이나 우레탄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어데시브층(10)이 접착층일 경우 투명한 접착제, 전기 방사가 가능하면서 고분자 물질 및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투명한 접착물질을 만들고, 이 접착물질을 전기 방사에 의해 방사하면 나노 섬유가 형성되고,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무기공 타입의 접착층이 형성된다.
접착물질은 주로 핫멜트,에폭시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은 끈적임이 있는 타입과, 끈적임이 없는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끈적임이 있는 타입과, 끈적임이 없는 타입을 전부 제조할 수 있다.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20)은 어데시브층(10) 사이에 적층되는 제1나노 웹층(22) 및 제2나노 웹층(24)으로 구성되어, 어데시브층(10)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방사가 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어데시브층(10)의 표면에 방사하면 나노섬유가 망사 형태로 어데시브층(10) 표면에 적층되고 다수의 기공(18)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어데시브층(10)을 형성하는 나노 섬유의 직경에 비해 나노 웹층(20)을 형성하는 나노 섬유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즉, 나노 웹층(20)은 작은 직경을 갖는 미세한 나노 섬유로 전기방사하면 어데시브층(10)의 표면에 나노 섬유들이 얽히면서 망사 형태로 형성되어 어데시브층(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사 방법은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어데시브층(10) 및 나노 웹층(20)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어데시브층(10) 및 나노 웹층(20)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은 전기 방사가 가능한 고분자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어데시브층(10)은 전기방사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어데시브 물질의 방사량에 따라 두께가 결정된다. 따라서, 어데시브층(10)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만들기가 쉽고 이에 따라 다수의 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전체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어데시브 테이프는 어데시브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초극세 나노 섬유를 만들고, 초극세 나노 섬유를 축적하여 무기공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고 투명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점착성능 및 접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데시브 테이프는 어데시브층(10) 사이에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20)을 형성하여 어데시브층(1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투명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핸들링 특성이 우수하여 부착작업이 쉽고, 타발 작업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정밀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어데시브층(10)의 표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데시브층(1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32,34)이 부착된다. 이형 필름(32,34)은 어데시브층(1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이형필름(32)과, 어데시브층(10)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이형필름(3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이형필름(32)과 제2이형필름(34)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제1이형필름(32)이 종이재질로 형성되면 제2이형필름(34)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이형필름(32)과 제2이형필름(34)을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은 제1이형필름(32)과 어데시브층(10) 사이의 부착력과, 제2이형필름(34)과 어데시브층(10) 사이의 부착력을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는 어데시브층(10)의 일면을 부품에 부착하기 위해 제1이형필름(32)을 어데시브층(10)에서 벗겨낼 때 제2이형필름(34)이 어데시브층(10)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이형필름(32)을 벗겨낼 때 제2이형필름(34)이 같이 벗겨지면 어데시브층(10)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어데시브층(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이형필름(32)과 어데시브층(10)의 부착력과 제2이형필름(34)과 어데시브층(10)의 부착력을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데시브 테이프를 제조하는 전기방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방사 장치는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이 저장되는 제1믹싱 탱크(Mixing Tank)(50)와, 어데시브 물질이 저장되는 제2믹싱 탱크(52)와,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되고 제2믹싱 탱크(52)와 연결되어 어데시브층(10)을 형성하는 제1방사노즐(54)과,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되고 제1믹싱 탱크(50)와 연결되어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20)을 형성하는 제2방사노즐(56)과,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되고 제2믹싱 탱크(52)와 연결되어 어데시브층(10)을 형성하는 제3방사노즐(58)을 포함한다.
제1믹싱 탱크(50)에는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고르게 섞어줌과 아울러 고분자 물질이 일정 점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교반기(70)가 구비되고, 제2믹싱 탱크(52)에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 고분자 물질 및 용매를 고르게 섞어줌과 아울러 점착물질이 일정 점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교반기(72)가 구비된다.
그리고, 방사노즐들(54,56,58)의 하부에는 어데시브층(10)과 나노 웹층(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콜렉터(64)가 구비된다. 그리고, 콜렉터(64)와 방사노즐(54,56,58) 사이에 90~120Kv의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나노 섬유 (14,16)가 방사되어 초극세 나노 웹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1방사노즐(54), 제2방사노즐(56) 및 제3방사노즐(58)은 복수로 배열되어 어데시브층(10)과 나노 웹층(20)이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
제1방사노즐(54), 제2방사노즐(56) 및 제3방사노즐(58)에는 각각 에어 분사장치(74)가 구비되어 방사노즐(54,56,58)에서 방사되는 섬유 가닥(14,16)이 콜렉터(64)에 포집되지 못하고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콜렉터(64)의 전방측에는 제1이형필름(32)이 감겨진 제1이형필름 롤(60)이 배치되어 콜렉터(64)의 상면으로 제1이형필름(32)을 공급해준다. 그리고, 콜렉터(64)의 후방에는 제2이형필름(34)이 감겨진 제2이형필름 롤(62)이 배치되어 제2이형필름(34)을 공급해준다.
콜렉터(64)의 일측에는 복수의 어데시브층(10)과 강도보강용 나노 웹층(20)을 가압(캘린더링)하여 일정 두께로 만드는 가압롤러(80)가 구비되고, 가압롤러(80)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어데시브 테이브가 감겨지는 테이프 롤(8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어데시브 테이프를 제조하는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콜렉터(64)가 구동되면, 제1이형필름 롤(60)에 감겨진 제1이형필름(32)이 콜렉터(64)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콜렉터(64)와 제1방사노즐(54)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제1방사노즐(54)에서 어데시브 물질을 나노 섬유(16)로 만들어 제1이형필름(32)의 표면에 방사한다. 그러면 제1이형필름(32)의 표면에 나노 섬유(16)가 축적되어 무기공 필름 형태의 어데시브층(10)이 형성된다.
이때, 제1방사노즐(54)에 설치된 에어 분사장치(74)에서 섬유 가닥들(16)을 방사할 때 섬유 가닥들(16)에 에어를 분사하여 섬유 가닥들(16)이 날리지 않고 제1이형필름(32)의 표면에 포집 및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어데시브층(10)의 제조가 완료되면, 어데시브층(10)이 제2방사노즐(56)의 하부로 이동되고 콜렉터(64)와 제2방사노즐(56)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제2방사노즐(56)에서 어데시브층(10) 위에 고분자 물질을 나노 섬유(14)로 만들어 방사한다. 그러면, 어데시브층(10)의 표면에 다수의 기공(18)을 갖는 망사 형태의 나노 웹층(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노 웹층(20)의 제조가 완료되면, 나노 웹층(20)이 제3방사노즐(58)의 하부로 이동되고 콜렉터(64)와 제3방사노즐(58)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함에 의해 제3방사노즐(58)에서 나노 웹층(20)의 표면에 어데시브층(10)을 나노 섬유(16)로 만들어 방사한다. 그러면, 나노 웹층(20)에 무기공 필름 형태의 어데시브층(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다수번 반복하여 다층 구조의 어데시브 테이프를 제조한다.
그리고, 제2이형필름 롤(62)에 감겨진 제2이형필름(34)이 어데시브층(10)의 표면에 덮어진다. 이와 같이, 완성된 어데시브 테이프는 가압 롤러(80)를 통과하면서 일정 두께로 가압된 후 테이프 롤(82)에 감겨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기재 타입이면서 어데시브층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어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고, 핸들링 특성이 우수하며, 투명도가 높은 어데시브 테이프에 적용될 수 있다.
10: 어데시브층 18: 기공
14,16: 나노섬유 20: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
32: 제1이형필름 34: 제2이형필름
50: 제1믹싱 탱크 52: 제2믹싱 탱크
54: 제1방사노즐 56: 제2방사노즐
58: 제3방사노즐 60: 제1이형필름 롤
62: 제2이형필름 롤 64: 콜렉터
74: 에어 분사장치

Claims (12)

  1. 어데시브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어데시브층; 및
    상기 어데시브층에 적층되고, 고분자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포함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데시브층은 복수로 적층되고, 상기 어데시브층 사이에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이 적층된 어데시브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형성하는 나노 섬유의 직경은 상기 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나노 섬유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 어데시브 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데시브층의 일면에는 제1이형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어데시브층의 타면에는 제2이형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제1이형필름과 어데시브층 사이의 부착력과 제2이형필름과 어데시브층 사이의 부착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데시브층의 일면에는 제1이형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어데시브층의 타면에는 제2이형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제1이형필름과 제2이형필름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데시브물질은, 투명한 점착제 또는 투명한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은 망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8. 어데시브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어데시브층의 표면에 고분자 물질을 방사하여 다수의 기공을 갖는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에 어데시브물질을 방사하여 제2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기 전에 제1이형필름을 콜렉터의 상면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어데시브층을 형성한 후 제2어데시브층의 표면에 제2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콜렉터에 제1이형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콜렉터와 제1방사노즐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하여 제1방사노즐에서 제1이형필름의 표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필름 형태의 제1어데시브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용 나노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콜렉터와 제2방사노즐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하여 제2방사노즐에서 제1어데시브층의 표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초극세 나노웹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데시브층과 제2어데시브층은 투명한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데시브 테이프 제조방법.
KR20130089969A 2012-08-06 2013-07-30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6839 WO2014025155A1 (ko) 2012-08-06 2013-07-30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772 2012-08-06
KR1020120085772 2012-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40A KR20140019740A (ko) 2014-02-17
KR101511286B1 true KR101511286B1 (ko) 2015-04-10

Family

ID=5026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9969A KR101511286B1 (ko) 2012-08-06 2013-07-30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2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293A (ko) * 2008-05-29 2009-12-03 (주)나노필 나노섬유를 이용한 투습방수성 웹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5753A (ko) *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융착형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8329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효성 부직포 점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293A (ko) * 2008-05-29 2009-12-03 (주)나노필 나노섬유를 이용한 투습방수성 웹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5753A (ko) * 2010-02-19 2011-08-2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융착형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8329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효성 부직포 점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40A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53B1 (ko)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11284B1 (ko)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057B1 (ko) 전자파 차폐시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내장형 안테나
US10132004B2 (en) Waterproof sound-permitting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waterproof sound-permitting sheet
US11456230B2 (en) Heat radi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167116B2 (ja) 光乱反射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11285B1 (ko) 단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418B1 (ko) 방열기능을 갖는 전도성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60304B1 (ko) 방수 통음 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방수 통음 시트를 구비한 전자기기
JP5272315B2 (ja) 不織布および該不織布からなる下敷き材
US20160296874A1 (en) Nanofiber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heet
JP2015003974A (ja) 接着材及び接着性不織布
KR101511286B1 (ko)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7197891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1460305B1 (ko) 방수 통음 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방수 통음 시트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3193005A (ja) 粘着テープ
KR101291090B1 (ko) 스피커 진동판
KR101650685B1 (ko) 인조잔디매트의 원사 제편용 지지체
WO2014025155A1 (ko) 어데시브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099413B1 (ko) 전자파 간섭 차폐 시트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739B1 (ko) 전기방사용 이형지 및 이를 이용한 나노웹
JP2007169850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