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274B1 -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274B1
KR101511274B1 KR20140084533A KR20140084533A KR101511274B1 KR 101511274 B1 KR101511274 B1 KR 101511274B1 KR 20140084533 A KR20140084533 A KR 20140084533A KR 20140084533 A KR20140084533 A KR 20140084533A KR 101511274 B1 KR101511274 B1 KR 10151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ting
speaker
storage unit
foreign languag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한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교연 filed Critical (주)한교연
Priority to KR2014008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각 단계를 단순히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감각기관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극하여 뇌에 가해지는 자극을 극대화함으로써, 외국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기억할 수 있게 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막, 이미지, 음성이 저장된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사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있어서, 외국어 문장을 이해하도록 하는 문장 이해 단계, 상기 문장 이해 단계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을 이미지를 통하여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 상기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을 기억하도록 유도하는 기억 유도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learning method for automatic memorizing language}
본 발명은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각 단계를 단순히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감각기관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극하여 뇌에 가해지는 자극을 극대화함으로써, 외국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기억할 수 있게 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언어는 문자와 각 문자에 대응되는 발성음 및 각 문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은 문자와 발성음을 익히고 그에 대응되는 의미를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그리고, 언어를 습득하는 방법으로 통상 문자와 발성음의 연결 훈련을 위해 문자이미지가 수록된 책을 반복하여 읽거나 발성음이 기록된 테이프를 반복하여 청취하며 의미를 되새기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문자이미지와 발성음을 연결하는 것으로 수많은 반복학습을 요구하는 바,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으며, 더욱이 외국어를 학습하는 경우, 모국어를 습득 후, 그에 대응되는 외국어 단어를 접하게 되며, 외국어 단어는 모국어를 기준으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더욱이, 이러한 방법에 의한 언어습득은 단순 반복적인 학습의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학습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보다 반복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캡션 데이터와 이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각각 캡션 메모리 및 음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캡션 데이터 블록의 메모리 주소를 주소 메모리에 저장하여, 스캔 및 재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여 반복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41030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고,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205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단어, 문장, 회화를 암기하는 어학학습방법으로서 암기 중에 사용자가 암기에 좀더 집중할 수 있도록 배경음악을 출력하도록 하며, 학습하고자 하는 단어를 제시하며 그에 맞는 발음이 스피커로 출력되고, 그와 관련된 뜻과 문장을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성향에 맞도록 단어학습 시간 및 반복횟수를 조절하도록 하며, 학습중에 가장 적절한 그림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341030호에 기재된 기술은 여전히 단순한 단어나 문장을 반복 청취하도록 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언어 학습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2059호에 기재된 기술은 음성과 문자의 단순 반복과 더불어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여 단어의 기억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나, 음성과 문자를 단순히 반복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순한 패턴으로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여전히 학습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205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410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어 학습을 위한 국문 자막 및 외국어 자막과 국문 음성 및 외국어 음성과 언어의 내용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내용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로 국문 문장과 외국어 자막을 출력하면서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를 일정 횟수로 반복하도록 하는 문장 이해 단계와 이해된 문장을 삽화를 통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와 자막을 사용하지 않고 기억을 유도하는 기억 유도 단계를 통하여 종래와 같이 단순 반복에 의하여 학습자의 시각 청각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감각기관을 자극하도록 하여 그로 인한 뇌의 자극을 극대화함으로써,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각 단계를 학습자가 따라하는 과정만으로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외국어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3가지 단계에서 자막을 제거하고 이미지만 출력하면서 국문 음성과 외국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여 보다 완전하게 기억을 유도하는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와 이미지와 한글 자막을 통하여 기억된 외국어를 확인하도록 하는 기억 확인단계와 한글 자막만을 통하여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단계를 추가하도록 하여, 기억한 외국어를 확인 및 테스트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억을 보다 완전하게 할 수 있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막, 이미지, 음성이 저장된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사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있어서, 외국어 문장을 이해하도록 하는 문장 이해 단계, 상기 문장 이해 단계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을 이미지를 통하여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 상기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을 기억하도록 유도하는 기억 유도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장 이해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국문 자막과 외국어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한 후,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외국어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외국어 음성만을 3 ~ 5회 반복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억 유도 단계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한글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억 유도 단계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 음성을 3 ~ 5 회 반복 출력하도록 하는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억 유도 단계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국문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한 후, 학습자가 외국어를 말하도록 하는 공백 시간을 가진 후, 외국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기억 확인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억 유도 단계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국문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학습자가 국문 자막에 대응되는 외국어를 말하도록 하는 공백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언어 학습을 위한 국문 자막 및 외국어 자막과 국문 음성 및 외국어 음성과 언어의 내용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내용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로 국문 문장과 외국어 자막을 출력하면서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를 일정 횟수로 반복하도록 하는 문장 이해 단계와 이해된 문장을 삽화를 통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와 자막을 사용하지 않고 기억을 유도하는 기억 유도 단계를 통하여 종래와 같이 단순 반복에 의하여 학습자의 시각 청각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감각기관을 자극하도록 하여 그로 인한 뇌의 자극을 극대화함으로써,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각 단계를 학습자가 따라하는 과정만으로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외국어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3가지 단계에서 자막을 제거하고 이미지만 출력하면서 국문 음성과 외국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여 보다 완전하게 기억을 유도하는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와 이미지와 한글 자막을 통하여 기억된 외국어를 확인하도록 하는 기억 확인단계와 한글 자막만을 통하여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단계를 추가하도록 하여, 기억한 외국어를 확인 및 테스트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억을 보다 완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언어 학습을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언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언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의 출력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이해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억 유도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억 확인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이해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억 유도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억 확인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단계의 화면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학습자가 외국어를 학습할 때,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언어 학습을 위한 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구성은 국문 자막과 외국어 자막이 저장되는 자막 저장부(146)와 자막의 내용에 부합되는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부(142)와 국문 및 외국어 자막에 대응되는 음성이 저장되는 음성 저장부(144)로 이루어지는 저장부(140) 그리고,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미지나 자막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성을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30)와 디스플레이부(120), 스피커(130) 및 저장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치(100)를 구성하는 저장부(140)는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장치(100)가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지에 구비되는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경우, 장치(100)의 내부에 저장부(140)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 자막, 음성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3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서버에서 이미지, 자막, 음성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30)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장치(100)는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PDA, 또는 스마트 패드 등을 장치로(100)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장치(100)를 사용하여 학습하게 되는데, 그 학습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30)를 통하여 외국어 문장을 이해하도록 하는 문장 이해 단계(S100)와 상기 문장 이해 단계(S200)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을 이미지를 통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외국어의 뜻을 이해하도록 하는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S200)와 상기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S300)를 통하여 완전히 이해한 내용을 기억하도록 유도하는 기억 유도 단계(S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문장 이해 단계(S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국문 자막과 외국어 자막을 출력하면서, 스피커(130)를 통하여 저장부(140)의 음성 저장부(144)에 저장된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한 후, 다시 음성 저장부(144)에 저장된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게 된다.
즉, 학습자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는 국문 자막과 외국어 자막을 눈으로 사진을 찍듯이 국문과 외국어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되며, 국문 음성을 1회 청취함으로써 자막의 의미를 명확하게 인지한 상태에서 외국어 음성을 반복 청취하여 외국어와 국문을 연결시키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외국어 음성이 미리 출력된 후, 국문 음성이 출력되게 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국문 음성을 미리 출력함으로써, 학습자는 국문에 대한 영어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여 뇌를 자극하게 되어 학습효과를 2 ~ 5배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구간 반복기능 처럼, 구간반복을 위하여 해당 구간을 설정하고 반복하도록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각 단계를 수행하면서 적절한 횟수로 반복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번거로움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학습효율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S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이미지 저장부(142)에 저장된 이미지와 자막 저장부(146)에 저장된 외국어 자막을 동시에 출력하면서, 스피커(130)를 통하여 음성 저장부(144)에 저장된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게 된다.
즉, 시각은 청각에 비하여 10 ~ 20배 가까이 기억효과가 있기 때문에, 외국어 자막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외국어 자막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을 통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해당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여 기억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130)를 통하여 외국어 음성을 반복 출력하게 되는데, 기억을 하기 위해서는 반복학습이 효과가 있으나, 단순한 반복만으로는 그 효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문장 이해 단계(S100)에서 반복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외국어 음성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기억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억 유도 단계(S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자막 저장부(146)에 저장된 국문 자막만을 출력하면서, 스피커(130)를 통하여 음성 저장부(144)에 저장된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다시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기억 유도 단계(S300)에서는 이미지가 없이 단순 국문 자막만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여, 시각적인 이미지를 바꾸어 줌으로써, 뇌가 다른 각도로 시각을 받아들이게 되고, 국문 자막을 보면서 앞선 학습에 의해 뇌는 조건반사적으로 국문 자막을 외국어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게 되어 학습효과를 높이게 된다.
또한, 스피커(130)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출력할 때에도 앞선 학습에 의해 뇌가 조건반사적으로 국문 음성을 외국어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게 되며, 일정 텀을 두고 다시 외국어 음성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에 의한 효과까지 배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문장 이해 단계(S100),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S200), 기억 유도 단계(S300)와 더불어 앞선 단계를 통하여 기억한 외국어를 보다 완전하게 기억하도록 유도하는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S400)와 앞선 단계에서 기억한 외국어를 확인하는 기억 확인 단계(S500)와 앞선 단계에서 기억한 외국어를 테스트 하는 테스트 단계(S600)가 더 포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S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40)의 이미지 저장부(142)에 저장된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면서, 스피커(130)를 통하여 음성 저장부(144)에 저장된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도록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은 자막이 없이 이미지만이 출력되도록 하여, 이미지만의 내용만으로 외국어 문장을 형성하도록 하여 뇌를 보다 자극하게 되며, 또한 스피커(130)를 통하여 국문 음성과 외국어 음성을 출력하여 반복함으로써 앞선 단계의 과정에 더하여 반복하게 되므로 그 학습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어 보다 완전하게 기억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억 확인 단계(S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미지와 국문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면서, 스피커(130)를 통하여 음성 저장부(142)에 저장된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한 후, 학습자가 해당 문장을 외국어로 말하도록 하는 공백 시간을 가진 후, 외국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는 이미지와 국문 자막을 출력하고, 스피커(130)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앞선 학습에 의하여 외국어 문장을 떠올리게 하고, 국문 음성을 출력 후, 학습자가 외국어 문장을 정확하게 떠올려 말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어 학습자가 외국어 문장을 떠올리는 과정을 통하여 뇌를 보다 강하게 자극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게 되며, 이후에 스피커(1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외국어 음성을 통하여 학습자가 말한 외국어 문장이 옳은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억 테스트 단계(S6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국문 자막만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출력하면서, 학습자가 국문 자막에 대응되는 외국어를 말하도록 하는 공백 시간을 갖도록 한다.
즉, 학습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출력되는 국문 자막만을 외국어 문장을 떠올리게 하고, 떠올린 문장을 말하도록 하여 한번 더 뇌를 강하게 자극하게 되어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하면서도 기억을 보다 오래 유지하도록 하여, 학습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는 각 단계를 단순히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감각기관을 다양한 방법으로 자극하여 뇌에 가해지는 자극을 극대화함으로써, 외국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기억할 수 있게 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 : 장치 110 : 제어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스피커
140 : 저장부 142 : 이미지 저장부
144 : 음성 저장부 146 : 자막 저장부
S100 : 문장 이해 단계 S200 :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
S300 : 기억 유도 단계 S400 :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
S500 : 기억 확인 단계 S600 : 테스트 단계

Claims (6)

  1. 자막, 이미지, 음성이 저장된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사용하여 외국어를 학습하는 장치를 통한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는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국문 자막과 외국어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한 후,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여 외국어 문장을 이해하도록 하는 문장 이해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중 상기 문장 이해 단계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외국어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외국어 음성만을 3 ~ 5회 반복 출력하여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한글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 음성을 3 ~ 5회 반복 출력하도록 하여, 상기 이미지를 통한 이해 단계를 통하여 이해된 문장을 기억하도록 유도하는 기억 유도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하고, 외국어 음성을 3 ~ 5 회 반복 출력하도록 하는 완전한 기억 유도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와 국문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국문 음성을 1회 출력한 후, 학습자가 외국어를 말하도록 하는 공백 시간을 가진 후, 외국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는 기억 확인 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국문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면서, 학습자가 국문 자막에 대응되는 외국어를 말하도록 하는 공백 시간을 갖는 테스트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40084533A 2014-07-07 2014-07-07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KR10151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533A KR101511274B1 (ko) 2014-07-07 2014-07-07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4533A KR101511274B1 (ko) 2014-07-07 2014-07-07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863 Division 2013-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274B1 true KR101511274B1 (ko) 2015-04-13

Family

ID=5303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4533A KR101511274B1 (ko) 2014-07-07 2014-07-07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38A (ko) * 1999-05-12 2000-03-06 김민선 동영상에 포함된 외국어 대사의 학습을 위한 캡션제어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2005024815A (ja) 2003-07-01 2005-01-27 Ryuichiro Yamazaki 言語学習システムとその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KR100865150B1 (ko) 2007-08-20 2008-10-24 안윤기 언어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81427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학습을 통한 외국어의 완성 문장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38A (ko) * 1999-05-12 2000-03-06 김민선 동영상에 포함된 외국어 대사의 학습을 위한 캡션제어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2005024815A (ja) 2003-07-01 2005-01-27 Ryuichiro Yamazaki 言語学習システムとその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KR100865150B1 (ko) 2007-08-20 2008-10-24 안윤기 언어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81427B1 (ko) 2010-02-26 2010-09-10 김한일 강제 반복 학습을 통한 외국어의 완성 문장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675B1 (ko) 장기 기억 자극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
KR101835127B1 (ko) 영어 단어의 발음 학습 방법
KR100900085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KR101992372B1 (ko) 학습자의 문장입력 및 음성입력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0081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Yenkimaleki et al. The efficacy of segmental/suprasegmental vs. holistic pronunciation instruction on the develop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by EFL learners
Quintana-Lara Effect of acoustic spectrographic instruction on production of English/i/and/I/by Spanish pre-service English teachers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Martin Teaching pronunciation through homework assignments: The method of iCPRs
KR101511274B1 (ko) 저장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통하여 언어를 자동으로 기억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
KR20140107067A (ko) 이미지 데이터와 원어민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6155102B2 (ja) 学習支援装置
KR20160086152A (ko) 인터넷 상에서의 소리 기반 영어 훈련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2127A (ko) 단어의 어원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WO2016028008A1 (ko) 시청각 정보의 부분 통제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US20230230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nd handsfree language learning
KR20140075145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9A (ko) 이미지와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TW538389B (en) Listening and speaking training system with dynamically adjustable playing speed and the method thereof
Walker et al.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for a Global World
Akhmedova et al. IMPROVING ENGLISH PRONUNCIATION THROUGH SHADOWING TECHNIQUE.
KR20140078080A (ko) 이미지와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78081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80122059A (ko) 음성인식기반 언어학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