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49B1 -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49B1
KR101510849B1 KR20140192779A KR20140192779A KR101510849B1 KR 101510849 B1 KR101510849 B1 KR 101510849B1 KR 20140192779 A KR20140192779 A KR 20140192779A KR 20140192779 A KR20140192779 A KR 20140192779A KR 101510849 B1 KR101510849 B1 KR 10151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il piece
coil
load resist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9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호
Original Assignee
백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호 filed Critical 백용호
Priority to KR2014019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3/00Resis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지지봉 체결너트(174a)(174b)와의 나사체결에 의해서 제1 설치공(124)(134)과 제2 설치공(125)(135)에 관통되어서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봉(151); 지지봉(151)에 외삽되는 절연튜브(152); 절연튜브(152)에 권취되는 저항코일(160); 일측이 저항코일(16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에 관통 구비되는 한 쌍의 도전핀(171);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에 각각 구비된 상하 한 쌍의 도전핀(171)을 도통시키는 도전플레이트(172); 도전플레이트(172)의 도전핀(171)에 나사체결하여서 도전핀(171)를 고정시키는 도전핀 체결너트(173a,173b)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하저항기 어셈블리{RESISTIVE ROAD BANK ASSEMBLY}
본 발명은 부하저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동일한 정전전력 및 정격전압의 경우에는 저항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하저항기(RESISTIVE ROAD BANK)는 발전기의 부하 시험을 위해서 사용되는 저항장치이다.
이러한 부하저항기는 정격용량과 정격전압에 따라서 복수의 저항코일들이 장착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서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용 장착프레임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용 장착프레임은 하부 프레임(10)과 좌측판(20)과 우측판(30)과 상부 프레임(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40)은 동일한 형상으로서 금속재질이다.
상기 하부 프레임(10)은 장방형의 플레이트부(10a)와, 상기 플레이트부(10a)의 단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단변절곡부(10b,10c)와, 상기 플레이트부(10a)의 장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0d,10e)로 구성되고, 상기 단변절곡부(10b,10c)에는 대향하여서 나사공(1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40)은 장방형의 플레이트부(40a)와, 상기 플레이트부(40a)의 단변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단변절곡부(40b,40c)와, 상기 플레이트부(40a)의 장변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40d,40e)로 구성되고, 상기 단변절곡부(40b,40c)에는 대향하여서 나사공(4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판(20)과 우측판(30)은 장방형의 플레이트로서 운모(mica)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판(2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나사공(11)과 제1 나사(g1)에 의해서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나사공(41)과 제2 나사(g2)에 의해서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판(2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장착공(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장착공(22)에는 종래 부하저항기의 지지봉(51)의 일단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판(3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나사공(12)과 제3 나사(g3)에 의해서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40)의 나사공(42)과 제4 나사(g4)에 의해서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공(31b)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3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장착공(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장착공(32)에는 종래 부하저항기의 지지봉(51)의 타단이 장착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의 설치 상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는 봉 형상으로서 상기 좌측판의 장착공(22)과 우측판의 장착공(32)에 걸쳐서 장착 설치되는 지지봉(51)과, 상기 지지봉(51)에 외삽되는 절연튜브(52)와 상기 절연튜브(52)에 설치되는 도우넛 형상의 저항코일(60)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의 저항코일(60)은 중앙에 통과공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서 각 저항코일(60) 간에는 서로 도통되어 있으며, 상하측의 부하저항기는 서로 리드와이어(미도시)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와 그 부하저항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좌측판(20)과 우측판(30)은 운모로 제작된 운모판으로서 열에는 강하지만 운모의 재료비가 고가이고, 또한 잘 부스러지거나 잘 벗겨져서 가공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부하저항기용 장착프레임은 설치 작업성도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즉, 하부 프레임(10)에 운모판인 좌측판(20)과 우측판(3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인의 작업자가 좌측판(20)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나사(g1,g2,g3,g4)를 나사체결하여 장착하였는데, 따라서 최소 작업인원으로서 2인의 최소작업 인력을 필요로 하였다.
셋째,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40)은 동일한 형태이고 좌측판(20)과 우측판(30) 상호 간은 각각 동일한 형태이나, 상하부 프레임(10,40)과 좌우측판(20,30)은 서로 상이한 형상이어서 각각 제작하여야 했으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상부 프레임(40)과 하부 프레임(10)은 모두 금속재질로서 4 번의 벤딩작업을 해야하는데, 벤딩을 위해서는 고가의 벤딩기계를 이용해야 했으므로 벤딩 가공비가 높아지고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상부 프레임(40)과 하부 프레임(10)은 모두 금속재질이므로 고압의 경우 스파크가 발생하여 전기절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여섯째, 기존의 도우넛 타입의 저항코일(60)을 채용하고 있는 부하저항기의 경우에는 부피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전용량이 큰 발전기 테스트를 위해서 부하저항이 큰 부하저항기를 시험하는 경우에는 부피가 너무 커서 실내에서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939호(공고일: 2011.04.04.) 문헌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801호(공고일: 2005.07.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의 목적은,
첫째, 4 개의 프레임을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성이 양호하여 제품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둘째, 4 개의 프레임을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고 이 동일한 형태의 4 개의 프레임을 세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일인의 작업자가 혼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불포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본원발명 특유의 특수 재질의 화합물을 채택하여 몰딩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을 낮추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불포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본원발명 특유의 특수 재질의 화합물을 채택하여 몰딩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측과 하측의 프레임의 스파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불포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본원발명 특유의 특수 재질의 화합물을 채택하여 몰딩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전기적·열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부하저항기에 구비되는 저항 코일을 본원발명 특유의 삼각형 형태를 45 ° 간격으로 회전시키면서 중첩적으로 형성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정격전력과 정격전압 하에서 종래에 대비하여 부피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부하저항기에 탄성부재와 스페이서를 구비함으로써 절연튜브와 저항코일을 밀착구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연튜브와 저항코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도전핀과 도전플레이트의 구성에 의해서 상하로 설치되는 저항코일 간의 전기적 연결을 쉽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발전기의 부하 테스트를 위한 부하저항기(Resistive Load Bank)와 상기 부하저항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과,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하저항기는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각각은, 장방형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가 상기 좌측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하측에 접하여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우측 끝에 직립하여 접하여서 상기 좌측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좌측 끝이 상기 좌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에 접하여서 좌측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의 좌측이 좌측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가 상기 우측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타끝에 접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의 우측이 상기 우측 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에는 제1 하부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의 반대측의 베이스부에는 제2 하부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에는 제1 좌측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의 반대측의 베이스부에는 제2 좌측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에는 제1 우측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의 반대측의 베이스부에는 제2 우측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에는 제1 상부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의 반대측의 베이스부에는 제2 상부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가 상기 좌측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하측에 접하여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좌측 장착공과 제1 하부 장착공이 제1 체결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우측에 우측 끝에 직립하여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부 장착공과 제1 우측 장착공이 제2 체결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좌측 끝이 상기 좌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에 접하여서 좌측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장착공과 제1 좌측 장착공이 제3 체결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좌측이 좌측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가 상기 우측 프레임의 베이스부의 타끝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장착공과 제2 우측 장착공이 제4 체결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좌측 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은 동일한 형상으로서, 몰딩 성형되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와 유리섬유(glass fiber)와 충진제(filler)와 경화제(curing agent)와 이형제(inter mold reldase agent)와 안료(toner)로 구성되는 화합물을 몰딩(molding)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몰딩 성형하기 위한 화합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20~25 중량%, 유리섬유(glass fiber) 15~18 중량%, 충진제(filler) 46~56 중량%, 경화제(curing agent) 4~15 중량%, 이형제(inter mold reldase agent) 2~3 중량%, 안료(toner) 2~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는 하부 체결공과 상부 체결공이 반복적으로 쌍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체결공에서 이격되어서 하부 체결공과 동수로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는 제1 설치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체결공에서 이격되어서 상부 체결공과 동수로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는 제2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봉 체결너트와의 나사체결에 의해서 상기 제1 설치공과 제2 설치공에 관통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외삽되는 절연튜브와, 상기 절연튜브에 권취되는 저항코일과, 일측이 상기 저항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하부 체결공과 상부 체결공에 관통 구비되는 한 쌍의 도전핀과, 상기 하부 체결공과 상부 체결공에 각각 구비된 상하 한 쌍의 도전핀을 도통시키는 도전플레이트와, 상기 도전플레이트의 도전핀에 나사체결하여서 도전핀를 고정시키는 도전핀 체결너트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봉에 외삽되고, 일단이 상기 절연튜브에 탄지되고 타단이 스페이서(spacer)에 탄지되어서 상기 절연튜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과 좌우측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외삽되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탄지하는 스페이서(spacer)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상기 저항코일(160)은 삼각형 형태의 코일층 45 °씩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직선형의 제1 코일편과, 상기 제1 코일편에서 예각으로 절곡되는 직선형의 제2 코일편과, 제2 코일편에서 제1 코일편 쪽으로 절곡되는 직선형의 제3 코일편과 제3 코일편에서 제2 코일편 쪽으로 절곡되는 제4 코일편과, 제4 코일편에서 제3 코일편 쪽으로 절곡되는 제5 코일편과 제5 코일편에서제4 코일편 쪽으로 절곡되는 제6 코일편과, 제6 코일편에서 제5 코일편 쪽으로 절곡되는 제7 코일편과, 제7 코일편에서 제6 코일편 쪽으로 절곡되는 제8 코일편을 기본 단위로 하여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4 개의 프레임을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성이 양호하여 제품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4 개의 프레임을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고 이 동일한 형태의 4 개의 프레임을 세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일인의 작업자가 혼자 장착할 수 있고, 그리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불포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본원발명 특유의 특수 재질의 화합물을 채택하여 몰딩 성형할 수 있어서 제작비용을 낮추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불포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본원발명 특유의 특수 재질의 화합물을 채택하여 몰딩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측과 하측의 프레임의 스파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불포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본원발명 특유의 특수 재질의 화합물을 채택하여 몰딩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전기적·열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부하저항기에 구비되는 저항 코일을 본원발명 특유의 삼각형 형태를 45 ° 간격으로 회전시키면서 중첩적으로 형성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정격전력과 정격전압 하에서 종래에 대비하여 부피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부하저항기에 탄성부재와 스페이서를 구비함으로써 절연튜브와 저항코일을 밀착구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연튜브와 저항코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도전핀과 도전플레이트의 구성에 의해서 상하로 설치되는 저항코일 간의 전기적 연결을 쉽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용 장착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하저항기의 설치 상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에 부하저항기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분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에 부하저항기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에 부하저항기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부하저항기의 일 구성인 저항코일(160)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저항코일(160)에 도전핀(171)이 구비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는 발전기의 부하 테스트를 위한 부하저항기(Resistive Load Bank)와 상기 부하저항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110)과,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과, 상부 프레임(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하저항기는 상기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에 걸쳐서 설치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과 상부 프레임(140) 각각은, 장방형의 베이스부(110a,120a,130a,140a)와 상기 베이스부(110a,120a,130a,140a)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10c,110d,120c,120d,130c,130d,140c,140d)와, 상기 베이스부(110a,120a,130a,140a)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110c,110d,120c,120d,130c,130d,140c,140d)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110c,110d,120c,120d,130c,130d,140c,140d)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110b,120b,130b,140b)로 구성된다.
이때, 각 프레임(110,120,130,140)의 각 단변절곡부(110b,120b,130b,140b)의 대향하는 곳에는 어떠한 절곡면이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 프레임(110)은 장방형의 베이스부(110a)와 상기 베이스부(110a)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10c,110d)와, 상기 베이스부(110a)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110c,110d)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110c,110d)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110b)로 구성되고, 이때 단변절곡부(110b)의 대향하는 곳에는 어떠한 절곡면이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프레임(120)은 장방형의 베이스부(120a)와 상기 베이스부(120a)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20c,120d)와, 상기 베이스부(120a)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120c,120d)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120c,120d)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120b)로 구성된다.
이때 단변절곡부(120b)의 대향하는 곳에는 어떠한 절곡면이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 프레임(130)은 장방형의 베이스부(130a)와 상기 베이스부(130a)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30c,130d)와, 상기 베이스부(130a)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130c,130d)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130c,130d)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130b)로 구성된다.
이때 단변절곡부(130b)의 대향하는 곳에는 어떠한 절곡면이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140)은 장방형의 베이스부(140a)와 상기 베이스부(140a)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40c,140d)와, 상기 베이스부(140a)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140c,140d)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140c,140d)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140b)로 구성된다.
이때 단변절곡부(140b)의 대향하는 곳에는 어떠한 절곡면이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단변절곡부(110b)가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베이스부(120a)의 하측에 접하여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단변절곡부(130b)가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베이스부(110a)의 우측 끝에 직립하여 접하여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베이스부(140a)의 좌측 끝이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단변절곡부(120b)에 접하여서 좌측 프레임(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40)의 좌측이 좌측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단변절곡부(140b)가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베이스부(130a)의 타끝에 접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40)의 우측이 상기 우측 프레임(13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장착프레임의 구성에 의하면, 조립 시간과 조립 공수를 줄여서 조립작업성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인의 작업자가 능히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단변절곡부(110b)에는 한 쌍의 제1 하부 장착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단변절곡부(110b)의 반대측의 베이스부(110a)에는 제2 하부 장착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단변절곡부(120b)에는 한 쌍의 제1 좌측 장착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단변절곡부(120b)의 반대측의 베이스부(120a)에는 제2 좌측 장착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단변절곡부(130b)에는 한 쌍의 제1 우측 장착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단변절곡부(130b)의 반대측의 베이스부(130a)에는 제2 우측 장착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단변절곡부(140b)에는 한 쌍의 제1 상부 장착공(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단변절곡부(140b)의 반대측의 베이스부(140a)에는 제2 상부 장착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단변절곡부(110b)가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베이스부(120a)의 하측에 접하여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좌측 장착공(122)과 제1 하부 장착공(111)이 제1 체결나사(P1)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단변절곡부(130b)가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베이스부(110a)의 우측에 우측 끝에 직립하여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부 장착공(112)과 제1 우측 장착공(131)이 제2 체결나사(P2)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베이스부(140a)의 좌측 끝이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단변절곡부(120b)에 접하여서 좌측 프레임(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부 장착공(142)과 제1 좌측 장착공(121)이 제3 체결나사(P3)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좌측이 좌측 프레임(120)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단변절곡부(140b)가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베이스부(130a)의 타끝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 장착공(141)과 제2 우측 장착공(132)이 제4 체결나사(P4)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40)과 좌측 프레임(12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과 조립 공수를 줄여서 조립작업성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일인의 작업자가 능히 조립 작업을 할 수 있어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 좌측 프레임(120), 우측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은 동일한 형상으로서, 동일한 성형 몰드에서 몰딩 성형되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프레임의 제조 및 가공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 좌측 프레임(120), 우측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와 유리섬유(glass fiber)와 충진제(filler)와 경화제(curing agent)와 이형제(inter mold reldase agent)와 안료(toner)로 구성되는 화합물을 몰딩(molding)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기를 가진 선 모양 폴리에스테르와 비닐 단위체의 혼성 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상온 및 상압에서 몰딩 성형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인장강도가 높으며, 온도 의존성이 거의 없고 치수 안정성이 양호하며,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높고 불연성이며 흡수성이 작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직경 9~15㎛, 길이 10mm의 촙(chop)를 사용한다.
상기 충진제(Filler)는 상기 유리섬유의 유출을 막아 표면 평활성을 갖게 하며, 경화 시에 수축이 적고, 치수안정성을 좋게 하며, 또한 크랙(crack)을 방지하며, 점도 및 흐름을 조정 가능하도록 하고 최고 발열 온도가 낮아 발열에 의한 크랙(crack)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진제로는 예컨대 평균입경 2~10㎛의 탄산칼슘과 수산화알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료(toner)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를 사용한다.
상기 경화제(Curing Agent)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의 경화를 위한 것으로서 열에 의한 고온 경화 반응을 유도하며, 예컨대 유기과산화물로서 Tert-butylperoctocate(TBPO)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Inter Mold Release Agent)는 금형(mold)과의 접착이 쉽고 성형시 용융되어 성형품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금형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막을 형성하여 탈형을 쉽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형제로는 예컨대 스테아린산 아연(M.P. 133℃), 스테아린산 칼슘(M.P. 15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P. 13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 좌측 프레임(120), 우측 프레임(130) 및 상부 프레임(140)을 몰딩 성형하기 위한 화합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20~25 중량%, 유리섬유(glass fiber) 15~18 중량%, 충진제(filler) 46~56 중량%, 경화제(curing agent) 4~15 중량%, 이형제(inter mold reldase agent) 2~3 중량%, 안료(toner) 2~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비에 저수축제(Low Shrinkage Agent)가 포함될 수도 있는데,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체적 수축률을 감쇄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성형하는 방법은 예컨대 액상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유리섬유를 함침하고 이형제, 안료, 충진제,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들을 프레임 성형용 몰드(금형)에 투입하여 열을 가하면 굳어서 프레임이 성현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중량%, 저수축제 2 중량%, 유리섬유 17 중량%, 충진제 50 중량%, 경화제 7 중량%, 이형제 2 중량%, 안료 2 중량%의 무게비율로 화합물을 만들고 이를 몰딩 성형하여 상기 프레임(110,120,130,140)을 제작한 후에 이에 대해서 기계적, 열적, 전기적 시험 성능을 하여 이를 [표 1]에 정리하였다.
Test Item Method Unit ANALYSIS


기계적
성질

굴곡강도
(Flexural Strength)
KSM3305 kgf/mm2 >20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
KSM3305 kgf/mm2 >5
압축강도
(Compressive Strength)
KSM3305 kgf/mm2 >17
충격강도
(Impact Strength)
KSM3305 kgcm/mm2 >80
바콜경도
(Barcol hardness)
KSM3305 - >50


열/물리적
성질

비중
(Specific Gravity)
KSM3305 - 1.75
흡수율
(Absorption Rate)
KSM3305 % <0.1
열변형온도
(Heat Distortion)
ASTMD648 >200
성형수축율(Linear Expansion Coefficient) 자체시험법
(self-test)
% 0.15
난연성
(UL Flammability)
KSM3015 - HB


전기적
성질


내전압
(Dielectric Strength)
KSM3305 kV/mm .15
절연저항도
(Insulation Resistance)
KSM3305 Ω >10
유전상수
(Dielectric Constant)
KSM3305 IMHZ 4
유전정갭
(dissipation factor)
KSM3305 IMHZ 0.011
내아크성
(Arc Resistance)
KSM3305 sec >180
내트래킹성
(Anti-Tracking)
IEC V >600
위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한 프레임(110,120,130,140)들은 그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에는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이 반복적으로 쌍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체결공(123a)에서 이격되어서 하부 체결공(123a)과 동수로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에는 제1 설치공(124)(1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체결공(123b)에서 이격되어서 상부 체결공(123b)과 동수로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에는 제2 설치공(125)(1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지지봉 체결너트(174a)(174b)(우측 프레임에 체결되는 지지봉 체결너트에는 도면번호 미병기)와의 나사체결에 의해서 상기 제1 설치공(124)(134)과 제2 설치공(125)(135)에 관통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봉(151)과, 상기 지지봉(151)에 외삽되는 절연튜브(152)와, 상기 절연튜브(152)에 권취되는 저항코일(160)과, 일측이 상기 저항코일(16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에 관통 구비되는 한 쌍의 도전핀(171)과, 상기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에 각각 구비된 상하 한 쌍의 도전핀(171)을 도통시키는 도전플레이트(172)와, 상기 도전플레이트(172)의 하부 관통공(172a)과 상부 관통공(172b)을 관통 구비된 도전핀(171)에 나사체결하여서 도전핀(171)를 고정시키는 도전핀 체결너트(173a,173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전플레이트(172)에는 하부 관통공(172a)과 상부 관통공(17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 관통공(172a)과 상부 관통공(172b)에 각각 한 쌍의 도전핀(171)이 삽입되어서 도전플레이트(172)가 한 쌍의 도전핀(171)을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하측에 설치되는 저항코일(160) 간의 도통을 위한 수단을 쉽고 간단하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51)에 외삽되고, 일단이 상기 절연튜브(152)에 탄지되고 타단이 스페이서(182)에 탄지되어서 상기 절연튜브(152)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부재(181)와, 상기 탄성부재(181)의 타단과 좌우측프레임(120,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151)에 외삽되어서 상기 탄성부재(181)를 탄지하는 스페이서(18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절연튜브(152)와 저항코일을 밀착시켜서 유동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저항코일(160)은 대략 삼각형 형태의 코일을 45 도씩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형성하여 이를 반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저항코일(160)은 직선형의 제1 코일편(160a)과, 상기 제1 코일편(160a)에서 예각으로 절곡되는 직선형의 제2 코일편(160b)과, 제2 코일편(160b)에서 제1 코일편(160a) 쪽으로 절곡되는 직선형의 제3 코일편(160c)과 제3 코일편(160c)에서 제2 코일편(160b) 쪽으로 절곡되는 제4 코일편(160d)과, 제4 코일편(160d)에서 제3 코일편(160c) 쪽으로 절곡되는 제5 코일편(160e)과 제5 코일편(160e)에서제4 코일편(160d) 쪽으로 절곡되는 제6 코일편(160f)과, 제6 코일편(160f)에서 제5 코일편(160e) 쪽으로 절곡되는 제7 코일편(160g)과, 제7 코일편(160g)에서 제6 코일편(160f) 쪽으로 절곡되는 제8 코일편(160h)을 기본 단위로 하여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동일한 정격전력과 정격전압이 걸리는 경우에도 저항기 전체의 사이즈를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하부 프레임 110a : 하부 프레임의 베이스부
110b : 하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
110c,110d : 하부 프레임의 장변절곡부
111 : 제1 하부 장착공 112 : 제2 하부 장착공
120 : 좌측 프레임 120a : 좌측 프레임의 베이스부
120b : 좌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
120c,120d : 좌측 프레임의 장변절곡부
121 : 제1 좌측 장착공 122 : 제2 좌측 장착공
123a : 하부 장착공 123b : 상부 장착공
124 : 좌측 프레임의 제1 설치공 125 : 좌측 프레임의 제2 설치공
130 : 우측 프레임 130a : 우측 프레임의 베이스부
130b : 우측 프레임의 단변절곡부
130c,130d : 우측 프레임의 장변절곡부
131 : 제1 우측 장착공 132 : 제2 우측 장착공
134 : 우측 프레임의 제1 설치공 135 : 우측 프레임의 제2 설치공
140 : 상부 프레임 140a : 상부 프레임의 베이스부
140b : 상부 프레임의 단변절곡부
140c,140d : 상부 프레임의 장변절곡부
141 : 제1 상부 장착공 142 : 제2 상부 장착공
P1 : 제1 체결나사 P2 : 제2 체결나사
P3 : 제3 체결나사 P4 : 제4 체결나사
151 : 지지봉 152 : 절연튜브
160 : 저항코일 160a : 제1 코일편
160b : 제2 코일편 160c : 제3 코일편
160d : 제4 코일편 160e : 제5 코일편
160f : 제6 코일편 160g : 제7 코일편
160h : 제8 코일편 171 : 도전핀
172 : 도전플레이트 172a : 하부 관통공
172b : 상부 관통공 173a,173b : 도전핀 체결너트
174a, 174b : 지지봉 체결너트 181 : 탄성부재
182 : 스페이서

Claims (4)

  1. 발전기의 부하 테스트를 위한 부하저항기(Resistive Load Bank)와 상기 부하저항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부하저항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110)과,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과, 상부 프레임(140)으로 구성되며,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에는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이 반복적으로 쌍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체결공(123a)에서 이격되어서 하부 체결공(123a)과 동수로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에는 제1 설치공(124)(1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체결공(123b)에서 이격되어서 상부 체결공(123b)과 동수로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에는 제2 설치공(125)(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봉 체결너트(174a)(174b) 와의 나사체결에 의해서 상기 제1 설치공(124)(134)과 제2 설치공(125)(135)에 관통되어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에 걸쳐서 설치되는 지지봉(151);
    상기 지지봉(151)에 외삽되는 절연튜브(152);
    상기 절연튜브(152)에 권취되는 저항코일(160);
    일측이 상기 저항코일(16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에 관통 구비되는 한 쌍의 도전핀(171);
    상기 하부 체결공(123a)과 상부 체결공(123b)에 각각 구비된 상하 한 쌍의 도전핀(171)을 도통시키는 도전플레이트(172);
    상기 도전플레이트(172)의 도전핀(171)에 나사체결하여서 도전핀(171)를 고정시키는 도전핀 체결너트(173a,173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51)에 외삽되고, 일단이 상기 절연튜브(152)에 탄지되고 타단이 스페이서(182)에 탄지되어서 상기 절연튜브(152)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부재(181);
    상기 탄성부재(181)의 타단과 좌우측프레임(120,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봉(151)에 외삽되어서 상기 탄성부재(181)를 탄지하는 스페이서(18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코일(160)은,
    직선형의 제1 코일편(160a)과, 상기 제1 코일편(160a)에서 예각으로 절곡되는 직선형의 제2 코일편(160b)과, 제2 코일편(160b)에서 제1 코일편(160a) 쪽으로 절곡되는 직선형의 제3 코일편(160c)과 제3 코일편(160c)에서 제2 코일편(160b) 쪽으로 절곡되는 제4 코일편(160d)과, 제4 코일편(160d)에서 제3 코일편(160c) 쪽으로 절곡되는 제5 코일편(160e)과 제5 코일편(160e)에서제4 코일편(160d) 쪽으로 절곡되는 제6 코일편(160f)과, 제6 코일편(160f)에서 제5 코일편(160e) 쪽으로 절곡되는 제7 코일편(160g)과, 제7 코일편(160g)에서 제6 코일편(160f) 쪽으로 절곡되는 제8 코일편(160h)을 기본 단위로 하여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좌측 프레임(120)과 우측 프레임(130)과 상부 프레임(140) 각각은, 장방형의 베이스부(110a,120a,130a,140a)와 상기 베이스부(110a,120a,130a,140a)의 한 쌍의 장변에서 절곡된 한 쌍의 장변절곡부(110c,110d,120c,120d,130c,130d,140c,140d)와, 상기 베이스부(110a,120a,130a,140a)의 일 단변에서 상기 한 쌍의 장변절곡부(110c,110d,120c,120d,130c,130d,140c,140d)의 일 끝을 이어주도록 상기 장변절곡부(110c,110d,120c,120d,130c,130d,140c,140d)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단변절곡부(110b,120b,130b,140b)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단변절곡부(110b)가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베이스부(120a)의 하측에 접하여서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단변절곡부(130b)가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베이스부(110a)의 우측 끝에 직립하여 접하여서 상기 좌측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베이스부(140a)의 좌측 끝이 상기 좌측 프레임(120)의 단변절곡부(120b)에 접하여서 좌측 프레임(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40)의 좌측이 좌측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40)의 단변절곡부(140b)가 상기 우측 프레임(130)의 베이스부(130a)의 타끝에 접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40)의 우측이 상기 우측 프레임(13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KR20140192779A 2014-12-29 2014-12-29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KR10151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2779A KR101510849B1 (ko) 2014-12-29 2014-12-29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2779A KR101510849B1 (ko) 2014-12-29 2014-12-29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49B1 true KR101510849B1 (ko) 2015-04-09

Family

ID=5303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92779A KR101510849B1 (ko) 2014-12-29 2014-12-29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8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48Y1 (ko) 2017-03-30 2017-07-25 백용호 전기철도차량의 전력공급계통라인에서 고조파전류 제거를 위한 rc필터용 저항기 및 그 어셈블리
KR200484047Y1 (ko) 2017-02-20 2017-07-25 백용호 전기철도차량의 고조파전류 제거를 위한 rc필터용 저항기 어셈블리
KR101873353B1 (ko) * 2017-09-30 2018-08-02 백용호 전기차량용 제동 저항기 및 그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045A (ko) * 1990-01-12 1991-08-31 원본미기재 고저항 폴리실리콘 부하 저항기
KR970028592A (ko) * 1995-11-07 1997-06-24 도요시 곤도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부하저항체 및 저항기
KR200388801Y1 (ko) 2005-04-08 2005-07-07 (주)신성기전 부하저항기박스조립체
KR200452939Y1 (ko) 2008-12-05 2011-04-04 (주)신성기전 슬라이딩형 단위저항기를 구비하는 부하저항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5045A (ko) * 1990-01-12 1991-08-31 원본미기재 고저항 폴리실리콘 부하 저항기
KR970028592A (ko) * 1995-11-07 1997-06-24 도요시 곤도 발전기등 통전시험용 부하저항체 및 저항기
KR200388801Y1 (ko) 2005-04-08 2005-07-07 (주)신성기전 부하저항기박스조립체
KR200452939Y1 (ko) 2008-12-05 2011-04-04 (주)신성기전 슬라이딩형 단위저항기를 구비하는 부하저항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47Y1 (ko) 2017-02-20 2017-07-25 백용호 전기철도차량의 고조파전류 제거를 위한 rc필터용 저항기 어셈블리
KR200484048Y1 (ko) 2017-03-30 2017-07-25 백용호 전기철도차량의 전력공급계통라인에서 고조파전류 제거를 위한 rc필터용 저항기 및 그 어셈블리
KR101873353B1 (ko) * 2017-09-30 2018-08-02 백용호 전기차량용 제동 저항기 및 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849B1 (ko)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US5648157A (en) Metal base 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148784B1 (ko) 방열시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20891B1 (ko) 부하저항기 어셈블리
US8373970B2 (en) Sideways conduction cooled high-power capacitor
JP2009111388A (ja) 半導体クランプシステム
JP2002164229A (ja) 応力緩和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615095B1 (en) Implementing strain sensing thermal interface materials
CN114401581A (zh) 一种非对称铜厚双面铝基板及其加工方法
JP5774426B2 (ja) 気流発生装置、気流発生装置の製造方法及び風力発電システム
EP1103044A1 (de) Anordnung zur wärmeableitung, insbesondere für ultraschallwandler mit hoher leistung
AU2018101058A4 (en) Double-layer superimposed circuit board
CN207251365U (zh) 一种新型伺服电机
CN104392971B (zh) 一种表带触指式热传导装置
CN205793856U (zh) 功率管的固定装置
CN219395177U (zh) 一种电力电子元器件安装辅助装置
CN219457285U (zh) 仪用变压器固定件和仪用变压器
CN211128549U (zh) 背钻孔型服务器线路板
CN219592870U (zh) 一种方便安装的多层电路板
CN213485236U (zh) 一种车载音响系统用控制电路板
CN117080900B (zh) 一种用于电力工程的防尘抗震式配电柜
CN208241979U (zh) 一种高密度多层电子线路板结构
CN210007634U (zh) 一种基于光纤传输高精度12脉波相控整流电源触发主板
CN209643069U (zh) 一种双面陶瓷线路板
CN219555478U (zh) 一种线路板散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