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335B1 - 이중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종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335B1
KR101509335B1 KR20130110235A KR20130110235A KR101509335B1 KR 101509335 B1 KR101509335 B1 KR 101509335B1 KR 20130110235 A KR20130110235 A KR 20130110235A KR 20130110235 A KR20130110235 A KR 20130110235A KR 101509335 B1 KR101509335 B1 KR 10150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cover
bent por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912A (ko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2013011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3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65D3/261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 B65D3/262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the container side wall forming a circumferential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긴 경우에도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절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상하 양단은 각각 상기 용기본체(10) 쪽으로 절곡됨으로써 상단절곡부(31)와 하단절곡부(32)를 이루며, 상기 상단절곡부(31)와 상기 하단절곡부(32)는 각각 상기 용기본체(10)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와 상기 커버(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둘레를 따라 커버가 설치되어 있어 가열 또는 데워진 음식의 열이 쉽게 전달되지 않고, 뚜껑과 함께 용기본체의 상단절곡부가 절취되더라도 커버에 의해 상부가 보강되므로 용기본체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이중 종이용기{Double Layered Paper Container}
본 발명은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이중으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가열 또는 데워진 뜨거운 음식 등을 안전하게 담아 운반하거나 들고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 또는 데워진 뜨거운 음식물을 포장 판매할 때에는 주로 일회용 종이용기를 사용하며, 이때 종이용기는 일반적으로 얇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부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긴 종이용기를 들고 이동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음식물의 뜨거운 열이 종이용기에 쉽게 전달되어 맨손으로 파지하기 어렵고, 또한 뜨거운 열기로 인해 자칫 종이용기를 떨어트리게 되면 뜨거운 음식 등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이용기를 이중으로 만들어 뜨거운 열이 손에 전달되는 양을 줄임으로써 더욱 안전하게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이중 종이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중 종이용기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722362호에 개시된 공기층을 형성한 이중 종이용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이중 종이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에 절곡편(110, 120)이 형성된 내부용기(100)와, 내부용기(1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편(210)과 하부에 돌출부(220)가 형성된 외부용기(200)와, 외부용기(200)에 삽입된 내부용기(100)의 외부면에 공기층(300)을 형성한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음식물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중 종이용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종이용기를 각각 제작한 다음, 크기가 작은 종이용기를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종이용기의 내부에 삽입하여 만들기 때문에 종이용기를 제작하는 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종이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비닐 또는 종이 재질의 뚜껑을 덮고, 종이용기의 측면에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사용 시에는 뚜껑을 뜯지 않고 종이용기의 측면에 형성된 절취부를 뜯음으로써 종이용기를 개방하는 형식의 종이용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측면에 절취부가 형성된 종이용기는 이중 종이용기로 제작되기 어렵다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종이용기의 측면 둘레에 형성된 절취부를 뜯게 되면 뚜껑과 함께 종이용기의 상부 일부도 제거되는데, 이 경우 종이용기의 상단을 외측으로 둥글게 말아 용기의 강도를 보강하는 코킹부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종이용기의 강도가 약해져 종이용기를 파지하게 되면 종이용기의 상단이 쉽게 눌리면서 변형되어 내부의 음식물이나 국물이 외부로 흘러넘치거나 사용자의 손에 닿아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종이용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이 담기더라도 음식물의 뜨거운 열이 사용자의 손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으며, 또한 용기의 뚜껑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쉽게 용기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용기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절취부가 마련된 이중 종이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취부의 절취에 의해 상단 둘레에 형성된 코킹부가 제거되더라도 용기의 상단이 보강됨으로써 외력에 의해서도 종이용기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이중 종이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 종이용기를,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하 양단은 각각 상기 용기본체 쪽으로 절곡됨으로써 상단절곡부와 하단절곡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절곡부와 상기 하단절곡부는 각각 상기 용기본체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커버의 상단은 절취부의 하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취부는 커팅날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일정 깊이의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취선의 깊이는 상기 용기본체의 두께를 100%로 볼 때,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의 깊이는 10~40%의 깊이로 형성되고, 용기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의 깊이는 50~60%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절취선 중, 하측 절취선은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절취선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담긴 뜨거운 음식물의 열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만든 종이용기로서, 상부 둘레를 따라 절취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착된 뚜껑을 어렵게 제거하지 않고도 종이용기로부터 밀폐부분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본체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에 의해 음식물의 열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종이용기를 들고 이동하거나 내부 음식물을 안전하게 취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코킹부가 절취부를 절취함으로써 뚜껑과 함께 제거되더라도 커버의 상단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상단절곡부가 절취된 용기본체의 상단과 인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본체가 쉽게 변형되지 않고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하단이 각각 절곡된 커버를 용기본체의 외부에 접착하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용기본체와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 형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종래의 이중 종이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비용이 적게 든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뚜껑 및 커버가 종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산비닐이나 압축비닐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음식물을 친환경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 종이용기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종이용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의 절취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로부터 절취부를 절취하였을 때의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뜨거운 음식물을 안전하게 담아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종이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 뚜껑(20) 및 커버(30)로 이루어진다.
용기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된 형상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뜨거운 음식물 등이 담길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종이용기로서, 그 상단에는 상단을 외측으로 둥글게 말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코킹부(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며, 이러한 코킹부의 아래쪽에는 용기의 둘레를 따라 절취부(1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용기본체(10)가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이용기의 상부쪽에는 사용자가 용기의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해 용기를 개방할 수 있도록 용기의 둘레를 따라 절취부(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취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날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일정 깊이의 절취선(11A, 11B)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취부(11)의 선단을 잡고 당김으로써 절취부가 제거되면서 용기본체(10)의 상부도 함께 제거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용기본체(10)의 상단에 접착 고정된 뚜껑(20)을 굳이 뜯지 않고도 용기를 개방하여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절취부(11)의 절취선(11A, 11B) 깊이는 용기본체(10)의 두께를 100%로 볼 때,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A)의 깊이는 10~40%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B)의 깊이는 50~60%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절취선(11A, 11B)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용기본체(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취부(11)가 함께 눌려져 쉽게 터지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절취선(11A, 11B) 중,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B)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절취선을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측 절취선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11)를 이용하여 상부를 절취 제거하게 되면 용기본체(10)의 상단이 물결 형상으로 남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단이 물결 형상으로 남게 되면, 용기본체(10)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상단이 직선으로 절취 제거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뚜껑(20)은 종이재로 이루어져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이용하여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밀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뚜껑(20)은 용기본체(1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용기본체(10)의 상단 코킹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또는 열융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뚜껑과 같이 초산비닐이나 압축 필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체적으로 종이만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용기본체(10) 내부에 담기는 음식이 밀봉 포장된다.
용기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30)는 용기본체(10)와 동일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절곡부(31)와 하단절곡부(32)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와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향해 절곡되어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접착되며, 이에 의해 용기본체(10)와 커버(30) 사이에는 절곡된 부분의 두께에 해당되는 만큼의 폭을 가지는 공간이 형성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커버(30)의 상단절곡부(31)와 하단절곡부(32)는 각각 용기본체(10)를 향해 절곡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0)와 커버(30) 사이에는 이 절곡되는 부분의 두께에 상당하는 이격되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이때 상단절곡부(31)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 이외에도 종이용기의 상부쪽을 보강하는 기능도 아울러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절취부(11)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되면 보강부로서 기능하는 코킹부가 절취부(11)와 함께 제거된다 하더라도 커버(30)에 형성된 상단절곡부(31)에 의해 용기본체(10)의 상부가 여러 겹의 종이에 의해 보강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이때 커버(30)의 상부 높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A) 중 하부에 형성되는 절취선(11A)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종이용기는 가열 또는 데워진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 포장하는 일회용 종이용기로서, 뜨거운 열이 용기본체(10)와 커버(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열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감소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종이용기를 들고 이동하거나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다.
또한 절취부(11)가 용기본체(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접착제거나 열융착된 뚜껑(20)을 어렵게 제거하지 않고도 절취부(11)를 절취함으로써 쉽게 상부를 개방할 수 있고, 이렇게 용기본체(10)의 절취부(11)가 절취됨으로써 용기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코킹부가 제거되더라도 커버(30)의 상단절곡부(11A)가 코킹부의 기능을 대신하여 용기본체(10)의 상부를 보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본체(10)를 들고 이동하더라도 외력 등에 의해 용기본체(10)가 쉽게 눌려 변형되지 않는다.
10: 용기본체 11: 절취부
20: 뚜껑 30: 커버
31:상단절곡부 32: 하단절곡부

Claims (5)

  1.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뚜껑(2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절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상하 양단은 각각 상기 용기본체(10) 쪽으로 절곡됨으로써 상단절곡부(31)와 하단절곡부(32)를 이루며,
    상기 상단절곡부(31)와 상기 하단절곡부(32)는 각각 상기 용기본체(10)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와 상기 커버(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상단은 상기 절취부(11)의 하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11)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가 절취되면,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쪽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11)는 커팅날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일정 깊이의 절취선(11A, 11B)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11A, 11B)의 깊이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두께를 100%로 볼 때, 상기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A)의 깊이는 10~40%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취선(11B)의 깊이는 50~60%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절취선(11B) 중, 하측 절취선은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절취선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종이용기.
KR20130110235A 2013-09-13 2013-09-13 이중 종이용기 KR10150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235A KR101509335B1 (ko) 2013-09-13 2013-09-13 이중 종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235A KR101509335B1 (ko) 2013-09-13 2013-09-13 이중 종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12A KR20150030912A (ko) 2015-03-23
KR101509335B1 true KR101509335B1 (ko) 2015-04-14

Family

ID=5302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235A KR101509335B1 (ko) 2013-09-13 2013-09-13 이중 종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578A (ko) 2022-07-01 2024-01-09 조성호 분리가 가능한 이중 컵라면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456A (ja) * 1998-03-28 1999-10-12 Nippon Matai Co Ltd 二重カップ
JP2002209703A (ja) * 2001-01-23 2002-07-30 Tanakaya Inc 縁巻き紙貼りコップ
KR200349768Y1 (ko) 2004-02-10 2004-05-08 손진산 따는 종이컵
KR100902265B1 (ko) * 2008-10-10 2009-06-10 김구생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456A (ja) * 1998-03-28 1999-10-12 Nippon Matai Co Ltd 二重カップ
JP2002209703A (ja) * 2001-01-23 2002-07-30 Tanakaya Inc 縁巻き紙貼りコップ
KR200349768Y1 (ko) 2004-02-10 2004-05-08 손진산 따는 종이컵
KR100902265B1 (ko) * 2008-10-10 2009-06-10 김구생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12A (ko)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8744A1 (en) Container for a cylindrical object
WO2015145875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WO2015145600A1 (ja) 複合容器
JP5846810B2 (ja) 分配包装体
EP3915898B1 (en) Container for retort food
KR101509335B1 (ko) 이중 종이용기
JP6157187B2 (ja) 易開封容器
JP650026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2007055656A (ja) 包装用容器
JP5514177B2 (ja) 食品容器
KR200488594Y1 (ko) 절취선이 구비된 포장봉지
JP7090550B2 (ja) 所定平面において動きを制限される飲用装置を備える包装容器
JP6355707B2 (ja) 包装用容器
JP2005263295A (ja) 断熱複合容器
US10124923B1 (en) Flexible product package with push-up
KR101103117B1 (ko) 취식도구 내장형 이중 종이용기
KR100902265B1 (ko) 물결모양의 절취선이 형성된 종이컵
JP4917856B2 (ja) 包装用容器
JP6398384B2 (ja) パッケージ
WO2012019859A1 (en) Smoking article container
JP2014024571A (ja) 密封容器
EP2803598B1 (en) Composite cup structures
JP6387516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5773971B2 (ja) 納豆容器、容器入り納豆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4049B2 (ja) 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