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643B1 -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643B1
KR101507643B1 KR1020120096051A KR20120096051A KR101507643B1 KR 101507643 B1 KR101507643 B1 KR 101507643B1 KR 1020120096051 A KR1020120096051 A KR 1020120096051A KR 20120096051 A KR20120096051 A KR 20120096051A KR 101507643 B1 KR101507643 B1 KR 10150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ring
plasticizing screw
screw
check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660A (ko
Inventor
마르쿠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엥글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2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2Non-retur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combined with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bo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부(3), 압력링(4)과, 선단부(3) 및 압력링(4)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체크링(5)을 포함하고, 각각 체크링(5) 및 선단부(3)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7)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6)가 선단부(3) 또는 체크링(5)에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6)가 체크링(5)의 이동방향(V)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벽(8) 및 체크링(5)의 이동방향(V)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9)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7)가 이에 상응하는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10, 11)을 가지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2)용 역류방지장치(1)에 있어서, 모든 존재하는 안내로(6)에 부가하여 선단부(3)가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통로(12, 12')를 가지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A BACKFLOW CHECK DEVICE FOR A PLASTICISING SCREW OF AN INJECTION MOULDING MACHINE, AN INJECTION MOULDING MACHINE, AND USING METHOD OF A BACKFLOW CHECK DEVIC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단부, 압력링, 및 선단부와 압력링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체크링을 포함하고, 각각 체크링 및 선단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가 선단부 또는 체크링에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가 체크링의 이동방향(V)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벽 및 체크링의 이동방향(V)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가 이에 상응하는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을 갖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융된 플라스틱물질을 사출성형기의 캐비티 내로 주입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사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류방지장치는 사출성형된 제품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계량작동의 종료단계에 도달한 후에 역류방지장치를 보다 정밀하게 폐쇄하면 할수록 사출량의 항상성은 그만큼 커진다.
먼저, 본 발명의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역류방지장치는 함께 회전하는 체크링을 갖는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으로 체크링의 회전운동은 선단부 또는 체크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는 체크링 또는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가 체크링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벽과 체크링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가 이에 상응하는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을 갖는다는 사실은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효과를 갖는다. 계량작동 중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인 회전방향으로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나는 가소화 스크류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계량작동의 종료단계에 도달한 후에 역류방지장치를 적극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적극적인 폐쇄가 이루어지는 방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문의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역류방지장치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독일특허문헌 DE 10 2004 059 610 A1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구조가 갖는 결점은 계량작동중에 용융플라스틱물질이 비교적 단면이 작은 개방부와 간극을 통하여 체크링과 가소화 스크류의 선단부 사이에 압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높은 압력과 초고도의 열응력이 용융플라스틱물질과 이후의 사출성형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결점을 극복하고 종래기술보다 개선된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존재하는 모든 안내로에 부가하여 선단부가 용융플라스틱물질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통로를 갖는 것으로부터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용융플라스틱물질은 가소화 스크류가 스크류 전실(前室)측에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유동할 수 있다. 더욱이, 폐쇄작동에서 개선된 자기세척 및 개선된 압력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이 장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와 사출성형기의 캐비티에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사출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호하고자 하는 사항으로서 청구하는 바, 여기에서 역류방지장치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의 선단부에 배열되고, 이 가소화 스크류는 가소화 실린더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착설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계량작동중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단면을 가소화 실린더 및 플랜지의 단면부분과 함께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계량작동이 종료단계에 도달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단면을 가소화 실린더 및 플랜지의 단면부분과 함께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역류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역류방지장치의 체크링을 보인 측면도.
도 5a는 체크링의 이동방향을 따라 캐비티를 보인 정면도로서 체크링 없이 가소화 스크류의 전면영역을 보인 설명도.
도 5b는 체크링의 이동방향을 따라 캐비티를 보인 정면도로서 체크링과 함께 가소화 스크류의 전면영역을 보인 설명도.
도 5c는 캐비티의 방향으로 그리고 체크링의 이동방향을 따라 보인 배면도로서 체크링 없이 가소화 스크류의 전면영역을 보인 설명도.
도 6a는 계량작동중인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단면을 가소화 실린더 및 플랜지의 단면부분과 함께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b는 계량작동중인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단면을 가소화 실린더 및 플랜지의 단면부분과 함께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사출성형기의 캐비티에 사출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사용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1)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출성형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면은 가소화 실린더(13)내에서 회전하고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소화 스크류(2)의 일부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가소화 스크류(2)의 선단부(3)에는 압력링(4)과, 선단부(3) 및 압력링(4)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체크링(5)을 포함하는 역류방지장치(1)가 배치된다. 체크링(5)과 가소화 스크류(2)의 이동방향은 부호 V 로 표시하였다. 선단부(3)는 체크링(5)에 배치된 두개의 삽입부재(7)를 위한 두개의 안내로(6)를 가지고 아울러 이러한 두 안내로(6)에는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위한 4개의 유동통로(12 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두 안내로(6)중에서 하나의 안내로와 4개의 유동통로(12, 12')중에서 두개의 유동통로만을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하나의 유동통로(12)는 삽입부재(7)를 위한 안내로(6)가 배치되지 않은 각도영역(angular region)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유동통로(12')는 안내로(6)의 각도영역에, 특히 그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용어 "각도영역"은 이동방향 V 로부터 본 방향에 대한 영역을 의미한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도 1은 계량작동중에 있는 역류방지장치(1)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체크링(5)의 측면, 즉, 도면의 좌측 측면은 선단부(3)의 접촉면(17)에 접하고, 가소화 스크류(2)의 영역에서 통로(15)로부터 시작하여 가소화된 용융플라스틱물질은 압력링(4)을 거쳐서 좌측을 향하여 흐를 수 있고 체크링(5)과 부가적인 유동통로(12, 12')를 통하여 스크류 전실(14)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부분의 용융플라스틱물질은 도면에서 하측의 유동통로(12)를 통하여 유동하고 소량의 용융플라스틱물질은 안내로(6)의 하측에 배치된 유동통로(12')를 통하여 유동한다. 이러한 상황은 굵기가 다른 두개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용융플라스틱물질은 계량작동중에 스크류 전실(14)에 수집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가소화 스크류(2)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크류 전실(14)로부터 플랜지(18)를 통하여 사출성형기의 캐비티 측으로 연장된 통로는 폐쇄노즐에 의하여 계량작동중에 폐쇄된다.
충분한 용융플라스틱물질이 스크류 전실(14)에 수집되었을 때, 즉, 계량작동이 종료단계에 이르렀을 때, 체크링(5)은 가소화 스크류(2)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되어 압력링(4)에 접하여 용융플라스틱물질이 더 이상 스크류 전실(14) 측으로 유동할 수 없도록 한다(도 2 참조). 이는, 종래의 역류방지장치의 구성(도시하지 않았음)에 있어서는, 가소화 실린더(13)의 내벽에 접촉하는 체크링(5)의 외벽(16)에 의하여(마찰력에 의하여) 그리고 체크링(5)의 우측면이 압력링(4)에 대하여 접할 때까지 우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가소화 스크류(2)의 동체에 의하여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방식은 사출량이 크게 변화를 보여 사출량 항상성의 레벨이 비교적 저조하다. 이러한 결점은 체크링(5)에 배치된 두개의 삽입부재(7)를 위한 두개의 안내로(6)가 각각 이동방향 V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벽(8)과 이동방향 V 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9)을 가지고 두개의 삽입부재(7)가 각각 이에 상응하는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10)(11)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1)에 의하여 해소된다(도 3, 도 4 및 도 5a 내지 5c 참조). 더욱이 이러한 사실은 계량작동중에 계량회전방향 D 에 반대방향인 체크회전방향 S 로 가소화 스크류(2)를 간단히 회전시킴으로서 체크링(5)의 적극적인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동방향 V 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9)은 삽입부재(7)의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11)에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면에 의하여 삽입부재(7)에 힘이 가하여져 예를 들어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체 체크링(5)이 우측을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역류방지장치(1)의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동방향 V 에 대하여 경사졌다"라는 것은 거의 45°의 각도로 경사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체크링(5)이 측부로부터 보이는 도 4로부터 매우 명확히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체크링(5)은 두개의 삽입부재(7)를 갖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가소화 스크류(2)의 전면영역을 보인 것으로, 특히 도 5a는 체크링(5)이 없는 정면도로서 체크링(5)의 이동방향을 따라 캐비티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5b는 체크링(5)이 갖추어진 정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 5c는 체크링을 보이지 않은 배면도를 보인 것으로 캐비티의 방향에서 체크링의 이동방향을 따라 본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역류방지장치의 이러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볼 수 있다.
- 두개의 안내로(6)가 체크링(5)에 배치된 두개의 삽입부재를 위하여 선단부(3)에 배치되어 있다.
- 두개의 안내로(6) 각각은 체크링(5)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벽(8)과 체크링(5)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9)을 갖는다.
- 두개의 삽입부재(7)는 이에 상응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10)(11)을 갖는다.
- 두개의 안내로(6)에 부가하여 선단부(3)는 4개의 유동통로(12, 12')를 갖는다.
- 4개의 유동통로중에서 두개의 유동통로(12)는 두개의 안내로(6)가 형성되지 않은 각도영역 α에 배치되어 있다.
- 4개의 유동통로중에서 두개의 유동통로(12')는 각 안내로(6)가 형성된 각도영역 β에 배치되어 있다.
- 두개의 유동통로(12')는 각각 두개의 안내로(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 두개의 유동통로(12)는 유동통로(12') 보다 현저히 많은 용융플라스틱물질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 와 도 6 b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1)의 다른 두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는 부가적인 두개의 유동통로(12)의 형태에서 앞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6a의 경우에 있어서, 유동통로(12)는 상이하게 경사져 있으며, 도 6b의 경우에 있어서는 보다 깊게 파여있다.
도 7은 사출성형기의 캐비티에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사출하는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이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출발점은 플라스틱 과립물질을 가소화하고 이로써 얻은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스크류 전실 측으로 이송하는 계량작동단계이다. 이러한 계량작동중에 가소화 스크류는 계량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계량작동의 종료단계에 도달한 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캐비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이러한 캐비티를 향하는 체크링의 이동방향으로 가소화 스크류를 이동시키거나(작은 거리 만큼), 또는 가소화 스크류를 어느 방향으로나 이동시키지 않고 계량작동의 종료단계에 그대로 배치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캐비티로부터 체크링의 이동방향으로 가소화 스크류를 이동시킴으로서 소위 압축력감소가 이루어진다. 만약 이러한 압축력감소가 체크회전방향 S으로 가소화 스크류의 회전운동이 복귀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경우, 체크링의 전방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핫러너(hot runner)에서 압력이 어느 정도 감소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함으로서 체크링의 위치는 다시 '개방'위치에 놓일 수 있다. 만약 압축력감소가 체크회전방향 S으로의 복귀회전운동의 시간 Δt 중에 실행되는 경우 체크링 전후의 압력레벨은 더욱 빠르게 감소될 수 있다.
캐비티를 향하는 체크링의 이동방향으로의 가소화 스크류의 이동은 체크링이 체크회전방향 S로의 가소화 스크류의 순간적인 역회전운동으로 보다 신속히 폐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고도의 사출량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폐쇄노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계량회전방향과는 반대인 체크회전방향 S 로 가소화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서 역류방지장치의 상기 언급된 적극적인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가소화 스크류는 체크회전방향 S로 사전에 결정되거나 사전에 결정될 수 있는 주면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유리한 바, 사전에 결정된 주면회전속도인 경우 0.6 m/s 의 값이 유리하다.
그러나, 체크회전방향 S 로 가소화 스크류를 복귀회전운동시키는 정도는 다음과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 점에 관하여, 두 가지 '정지기준(shut-down criteria)'이 적합하다. 한편으로, 가소화 스크류 전실에서 용융플라스틱물질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압력이 가소화 스크류 전실에서 사전에 결정된 압력 Ps 보다 작거나 같은 압력으로 측정될 때까지 가소화 스크류를 체크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적당함 압력값은 예를 들어 10 바 이다. 그러나, 이러한 압력은 직접 측정될 수 없고 예를 들어 가소화 실린더의 영역에서 어떠한 구성요소의 변형도에 의한 것과 같이 압력에 비례하는 측정파라메타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복귀회전운동이 이루어지는 시간 Δt 를 간단히 사전에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에 관하여, 이러한 시간은 어떠한 경우이든 1초의 값을 초과할 수 없으며 그렇지 않으면 동체영역에 의하여 공급된 물질에서 가교현상(bridge formation)이 일어날 수 있다. 이들 두 가지 정지기준은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1초의 값은 예를 들어 부가적인 안전기준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출성형기의 캐비티측으로 용융플라스틱의 최종사출은 캐비티의 방향으로 가소화 실린더를 이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1: 역류방지장치, 2: 가소화 스크류, 3: 선단부, 4: 압력링, 5: 체크링, 6: 안내로, 7: 삽입부재, 8, 9: 벽, 10, 11: 평행연장부분, 12, 12': 유동통로, 13: 가소화 실린더, 14: 스크류 전실, 15: 통로, 16: 외벽, 17: 접촉면.

Claims (17)

  1. 선단부(3), 압력링(4), 및 선단부(3)와 압력링(4)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체크링(5)을 포함하고, 각각 체크링(5) 및 선단부(3)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7)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6)가 선단부(3) 또는 체크링(5)에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로(6)가 체크링(5)의 이동방향(V)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벽(8) 및 체크링(5)의 이동방향(V)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벽(9)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7)가 이에 상응하는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연장부분(10, 11)을 갖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2)용 역류방지장치(1)에 있어서, 모든 존재하는 안내로(6)에 부가하여 선단부(3)가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통로(12, 12')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3)를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부터 보았을 때, 존재하는 안내로(6)들 중 어떤 안내로도 배치되지 않은 각도영역(α)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유동통로(12)가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3)를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부터 보았을 때, 존재하는 안내로(6)들 중 하나의 안내로의 각도영역(β)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유동통로(12)가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3)가 적어도 두개의 부가적인 유동통로(12, 12')를 가지고, 선단부(3)를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부터 보았을 때, 존재하는 안내로(6)들 중 하나의 안내로의 각도영역(β)에 적어도 두개의 부가적인 유동통로 중 하나의 유동통로(12')가 배치되고 적어도 두개의 부가적인 유동통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유동통로(12)는 존재하는 안내로(6)들 중 어떤 안내로도 배치되지 않은 각도영역(α)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5. 가소화 실린더(13)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가소화 스크류(2)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역류방지장치(1)가 가소화 스크류(2)의 선단부(3)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6. 사출성형기의 캐비티 내로 용융플라스틱물질을 사출하는 방법에서 상기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역류방지장치(1)를 사용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역류방지장치(1)가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2)의 선단부(3)에 배치되되, 상기 가소화 스크류가 가소화 실린더(13)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게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사출공정에 앞서 계량작동중에 계량회전방향(D)으로 회전되고, 가소화 스크류(2)가 계량작동의 종료단계에 도달한 후에 계량회전방향(D)에 반대인 체크회전방향(S)으로 사전에 결정된 시간(Δt) 동안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스크류 전실(14)이 캐비티와 선단부(3)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크류 전실(14)에서 용융플라스틱물질의 압력이 측정되며 사전에 결정된 압력(Ps) 보다 낮거나 같은 압력이 측정될 때까지 가소화 스크류(2)가 체크회전방향(S)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스크류 전실(14) 내의 용융플라스틱물질의 압력이 상기 압력에 비례하는 측정파라메타에 의하여 측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사전에 결정되거나 사전에 결정될 수 있는 주면회전속도로 체크회전방향(S)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0.6 m/s 의 주면회전속도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체크회전방향(S)으로 회전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적어도 체크회전방향(S)으로의 회전운동의 시간(Δt) 중 일부의 시간 동안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 캐비티를 향하여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가소화 스크류(2)가 체크링(5)의 이동방향(V)으로 캐비티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사전에 결정된 시간(Δt)은 1초보다 적거나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사전에 결정된 압력(Ps)이 10 바임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KR1020120096051A 2011-09-09 2012-08-31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KR101507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297/2011 2011-09-09
ATA1297/2011A AT511617B1 (de) 2011-09-09 2011-09-09 Rückstromsperre für eine plastifizierschnecke einer spritzgiess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60A KR20130028660A (ko) 2013-03-19
KR101507643B1 true KR101507643B1 (ko) 2015-03-31

Family

ID=4766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051A KR101507643B1 (ko) 2011-09-09 2012-08-31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07643B1 (ko)
CN (1) CN102990880B (ko)
AT (1) AT511617B1 (ko)
DE (1) DE1020120153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632A2 (de) 2014-12-18 2016-07-15 Engel Austria Gmbh Verfahren und eine Simulationsvorrichtung zur Simulation einer fiktiven Konfiguration einer Formgebungsanlage
CN107553842B (zh) * 2017-10-13 2019-07-09 佛山市鹏威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注塑挤出头移块封闭式防逆装置
AT16962U1 (ko) * 2019-04-25 2021-01-15 Engel Austria Gmbh
CN112045931A (zh) * 2020-08-26 2020-12-08 广德滨瑞塑胶有限公司 一种双筒式汽车注塑配件注塑机
CN113752476A (zh) * 2021-10-08 2021-12-07 盐城友生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注塑机射胶头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8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다층 사출 성형기 및 성형 방법
KR20050036220A (ko) * 2003-10-15 2005-04-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역류 방지용 스크류 헤드세트
KR20070048198A (ko) * 2004-09-01 2007-05-08 크라우스-마파이 쿤스트쉬토프테히닉 게엠베하 사출성형 기계용 역류 방지 장치
JP2012040839A (ja) 2010-08-23 2012-03-01 Toyo Mach & Metal Co Ltd 発泡成形用射出成形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423A (ja) * 1985-07-19 1987-01-28 Ube Ind Ltd 射出成形機
JPS63260414A (ja) * 1987-04-17 1988-10-27 Toshiba Mach Co Ltd スクリュの逆流防止弁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
US5112213A (en) * 1991-02-26 1992-05-12 Van Dorn Company Driven ring-type non-return valve for injection molding
JP2777486B2 (ja) * 1991-05-29 1998-07-16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逆流防止装置
JPH07144349A (ja) * 1993-11-25 1995-06-06 Toshiba Mach Co Ltd スクリュの逆流防止弁
JP2004223955A (ja) * 2003-01-24 2004-08-12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の逆流防止装置
JP4434715B2 (ja) * 2003-12-12 2010-03-17 東芝機械株式会社 スクリュの逆流防止装置
JP4264427B2 (ja) * 2005-05-30 2009-05-20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計量方法
JP4887123B2 (ja) * 2006-11-14 2012-02-29 東芝機械株式会社 インラインスクリュ式射出成形機の逆流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8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다층 사출 성형기 및 성형 방법
KR20050036220A (ko) * 2003-10-15 2005-04-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역류 방지용 스크류 헤드세트
KR20070048198A (ko) * 2004-09-01 2007-05-08 크라우스-마파이 쿤스트쉬토프테히닉 게엠베하 사출성형 기계용 역류 방지 장치
JP2012040839A (ja) 2010-08-23 2012-03-01 Toyo Mach & Metal Co Ltd 発泡成形用射出成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11617B1 (de) 2013-01-15
CN102990880B (zh) 2016-01-27
DE102012015337B4 (de) 2017-05-11
CN102990880A (zh) 2013-03-27
AT511617A4 (de) 2013-01-15
KR20130028660A (ko) 2013-03-19
DE102012015337A1 (de)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643B1 (ko)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KR20180030473A (ko) 사출 성형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WO2009016315A3 (fr) Machine hydraulique comprenant des moyens d'injection d'un écoulement prélevé d'un écoulement principal
JPS58134287A (ja) 逆流止め装置
CA2984952C (en) Sequential coining
US7578952B2 (en)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resin in injection apparatus
WO2007096144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ünnwandigen kunststoff-formteilen
JP5794481B2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
US9090015B2 (en) Controller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7073776B (zh) 注射成型机
KR101199049B1 (ko)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JP2017056655A (ja) 射出成形機
Drummer et al. Expansion–injection–molding (EIM) by cavity near melt compression–About the process characteristic
CN110234485B (zh) 大零件注射成型设备和方法
CN105697899A (zh) 一种防止渗漏的铜镶件结构
JP6615040B2 (ja) シリンダ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ンダ成形方法
US9289934B2 (en) Control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15044392A (ja) スタックモールドが取り付けられた射出成形機の運転方法
CN207983907U (zh) 一种二次开模结构中热流道安全注塑机构
JP3643090B2 (ja) 射出成形機の逆流防止装置
KR101447066B1 (ko) 실딸림 현상을 방지하는 콜드 런너 타입 사출 성형기용 스프루 부시
KR20180001817U (ko) 원료연결유닛이 구비된 신발금형
JP3667298B2 (ja) 射出成形機の逆流防止装置
KR101322047B1 (ko) 언더컷 구조의 노즐팁을 구비한 오픈 게이트형 핫러너 사출금형장치
JP5832829B2 (ja) 射出成形機用射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