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541B1 - 단열필름 - Google Patents

단열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541B1
KR101507541B1 KR1020140085238A KR20140085238A KR101507541B1 KR 101507541 B1 KR101507541 B1 KR 101507541B1 KR 1020140085238 A KR1020140085238 A KR 1020140085238A KR 20140085238 A KR20140085238 A KR 20140085238A KR 101507541 B1 KR101507541 B1 KR 10150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cave portion
substrate
bonded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riority to KR102014008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41B1/ko
Priority to PCT/KR2015/006611 priority patent/WO20160068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Abstract

단열필름이 개시되며, 상기 단열필름은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층; 타면이 상기 제1 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1 일면기재; 및 일면이 상기 제1 층의 타면에 접합되는 제1 타면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일면기재의 타면 또는 상기 제1 타면기재의 일면에 의해 폐쇄되는 제1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단열필름{INSULATING FILM}
본원은 단열필름에 관한 것이다.
단열을 목적으로 하는 시트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542호에 "다기능 건축용 단열방수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열 시트는 발포시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정 두께 이하로 슬림하게 제조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발포 방식의 특성상 전체 면적에 걸쳐 단열성이 균일하게 확보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단열 시트는 단열성, 방수성 등 다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름 내지 시트가 다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로서, 시트로서의 일체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균일하면서도 높은 단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종래보다 훨씬 슬림하게 구비될 수 있는 단열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단열필름은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층; 타면이 상기 제1 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1 일면기재; 및 일면이 상기 제1 층의 타면에 접합되는 제1 타면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일면기재의 타면 또는 상기 제1 타면기재의 일면에 의해 폐쇄되는 제1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단열필름은 일면에 복수개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층; 및 타면에 복수 개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제2 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그 일면이 상기 제2 층의 타면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오목부 중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제2 오목부 중 하나는 일대일 결합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슬림한 필름 내에 밀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하면서도 높은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훨씬 슬림(slim)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단열필름은 컵 홀더, 건축 단열재, 의복(외투) 등 단열이 필요한 다양한 적용대상(application)들에 대하여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밀폐공간이 높은 단열성뿐만 아니라 부력까지 제공할 수 있어, 수영복 등과 같이 소정의 단열성, 부유력, 방수성 등이 함께 요구되는 제품에 대해서도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2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3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에 열에너지를 갖는 광을 조사하였을 때 광이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4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5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6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이하 '제1 단열필름'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사시도이다.
제1 단열필름은 제1 층(100),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를 포함한다.
제1 층(100)은 일면과 타면을 가진다. 참고로,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12시 방향을 향해 법선을 가지는 상면이 일면이고, 6시 방향을 향해 법선을 가지는 하면이 타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층(10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일면기재(101)는 그 타면이 제1 층(100)의 일면에 접합된다. 그리고 제1 타면기재(102)는 그 일면이 제1 층(100)의 타면에 접합된다. 이러한 제1 일면기재(101)와 제1 타면기재(102)는 제1 층(100)을 보호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제조방법 측면에서 제1 타면기재(102)는 제1 층(100)이 적층되는 기초가 되는 베이스층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제1 일면기재(101)는 후술할 제2 층(200)이 적층되는 기초가 되는 베이스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일면기재(101) 및 제2 타면기재(102)는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편평하고 플렉서블한 필름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제1 일면기재(101) 및 제 1 타면기재(102)는 높은 단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높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굴절률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는 100 미크론 내지 300 미크론 가량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층(100)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일면기재(101)와 제1 타면기재(102)는 제1 층(100)의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을 통해 제1 층(100)에 접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층(100)이 경화되면서 제1 층(100)을 구성하는 분자(입자)들이 제1 일면기재(101) 표면의 분자(입자)와 결합되고, 제1 타면기재(102) 표면의 분자(입자)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층(100)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100)이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가지면서 경화성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층(100),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 사이의 접합이 보다 견고하고 강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접착력 또는 점착력과 함께, 전술한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력이 함께 작용하여 층과 기재간 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점착성과 접착성의 개념 차이에 대해서는 제2 단열필름에 대해 설명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층(100)이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층(100)은 미경화 상태에서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와 접합된 후 완전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열필름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단열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 타면기재(102)의 일면에 타면이 접촉되도록 제1 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100) 및 제1 층(100)의 일면에 타면이 접촉되도록 제1 일면기재(101)를 적층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층(100)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층(100)은 자외선(UV), 적외선(IR) 및 열 조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의 레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진은 광 투과성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레진일 수 있다.
참고로, 완전 경화를 위해 레진에 투사되는 광은 장파장 자외선(UV)일 수 있으며,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갈륨 램프, LED 램프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장파장 자외선(UV)에 의하면 광 경화 뿐만 아니라 열 경화도 어느 정도 수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층(100)이 경화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S100 단계에서 제1 층(1)은 미경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S200 단계에서, 제1 층(100)은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와 접합된 상태에서 완전 경화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층(100)의 미경화 내지 완전 경화는 광 투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화를 위한 광은 제1 층(100)의 일면측 및 타면측에서 동시에 투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광 투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100 단계에서,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0)는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0)와 대응하는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몰드 또는 롤(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1 층(100)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S100 단계에서, 제1 타면기재(41)의 일면(상면) 상에 경화성 레진을 도포한 후,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몰드 또는 롤로 도포된 경화성 레진의 일면(상면)을 가압하여 제1 오목부(110)를 형성시키고, 그 직후 또는 제1 오목부(110)가 형성됨과 동시에 자외선 조사 등을 통해 경화성 레진을 바로 미경화시킴으로써 제1 오목부(110)가 그 함몰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경화는 제1 오목부(110)의 형상이 과도한 변형 없이 허용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경화가 진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경화는 향후 S200 단계에서 제1 층(1)이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와 접합되었을 때 제1 층(100)의 입자들이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의 입자들에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는 정도의 끈적임(부착력)이 남아 있는 정도의 경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미경화는 대상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임과 동시에 소정의 부착력이 잔존하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경화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몰드 또는 롤을 통해 가압함으로써, 제1 층(100)의 일면이 보다 평탄화될 수 있어, S200 단계에서 제1 층(100)과 제1 일면기재(101) 사이의 일체적 접합이 면 대 면으로 보다 치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S200 단계에서는 제1 층(1)이 그 일면은 제1 일면기재(101)와 접합되고, 그 타면은 제1 타면기재(102)와 접합된 상태에서 완전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층(100)이 제1 일면기재(101)의 타면 및 제1 타면기재(102)의 일면과 서로 엉겨붙음으로써 일체형으로 제1 단열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일체형이라 함은, 제1 단열필름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적층된 각 층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단열필름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허용치 이상의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각 층들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제1 밀폐공간(120)이 장시간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높은 단열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방수성도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완전 경화를 통해 층과 기재들이 자체적으로 일체형이 되므로, 별도의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져, 단열필름이 보다 슬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부가가 없어 구성이 간명하므로 제조가 용이해지는 측면도 있다.
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단열필름의 다른 구현예로서, 제1 층(100)과 제1 일면기재(101) 사이 및 제1 층(100)과 제1 타면기재(102)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접착층이 개재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층이라 함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은 제1 층(100)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110)에 접착물질이 침투(충진)되지 않도록, 분사에 의한 도포 방식보다는 롤 등에 의한 소정 두께의 코팅을 통한 도포 방식을 통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층과 기재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됨으로써, 층과 기재가 보다 높은 부착력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어, 층과 기재간의 일체성이 보다 높게 확보될 수 있다. 더욱이, 층과 기재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됨과 동시에, 제1 층(100)이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경화에 의한 분자(입자)간 결합력까지 더해지므로 층과 기재간의 결합 일체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나아가, 제1 층(100)이 경화성을 가지면서 점착력 또는 접착력까지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게 되면, 층과 기재간의 부착력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오목부(110)는 제1 일면기재(101)의 타면 또는 제1 타면기재(102)의 일면에 의해 폐쇄되는 제1 밀폐공간(120)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밀폐공간(120)에는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밀폐공간(120)에 충진되는 유체는 공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단열필름은 이러한 제1 밀폐공간(120)을 통해 높은 단열성을 확보한다. 또한, 제1 층(100)이 경화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미경화 후 완전 경화라는 단계적 공정을 통하여 복수개의 밀폐공간이 원하는 위치마다 규칙적으로 형성(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열필름은 균일한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경화성 레진과 같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100)의 제조에 이용되는 몰드나 롤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록부는 마이크로 비드(bead) 입자를 통해 미크론 단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 및 롤은 LCD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BLU)에 사용되는 확산시트 등의 광학필름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이렇게 미세한 비드 입자를 이용하여 제1 층(100)에 미크론 단위의 홈을 원하는 배열 규칙에 따라 함몰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슬림하면서도 높고 균일한 단열성을 갖는 제1 단열필름을 새롭게 창안하였다.
2014년 초반경의 비드 입자의 크기(반경)는 25 미크론 정도까지 상용화되어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10미크론 가량의 더욱 작은 반경을 갖는 비드 입자가 상용화될 예정에 있고, 그 이후 10 미크론 이하의 초소반경 비드 입자 또한 상용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1 오목부(110)의 함몰 깊이는 1000 미크론 미만의 미크론 단위로 매우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110)의 함몰 깊이의 최소값은 향후 10 미크론보다 더 작은 값으로 점차 작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제1 오목부(110)의 함몰 깊이의 범위(range)는 광학필름 제조시 사용되는 마이크로 비드(micro-bead)의 크기(반경)에 대응하는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오목부(110)의 함몰 깊이의 범위는 1 미크론 내지 1000 미크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000 미크론보다 큰 크기(반경)를 갖는 비드를 이용할 경우, 제1 오목부(110)는 1000 미크론보다 큰 함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110)는 함몰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제1 오목부(110)의 함몰된 곡면 형상은 제2 단열필름으로 복사되는 열이나 제2 단열필름으로 입사된 열에너지를 가진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킬 수 있는 형태의 곡면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오목부(110) 에 의해, 제2 단열필름을 통과하는 열 중 적어도 일부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오목부(110)는 그 두께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오목부(110)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제1 오목부(110)는 반원 단면이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원통을 반으로 쪼갠 형상)일 수 있다(후술할 도 13의 도면부호 11 또는 21 참조).
또한, 제1 밀폐공간(120)의 굴절률은 제1 층(100), 제1 일면기재(101) 및 제1 타면기재(102)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제1 밀폐공간(120)의 굴절률이 이웃하는 층 및 기재들의 굴절률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다수의 광 중 제1 굴절필름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광의 개수가 크게 증가될 수 있어, 광 반사를 통한 단열 효과까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밀폐공간(120)을 곡면 형상(특히 그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반원 형상인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1 밀폐공간(120)의 굴절률을 제1 층(100) 보다 작게 함으로써,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광이 효과적으로 굴절 또는 반사되는 광 경로가 구현될 수 있어, 제1 밀폐공간(120)을 통해 열이 차단됨에 따른 단열 작용에 열 반사에 의한 단열 작용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보다 높은 단열성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밀폐공간(120)은 높은 단열성뿐만 아니라 부력까지 제공할 수 있어, 제1 단열필름은 수영복 등과 같이 소정의 단열성, 부유력, 방수성 등이 함께 요구되는 제품에 대해서도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열필름은 제2 층(200) 및 제2 일면기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200)은 제1 일면기재(101)의 일면에 접합되고,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2 오목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일면기재(201)는 제2 층(200) 및 타면이 상기 제2 층의 일면에 접합된다.
이때, 제1 오목부(110)는 제1 층(100)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210)는 제2 층(200)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오목부(110)는 제1 층(100)의 타면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210)는 제2 층(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오목부(110)와 제2 오목부(21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거나 대칭적으로 함몰됨으로써,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광 경로가 보다 다각적(보다 다양한 굴절면 및 반사면)으로 구현될 수 있어, 보다 높은 단열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층(200) 및 제2 일면기재(201)의 구성은 제1 층(100) 및 제1 일면기재(101)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열필름은 전술한 제2 층(200) 및 제2 일면기재(201) 뿐만 아니라, 제3 층(300) 및 제3 일면기재(3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300)은 제2 일면기재(201)의 일면에 접합되고,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2 오목부(210)가 형성된다. 또한, 제3 일면기재(301)는 타면이 제3 층(300)의 일면에 접합된다.
이와 같이 제1 오목부(110), 제2 오목부(210) 및 제3 오목부(310)가 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도 1 내지 도 3 기준 상하 방향)으로도 다중(다층)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키는 광 경로가 보다 다각적(보다 다양한 굴절면 및 반사면)으로 구현될 수 있어, 보다 높은 단열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층(300) 및 제3 일면기재(301)의 구성은 제1 층(100) 및 제1 일면기재(101)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이하 '제2 단열필름'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 단열필름은 제1 층(1) 및 제2 층(2)을 포함한다.
제1 층(1)과 제2 층(2)은 각각 일면과 타면을 가진다. 참고로, 도 5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12시 방향을 향해 법선을 가지는 상면이 일면이고, 6시 방향을 향해 법선을 가지는 하면이 타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층(1)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층(2)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제2 오목부(21)가 형성된다.
또한 다른 구현예(제2 구현예)로서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제2 단열필름은 제1 층(1)의 타면에 접합되는 제1 기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단열필름은 제2 층(2)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2 기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제1 기재(41)와 제2 기재(42)는 제1 층(1)과 제2 층(2)을 보호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제조방법 측면에서 제1 기재(41)는 제1 층(1)이 적층되는 기초가 되는 베이스층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기재(42)는 제2 층(2)이 적층되는 기초가 되는 베이스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기재(41) 및 제2 기재(42)는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편평하고 플렉서블한 필름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제1 기재(41) 및 제 2 기재(42)는 높은 단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높은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굴절률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재(41) 및 제2 기재(42)는 100 미크론 내지 300 미크론 가량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1 기재(41) 및 제2 기재(42)는 이형필름과 같은 박리성 필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기재(41) 및 제2 기재(42)는 제1 층(1)와 제2 층(2) 간의 일체적 접합이 완료된 이후에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층(1)은 제2 층(2)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그 일면이 제2 층(2)의 타면에 접합된다.
제1 층(1)과 제2 층(2)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층(1)의 일면과 제2 층(2)의 타면은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을 통해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제1 층(1)과 제2 층(2)은 미경화 상태에서 상호 접합된 후 완전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열필름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 단열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 기재(41)의 일면에 타면이 접촉되도록 제1 층(1)을 형성하는 단계(S1), 제2 기재(42)의 타면에 일면이 접촉되도록 제2 층(2)을 형성하는 단계(S2), 그리고 제1 층(1)이 제2 층(2)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제1 층(1)의 일면을 제2 층(2)의 타면에 접합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1 단계는 S2 단계보다 앞서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테면 S1 단계는 S2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 S2 단계보다 늦게 수행될 수도 있다. S1 단계와 S2 단계가 모두 수행되고 나면 S3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층(1)과 제2 층(2)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층(1)과 제2 층(2)은 자외선(UV), 적외선(IR) 및 열 조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의 레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진은 광 투과성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레진일 수 있다.
참고로, 완전 경화를 위해 레진에 투사되는 광은 장파장 자외선(UV)일 수 있으며,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갈륨 램프, LED 램프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장파장 자외선(UV)에 의하면 광 경화 뿐만 아니라 열 경화도 어느 정도 수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층(1)과 제2 층(2)이 경화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S1 단계에서 제1 층(1)은 미경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S2 단계에서 제2 층(2)은 미경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S3 단계에서, 제1 층(1)과 제2 층(2)은 상호 접합된 후 완전 경화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층(1) 또는 제2 층(2)의 미경화 내지 완전 경화는 광 투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화를 위한 광은 제1 층(1) 또는 제2 층(2)의 일면측 및 타면측에서 동시에 투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광 투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1 단계에서,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는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와 대응하는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몰드 또는 롤(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1 층(1)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2 단계에서, 복수개의 제2 오목부(21)는 복수개의 제2 오목부(21)와 대응하는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몰드 또는 롤(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2 층(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S1 단계에서, 제1 기재(41)의 일면(상면) 상에 경화성 레진을 도포한 후,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몰드 또는 롤로 도포된 경화성 레진의 일면(상면)을 가압하여 제1 오목부(11)를 형성시키고, 그 직후 또는 제1 오목부(11)가 형성됨과 동시에 자외선 조사 등을 통해 경화성 레진을 바로 미경화시킴으로써 제1 오목부(11)가 그 함몰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S2 단계에서도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미경화는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의 형상이 과도한 변형 없이 허용 범위 이내로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경화가 진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경화는 향후 S3 단계에서 제1 층(1)과 제2 층(2)이 상호 접합되었을 때 제1 층(1)의 입자들과 제2 층(2)의 입자들이 서로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는 정도의 끈적임(부착력)이 남아 있는 정도의 경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미경화는 대상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임과 동시에 소정의 부착력이 잔존하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경화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몰드 또는 롤을 통해 가압함으로써, 제1 층(1)의 일면 및 제2 층(2)의 타면이 각각 평탄화될 수 있어, S3 단계에서 제1 층(1)과 제2 층(2)의 일체적 접합이 면 대 면으로 보다 치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S3 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층(1)과 제2 층(2)이 면 대 면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완전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층(1) 및 제2 층(2)의 상호 접합된 부분이 서로 엉겨붙음으로써 일체형으로 제2 단열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일체형이라 함은, 제2 단열필름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적층된 각 층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2 단열필름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허용치 이상의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각 층들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밀폐공간(3)이 장시간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높은 단열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방수성도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완전 경화를 통해 각 층들이 자체적으로 일체형이 되므로, 별도의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져, 단열필름이 보다 슬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부가가 없어 구성이 간명하므로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3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단열필름의 또 다른 구현예(제3 구현예)로서, 제1 층(1)과 제2 층(2) 사이에는 접착층(5)이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5)이라 함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착층(5)은 제1 오목부(11) 및 제2 오목부(21) 내에 접착물질이 침투(충진)되지 않도록, 분사에 의한 도포 방식보다는 롤 등에 의한 소정 두께의 코팅을 통한 도포 방식을 통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층(1)과 제2 층(2) 사이에 접착층(5)이 개재됨으로써, 제1 층(1)과 제2 층(2)이 보다 높은 부착력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어, 제1 층(1)과 제2 층(2)의 일체성이 보다 높게 확보될 수 있다. 더욱이, 층 사이에 접착층(5)이 개재됨과 동시에, 제1 층(1)과 제2 층(2)이 각각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층(1)의 일면과 제2 층(2)의 타면 각각은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을 통해 접착층(5)에 접합되어, 경화에 의한 분자(입자)간 결합력까지 더해지므로 층 간의 결합 일체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나아가, 제1 층(1) 및 제2 층(2)이 경화성을 가지면서 점착력 또는 접착력까지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게 되면, 층 간의 부착력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1) 및 제2 층(2)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가지면서 경화성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레진을 완전 경화시켜 제1 층(1) 및 제2 층(2)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단열필름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점착성이라 함은 끈끈하게 달라붙어서 점착력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점착성은 제1 기재(41)와 맞붙은 제1 층(1)을 제1 기재(41)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해 떼어내어도, 떼어낸 면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는 이상 그 끈끈함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성질이다. 즉, 점착성을 갖는 제1 층(1)을 제1 기재(41)으로부터 떼어낸 뒤 제1 기재(41)에 다시 맞붙이면 또 다시 서로 달라붙어 소정 이상의 일체성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점착성은 처음 접합할 때에만 끈끈함이 존재하고 떼어내면 끈끈함이 상실되어 다시 붙일 수 없게 되는 성질인 접착성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점착이라는 개념은 일체형 단열필름을 처음 제조하였을 때에만 접착력이 존재하고 제조가 완료된 후에 예상치 못한 외력에 의해 각 층들이 서로 벌어지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상실되어 다시 서로 접합되지 못하게 되는 접착, 부착 등과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통해 제1 층(1) 및 제2 층(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단열필름에 허용치를 초과하는 크기 및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 각 층들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예상치 못하게 발생되더라도, 상호 접합된 각 층들의 표면에는 계속적으로 끈끈함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분리된 층들이 다시 쉽게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필름이 보다 견고하게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어, 높은 단열성 및 방수성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단열필름 제조방법은 위 S1 내지 S3 단계 이후에, 제1 층(1)으로부터 제1 기재(41)를 제거하고, 제2 층(2)으로부터 제2 기재(42)를 제거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시적으로 제1 기재(41)와 제2 기재(42)는 박리성 필름일 수 있다. 박리성 필름은 이형성을 갖는 이형필름(release film)과 같이 박리성 필름의 표면에 접촉된 타 구성으로부터 분리되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박리성 필름은 실리카, 불소, 티타늄 등을 포함하는 표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박리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제1 기재(41) 및 제2 기재(42)는 제1 층(1) 또는 제2 층(2)이 미경화 또는 완전 경화된 이후에도 이렇게 미경화 또는 완전 경화된 제1 층(1) 또는 제2 층(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4 단계가 수행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재(41)와 제2 기재(42)가 제거된 단열필름(제2 실시예)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S4 단계가 수행되지 않으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재(41) 및 제2 기재(42)가 제거되지 않고 제1 층(1) 및 제2 층(2) 각각의 보호층 역할을 하는 단열필름(다른 실시예)이 제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1 오목부(11) 중 하나와 복수개의 제2 오목부(21) 중 하나는 일대일 결합하여 밀폐공간(3)을 형성한다. 이러한 밀폐공간(3)에는 유체가 충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밀폐공간(3)에 충진되는 유체는 공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열필름은 이렇게 제1 층(1)과 제2 층(2)의 일체적 접합을 통해 형성된 밀폐공간(3)을 통해 높은 단열성을 확보한다. 또한, 제1 층(1)과 제2 층(2)이 경화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미경화 후 완전 경화라는 단계적 공정을 통하여 복수개의 밀폐공간이 원하는 위치마다 규칙적으로 형성(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열필름은 균일한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경화성 레진과 같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층(1) 및 제2 층(2)의 제조에 이용되는 몰드나 롤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볼록부는 마이크로 비드(bead) 입자를 통해 미크론 단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 및 롤은 LCD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BLU)에 사용되는 확산시트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이렇게 미세한 비드 입자를 이용하여 제1 층(1) 또는 제2 층(2)에 미크론 단위의 홈을 원하는 배열 규칙에 따라 함몰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슬림하면서도 높고 균일한 단열성을 갖는 제2 단열필름을 새롭게 창안하였다.
2014년 초반경의 비드 입자의 크기(반경)는 25 미크론 정도까지 상용화되어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10미크론 가량의 더욱 작은 반경을 갖는 비드 입자가 상용화될 예정에 있고, 그 이후 10 미크론 이하의 초소반경 비드 입자 또한 상용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 각각의 함몰 깊이는 1000 미크론 미만의 미크론 단위로 매우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 각각의 함몰 깊이의 최소값은 향후 10 미크론보다 더 작은 값으로 점차 작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 각각의 함몰 깊이의 범위(range)는 광학필름 제조시 사용되는 마이크로 비드(micro-bead)의 크기(반경)에 대응하는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의 함몰 깊이의 범위는 1 미크론 내지 1000 미크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000 미크론보다 큰 크기(반경)를 갖는 비드를 이용할 경우, 제1 오목부(110)는 1000 미크론보다 큰 함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 각각은 함몰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 각각의 함몰된 곡면 형상은 제2 단열필름으로 복사되는 열이나 제2 단열필름으로 입사된 열에너지를 가진 광을 반사 또는 굴절시킬 수 있는 형태의 곡면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에 의해, 제2 단열필름을 통과하는 열 중 적어도 일부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오목부(11) 및 제2 오목부(21) 각각은 그 두께 방향(도 5, 도 8 및 도 10 기준 상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밀폐공간(3)을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은 원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 각각은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가 동일한 직경의 반구 형상이고, 서로 마주보며 접합되었을 때, 밀폐공간(3)은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오목부(11) 및 제2 오목부(21) 각각은 반원 단면이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원통을 반으로 쪼갠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밀폐공간(3)의 굴절률은 제1 층(1)과 제2 층(2)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오목부(11)와 제2 오목부(21)가 서로 대향하여 맞물려 형성되는 공간인 밀폐공간(3)의 굴절률이 이웃하는 제1 층(1) 및 제2 층(2)의 굴절률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다수의 광 중 제2 굴절필름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거나 굴절되는 광의 개수가 크게 증가될 수 있어, 광 반사를 통한 단열 효과까지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에 열에너지를 갖는 광을 조사하였을 때 광이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구체적인 제원을 살펴보면, 제1 층(1) 및 제2 층(2)은 1.57의 굴절률을 가지고, 밀폐공간(3)에는 공기가 충진(굴절률 1)된 것으로 설정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단열필름의 타면(도 11 기준 하면) 측에서 조사된 광들 중 상당수가 제2 단열필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굴절되거나 반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공간(3)을 곡면 형상(특히 그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밀폐공간(3)의 굴절률을 제1 층(1) 및 제2 층(2)의 굴절률보다 작게 함으로써,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광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굴절 또는 반사될 수 있어, 밀폐공간(3)을 통해 열이 차단됨에 따른 단열 작용에 열 반사에 의한 단열 작용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보다 높은 단열성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밀폐공간이 높은 단열성뿐만 아니라 부력까지 제공할 수 있어, 제2 단열필름은 수영복 등과 같이 소정의 단열성, 부유력, 방수성 등이 함께 요구되는 제품에 대해서도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4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5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필름의 제6 구현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단열필름의 제1 오목부(11) 및 제2 오목부(21)는 다각뿔 형상, 반원형 단면을 갖는 터널 형상, 다각형 단면을 갖는 터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오목부(11) 및 제2 오목부(21)의 함몰 형상은 복사열이나 열에너지를 가진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킬 수 있는 광 경로가 구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층 101: 제1 일면기재
102: 제1 타면기재 110: 제1 오목부
120: 제1 밀폐공간
200: 제2 층 201: 제2 일면기재
210: 제2 오목부 220: 제2 밀폐공간
300: 제3 층 301: 제3 일면기재
310: 제3 오목부 320: 제3 밀폐공간
1: 제 1층 11: 제1 오목부
2: 제2 층 21: 제2 오목부
3: 밀폐공간 41: 제1 기재
42: 제2 기재 5: 접착층(또는 점착층)

Claims (25)

  1. 단열필름에 있어서,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층;
    타면이 상기 제1 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1 일면기재; 및
    일면이 상기 제1 층의 타면에 접합되는 제1 타면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일면기재의 타면 또는 상기 제1 타면기재의 일면에 의해 폐쇄되는 제1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밀폐공간의 굴절율은 상기 제1 층, 상기 제1 일면기재 및 상기 제1 타면기재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인 단열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일면기재 및 상기 제1 타면기재는, 상기 제1 층의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을 통해 상기 제1 층에 접합되는 것인 단열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단열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미경화 상태에서 상기 제1 일면기재 및 상기 제1 타면기재와 접합된 후 완전 경화되는 것인 단열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1 일면기재 사이 및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1 타면기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접착층이 개재되고,
    상기 접착층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것인 단열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함몰된 곡면 형상인 것인 단열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의 함몰 깊이는 마이크로 비드(micro-bead)의 크기에 대응하는 깊이인 것인 단열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반원 형상인 것인 단열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반구 형상인 것인 단열필름.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면기재의 일면에 접합되고,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제2 층; 및
    타면이 상기 제2 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2 일면기재를 더 포함하는 단열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층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층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것인 단열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면기재의 일면에 접합되고, 일면 또는 타면에 복수개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제3 층; 및
    타면이 상기 제3 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3 일면기재를 더 포함하는 단열필름.
  14. 단열필름에 있어서,
    일면에 복수개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된 제1 층; 및
    타면에 복수개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된 제2 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층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그 일면이 상기 제2 층의 타면에 접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오목부 중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제2 오목부 중 하나는 일대일 결합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공간의 굴절률은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인 단열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의 일면과 상기 제2 층의 타면은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을 통해 상호 접합되는 것인 단열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단열필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고, 미경화 상태에서 상호 접합된 후 완전 경화되는 것인 단열필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개재되고,
    상기 접착층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것인 단열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경화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의 일면과 상기 제2 층의 타면 각각은 경화에 의한 분자간 결합을 통해 상기 접착층에 접합되는 것인 단열필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각각은 함몰된 곡면 형상인 것인 단열필름.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각각의 함몰 깊이는 마이크로 비드(micro-bead)의 크기에 대응하는 깊이인 것인 단열필름.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각각은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반원 형상이고,
    상기 밀폐공간을 두께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은 원 형상인 것인 단열필름.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각각은 반구 형상이고,
    상기 밀폐공간은 구 형상인 것인 단열필름.
  24. 삭제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타면에 접합되는 제1 기재; 및
    상기 제2 층의 일면에 접합되는 제2 기재를 더 포함하는 단열필름.
KR1020140085238A 2014-07-08 2014-07-08 단열필름 KR10150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238A KR101507541B1 (ko) 2014-07-08 2014-07-08 단열필름
PCT/KR2015/006611 WO2016006853A1 (ko) 2014-07-08 2015-06-29 단열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238A KR101507541B1 (ko) 2014-07-08 2014-07-08 단열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41B1 true KR101507541B1 (ko) 2015-03-31

Family

ID=5302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238A KR101507541B1 (ko) 2014-07-08 2014-07-08 단열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7541B1 (ko)
WO (1) WO201600685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48Y1 (ko) 2002-01-23 2003-02-19 정용석 투명 단열재
KR20090114089A (ko) * 2008-04-29 2009-11-03 한국이엔에쓰 주식회사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에어패널
CN102317065A (zh) 2008-09-15 2012-01-11 蒂恩塞玛尔巴利尔斯有限公司 热阻件材料
JP2012012803A (ja) 2010-06-30 2012-01-19 Lixil Corp 断熱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59B1 (ko) * 2010-07-29 2011-09-28 주식회사엑스엘 진공단열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48Y1 (ko) 2002-01-23 2003-02-19 정용석 투명 단열재
KR20090114089A (ko) * 2008-04-29 2009-11-03 한국이엔에쓰 주식회사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건축용 에어패널
CN102317065A (zh) 2008-09-15 2012-01-11 蒂恩塞玛尔巴利尔斯有限公司 热阻件材料
JP2012012803A (ja) 2010-06-30 2012-01-19 Lixil Corp 断熱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853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0188B2 (ja) マスターフィルム付きナノ構造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5776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建具
JP5662019B2 (ja) 光学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23824A (ko) 다층 밀봉 필름을 갖는 재귀반사성 용품
JP2013156554A (ja) 採光パネル、採光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80127392A (ko) 광학체, 창재 및 롤 커튼
TWI493235B (zh) 導光體及其製造方法
JP2007057866A (ja) 反射型巻取式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0669B2 (ja) 複合光学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07541B1 (ko) 단열필름
US20200073019A1 (en) Protective film for a lens of a sensor
JPH07225302A (ja) 機能性超微粒子を含む透明機能性膜、透明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67326A (ja) 光学結像装置の製造方法
US8840296B2 (en) Light guide plate with light entrance structure and manufa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26167A (ko) 뉴턴링 개선 복합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216601B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TWI457623B (zh) 隔熱光導膜結構及其裝置
KR101352055B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KR101209803B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JP2018040909A (ja) 光学部材及び窓材
KR101262885B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KR102030616B1 (ko) 재귀반사성 광학 시트
JP6337696B2 (ja) 光制御機能付合わせガラス
TW201234056A (en) Optical sheet
JP6776546B2 (ja) 光制御シート、およ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