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774B1 - 톱밥 난로 - Google Patents
톱밥 난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774B1 KR101505774B1 KR1020140034859A KR20140034859A KR101505774B1 KR 101505774 B1 KR101505774 B1 KR 101505774B1 KR 1020140034859 A KR1020140034859 A KR 1020140034859A KR 20140034859 A KR20140034859 A KR 20140034859A KR 101505774 B1 KR101505774 B1 KR 1015057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wdust
- combustion
- end part
- body portion
- en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the waste being burnt in a pit or arranged in a heap for combus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최대 화력을 높이면서도 화력 조절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연소를 소거할 수 있는 톱밥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연결된 연통부를 포함하는 톱밥 난로로서, 상기 몸체부는, 도넛형 분리판을 중심으로, 톱밥이 저장되고 연소되는 상단부와 연소된 톱밥이 떨어지고 연소열이 발산되는 하단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부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공을 구비하고, 둘 이상의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재치부가 상기 도넛형 분리판 위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재치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단부에 적재되는 톱밥이 연소되지 않고 하단부로 떨어지지 않으며, 동시에 둘 이상의 층이 이격되어 있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함으로써 톱밥 연소의 최대 화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소거부에 의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연소 상태를 선택적으로 소거하거나 유지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톱밥 난로를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연결된 연통부를 포함하는 톱밥 난로로서, 상기 몸체부는, 도넛형 분리판을 중심으로, 톱밥이 저장되고 연소되는 상단부와 연소된 톱밥이 떨어지고 연소열이 발산되는 하단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부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공을 구비하고, 둘 이상의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재치부가 상기 도넛형 분리판 위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재치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단부에 적재되는 톱밥이 연소되지 않고 하단부로 떨어지지 않으며, 동시에 둘 이상의 층이 이격되어 있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함으로써 톱밥 연소의 최대 화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소거부에 의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연소 상태를 선택적으로 소거하거나 유지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톱밥 난로를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톱밥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난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최대 화력을 높이면서도 화력 조절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연소를 즉시 소거할 수 있는 톱밥 난로에 관한 것이다.
목조 가구의 제조나 각종 산업 시설에서 발생하는 톱밥의 경우, 발생 시설에서는 쓰레기로 분류되어 처리되는 반면에,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톱밥을 연소시켜 난방 기구로 사용하는 톱밥 난로의 원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실1979-0002026)에는, 톱밥을 원통의 톱밥통(3)의 상면에 투입하고 통체(1)와 상기 톱밥통(3) 사이에 중앙공(4')이 천공된 내화판(4)을 장착하고 상기 중앙공(4') 위에 다수의 구멍(6')이 형성된 삿갓형 로스틀(6)을 재치하여 형성되는 톱밥 난로가 기재되어 있다(도 9 참조).
하지만, 상술한 선행문헌의 톱밥 난로를 비롯한 종래의 톱밥 난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삿갓형 로스틀(6)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6')을 통해서 그 위에 적재된 톱밥 중 일부가 연소되지 못하고 하단의 톱밥통(3)으로 떨어지는 문제점,
(2) 톱밥 난로는 한번 연소가 시작되면 톱밥통의 적재된 톱밥이 모두 연소될 때까지 연소가 멈추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연소를 멈출 수 없다는 문제점,
(3) 연료를 조절함에 따라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름 난로나 가스 난로와는 달리, 연소시 화력을 조절할 수 없어서 항상 최대 화력으로 연소될 수 밖에 없어 주변 상황에 맞는 연소 정도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 화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과 함께 이를 배출하는 공기의 유출이 원활해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선행특허문헌의 로스틀(6)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6'')) 보다 더 큰 공기 통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최대 화력을 높이면서도 화력 조절이 가능하며, 필요시 즉시 연소를 소거할 수 있는 톱밥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연결된 연통부를 포함하는 톱밥 난로로서, 상기 몸체부는, 도넛형 분리판을 중심으로, 톱밥이 저장되고 연소되는 상단부와 연소된 톱밥이 떨어지고 연소열이 발산되는 하단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부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공을 구비하고, 둘 이상의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재치부가 상기 도넛형 분리판 위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재치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단부에 적재되는 톱밥이 연소되지 않고 하단부로 떨어지지 않으며도, 둘 이상의 층이 이격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크고 원활하게 됨으로써 톱밥 연소의 최대 화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소거부에 의하여 간편하게 연소 상태를 선택적으로 소거하거나 유지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톱밥 난로를 구동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산열부를 통해서 연소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게 하여 더 높은 발열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톱밥 난로의 내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층 재치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연소 상태를 소거하는 연소 소거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소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톱밥 난로의 하단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산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톱밥 난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톱밥 난로의 내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층 재치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연소 상태를 소거하는 연소 소거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소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연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톱밥 난로의 하단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산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톱밥 난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1)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1)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10)를 가진다. 상기 몸체(10)는 톱밥이 상면을 통해서 투입되어 저장되는 상단부(10a)와 연소된 톱밥이 떨어지고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이 주변으로 발산되는 하단부(10b)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부(10a) 및 하단부(10b)는 하나의 원통형의 각 부분으로서 일체의 원통으로 형성된다. 일체의 원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접합 부분에서의 열 손실(방출)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톱밥 난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단부(10a)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공(100)을 구비한다. 상기 흡기공(100)은 연소에 사용되는 공기(산소)를 외부로부터 빨아들이는 기능을 한다. 또한, 최초 연소를 시작할 때 상기 흡기공(100)으로 불쏘시게(미도시) 등을 통해 불씨를 집어넣어 연소를 시작할 수 있다.
제2 개구부(150)은 하단부(10b)의 측면에 형성되어 하단부의 저면에 떨어지는 톱밥 연소 찌꺼기(재 등)를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개구부(150)를 개방함으로써 공기 흐름이 모두 연통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하여 공기 흐름을 방해하여 연소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게 될 연통부(20)의 연소 세기 조절부(210)와 유사한 기능으로서, 연소 세기 조절부(210)와 동시에 사용될 때 본 발명의 목적인 연소 세기 조절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몸체부(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113)는 이하 도 5 및 도 6에서 후술되듯이 흡기공(100)을 막아 공기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연소 상태를 원하는 시기에 즉시 소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소 소거부(3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1)는 개방된 상면을 덮는 뚜껑(50)을 구비할 수 있다. 뚜껑(50)을 통해 톱밥 난로(1)가 외부에 설치되었을 때 비나 이슬 등의 연소 저하 물질의 차단을 막을 수 있다.
연통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측면과 연결되어 톱밥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흡기공(100)을 통해서 들어온 공기를 연통부(20)의 연통 기둥(230) 또는 후술하게 될 연소 세기 조절부(210)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연통부(20)는 연직방향으로 신장된 연통 기둥(230)을 구비할 수 있다. 최초 연소 시작시 상기 연통 기둥(230)을 가열함으로써 초기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여 더 빠른 연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1)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톱밥 난로(1)의 내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의 상단부(10a)와 상기 하단부(10b)는 단면이 도넛 형상을 가지는 납작한 분리판(110)을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판(110)의 위측을 상단부로 하고 하측을 하단부가 된다. 분리판(110)은 몸체부(10)의 내부 둘레를 따라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11)에 의하여 지지된다. 분리판(110)은 상단부(10a)에 투입된 톱밥이 하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분리판(110)은 가운데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게 될 다층 재치부(120)가 상기 분리판(110)의 가운데에 올려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층 재치부(120)가 분리판(110)의 가운데에 정확히 올려질 수 있도록 분리판(110)의 상단에 복수의 고정편(1101)이 다층 재치부(120)의 외주면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층 재치부(12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층 재치부(120)는 둘 이상의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적층되어 형성된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본 발명의 목적에서도 기술하였듯이, 흡기공(100)을 통해서 들어온 공기(산소)가 몸체부의 하단부(10b)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더 넓은 공기 통로가 필요하다. 상기 다층 재치부(120)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이격된 공간 사이로 공기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최대 연소 화력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단부(10a)에 저장된 톱밥이 하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다층 재치부를 구성하는 둥근 태 형상의 판은 상단 방향(윗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둘 이상의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상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 판의 내주면의 지름과 상측 판의 외주면의 지름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5 개(1201,1202,1203,1204,1205)의 둥근 태 형상의 판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판(1201)의 내주면의 반지름(l1)은 바로 위에 위치한 판(1202)의 외주면의 반지름(L2)과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판(1202)의 내주면의 반지름(l2)은 그 위 판(1203)의 외주면(L3)의 반지름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위에서 볼 때 수직 방향으로 톱밥이 떨어지지 않도록 빈틈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가장 상단에 위치하는 둥근 태 형상의 판(1205)의 가운데 개구을 막기 위하여 밀폐부(120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연소 상태를 소거하는 연소 소거부(3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연소 소거부(30)는 띠 형상을 가지고 상술한 환형 돌출부(113)에 재치된다. 상기 연소 소거부(30)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흡기공(100)에 밀착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톱밥 난로 내에서의 연소를 소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 소거부(30)는 띠 형상의 중간이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소정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몸체부의 둘레에 고정시킨 이후 연결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연소 소거부(30)가 흡기공(1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나사(320)는 띠 형상의 중간에 절단된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310)를 통해서 연소 소거부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보다 바람직한 연소 소거부의 또 다른 실시예(30')를 나타낸다.
연소 중의 톱밥 난로의 외부는 매우 뜨겁기 때문에 연소 소거부를 흡기공에 밀착시키는 작업은 작업자에게 있어서 매우 곤란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연소 소거부(30')는 상기 흡기공(100)의 개구 위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301)을 구비하고, 상기 연소 소거부(30')가 환형 돌출부(110)에 재치된 상태로 몸체부(10)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6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연소 소거부(30')에 형성된 구멍(301)이 몸체부의 흡기공(100 - 점선 표시)과 일치할 때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연소 상태를 소거할 때는 연소 소거부(30')를 회전시켜 흡기공(100)으로의 공기 유입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소 소거부(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연통(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통(20)은 원통 형상을 가지지만 사각형이나 삼각형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통(20)은 하단에 제1 개구부(2101)를 포함하는 연소 세기 조절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연소 세기 조절부(210)는 손잡이(2105)가 구비된 덮개부(2103)를 이동시켜 상기 제1 개구부(2101)의 개구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소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래 연통의 연통 기둥(230)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또 다른 공기 배출구(제1 개구부(2101))를 형성함으로써 공기 흐름을 줄여 연소 화력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화력이 너무 강하다면 연소 세기 조절부(210)의 제1 개구부(2101)를 개방함으로써 화력을 낮출 수 있다.
도 8은 톱밥 난로의 하단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산열부(17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몸체부의 하단부(10b)는 원반형의 산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반형의 산열부(170)는 상단부(10a)에서 발생하는 연소 열이 하단부(10b)로 전달될 때 열의 방사 방향을 난로의 전방향에 걸쳐서 고르게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열의 발산 방향 정도에 따라서 상기 산열부(170)는 원반형의 형상 외에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170') 및 오목한 형상(17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산열부(170)는 몸체부의 하단부(10b)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이 열의 발산에 있어서 보다 유리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톱밥 난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톱밥 난로 10:몸체부
10a:상단부 10b:하단부
100:흡기공 110:분리판
111:돌출부 1101:고정편
113:환형 돌출부 120:다층 재치부
150:제2 개구부 170:산열부
20:연통부 210:연소 세기 조절부
2101:제1 개구부 2103:덮개
2105:손잡이 230:연통 기둥
30:연소 소거부 301:구멍
302:손잡이 310:연결부
320:연결 나사 50:뚜껑
10a:상단부 10b:하단부
100:흡기공 110:분리판
111:돌출부 1101:고정편
113:환형 돌출부 120:다층 재치부
150:제2 개구부 170:산열부
20:연통부 210:연소 세기 조절부
2101:제1 개구부 2103:덮개
2105:손잡이 230:연통 기둥
30:연소 소거부 301:구멍
302:손잡이 310:연결부
320:연결 나사 50:뚜껑
Claims (6)
- 상면이 개방된 원통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연결된 연통부를 포함하는 톱밥 난로로서,
상기 몸체부는, 도넛형 분리판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체의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부는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흡기공을 구비하고,
둘 이상의 가운데 둥근 태 형상의 판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재치부가 상기 도넛형 분리판 위에 재치되며,
상기 다층 재치부는 하측 판의 내주면의 지름과 상측 판의 외주면의 지름은 동일하고,
상기 연통부는 제1 개구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서 톱밥 난로의 연소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소 세기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는 원반형의 산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반형의 산열부는 상기 하단부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환형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흡기공에 밀착되어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띠 형상의 연소 소거부가 상기 환형 돌출부에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소거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흡기공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연소 소거부가 몸체부의 둘레를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 유입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난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859A KR101505774B1 (ko) | 2014-03-25 | 2014-03-25 | 톱밥 난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859A KR101505774B1 (ko) | 2014-03-25 | 2014-03-25 | 톱밥 난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5774B1 true KR101505774B1 (ko) | 2015-03-25 |
Family
ID=5302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4859A KR101505774B1 (ko) | 2014-03-25 | 2014-03-25 | 톱밥 난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77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790002026Y1 (ko) * | 1978-09-25 | 1979-12-10 | 박명제 | 톱밥 난로의 내화장치 |
KR20120139053A (ko) * | 2011-06-16 | 2012-12-27 | 성문경 | 보일러 |
KR101372399B1 (ko) | 2013-09-09 | 2014-03-10 | 유상범 | 공기 흐름이 개선된 난로 |
-
2014
- 2014-03-25 KR KR1020140034859A patent/KR101505774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790002026Y1 (ko) * | 1978-09-25 | 1979-12-10 | 박명제 | 톱밥 난로의 내화장치 |
KR20120139053A (ko) * | 2011-06-16 | 2012-12-27 | 성문경 | 보일러 |
KR101372399B1 (ko) | 2013-09-09 | 2014-03-10 | 유상범 | 공기 흐름이 개선된 난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53198B2 (en) | Non-gas fire pit | |
US11092342B2 (en) | Non-gas fire pit | |
US8006686B2 (en) | High efficiency combustion stove | |
KR20190037854A (ko) | 펠릿 난로 | |
CN108730990A (zh) | 利用水和燃烧空气的热分解的混合式燃烧装置 | |
CA2885464A1 (en) | Wood-burning fire pit apparatus with air flow member | |
KR101505774B1 (ko) | 톱밥 난로 | |
WO2009099404A2 (en) | High efficiency combustion stove | |
US4502464A (en) | Stove | |
US3881870A (en) | Effluent control apparatus | |
CN210219785U (zh) | 一种垃圾焚烧炉 | |
JP6888786B2 (ja) | 小型焼却溶融炉 | |
KR101189049B1 (ko) | 펠릿 연소용 로스터 | |
TW201943449A (zh) | 過濾器再生裝置 | |
KR102106463B1 (ko) |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 |
KR102480858B1 (ko) | 연소공기 재순환형 소각장치 | |
RU199243U1 (ru) | Топочный узел котла отопления | |
JP2012149166A (ja) | 炭化物生成方法及び塵芥処理方法 | |
KR20110088905A (ko) | 고형물질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 |
CN107940465B (zh) | 一种化工垃圾焚烧炉 | |
JP3015866B2 (ja) | 焼却装置 | |
US794041A (en) | Heat-reflector. | |
AU2004100322A4 (en) | Device to drop oxygen volume contained in the smoke from an incinerator | |
KR101748561B1 (ko) | 폐기물 소각장치 | |
JP2023013582A (ja) | 燃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