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463B1 -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463B1
KR102106463B1 KR1020180131487A KR20180131487A KR102106463B1 KR 102106463 B1 KR102106463 B1 KR 102106463B1 KR 1020180131487 A KR1020180131487 A KR 1020180131487A KR 20180131487 A KR20180131487 A KR 20180131487A KR 102106463 B1 KR102106463 B1 KR 10210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solid fuel
combustion plate
combus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셀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고체연료 연소기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는, 고체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 본체 및 상기 연소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소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연소부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복수개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원형의 연소판 및 상기 연소판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높이고 장치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SOLID FUEL COMBUSTOR HAVING DETACHABLE COMBUSTION PLATE}
본 발명은 고체연료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하여 연소재(cinder) 처리시 사용자의 편리성 및 장치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체연료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보일러, 난로 또는 온풍기 등의 난방장치의 연료로는 주로 전기, 가스 또는 기름(oil)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연료들은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쉽게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 연료비에 대한 부담이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매우 저렴한 펠릿(pellet) 또는 목재칩 등의 고체연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펠릿 등의 고체연료는 칡넝쿨, 나무 등의 식물이나 목재 폐기물 등을 톱밥과 같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한 뒤, 이를 건조시켜 작고 일정한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압축시킨 것이다. 이러한 고체연료는, 별도의 접착제가 첨가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연료로 사용한 뒤 생성되는 연소재는 논이나 밭의 퇴비로 재활용할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고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는 버너 타입 또는 도가니 타입 등의 고체연료 연소기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통상의 고체연료 연소기들은 연소공간 내에 고체연료가 공급하고 공기를 유입시킨 후, 점화하여 고체연료를 연소시킨다. 연소되고 나면, 연소공간 내에는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재의 일부가 축적된다. 축적된 연소재에 의해 연소공간 내에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연소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연소재의 처리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235호)은 연소판에 잔존하는 펠릿 재를 용이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구비하는 펠릿 보일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소공간 내에서 고체연료가 연소될 때, 연소가 진행되는 환경 및 재료에 포함된 성분에 따라 완전 연소되거나, 또는 불완전 연소될 수 있다. 완전히 연소된 연소재는 연소판에 점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선행기술의 브러쉬로 펠릿 재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저품질의 펠릿을 사용하거나 연소시 연소공간 내에 공기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연소재와 함께 슬러지(sludge)가 생성될 수 있으며, 연소재와 엉킨 슬러지는 연소판에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와 엉켜 연소판에 융착된 연소재는 연소판에 불균일한 표면층을 형성하여, 이들의 처리를 위해 연소케이스 내에 배치되었던 연소판을 꺼내기가 어려워지면서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슬러지를 포함하는 연소재의 융착으로 인해 연소판이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 연소재와 슬러지가 융착된 연소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장치의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235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고체연료 연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연소재와 슬러지가 융착된 연소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고체연료 연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소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소판에 슬러지를 포함한 연소재가 융착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체연료 연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체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고체연료가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연소부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연소기로서, 상기 연소부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복수개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원형의 연소판 및 상기 연소판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에는 상기 연소판을 끼움장착하는 돌출테가 내측벽에 배치된 끼움홀이 구비되며, 상기 연소판은 외주면을 따라 상기 돌출테와 접촉되는 오목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은 상기 고체연료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은 서로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부는 상기 연소판의 탈착을 위해 상기 연소판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연소판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를 수용하는 손잡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는 연소판에 융착된 연소재 및 슬러지의 제거를 위해 연소부로부터 연소판을 탈착시켜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이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연소판을 포함하는 연소부는 고장시 연소부 전체의 교체가 수반되는 반면,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는 연소판만을 교체하고 연소부의 다른 구성부품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는 손잡이 및 손잡이홈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연소판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어, 관련분야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는 연소판 전체의 재질을 달리하거나 또는 연소판의 표면에 연소재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층에 구비하여, 연소판의 교체 횟수를 줄이고 연소기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가 연소기 하부에 배치된 고체연료 연소기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가 연소기의 외부로 이송된 상태의 고체연료 연소기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판이 베이스 기판에 장착된 연소부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연소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판이 베이스 기판에서 탈착된 상태의 연소부를 도시화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및 손잡이홈이 구비된 연소부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연소판의 탈착이 가능하지 않은 연소부에 연소재 및 슬러지가 융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제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고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고체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고체연료가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연소부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연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소부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복수개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원형의 연소판 및 상기 연소판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가 연소기 본체 하부에 배치된 고체연료 연소기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는 펠릿 버너 형태 타입의 연소기일 수 있다.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는 크게 고체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 본체 및 연소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소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는, 원통 형상의 연소용기(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소용기(110)는 다수의 고체연료가 유입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연소용기(110) 내에서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되어 열, 연기 및 연소재 등이 생성된다. 상기 연소용기(110)는 연소열을 견딜 수 있는, 철(Fe), 알루미늄(Al) 또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연소용기(110)의 상부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연소용기(110)에서 생성되는 열 및 고온의 연기성 가스 등을 이와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로 배출/전달하는 하나의 화염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용기(110)의 상부에는 상기 화염구(120)를 중앙에 배치하는 도넛 형상의 상판(115)이 배치되며, 상기 상판(115)에는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서 발생되는 열 및 화력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어수단(미도시) 및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서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미도시)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소기 본체(100) 내에서 생성되어 상기 화염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화염과 연소가스는 상기 연소용기(11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열매체를 가열하는 열매체장치(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난방수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버너와 같은 다양한 난방장치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연소용기(110)의 일측에 상기 연소용기(11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된, 다수의 고체연료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연료공급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체연료는 통상의 스프링 스크류(spring screw)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공급부(130)에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부(130)는 일반적인 펠릿 등의 고체연료가 투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부(130)의 개구영역을 미사용시 덮어두는 별도의 덮개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연소용기(110)의 타측에 상기 연소용기(11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된, 점화히터 하우징(14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점화히터 하우징(140)을 통해 상기 연소용기(110) 내에 공급된 고체연료를 점화시켜 이를 연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점화히터 하우징(140)은 공지된 점화히터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점화히터 하우징(140)은 전기열풍 점화기 또는 전기 점화봉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연소용기(110)의 타측에 상기 연소용기(11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된, 광센서 하우징(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 하우징(150)은, 연소용기 내 점화상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점화 불꽃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센서 하우징(150)은, 예를 들어, 황화카드뮴 센서(cadmium sulfide sensor, CDS)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연소용기(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용기(110) 내에서 고체연료의 점화 또는 연소 완료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점화확인창(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화확인창(160)은 상기 연소용기(110)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타측에는 사용자가 점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시 열 또는 빛의 세기에 의해 눈이 손상되지 않는 보호유리창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방화벽(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화벽(170)은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열 손실율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에서,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연소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소부(200)는 일측에 상기 고체연료가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소부(200)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복수개의 에어홀(215)을 포함하는 원형의 연소판(210) 및 상기 연소판(210)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2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소부(200)는 연소재 처리 등을 위하여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 및 연소기의 외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소기 본체(100) 및 상기 연소부(200)는 미세한 폭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소판(210)은 상기 연소기 본체(100)에 공급된 고체연료가 배치되는 장소로, 상기 고체연료는 상기 연소판(210) 위에서 연소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연소판(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홀(215)은 상기 연소판(210)에 배치된 고체연료가 원활하게 연소되도록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공급부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에어홀(215)은 상기 고체연료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연소판(210)에는 다수의 고체연료가 위치하므로, 각각의 고체연료가 상기 에어홀(215)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다수개의 에어홀(215)로부터 외부 공기를 공급받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연소판(210)은 상기 베이스 기판(230)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230)은 상기 연소판(210) 위에서 고체연료의 연소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연소판(210)을 상기 연소기 본체(100) 하부에 배치되도록 지지시키며, 연소 후에는 뜨거워진 상기 연소판(210)이 상기 연소기로부터 분리되어 연소기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의 연소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연료공급부(130)를 통해 유입된 고체연료는 상기 연소용기(110)를 거쳐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된 연소부(200)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상기 연소부(200)의 상부면에 위치된 고체연료는 점화센서 등을 통해 점화되고, 상기 연소부(200)에 위치된 상태로 연소된다. 완전연소에 의해 미세한 입자크기의 분진으로 형성된 연소재는 연소시 연소연기나 연소재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미도시) 또는 풍량과 풍압이 적정하게 공급되는 팬(fan) 등에 의해 연소기 외부로 배출되어 연소실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입자 크기가 큰 연소재나 불완전연소에 의한 슬러지가 생성된 연소재 등은 연소기 본체(100)의 바닥면, 즉, 상기 연소부(200)의 상부면에 잔류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연소기의 외부로 상기 연소부(200)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연소부에 축적된 연소재 및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들을 제거해야, 다음 연소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가 연소기의 외부로 이송된 상태의 고체연료 연소기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부(200는 상기 연소기 본체(100)와 미세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어 있어, 간섭없이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연소기의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연소부(200)는 미세한 이격공간 사이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되도록 수평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연소기의 외부로 이송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소부(200)가 상기 연소기 본체(100)를 지나 상기 연소기 외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소부(200)에 축적된 연소재의 일부는 상기 연소부(200) 하부에 배치된 재받이통(미도시)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에어홀(215) 내에 축적된 연소재나 재받이통으로 떨어지지 못하고 상기 연소판(210) 위에 잔류하는 연소재 및 연소재를 포함하는 슬러지 등은 연소기 외부에서 사용자가 직접 처리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고체연료 연소기는 연소판(210)에 융착되거나 상기 에어홀(215) 내 축적된 연소재 및 슬러지의 처리를 위해 연소부(200) 전체가 아닌 연소부(200)로부터 연소판(210)만을 탈착시켜 처리할 수 있어, 처리과정 및 관리가 용이하다. 이러한 연소판(210)의 탈착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230)에는 상기 연소판(210)을 끼움장착하는 돌출테(235)가 내측벽에 배치된 끼움홀(233)이 구비되며, 상기 연소판(210)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돌출테(235)와 접촉되는 오목부(213)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판이 베이스 기판에 장착된 연소부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소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소부(200)는 원형 형상으로, 표면에 복수개의 에어홀(215)이 구비된 연소판(210) 및 상기 연소판(210)이 장착된 베이스 기판(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상기 연소부(200)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판(210)에는 상기 연소판(210)의 외주면을 따라 오목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230)은 중앙에 원형 형상의 끼움홀(233)이 구비된 사각 형상의 기판으로, 상기 끼움홀(233)이 형성된 내측벽에는 돌출테(235)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끼움홀(233)의 최대 직경은 상기 연소판(210)의 최대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소판(210)의 오목부(213)와 상기 베이스 기판(230)의 돌출테(235)는 서로 접촉되어 일정 두께를 갖는 하나의 평면을 갖도록 맞물리게 되면서, 상기 연소판(210)이 상기 돌출테(23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연소판(210)이 상기 베이스 기판(230)의 끼움홀(233)에 끼움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판이 베이스 기판에서 탈착된 상태의 연소부를 도시화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에 끼움장착된 상기 연소판(210)은 상기 베이스 기판(23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여 상기 연소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판(210)은 상기 베이스 기판(230)의 돌출테(233)에 상기 연소판(210)의 오목부(213)가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면서 상기 베이스 기판(230)에 끼움 장착된 것으로, 별도의 간섭해제 없이 상기 연소판(210)을 상기 베이스 기판(23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탈착방법으로는, 도 2와 같이, 상기 연소부(200)를 상기 연소기 외부로 이송시킨 이후에, 상기 연소부(200)를 일측으로 뒤집으면 상기 연소판(210)이 자연적으로 탈착되어 베이스 기판(230)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소판(210)의 일측에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해 상기 연소판(210)을 상기 베이스 기판(230)으로부터 탈착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소판(210)의 복수개의 에어홀(215)에 수용된 상태로 구비된 고리형 손잡이를 통해 상기 연소판(210)만을 들어올려 상기 연소판(210)을 탈착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연소판(210)에 구비되는 손잡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는 연소 후 상기 연소부(2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연소재의 처리를 위하여,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 또는 상기 연소기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소부(2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송처리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부(200)의 일측에,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230)의 일측에 이송처리부(250)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처리부(250)는 상기 베이스 기판(230)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30)을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래크 기어(rack gear)(251)와 일측에 정회전 및 역회전 감속모터(255)에 의해 회전운동하며 상기 래크 기어(251)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25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처리부(250)의 기어들은 공지된 기어들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래크 앤드 피니언 스티어링 기어(rack and pinion steering gear)에 정회전 및/또는 역회전 감속모터를 장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처리부(250)에 의해 상기 연소부(200)는 연소완료시 연소재의 처리를 위해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의 외부로 이송되고, 연소진행을 위해 상기 연소기 본체(100) 하부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소부(20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주기적인 시간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은 서로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소판은 상기 고체연료가 위치하여 연소되기 때문에 상기 고체연료 연소기 내에서 가장 열원이 집중되는 영역으로, 장시간 연소에도 연소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내열성 및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소판은 연소 후 연소재 및 연소재를 포함하는 슬러지 등이 융착되는 영역이기도 하므로, 연소재 및 슬러지 등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거나, 융착이 되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연소판은 내열성 고분자, 금속 또는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반면, 상기 연소부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연소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으로 작용하므로 상기 연소판에 비해 열원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며, 연소재가 생성되어 축적되지 않아 상기 연소판과 다른 소재로 형성하여 자이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은 탈착가능한 연소판이 손상으로 교체되는 것과 달리, 손상확률이 낮고 교체가능성이 적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소재가 강도 및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은 철(Fe),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은 종래의 연소판의 탈착이 가능하지 않은 연소부에 연소재 및 슬러지가 융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제 이미지로, 종래의 연소판 및 베이스 기판이 일체로 형성된 연소부는 슬러지 등의 융착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연소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며, 연소재 처리시 연소로 인해 높은 온도로 달궈져 있으며 무게감이 있는 연소부 전체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과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소부를 구성하는 연소판을 탈착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연소재 융착에 따른 손상가능성이 낮은 재질로 구성하여 고체연료 연소기 장치 관리의 편이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리나 교체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베이스 기판은 지지 기판으로의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장치 관리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판의 표면은 불연소된 연소재의 융착을 방지하는 코팅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층은 내열성 고분자, 강화유리 및 탄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라믹 재료 및/또는 내열성이 높은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판은 고체연료가 연소되면서 생성되는 연소재 및 연소재를 포함하는 슬러지 등이 융착하는 영역으로 이러한 융착을 방지하는 코팅층을 표면에 구비하여 연소재 및 슬러지의 융착으로 인한 연소판의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융착된 연소재 및 슬러지에 의해 복수개의 에어홀이 폐구되어 상기 연소판에 위치한 교체연료에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아,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내열성 고분자, 강화유리 및 탄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라믹 재료 및/또는 내열성이 높은 금속 재료는 상기 연소판에 위치하는 고체연료가 연소시 연소용기 내부의 온도가 1000℃ 이상까지 올라가므로, 이러한 연소 온도를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물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소부(200)는 상기 연소판(210)의 탈착을 위해 상기 연소판(210)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손잡이(217) 및 상기 연소판(210)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217)를 수용하는 손잡이홈(219)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및 손잡이홈이 구비된 연소부를 도식화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소판(2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에어홀(215) 중에서 임의의 2개의 에어홀(215)에 고리 형상의 손잡이(217)의 말단부가 각각 끼움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고리 형상의 손잡이(217)는 두 개의 말단부가 일정 폭을 유지하며 연결된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말단부는 해당 에어홀을 관통하여 에어홀(215)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217)는 상기 연소판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217)는 상기 연소부(200)가 상기 연소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었을 때는 상기 연소판(210)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소부(200)가 연소기 외부로 이송시 상기 연소기 본체(100) 및 상기 연소부(200) 사이의 이격공간을 간섭없이 잘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소기가 외부로 이송된 이후에 상기 손잡이(217)에 사용자의 손이나 걸림부재 등을 끼워 넣어 상기 고리 형상의 손잡이(217)를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손잡이(217)가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연소판(210)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말단부 끝에는 상기 에어홀(215)의 직경보다 큰 크기의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리 형상의 손잡이가 사용자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에 상기 손잡이(217)를 따라 상기 연소판(210)이 상기 베이스 기판(230)으로부터 탈착될 때 상기 연소판(21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손잡이(210)가 상기 에어홀(2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연소기 본체 110: 연소용기
115: 상판 120: 화염구
130: 연료공급부 140: 점화센서 하우징
150: 광센서 하우징 160: 점화확인창
170: 방화벽 200: 연소부
210: 연소판 213: 오목부
215: 복수개의 에어홀 217: 손잡이
219: 손잡이홈 230: 베이스 기판
233: 끼움홀 235: 돌출테
250: 이송처리부 251: 래크 기어
253: 피니언 기어 255: 감속모터

Claims (5)

  1. 고체연료를 수용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고체연료가 위치되며, 상기 고체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연소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송처리부를 포함하는 고체연료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상기 고체연료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천공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에어홀이 형성된 원형의 연소판; 및
    상기 연소판을 끼움 장착하는 돌출테가 내측 벽에 배치된 끼움홀이 구비되어 상기 연소판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연소판과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소판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테와 접촉되는 오목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처리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에 연결되어 래크 기어(rack gear)와,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고, 상기 래크 기어와 기어 결합하여 베이스 기판을 직선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베이스 기판 및 연소판을 연소부 외부로 이송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 연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상기 연소판의 탈착을 위해 상기 연소판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연소판의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를 수용하는 손잡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KR1020180131487A 2018-10-31 2018-10-31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KR102106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87A KR102106463B1 (ko) 2018-10-31 2018-10-31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87A KR102106463B1 (ko) 2018-10-31 2018-10-31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463B1 true KR102106463B1 (ko) 2020-05-06

Family

ID=7073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87A KR102106463B1 (ko) 2018-10-31 2018-10-31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35B1 (ko) 2012-06-11 2014-03-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20160001617U (ko) * 2014-11-06 2016-05-16 김광철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160059672A (ko) *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화로대
KR20160092609A (ko) * 2015-01-28 2016-08-05 이원종 벽난로용 로스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35B1 (ko) 2012-06-11 2014-03-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20160001617U (ko) * 2014-11-06 2016-05-16 김광철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160059672A (ko) *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화로대
KR20160092609A (ko) * 2015-01-28 2016-08-05 이원종 벽난로용 로스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111B1 (ko) 펠릿 보일러
KR20190037854A (ko) 펠릿 난로
US20070137537A1 (en) High efficiency cyclone gasifying combustion burner and method
JP5631169B2 (ja) 有価金属回収装置
EP3936764A1 (en) Pellet combustion heater with self-regulating automatic reload
KR101184227B1 (ko) 친환경 고체연료를 이용한 송풍기
KR101409989B1 (ko) 펠릿 난로
CN110848710A (zh) 一种光热医疗垃圾焚烧炉
KR102106463B1 (ko) 탈착가능한 연소판을 구비한 고체연료 연소기
KR101329295B1 (ko) 우드 펠릿 보일러
KR101224417B1 (ko) 펠릿 난로
EP1843091B1 (en) A solid fuel burner unit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 combustion chamber
KR20130000688U (ko) 연소효율이 향상되고 수리 및 청소가 용이한 연소장치
JP6694299B2 (ja) 焼却炉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0484682Y1 (ko) 고체연료 난로용 노즐
KR101346870B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KR101621511B1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KR101628634B1 (ko) 굴뚝이 없는 열회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소각장치
KR100668464B1 (ko) 고형연료의 정량공급장치
JP2006153408A (ja) 誘導加熱溶融炉
KR100564881B1 (ko) 연소로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원심분리 연소장치
KR101738592B1 (ko) 펠릿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