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398B1 -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398B1
KR101505398B1 KR1020130156835A KR20130156835A KR101505398B1 KR 101505398 B1 KR101505398 B1 KR 101505398B1 KR 1020130156835 A KR1020130156835 A KR 1020130156835A KR 20130156835 A KR20130156835 A KR 20130156835A KR 101505398 B1 KR101505398 B1 KR 10150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ient
monitoring devic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40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내에서 환자감시장치와 연결된 환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감시장치 및 의료진 개인단말기(스마트 폰)로 전송하며, 병원 밖에 있는 의료진은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환자감시장치에서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자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 호흡 신호, 혈중산소농도 신호, 혈압 신호, 체온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하며,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감시장치;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비동기 이벤트 전송을 행하며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측에 페이로드(Payload)를 전달하는, 써더 파티 푸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Mobile phone base medical care system linking PMS}
본 발명은, 병원 내에서 환자감시장치와 연결된 환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감시장치 및 의료진 개인단말기(스마트 폰)로 전송하며, 병원 밖에 있는 의료진은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환자감시장치에서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자 진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ing system, PMS)는, 중환자실에서, 또는 수술 중과 회복 시에, 환자의 심전도, 호흡, 혈중산소농도, 혈압, 체온 등의 생체신호들을 검출하여 생리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수단이며, 이러한 환자감시장치들의 데이터, 모든 환자들의 생체신호를 취합하여 관리하는 수단이 중앙감시장치(CMS)이다.
도 1은 종래에 병원내 의료진이 환자의 생리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환자감시장치(100a, 100b)는 환자의 심전도 전극, 호흡, 혈중산소농도, 혈압, 체온 등의 생체신호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각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각 생체신호로부터 심박수, 호흡수, 산소포화도, 이완기혈압, 확장기 혈압 등등의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환자감시장치의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함과 함께, 측정된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구급차(400)에도,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생체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구급차(400)의 환자감시장치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는 중앙감시장치(200)로부터 환자의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의료전문가는 이를 통해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중앙감시장치(200)는 환자감시장치(100a, 100b) 및 구급차(400)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인증을 통해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로 환자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의사가 환자 옆에서 또는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 앞에서, 계속하여 한 환자만 모니터링하기 어렵다.
따라서,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의사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단말기로 자동으로 알람신호가 전송되며, 외부에서도, 필요에 따라, 환자의 의무기록뿐만 아니라,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개인단말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자 진료 시스템이 요망된다.
즉, 병원 내에서 환자감시장치와 연결된 환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감시장치 및 의료진 개인단말기(스마트 폰)로 전송하며, 병원 밖에 있는 의료진은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환자감시장치에서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등을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자 진료 시스템이 요망된다.
또한, 구조대가 현장에서 환자감시장치 또는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mal Defibrillator, AED)를 장착하면 생체신호, 위치정보, 제세동기 사용현황 등이 구급센터로 전송되며, 구급센터의 의사는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병원을 지정하며, 또한 의료지도를 시행하도록 이루어지며, 지정된 병원의 응급실 PC 및 당직의사의 스마트 폰에서도 생체신호, 위치정보, 제세동기 사용현황 등의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자 진료 시스템이 요망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85504호에서는, 처방 전달 시스템을 통해, 응급실내에 상주하는 기초 진료 의사가, 각 환자별로 진료과목을 선택 입력하면, 해당 진료과목의 전문의사가 응급실에 도착할 때까지, 전문의사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출용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이벤트 모니터링 서버는 검사 결과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검사 결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검사결과 발생시 의료 이벤트(event)로 판단하며, 처방 전달 시스템은 의료 이벤트 발생에 따라 알림용 메시지를 해당 전문의사 또는 기초 진료 의사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85504호는 응급실에 해당진료과목의 응급환자가 발생했음을 메시지로 알리고, 해당 응급환자의 검사결과가 비정상적일 경우 이를 메세지로 알리는 정도로, 의사가 원격지에서 환자의 상태를 살피고 진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병원 내에서 환자감시장치와 연결된 환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감시장치 및 의료진 개인단말기로 전송하며, 병원 밖에 있는 의료진은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환자감시장치 및 중앙감시장치에 연결되어 환자 데이터를 관찰가능하되, 환자감시장치에서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등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자 진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존 병원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는 환자감시장치와 중앙감시장치에 쉽게 이식 가능한 모바일 생체정보 전달장치를 제공하며, 의료진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 가능한 앱(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고, 기존 의료기기(환자감시장치 혹은 중앙 감시장치)의 데이터를 번역하여 모바일장비로 전송해주는 서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앱은 실시간 상황 자동 수신, 실시간 생체정보 수신, 이전 데이터 리뷰 수신 등의 기능을 구비하여, 의료진이 시간 위치 등에 구애 받지 않고 환자 상태를 체크하여 의료공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환자감시장치 혹은 중앙 감시장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번역하여 실시간 상황전송, 실시간 생체정보전송, 이전데이터 리뷰 전송등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원 내에서 환자감시장치와 연결된 환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감시장치 및 의료진 개인단말기로 전송하며, 병원 밖에 있는 의료진은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환자감시장치 및 중앙감시장치에 연결되어 환자 데이터를 관찰가능하되, 환자감시장치에서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등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환자 진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 병원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는 환자감시장치와 중앙감시장치에 쉽게 이식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실시간 상황 자동 수신, 실시간 생체정보 수신, 이전 데이터 리뷰 수신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의료진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고, 또한 기존 의료기기로 이루어진 환자감시장치 혹은 중앙 감시장치의 데이터를 번역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서버를 구비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은, 심전도 신호, 호흡 신호, 혈중산소농도 신호, 혈압 신호, 체온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하며,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감시장치;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은, 심전도 신호, 호흡 신호, 혈중산소농도 신호, 혈압 신호, 체온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검출된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중앙감시장치;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증을 관리하는 인증 웹서버;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앱프로그램을 설치하며, 인증 웹서버를 통한 인증을 통해 상기 앱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감시장치는, 검출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심박동수, RR-인터벌, ST-인터벌 중 2개이상을 포함하는 심전도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감시장치는 검출된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수를 포함하는 호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환자감시장치는 검출된 혈압 신호로부터 이완기 혈압 또는 확장기 혈압을 포함하는 혈압 파리미터를 검출할 수 있다.
환자감시장치는 구급차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감시장치는 TCP 및 GPS 모듈을 내장하며, 중앙감시장로 상기 환자감시장치의 위치 정보도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데이터, 또는 환자감시장치에서 실시간적으로 출력되는 환자의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웹서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비동기 이벤트 전송을 행하며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측에 페이로드(Payload)를 전달하는, 써더 파티 푸쉬서버를 더 포함한다.
인증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웹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지단말을 더 포함한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저장, 관리하는 다운로드 서버를 더 포함한다.
중앙감시장치는 다수개 구비되되, 하나의 중앙감시장치는 개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중앙감시장치에 소켓 연결시,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를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측에서 스트리밍 수신한다.
중앙감시장치와 환자감시장치는 상향 또는 하향 전이중 TCP 바이너리 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환자감시장치에서 중앙감시장치로 전송되는 패킷은, 파형 데이터(waveform data), 파형정보(waveform information), 심전도 데이터(ECG data status), 심전도 ST레벨(ECG ST level) 데이터, 산소포화도 데이터(SpO2 data status), 비관혈적 혈압측정 데이터(NIBP data status), 호흡 데이터(Respiration Data Status), 체온 데이터(Temperature Data Status), 호기말 이산화탄소 측정 데이터(EtCO2 Data Status), 관혈적 혈압측정 데이터(IBP Data Status), 경고 데이터(Alarm Data Status), 측정 상태(Measurement Status), 환자 정보(Patient Information), 자동제세동기 데이터(AED Data), 버젼정보(Version Info), 메시지(Message), 정상 불연속(Normal Disconnect), 데이터 동기(Data Sync), 장비 상태정보(Equipment Status Information), 지피에스 정보(GPS information) 중 5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이동 통신사 네트웍을 통해 공인 IP를 할당 받은 후 공인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되거나, 또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병원 내부의 WIFI 네트웍에 접속하여 사설 IP를 할당받고 사설 IP를 갖는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서버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부터 등록정보로서 서버명과 IP주소를 입력받으면, 로컬 저장소에 상기 등록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환자 목록 혹은 환자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측에 요청하면, 게이트웨이 서버는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 혹은 파일시스템을 조회하고, 레코드셋 혹은 파일 청크(file chunk)를 패치(fetch) 하여, 패치한 결과를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반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하며,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감시장치;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중앙감시장치로부터 비동기 알림관련 시그널이 발생하면, 중앙감시장치로부터 게이트웨이 서버에게, 비동기 알림관련 시그널 또는 환자감시장치에서 검출된 실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로 정보전달 단계; 게이트웨이 서버로 정보전달 단계 후, 게이트웨이 서버는 이벤트 조건인 푸쉬 알림 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게이트웨이 서버가 푸쉬 알림 조건이라고 판단될 때, 게이트웨이 서버는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에게 푸쉬 알림을 요청하는, 푸쉬 알람 요청단계;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는 등록된 단말의 알림 설정 값에 따라 조건에 맞는 단말군 목록 추출하고, 장치 ID(Device ID) 및 페이로드(Payload)를 구성하여, 구글플랫폼 푸쉬서버를 호출하는,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호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서버로 정보전달 단계의 앞단에,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Device Unique ID와 사용자 알림 설정 값을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며, 게이트웨이 서버가 인증 웹서버에 단말 등록을 요청을 행하는, 단말등록 요청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호출단계 후, 구글플랫폼 푸쉬서버로부터 비동기 알림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전달되는, 비동기 알람전달단계; 비동기 알람전달단계 후,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은 Push 수신시 게이트웨이 서버에 승인신호를 전달하고, 게이트웨이 서버가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승인신호를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에게 전달하고,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는 비동기 전송 결과로 트랜잭션 로그 생성하는 트랜잭션 로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은, 게이트웨이가 3rd party 푸쉬 서버에게 알림 요청을 행하고, 3rd party 푸쉬 서버가 구글 푸쉬 플랫폼에 Payload 전달 요청을 행하며, 구글 푸쉬 플랫폼으로부터 payload가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달되고,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푸쉬 수신후 게이트웨이에 접속을 시도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에 따르면, 병원 내에서 환자감시장치와 연결된 환자가 응급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응급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를 중앙감시장치 및 의료진 개인단말기로 전송하며, 병원 밖에 있는 의료진은 개인단말기를 통하여 환자감시장치 및 중앙감시장치에 연결되어 환자 데이터를 관찰가능하되, 환자감시장치에서 현재 계측되는 환자의 생체신호 등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의료진이 시간 위치 등에 구애받지 않고 환자 상태를 체크하여 의료공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환자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 병원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는 환자감시장치와 중앙감시장치에 쉽게 이식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실시간 상황 자동 수신, 실시간 생체정보 수신, 이전 데이터 리뷰 수신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의료진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앱(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고, 또한 기존 의료기기로 이루어진 환자감시장치 혹은 중앙 감시장치의 데이터를 번역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주는 서버를 구비한다.
따라서, 구형의 환자감시장치와 중앙 감시장치를 가진 병원이라고 하더라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현재 사용 시스템에 이식하기에 큰 부담이 없으며, 타사간, 이기종간 제품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는, 병원 측 관점에서 볼때, 기존 의료진의 통신수단을 그대로 사용하는 등 저렴하게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적용된 시스템의 효과는 환자들의 의료공백을 줄이기 위한 인건비 증가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또한, 의료기기 업체측 관점에서는 기존 시스템과 이질적이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많은 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제품의 가격 상승도 크지 않아 제품 경쟁력이 크게 상승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병원내 의료진이 환자의 생리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증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환자 리스트 요청/응답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비동기 알림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비동기 알림 대상 선정 절차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네트웍 환경에 따른 비동기 알림 예외 처리에서 CMS가 공인IP를 통해 서비스중인 경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네트웍 환경에 따른 비동기 알림 예외 처리에서 CMS가 사설IP만 서비스중인 경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와 게이트웨이 서버간 통신의 흐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상에서 사이트 등록 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상에서 사이트 로그인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상에서 사이트 로그아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환경 설정 중 사이트 및 계정 설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환경 설정 중 비동기 알림 설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환경 설정 중 GPS 표시 설정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ECG 12 채널 모드 1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서 실시간 ECG 12 채널 모드간 이동울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Event 초기 리스트를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서 Event 서브 화면간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서 Event 모니터 하위 화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Trend 메인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서 Trend Sub 중 그래프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서 Trend Sub 중 목록표현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Notification 중 App종료 혹은 Background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Notification 중 앱 실행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Notification 중 이전알림목록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System, PMS)(100a, 100b)는 심전도 측정부(미도시), 호흡 측정부(미도시), 혈중산소농도 측정부(미도시), 혈압 측정부(미도시), 체온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부를 구비하며, 이들 생체신호검출부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로부터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며, 검출된 생체신호 및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감시장치의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함과 함께, 측정된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심전도 측정부(미도시)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여 심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심박동수, RR-인터벌 등의 심전도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심전도신호 및 심전도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호흡 측정부(미도시)는 호흡측정센서(경우에 따라서는 심전도 전극, 맥파전극을 사용할 수 있음)를 구비하여 호흡정보 신호(예를들어 호흡에 따른 흉곽근육의 저항변화)를 검출하며, 이 검출된 신호로부터 호흡수 등의 호흡 파라미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호흡정보 신호 및 호흡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혈중산소농도 측정부(미도시)는, 적외선 LED와 적색 LED로 이루어진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이 인체(예로 손가락)를 통한 후 검출하기 위한 수광부(예로 포토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음)를 구비하여, 산소포화도(SpO2)를 검출하여,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혈압 측정부(미도시)는 혈압측정센서를 이용하여 혈압정보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혈압정보 신호로부터 이완기 혈압 또는 확장기 혈압 등의 혈압 파리미터를 검출하여,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혈압측정센서는 심전도 센서 또는 맥파센서 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혈압 측정부는 혈압측정 커프(cuff)를 구비하며, 이때 혈압측정센서는 압력센서 또는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체온 측정부(미도시)는 체온센서를 구비하여 체온 신호를 검출하여,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구급차(400)에도,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생체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구급차(400)의 환자감시장치에서 측정된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200)로 전송한다.
즉, 환자감시장치는 TCP 및 GPS 모듈을 내장하여 중앙감시장치(200) 등 외부 시스템에 장비의 위치 정보와 환자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가능하다.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는 인터넷을 통해 중앙감시장치(200)로부터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환자 데이터(환자의 기본정보, 이력, 과거의 환자 생체신호, 생체파라미터 등) 또는 환자감시장치에서 실시간적으로 출력되는 환자의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의료전문가는 이를 통해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
중앙감시장치(Central Monitoring System, CMS)(200)는 환자상태를 의료전문가 단말기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수단으로, 환자감시장치(100a, 100b) 또는 구급차(400)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환자의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자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고,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인증된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로 환자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병원외의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의 요청에 따라 인증을 통해 환자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300)뿐만 아니라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로, 환자감시장치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서버(Gateway Server)(500)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의 요청을 처리하는 서비스 프로세스로, 중앙감시장치(200)의 정보를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에 전송하거나 서버측 Back-end 프로세스들(즉, 인증 웹서버(640), 푸쉬 서버(620), 인증 데이터베이스(660) 등)과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중앙감시장치(200)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이동통신사 서버(550)를 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게 한다. 즉, 게이트웨이 서버(500)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의 단말 통신 요청을 처리하며, CMS와 1:1 관계를 갖으며, 시스템 도메인에서 다수의 인스턴스가 실행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서버(500)의 주요역할은, Back-end단 CMS와 바이너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Front-end단 단말과 바이너리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며,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의 단말 사용자 인증 요청을 받아 웹서버에게 질의하고 그 결과를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에게 반환한다. 비동기 알림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비동기 알림 조건 발생시 푸쉬 서버에게 알림 요청을 전달한다.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의 단말 요청이 발생할 경우 CMS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환자 및 장비 정보를 실시간 쿼리 한다. 단말단 Push ACK 이벤트를 전달받아 푸쉬 서버측에 전달한다.이는 재전송 시도를 중단하기 위함이다.
인증 웹서버(Web Server)(640)은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의 사용자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관리자 기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에서 인증 웹서버(640)를 통해 중앙감시장치(200)에 접속되되, 인증을 통해 접속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600)을 통해 인증 웹서버(640)에 접속하여, 인증 웹서버(640)를 관리한다. 즉, 인증 웹서버(640)는 사용자 관리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단말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에게 유입되는 사용자 인증 요청을 처리하며, 시스템 도메인에서 유일한 인스턴스이다.
인증 웹서버(640)의 주요역할은, Front-end단 관리자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며, 단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또한,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사용자 인증 결과를 게이트웨이측에 반환하며,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요청 받은 단말 사용자별 비동기 알림 설정 정보를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인증 데이터베이스(660)은 웹서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사용자 정보, 인증관련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즉, 인증 데이터베이스(660)는 인증 웹서버(640)가 사용자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신규 구축해야 할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이다. 시스템 도메인에서 유일한 인스턴스이다.
써더 파티 푸쉬서버(3rd-party Push Server)(이하, 푸쉬서버라 함)(620)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즉 스마트폰에 비동기 이벤트 전송을 담당하며 구글플랫폼 푸쉬서버(680) 측에 페이로드(Payload)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감시장치가 구글플랫폼 푸쉬서버(680)를 통해 푸쉬서버(620)로 요청이 전송되면 푸쉬서버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정보(메시지)를 전달하고, 추가적인 처리가 요구될 경우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중앙감시장치와 소켓을 직접 생성, 확립하고, 이 소켓을 이용해 상호 통신하고, 통신이 종료될 경우 소켓을 닫고 다시 푸시가 들어올 때까지 동작을 멈춘다. 즉, 푸쉬서버(620)는 Android GCM Push서버와 통신하는 3rd-party 서비스로, 웹서버와 동일 인스턴스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비동기 알림 요청을 받아 Android GCM Push에게 요청을 전달한다.
푸쉬서버(3rd -party Push Server)(620)의 주요역할은, 구글 플랫폼 Push 서버와 SSL 연결을 수행하고, 웹서버 혹은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비동기 알림 요청을 의뢰받아 구글 플랫폼 Push 서버측에 전달하고, 게이트웨이를 통해 단말측 ACK가 수신될때까지 플랫폼 Push 요청을 반복 처리한다.
관리지단말(600)는 인증 웹서버(640)에 접속하여, 인증 웹서버(640)를 관리한다.
다운로드 서버(Download Server)(740)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저장, 관리하는 서버로서, 다운로드 서버(740)는 안드로이드 빌드 패키지를 다운로드 서비스하기 위한 웹서버일 수 있다. 즉, 다운로드 서버(740)는 단말 패키지 파일의 다운로드 하기 위한 Http 서버이며, 공인망 접근이 가능한곳이라면 어디에 위치해 있어도 무방하다
구글플랫폼 푸쉬서버(680)는 푸쉬 서버 인프라로서, 푸쉬서버가 접속할 구글 서버를 의미한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는 원격지에서 사용되는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인증을 통해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는 다운로드 서버(740)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을 수신하거나, 또는 다운로드 서버(740)와 연동된 인증 웹서버(640)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즉,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PMS 정보와 프리젠테이션 로직 및 UI/UX를 구현 한다.
하나의 중앙감시장치(200)는 개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Database instance(PostgresSQL))를 갖으며, 각 환자감시장치 하드웨어는 IP 주소를 키 값으로 관리하고 있다. 중앙감시장치의 최대 모니터링 대상 클라이언트가 32개이므로 환자감시장치가 많을 경우 다수의 중앙감시장치가 한 사이트(하나의 의료 기관)에 존재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중앙감시장치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베이스도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이트(site)는 하나의 중앙감시장치 인스턴스와 동일한 의미로, 사이트는 병동과 같고 이는 중앙감시장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환자감시장치는 사설 네트웍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웍을 통해 환자 상태 정보를 중앙감시장치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9 구급차에 구비된 환자감시장치에는 이동 통신사 CDMA 모듈 및 GPS 장비가 탑재될 수 있으며, 환자가 이동 중일 때에도 환자 바이탈 정보와 환자의 현 위치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종래의 대부분 의료 기관에 설치된 중앙감시장치는 각 종단간 사설 네트웍을 통해 구성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형 환자감시장치 장비의 예와 같이 공인망을 통해 접속할 경우 중앙감시장치는 공인 네트웍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앙감시장치(CMS) 내부에서 이동하는 데이터는 실시간 데이터, 이벤트 데이터, 트랜드 데이터의 3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는 환자감시장치(PMS) 하드웨어 장비가 중앙감시장치(CMS)에 소켓 연결을 통해 중앙감시장치(CMS)에 업로드하는 데이터이다. 반대로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중앙감시장치(CMS)에 소켓 연결시 환자감시장치 하드웨어 장비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를 의료전문가 단말기 측에서 스트리밍 수신할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중, 환자감시장치(PMS) 장비의 특정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장비가 일정 시간 데이터를 수집 후 장비 자체에 파일 시스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실시간 데이터 패킷 뒷단에 추가적으로 덧붙여 전달하는 종류도 포함된다.
실시간 데이터에서, CMS와 PMS는 상향 /하향 전이중 TCP 바이너리 통신을 하며, PMS로부터 CMS에 접속 후 업로드 되는 데이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CMS의 관리자 콘솔을 통해 특정 PMS의 장비에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Command Set가 존재한다. 이는 CMS에서 원격 장비에게 시간을 동기화 하거나 기타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PMS에서 CMS로 전송되는 패킷 종류는, 파형 데이터(waveform data), 파형정보(waveform information), 심전도 데이터(ECG data status), 심전도 ST레벨(ECG ST level), 산소포화도 데이터(SpO2 data status), 비관혈적 혈압측정 데이터(NIBP data status), 호흡 데이터(Respiration Data Status), 체온 데이터(Temperature Data Status), 호기말 이산화탄소 측정 데이터(EtCO2 Data Status), 관혈적 혈압측정 데이터(IBP Data Status), 경고 데이터(Alarm Data Status), 측정 상태(Measurement Status), 환자 정보(Patient Information), 자동제세동기 데이터(AED Data), 버젼정보(Version Info), 메시지(Message), 정상 불연속(Normal Disconnect), 데이터 동기(Data Sync), 장비 상태정보(Equipment Status Information), 지피에스 정보(GPS information)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MS 에서 Patient Monitor로 하향 전송되는 패킷 종류는 Time & Connection Status, Alarm Silence Control, Alarm Silence Control, Unique ID & MAC Address, NIBP Start/Stop Control, 데이터 동기(Data Syn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벤트, 트랜드 데이터는, 중앙감시장치(CMS) 내에서 Raw File 혹은 RDBMS의 Table Entity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 준 가공된 통계치 정보 혹은 원본 (Raw)데이터로서 중앙감시장치(CMS) 내부에 File System 혹은 Database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이벤트 데이터는 계측 정보의 변경이 있을 때 시스템에 누적, 저장되는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트랜드 데이터는 환자의 통계적 정보를 함축하여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배치 데이터는 PMS 하드웨어 장비의 버튼을 오퍼레이터가 조작할 때, 장비 자체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는 장비 자체의 파일 시스템에 1차 저장되고, 저장된 파일을 부분적(partial)으로 읽어 업로드 되는 스트리밍 패킷에 순차적으로 업로드(PMS -> CMS) 된다.
PMS와 CMS간 프로토콜에 있어서, 상향 패킷과 하향 패킷은 동일 TCP 채널을 사용하며, 이는 명시적으로 전문 전송에 대한 응답 전문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PMS에서 A 전문을 CMS 측에 send 한 이후에 A 전문에 대한 응답을 받지 않는다. 역방향으로 CMS측에서 B 전문을 하향 전송(PMS 측으로) 하고 이에 대한 응답 전문을 수신 대기 하지 않는다. CMS와 PMS 시스템간 TCP 통신은 표1과 같은 구조와 특징을 갖는다.
Figure 112013115220795-pat00001
여기서, Sync는 0x55 고정 값으로서 패킷의 시작을 의미하고, Key는 패킷의 종류를 규정한다. Data Layer는 12byte로 구성되며 Key값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으며, CRC는 CRC-8 타입을 차용하며 무시해도 무방하며, Ext는 0xFF 고정 값으로 한 패킷의 마지막임을 의미한다.
하나의 전문은 16byte로 구성되며, 1초에 위와 같은 전문 125개가 반복적으로 전송되며 개별 패킷 사이에 8ms 간격을 갖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있어서, 측정값은, “명칭(Title)”, “단위(Unit)”, “값(Value)”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Alarm Message에 의해 측정값의 변동이 있을 경우 해당 측정값을 역상시켜 표현할 수 있다. 파형은 명칭(title)과 그래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은,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즉 스마트폰이 이동 통신사 네트웍을 통해 공인 IP를 할당 받은 후 공인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즉 스마트폰이 의료 시설 내부의 WIFI 네트웍에 접속하여 사설 IP를 할당 받고 사설 IP를 갖는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측에서 접속하려는 게이트웨이 서버의 이름(Alias)와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며, 해당 게이트웨이 서버 정보는 다수개가 등록될 수 있으며 로그인 시 접속 대상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온전히 클라이언트별로 클라이언트측에서만 관리되고 접속 정보를 서버측 에 전송하거나 내려받기하지 않는다. 이는 온전히 관리 이슈를 줄이기 위함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업무별 구현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증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환자 리스트 요청/응답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비동기 알림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게이트웨이 서버(병동정보) 접속 정보 관리에 있어서, 병동 즉, 게이트웨이 서버의 추가/수정/삭제는 온전히 단말별로 처리되며,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이하, 단말이라고 함) 측 화면에서 서버명과 IP주소를 입력받으며, 로컬 저장소에 등록 정보를 반영(저장/수정/삭제) 처리한다.
도 3의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단말이 게이트웨이 서버 접속 직후, 인증 전문을 게이트웨이 서버로 전송한다(도 3의 1). 다음, 게이트웨이 서버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인증 웹서버에 전달한다(도 3의 2). 그 후, 인증 웹서버가 요청에 대하여 인증 결과를 응답하고(도 3의 3), 게이트웨이 서버가 인증 전문 응답을 전송한다(도 3의 4).
도 4의 환자 리스트 요청/응답에 있어서, 단말이 환자 목록 혹은 환자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측에 요청하면(도 4의 1), 게이트웨이 서버는 CMS 데이터베이스 혹은 파일시스템을 조회하고(도 4의 2), 레코드셋 혹은 파일 청크(file chunk)를 패치(fetch) 하며(도 4의 3), 단말측에 결과를 반환한다(도 4의 4).
도 5의 비동기 알림 처리에 있어서, 단말이 Device Unique ID와 사용자 알림 설정 값을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고(도 5의 1), 게이트웨이 서버가 인증 웹서버에 단말 등록을 요청을 행한다(도 5의 2). 그 후, CMS로부터 특정 시그널 발생하면(도 5의 3), CMS로부터 게이트웨이 서버에게 실시간 정보를 전달하고(도 5의 4), 게이트웨이 서버는 이벤트 조건, 즉 푸쉬 알림 조건인지를 판단하고(도 5의 5), 게이트웨이 서버가 푸쉬 알림 조건이라고 판단할 때, 게이트웨이 서버는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에게 푸쉬 알림을 요청한다(도 5의 6).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는 등록된 단말의 알림 설정 값에 따라 조건에 맞는 단말군 목록 추출하고(도 5의 7), 장치 ID(Device ID) 및 페이로드(Payload)를 구성하여, 구글플랫폼 푸쉬서버(680), 즉 GCM 플랫폼 서버를 호출한다(도 5의 8). 구글플랫폼 푸쉬서버(680)로부터 비동기 알림이 단말에 전달되고(도 5의 9), 단말은 Push 수신시 게이트웨이 서버에 승인신호(ACK)를 전달하고(도 5의 10), 게이트웨이 서버가 단말측으로부터 수신받은 ACK를 웹/푸쉬 서버에게 전달하고(도 5의 11),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는 비동기 전송 결과로 트랜잭션 로그 생성한다(도 5의 12). 혹은 지정된 시간동안 ACK 전문을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는 재 발송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비동기 알림 대상 선정 절차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네트웍 환경에 따른 비동기 알림 예외 처리에서 CMS가 공인IP를 통해 서비스중인 경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네트웍 환경에 따른 비동기 알림 예외 처리에서 CMS가 사설IP만 서비스중인 경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의 비동기 알림 대상 선정 절차에 있어서, 만약 한 사이트에 다수의 게이트웨이가 존재할 경우 다음과 같이 푸쉬 수신 단말 대상을 선정하게 된다.
게이트웨이 서버별로 접근 가능한 단말 사용자가 독립적이고, 특정 CMS의 이벤트에 의해 게이트웨이 서버측에서 푸쉬 알림이 발생하게 되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푸쉬 발생 조건을 판단하고, 해당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근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대상을 1차 수신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그룹내에서 사용자가 알림 설정에 의해 푸쉬를 받겠다고 선택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즉 A라는 사용자가 게이트웨이 서버 A에도 접속 가능하고 게이트웨이 서버 B에도 접속 가능한 경우, 두 서버에서 발생한 푸쉬 메시지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A 사용자가 현재 어떤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해 있는지 무관하며, 도 6에서 “CMS A”에서 발생한 Push 알림은 기본적으로 Gateway A에 접근 가능한 “단말 D”, “단말 E”에게만 비동기 알림이 전달된다.
단말측에서 Push 수신시 단순히 메시지를 확인할 수도 있고 메시지 대상이 되는 환자 정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두가지 버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웍 환경에 따른 비동기 알림 예외 처리는, CMS가 공인IP를 통해 서비스중인 경우, CMS가 사설IP만 서비스중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의 CMS가 공인IP를 통해 서비스중인 경우에서, 게이트웨이 서버가 공인 IP를 갖으며, 단말은 의료 시설 내부에 설치된 WIFI 혹은 이동통신자 제공 공인망 두가지 경우 모두 문제 없이 Push 이벤트 수신시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 가능하다. 이는 단말측 등록된 게이트웨이 서버 정보가 공인 IP이기 때문에 내부 가상 IP를 부여받은 상황 혹은 이동통신 사업자 로부터 공인 IP를 부여받은 상황 동일하게 라우터를 통해 항상 공인 IP의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가 3rd party 푸쉬 서버에게 알림 요청을 행하고, 3rd party 푸쉬 서버가 구글 푸쉬 플랫폼에 Payload 전달 요청을 행하며, 구글 푸쉬 플랫폼으로부터 payload가 단말로 전달되고, 단말이 푸쉬 수신후 게이트웨이에 접속을 시도한다.
도 8의 CMS가 사설IP만 서비스중인 경우는, 게이트웨이 서버가 공인 IP를 갖지 않으며, 오로지 병원 내부의 사설망(가상 IP)에서만 서비스 중인 경우이다. 즉 기본적으로 단말은 WIFI 망을 통해 사설 IP를 부여받아 같은 네트웍 그룹의 사설 IP를 갖는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으로서, 만약 단말이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게이트웨이와의 접속이 단절된 상태라도 구글 플랫폼에 의해 Push 이벤트는 전달 받을 수 있다. 만약 단말이 푸쉬 이벤트를 받는 경우 게이트웨이에 접속을 시도할 것이고(비동기 알림 ACK 요청 및 화면 이동) 이러한 경우 “서버 접속에 제한을 받고 있다는“ 사용자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다.
CMS가 사설IP만 서비스중인 경우는, 게이트웨이가 3rd party 푸쉬 서버에게 알림 요청을 행하고, 3rd party 푸쉬 서버가 구글 푸쉬 플랫폼에 Payload 전달 요청을 행하며, 구글 푸쉬 플랫폼으로부터 payload가 단말에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이 푸쉬 수신후 게이트웨이 접속을 시도하게 되나, WIFI 네트웍이 아닌 경우 접속 불가 문제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 단말측에서 게이트웨이 접속 시도 후 접속할 수 없는 경우 프롬프트 처리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와 게이트웨이 서버간 통신의 흐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 패킷은 업무 구성과 데이터 성격에 따라, 단일 요청/응답 구조와 스트리밍 구조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전문 타입은 각각 다른 소켓 포트로 운용된다. 도 9의 (a)는 단일 요청/응답 구조에 관한 것이고, 도 9의 (b)는 스트리밍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9의 (a)의 단일 요청과 응답 구조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즉 단말이 게이트웨이 서버에 소켓 연결 후 요청 전문 전송하고(S210), 게이트웨이 서버 측 프로세스에 의해 전문이 처리되고(S215) 응답 결과를 반환하며(S220), 그후 소켓 연결은 해제된다(S225).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한 서버 측 응답 대기 구간은 기본적으로 블러킹 구간이다. 클라이언트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하는 구조이며, 세션 호 관리가 필요없다.
이 경우, 단말과 게이트웨이 서버간 데이터의 성격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첫째, 요청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인증, Device Token, 단말 사용자 알림 설정 옵션, 환자 정보, 이벤트 화면 구성 데이터, 트랜드 화면 구성 데이터 들이다. 요청과 응답 전문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성격이 다중 레코드 형태를 포함한다. 즉 멀티 레코드, 응답의 길이가 가변적인 레코드 형태이므로 이를 손쉽게 전송 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고려한다.
둘째, 요청에 의한 응답 구조는 결국 HTTP 프로토콜 특성과 일치하므로 단일 요청/응답 구조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셋째, 요청 응답 전문 작성은 데이터의 특성(flexible)을 고려 json 규격을 사용한다.
넷째,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연결향 소켓 연결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향후 서버 가용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도 9의 (b)의 스트리밍 구조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즉 단말이 별도 “단일 요청/응답 구조”소켓 채널과는 다른 별도의 소켓 채널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 연결, 연결된 이후 명시적인 요청이 없이 게이트웨이 서버측에서 CMS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실시간 스트리밍 패킷을 단말측에 전송 한다. 스트리밍 패킷의 구조는 기존 CMS 패킷 레이아웃을 그대로 따른다.
다음은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UI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상에서 사이트 등록 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720), 즉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최초 보여지는 화면이며, 도 10의 (b)는 사이트를 등록하는 사이트 등록 화면으로, 사이트 등록시 필요한 필드는 사이트명(별칭)과 접속 주소(IP:port)는 반드시 입력해야 하는 필수 필드이고, 선택 사항으로서 등록하려는 사이트가 기본 사이트인지 여부와 로그인 계정 정보이다.
도 10의 (d)는 도 10의 (b)에서 계정 정보가 모두 입력되고 자동 로그인이 체크될 경우, 기본 사이트 체크박스가 활성화된다. 기본 사이트로 체크될 경우, App 실행시 Site 선택 화면을 건너뛰고 해당 사이트로 자동 로그인을 시도하게 된다. 사이트 목록에서 기본 사이트로 선택된 아이템은 해당 사이트가 기본 사이트임을 다르게 표현한다. 사이트 목록에서 수정하려는 아이템을 길게 선택하여 context menu를 활성화할 수 있다. “기본 사이트”는 단말 시스템상에서 오직 하나의 사이트만 선택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상에서 사이트 로그인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기본 사이트로 등록된 항목을 없을 경우, 혹은 자동 로그인이 활성화 되지 않았을 경우로, 사이트 목록이 표시된다.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사이트를 선택하면 사이트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되고 아이디/비밀번호 그리고 선택 사항으로 아이디를 저장할 것인지 자동 로그인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 등을 선택하고, 도 11의 (c)에서와 같이 사이트 로그인을 시도하게 된다. 만약,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 입력 대기 없이 바로 로그인을 시도하게 된다. 네트웍 접속과 관련된 진행사항을 progress dialog가 표시되며, 로그인 과정에 실패할 경우 별도 dialog 가 표시되어 오류 메시지를 표시한다. 정상적으로 시스템에 로그인 된 경우, 환자 목록으로 이동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환자 진료 시스템에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상에서 사이트 로그아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의 (b)에서와 같이, 환자 목록 화면, 즉 로그인 (도 12의 (a))후 메인 화면에서 사이트 목록 버튼을 누르거나, “하드웨어 이전키”를 누를 경우, 도 12의 (c)에서와 같이 로그 아웃을 확인하는 Confirmation Dialog를 표시하며, 이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로그아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2의 (c)의 환자 목록에서 “이전” 버튼을 누를 경우 로그인 화면이 아닌, 도 12의 (d)의 사이트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환자 목록은, 도 12의 (a)에서의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이뤄진 이후, 도 12의 (b)와 같이, 환자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 이는 환자명, 고유번호, 성별, 생년월일, 병실 번호 등의 필드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가져와 리스트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게이트웨이 실시간 서버에 접속하여 HR, NIBP, SPO2, RR 등의 스트리밍 패킷 정보를 분석하여 화면에 실시간 수치 변화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여 준다. 한 사이트에 최대 32 배드(Bed)가 등록될 수 있다. 환자 정보를 일측에 표현하고 생체 변화 정보는 다른 일측에 표시한다. 또한 일측에 알림 메시지 또는 환경설정 단축아이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환경 설정에 있어서, 환자 목록 화면의 일측(예로, 도 12(b)의 우측 상단) “환경 설정” 버튼을 누를 경우, 환경 설정 화면으로 이동하며, 환경 설정은 크게 “사이트 및 계정 설정”과 “비동기 알림 설정”으로 이뤄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환경 설정 중 사이트 및 계정 설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환경 설정 중 비동기 알림 설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환경 설정 중 GPS 표시 설정정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및 (b)에서와 같이, “사이트 및 계정” 관리를 선택할 경우, 사이트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사이트 목록 화면에서의 동작은 이전에 설명했던 “사이트 등록” 과정과 동일하다. 도 13의 (b) 및 (c)에서와 같이, 사이트를 신규 등록하거나, 사이트의 속성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비동기 알림 설정”이 활성화될 경우, 도 14의 (a) 및 (b)에서와 같이, 해당 선택값에 영향을 받는 “요일 설정”과, 도 14의 (a) 및 (c)에서와 같이, “시작” 및 “완료” 필드 선택이 가능해 진다.
도 15는 GPS 화면에서 기본값으로 표시되는 파형(waveform) 종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환자 목록”화면에서 특정 환자의 “Live” 버튼을 선택할 경우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또는 비동기 알림 메시지, 즉 Push에 의해 다른 화면에서 바로 진입할 수도 있다. 우측 상단에 “12채널 모드”, “GPS 모드”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은 환자 정보, Alert Message, 웨이브 차트, 파라메터 총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환자 정보는 이전 화면에서 선택한 특정 환자의 정보를 의미하며, Alert Message 영역은 marquee 형태로 좌에서 우로 scroll되는 텍스트이다. “환자 정보”와 “Alert Message”는 상단 고정되고, 하단 “파라메터” 영역은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웨이브 영역은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스크롤 가능하다. 웨이브 차트 영역은 12채널 모드처럼 독립된 형태의 그리드 박스를 갖으며, “파라메터” 영역은 HR, NIBP, SPO2 를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ECG 12 채널 모드 1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서 실시간 ECG 12 채널 모드간 이동울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의 ECG 12 채널 모드 1의 화면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버튼 선택시 해당 환자의 12채널 모드, GPS 모드로 화면 이동할 수 있다. ECG 12 채널 화면은 12개의 웨이브 차트를 작게 한 화면에 볼수 있도록 표현하며, 또한 별도의 스크롤바를 포함하지 않는다. GPS 화면 이동시 환자 기본 생체 정보를 Callout으로 표시한다. 지도는 확대, 끌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좌측 상단의 버튼은 환자의 현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8의 ECG 12 채널 모드 2간 이동에 있어서, ECG 12 채널 화면 이동 후, 상단 우측의 버튼을 통해 보기 모드를 스위칭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서 Event 초기 리스트를 위한 설명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서 Event 서브 화면간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서 Event 모니터 하위 화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의 Event 초기 리스트에 있어서, 환자 목록 화면에서 특정 환자의 Event 버튼을 선택할 경우, 이벤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Interval 값을 설정 할 수 있는 버튼을 상단 좌측에 배치하며, 실시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을 상단 우측에 제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Trend 메인의 설명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서 Trend Sub 중 그래프의 설명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서 Trend Sub 중 목록표현의 설명도이다.
도 22의 Trend 메인에 있어서, 환자 목록 화면에서 Trend 버튼 선택시 Trend 초기 화면으로 이동하며, Trend 초기 화면은 상단에 환자 상세 정보와 HR, NIBP, Resp, SPO2, IBP, Etco2, TEMP 등등 파라메터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도 23의 Trend Sub 중 그래프에 있어서, Trend 메인화면에서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시 파라메터에 해당되는 상세 Trend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Trend 상세화면의 기본값은 그래프로 표현된다. Trend 상세화면은 최상단에 Graph와 Table 표시를 구분하는 탭UI로 구성되고,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Rate를 의미하며, Y축의 값은 파라메터별로 최대값이 다르다.
도 24의 Trend Sub의 목록표현에 있어서, 그래프화면에서 상단탭을 선택시 Table 형태의 화면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그래프 대신 텍스트를 리스트 형태로 보여준다. 시간설정과 단위시간은 그래프타입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갖으며, 파라메터가 개별컬럼으로 구성되고 로우가 단위시간을 의미하여 상하 스크롤 된다. 파라메터는 이전에 선택된 값이 표시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Notification 중 App종료 혹은 Background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Notification 중 앱 실행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Notification 중 이전알림목록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5의 App종료 혹은 Background는, CMS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거나, Background로 실행중일 때 시나리오이다. 비동기 알림이 올 경우 안드로이드 상단알림창에 아이콘이 표시되고 해당 알림 영역을 선택할 경우, 로그인 과정을 거쳐 환자의 실시간 화면으로 직접 이동된다. 알림 메시지에 표시될 메시지 내용은 클라이언트의 로케일에 맞게 표현 되어야 하므로, 코드화 처리를 필요로 한다.
도 26의 앱 실행중은, CM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일 때 비동기 알림 메시지를 받는 경우, Pop-up Dialog가 표시된다. OK 버튼을 선택시 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으로 이동하고, Cancel 버튼 선택시 화면 이동 없이 현재 화면에 남아 있게 된다.
도 27은 이전알림목록은, 비동기 알림을 이전에 수신하고, 특정 환자의 실시간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우, 비동기 알림 내역을 다시 확인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환자 목록 화면 상단 우측에 “알림 메시지 내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한다. 알림 메시지 내역에서 아이템 선택시 해당 환자의 실시간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a, 100b : 환자감시장치 200 : 중앙감시장치
250 :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 300 :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
400 : 구급차 500 : 게이트웨이 서버
550 : 이동통신사 서버 600 : 관리자 단말
620 : 푸쉬 서버 640 : 인증 웹서버
660 : 인증 데이터베이스 680 :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720 :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740 : 다운로드 서버

Claims (24)

  1. 심전도 신호, 호흡 신호, 혈중산소농도 신호, 혈압 신호, 체온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하며,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감시장치;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2. 심전도 신호, 호흡 신호, 혈중산소농도 신호, 혈압 신호, 체온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와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검출된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중앙감시장치;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증을 관리하는 인증 웹서버;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앱프로그램을 설치하며, 인증 웹서버를 통한 인증을 통해 상기 앱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중앙감시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감시장치는 검출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심박동수, RR-인터벌, ST-인터벌 중 2개이상을 포함하는 심전도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감시장치는 검출된 호흡신호로부터 호흡수를 포함하는 호흡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감시장치는 검출된 혈압 신호로부터 이완기 혈압 또는 확장기 혈압을 포함하는 혈압 파리미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감시장치는 구급차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감시장치는 TCP 및 GPS 모듈을 내장하며, 중앙감시장로 상기 환자감시장치의 위치 정보도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터넷망을 통해,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 데이터, 또는 환자감시장치에서 실시간적으로 출력되는 환자의 생체신호와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병원내 의료전문가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웹서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비동기 이벤트 전송을 행하며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측에 페이로드(Payload)를 전달하는, 써더 파티 푸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인증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증 웹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지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저장, 관리하는 다운로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감시장치는 다수개 구비되되, 하나의 중앙감시장치는 개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중앙감시장치에 소켓 연결시,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를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 측에서 스트리밍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감시장치와 환자감시장치는 상향 또는 하향 전이중 TCP 바이너리 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감시장치에서 중앙감시장치로 전송되는 패킷은, 파형 데이터(waveform data), 파형정보(waveform information), 심전도 데이터(ECG data status), 심전도 ST레벨(ECG ST level) 데이터, 산소포화도 데이터(SpO2 data status), 비관혈적 혈압측정 데이터(NIBP data status), 호흡 데이터(Respiration Data Status), 체온 데이터(Temperature Data Status), 호기말 이산화탄소 측정 데이터(EtCO2 Data Status), 관혈적 혈압측정 데이터(IBP Data Status), 경고 데이터(Alarm Data Status), 측정 상태(Measurement Status), 환자 정보(Patient Information), 자동제세동기 데이터(AED Data), 버젼정보(Version Info), 메시지(Message), 정상 불연속(Normal Disconnect), 데이터 동기(Data Sync), 장비 상태정보(Equipment Status Information), 지피에스 정보(GPS information) 중 5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이동 통신사 네트웍을 통해 공인 IP를 할당 받은 후 공인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병원 내부의 WIFI 네트웍에 접속하여 사설 IP를 할당받고 사설 IP를 갖는 게이트웨이 서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서버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부터 등록정보로서 서버명과 IP주소를 입력받으면, 로컬 저장소에 상기 등록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환자 목록 혹은 환자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측에 요청하면, 게이트웨이 서버는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 혹은 파일시스템을 조회하고, 레코드셋 혹은 파일 청크(file chunk)를 패치(fetch) 하여, 패치한 결과를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21. 심전도 신호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검출하며, 상기 생체신호로부터 심박수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검출하는 환자감시장치; 환자감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환자별로 중앙감시장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중앙감시장치; 중앙감시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환자감시장치로부터의 생체신호 또는 생체신호 파라미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를 포함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중앙감시장치로부터 비동기 알림관련 시그널이 발생하면, 중앙감시장치로부터 게이트웨이 서버에게, 비동기 알림관련 시그널 또는 환자감시장치에서 검출된 실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서버로 정보전달 단계;
    게이트웨이 서버로 정보전달 단계 후, 게이트웨이 서버는 이벤트 조건인 푸쉬 알림 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게이트웨이 서버가 푸쉬 알림 조건이라고 판단될 때, 게이트웨이 서버는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에게 푸쉬 알림을 요청하는, 푸쉬 알람 요청단계;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는 등록된 단말의 알림 설정 값에 따라 조건에 맞는 단말군 목록 추출하고, 장치 ID(Device ID) 및 페이로드(Payload)를 구성하여, 구글플랫폼 푸쉬서버를 호출하는,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호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의 구동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서버로 정보전달 단계의 앞단에,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Device Unique ID와 사용자 알림 설정 값을 게이트웨이 서버에 등록하며, 게이트웨이 서버가 인증 웹서버에 단말 등록을 요청을 행하는, 단말등록 요청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의 구동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구글플랫폼 푸쉬서버 호출단계 후, 구글플랫폼 푸쉬서버로부터 비동기 알림이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에 전달되는, 비동기 알람전달단계;
    비동기 알람전달단계 후,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은 Push 수신시 게이트웨이 서버에 승인신호를 전달하고, 게이트웨이 서버가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승인신호를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에게 전달하고, 웹서버 또는 푸쉬 서버는 비동기 전송 결과로 트랜잭션 로그 생성하는 트랜잭션 로그 생성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의 구동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3rd party 푸쉬 서버에게 알림 요청을 행하고, 3rd party 푸쉬 서버가 구글 푸쉬 플랫폼에 Payload 전달 요청을 행하며, 구글 푸쉬 플랫폼으로부터 payload가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로 전달되고, 원격지 의료전문가 단말기가 푸쉬 수신후 게이트웨이에 접속을 시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진료 시스템.
KR1020130156835A 2013-12-17 2013-12-17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KR10150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835A KR101505398B1 (ko) 2013-12-17 2013-12-17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835A KR101505398B1 (ko) 2013-12-17 2013-12-17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398B1 true KR101505398B1 (ko) 2015-03-25

Family

ID=5302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835A KR101505398B1 (ko) 2013-12-17 2013-12-17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31B1 (ko) 2017-12-29 2018-06-21 신종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KR20200094698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히치메드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KR20200109445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715A (ko) * 2008-01-08 2008-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간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2464A (ko) * 2011-11-25 2013-06-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715A (ko) * 2008-01-08 2008-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간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2464A (ko) * 2011-11-25 2013-06-13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831B1 (ko) 2017-12-29 2018-06-21 신종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KR20200094698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히치메드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KR20200109445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6883B1 (ko) 2019-03-13 2021-04-06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2504B2 (en) Simple video communication platform
US8827905B2 (en) Patient initiated on-demand remote medical service with integrated knowledge base and computer assisted diagnosing characteristics
US7185282B1 (en) Interface device for an integrated television-based broadband home health system
US10009577B2 (en) Communication systems
JP5203185B2 (ja) 医療データ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501492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encounter and status assessment using parallel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aths
Vergados Service personalization for assistive living in a mobile ambient healthcare-networked environment
CN105808946B (zh) 基于云计算的远程移动医疗系统
US201502211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Security
JP2009513216A (ja) 対話型患者治療システム
KR101542817B1 (ko) 개인건강기록을 위한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3319913A (ja) 生体情報配信方法及び生体情報配信システム
Yan et al. A home-based health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KR101505398B1 (ko)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CN103559381A (zh) 用户健康远程监控方法和嵌入式主板
US20170011191A1 (en) Portable device communicating with patient monitoring device
US20150065812A1 (en)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storage medium
Pires et al. VITASENIOR-MT: a telehealth solution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interaction with TV
JP2007282701A (ja) 生体情報収集システム
CN108022646A (zh) 远程听诊系统及其诊断方法
US20170354383A1 (en) System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a medical sensor evaluation
US10068460B2 (en) Interactive media device
CN105897810A (zh) 数据发送、分析方法及装置、终端、监测设备及服务器
KR20200136278A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2017084211A (ja) 見守り支援システム及びテレビ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