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698A -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698A
KR20200094698A KR1020200010931A KR20200010931A KR20200094698A KR 20200094698 A KR20200094698 A KR 20200094698A KR 1020200010931 A KR1020200010931 A KR 1020200010931A KR 20200010931 A KR20200010931 A KR 20200010931A KR 20200094698 A KR20200094698 A KR 20200094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questionnaire
terminal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230B1 (ko
Inventor
유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치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치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치메드
Publication of KR2020009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환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환자 단말 및 의사, 약사를 포함하는 의료인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의료인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함으로써, 환자 중심의 문진 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Medical assistance system using systematic translation application for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본 발명은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 건강을 위한 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고, 의사가 처방해 준 처방전에 따라 병원에 부속된 약국 또는 일반 약국에서 약품을 조제 및 수령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해서 의사가 직접 환자를 방문하여 진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환자에게 가중한 의료비가 청구될 뿐만 아니라 의사의 시간적 손실이 크기 때문에 의사의 직접 방문을 통해 진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다 하겠다.
이와 같이,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이른 바, 직접 진료(Face to face) 시스템은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직접 병원까지 방문하여야만 하고, 더구나 병원을 방문하였다 하더라도 진료까지는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종합의료기관이 없는 외곽의 농어촌에서는 전문의(專門醫) 자격을 가진 의사에게 진료를 받을 수 없어 일반의에게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로 인해 질병에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따라서 조기에 질병치료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현실에 맞게 온-라인(On-line) 상에서의 의료상담 및 진료가 이루어지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온-라인 상에서의 상담 및 진료 행위나 처방이 법적으로 허용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하지만, 현재 모색되고 있는 의료법 개정방안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전자처방전)이 법적인 효력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개정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새로 개정하고자 하는 의료법에는 환자의 이익이 부합된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직접 진료(Face to face)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진료 내용에 대해서는 전자 및 통신매체를 통한 진료 행위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예정에 있으며, 아울러 전자처방전의 합법화로 기존의 약국을 이용하여 약의 조제가 가능해지고, 전문의약품을 제외한 일반의약품은 소위 인터넷 약국을 통해 구매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온-라인 상의 의료상담은 공간적, 시간적으로 환자나 의사에게 편 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는 하나, 단순히 직접 진료와 연계되지 않는 온-라인 상담은 환자 본인의 거주지와 상관없이 온-라인 상의 진료 상담자(의사)가 선정됨으로써, 직접 진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고자 할 경우 상담의사가 소속된 병원이 환자의 거주지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라면, 환자는 병원 방문에 상당한 부담을 갖게 되고 결국,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단순히 상담 차원에 그치게 되어 질병의 조기치료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글로벌 시대에 따라 해외에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거나, 국내 병원에서 외국인이 진료를 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 언어의 장벽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를 번역해주는 번역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출시된 상태이다. 그리나, 이러한 번역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언어로 번역이 되기 때문에 전문적인 의학 용어를 번역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오역으로 인한 오진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고령인구증가로 고령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바쁜 현대인은 질병의 초기 증상이 나타나도 의료기관을 곧바로 찾지 않고, 만성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야 종합검진이나 진료를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또한 진료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을 찾아야 하는데, 자신의 증상에 맞는 의료기관이 어디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여러 의료기관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으며 예약한다 해도 전문적인 분야인 경우에는 환자가 많기 때문에 오랜 기간이 경과한 후에야 진찰이 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53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체계적인 문진 과정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문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은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환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환자 단말 및 의사, 약사를 포함하는 의료인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의료인 단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 또는 상기 의료인 단말에서 상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로그인 화면에서 환자용 아이디로 로그인된 환자 단말에 언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언어로 의료 진단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며, 로그인 화면에서 의료인용 아이디로 로그인된 의료인 단말에 언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언어로 의료 진단 정보를 의료인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설정된 언어로 의료 문진을 위한 체계적 질문 화면을 제공하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이와 연관된 후속 질문 화면을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문진을 진행하고, 문진이 종료되면, 이에 따른 문진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의료인 단말에 문진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문진을 통해 해당 증상과 필요한 약물 정보를 포함하는 문진 결과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검색하여 필요한 약물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문진 결과에 적합한 병원 정보를 추천하되, 현재 환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이내에 있는 병원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여 병원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병원 정보를 추천하되, 해당 병원의 평점, 의료인의 모국어, 의료인이 사용 가능한 언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하되, 해외 여행 중인 국가와 지역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국가와 지역 인근의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해외여행 설정 기능 제공 시에 설정된 국가의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다르면, 환자 단말에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문진 절차와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문진 결과와 의료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의료인 단말에 문진 결과와 의료진단 정보를 설정된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의해 수행된 문진 관련 정보를 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약사가 소지한 의료인 단말에 제공하고, 해당 약사의 의료인 단말로부터 약 종류, 약 성분, 약 복용 방법, 부작용 정보를 포함하는 약학문진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함으로써, 환자 중심의 문진 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결과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언어로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약국에서의 빠른문진, 병원에서의 상세문진 등으로 분류하여서, 다양한 의료기관에서의 각종 진료상황에서 번역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문진 후, 이를 환자의 언어로부터 의료기관 및 의료인의 언어로 손쉽게 번역해주고, 나중에는 의료인과 환자간의 상호작용까지 돕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번역이 아닌 전문의료인이 실시한 전문 의료 번역을 제공함으로써, 오역으로 인한 진단 오류를 방지하고,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외 여행 중에 질병이 발생하여 긴급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번역 서비스를 통해 해당 국가의 언어로 문진 과정과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해외 여행 중의 병원 치료 과정에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딥 러닝을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일반인들에게는 어려운 전문 의약품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예이다.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환자용 의료사고보험 가입 및 번역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진료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은 환자 단말(1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 의료인 단말(300)을 포함한다.
환자 단말(100)은 환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의료인 단말(300)은 의사, 약사를 포함하는 의료인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환자 단말(100) 및 의료인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는 단말로서, 태블릿 PC,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자 단말(100) 및 의료인 단말(300)은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 또는 의료인 단말(300)에서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로그인 화면에서 환자용 아이디로 로그인된 환자 단말(100)에 언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언어로 의료 진단 정보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로그인 화면에서 의료인용 아이디로 로그인된 의료인 단말(300)에 언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언어로 의료 진단 정보를 의료인 단말(3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에 설정된 언어로 의료 문진을 위한 체계적 질문 화면을 제공하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이와 연관된 후속 질문 화면을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문진을 진행하고, 문진이 종료되면, 이에 따른 문진 결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환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의료인 단말(300)에 문진 결과를 공유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문진을 통해 해당 증상과 필요한 약물 정보를 포함하는 문진 결과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검색하여 필요한 약물 정보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문진 결과에 적합한 병원 정보를 추천하되, 현재 환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이내에 있는 병원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여 병원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에 병원 정보를 추천하되, 해당 병원의 평점, 의료인의 모국어, 의료인이 사용 가능한 언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에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하되, 해외 여행 중인 국가와 지역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국가와 지역 인근의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해외여행 설정 기능 제공 시에 설정된 국가의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다르면, 환자 단말(100)에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문진 절차와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문진 결과와 의료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의료인 단말(300)에 문진 결과와 의료진단 정보를 설정된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공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환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된 문진 관련 정보를 환자 단말(100)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약사가 소지한 의료인 단말(300)에 제공하고, 해당 약사의 의료인 단말(300)로부터 약 종류, 약 성분, 약 복용 방법, 부작용 정보를 포함하는 약학문진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환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제 환자 단말(100) 및 의료인 단말(300)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예이고,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예이다.
도 2 내지 도 21에서 “선택한다”는 행위는 단말(100, 300)의 화면예에서 터치펜 또는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특정 지점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21의 화면예는 환자 단말(100) 중에서 스마트 폰에서의 화면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이를 실행한 것이다.
도 2는 초기 화면예로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예로서, “Korean”, "English", "Chinese", "Japanese" 등의 언어 중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서 “English”를 선택한 경우, 진단(Diagnosis)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예이다. 도 3의 화면에서 “보통 진단(Normal Dignoasis)”과 “빠른 진단(Quickk Diagnosis)”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아픈 곳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예이다. 도 4에서 환자가 환자 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아픈 곳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얼굴/목”의 경우, “Cough, Headache, Runny nose” 등의 증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기침(cough)” 증상의 경우, 문진 내용으로서, 언제부터 기침을 하였는지, 기침할 때 아픈 곳이 있는지 등의 질문과 질문에 대한 보기를 예시한 화면예이다.
도 6은 도 5의 질문에 응답을 한 진단 테이블(Diagnosis table) 화면예로서, 기침을 한 기간이 “3주 이상 8주 미만(Less tahn 3 weeks to less than 8 weeks)”인 것으로 응답하고, 기침할 때 아픈 곳이 “가슴(Chest)”인 것으로 응답하고, 기침 빈도에 대해서 “하루에 일정기간만(For a certain peirod of one day)”으로 응답한 것이다.
도 7은 문진 도중 언어 변경을 하기 위한 화면예로서, 이 화면에서 영어에서 한글로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영어로 된 진단 테이블(Diagnosis table)에서 한글로 언어를 번역한 화면예이다.
도 9는 환자 단말(100)이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인근 병원/약국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예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문진 결과를 표시한 화면예로서, 도 10은 영어로 표시한 것이고, 도 11은 일어로 표시한 것이고, 도 12는 한글로 표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의 화면예에서 각 국의 언어로 문진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위염”증상이 있고, “위염약”이 필요하다는 문진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예이다.
도 13은 환자 단말(100)에서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한 화면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 상단에서 '해외여행 설정' 기능이 제공되며, 도 14에서 여행할 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의 화면예에서 여행할 국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현재 환자 단말(100)이 위치한 곳을 탐색하여 자동으로 국가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의 화면예는 '일본'을 선택한 예시로서, 일본 중에서 구체적인 도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쿄'를 선택한 화면예로서, 도쿄 지역의 병원 리스트가 나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의 화면예에서, 환자의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610)가 마련되어 있으며, 병원 리스트에서, 각 병원의 위치, 한인 의사 존재 여부, 사용 가능 언어 정보, 지도 연결 링크, 전화번호 정보가 간략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 17은 도 16의 병원 리스트에서 'JR 도쿄 종합병원'을 선택한 화면예로서, 해당 병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정보, 주소, 리뷰 평점, 사용 가능한 언어, 의사 모국어 정보 등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8은 의료인 단말(300)의 화면예로서, 약학 문진 결과표를 작성하도록 마련된 화면예이다.
도 18의 화면예에서, 의료인은 문진 결과를 참조하여 의료인 단말(300)을 통해 약 종류, 약 성분, 투약 방법, 부작용 정보, 총 금액 등의 약학 문진 결과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9는 의료인이 약학 문진 결과표를 작성하는 과정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도 18 및 도 19의 화면예에서, 의료인 단말(300)을 통해 약학 문진 결과표의 작성이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0)는 약학 문진 결과표 정보를 해당 환자의 환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도 20은 약학 문진 결과표를 수신한 환자 단말(100)의 화면예이다.
도 21은 환자 단말(100)의 언어가 '영어'로 설정된 경우, 영어로 번역된 약학 문진 결과표의 화면예이다.
본 발명의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는 임상필드에서 활동 중인 현직 의사들에 의해 구성된 체계적인 질문체계에 의한 문진을 실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 Onset / Location / Duration / Course / Experience 등 일반적인 문진 과정을 질문별로 분류 및 재구성하여 체계적인 질문 시스템(system)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문진 시에 탁상공론식 교과서적 질문 방식이 아닌 현장에서 활동 중인 현직 의사들에 의한 실제 진료 상황과 가장 유사하고 실제 진료에서 가장 효율적인 문진 방식을 제공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 설문 조사식 진료가 아닌, 실제로 의사와 면담하는듯한 문진 방식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환자가 선택한 대답(Yes/No, 수술력, 기왕력 등)에 의해 환자에게 가장 적합하고 꼭 필요한 질문을 선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특정 증상들에 대해 일반적으로 의사가 환자를 문진할 때 물어보는 공통된 질문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가장 효율적이고 가장 정확한 문진 루트(route)를 찾음으로써 불필요한 정보를 배제하고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통해 최적화된 진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제 임상 진료에서는 자칫 넘어가거나 생략할 수 있는 질문들도 빠짐 없이 질문함으로써 환자의 잠재적인 질병 및 진단까지 가능하게 하는 감별진단 체계(rule out diagnosis system)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단순 번역이 아닌 의료진에 의한 의학 전문 용어로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단순 번역을 통해서는 오역 또는 정확한 번역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이에 대한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다.
만약, 환자와 의사 관계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다면 진료 과정 자체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오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문 의학 용어에 기반한 번역 체계(translating system)을 사용한다면 일반 번역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번역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오진의 가능성을 낮추고 환자와 의사 간의 언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해소함으로써 원활한 진료를 가능하게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언어의 장벽 뿐만 아니라 장애인와 비장애인 사이의 장벽 또한 허물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장애인 또는 언어 구사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이 진료를 보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해외 여행 중 응급 상황에 처했을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긴박한 상황 속에서 환자와 의료진에게 언어적 문제 없이 빠르게 필요한 정보를 수용하고 신속한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딥러닝을 이용한 약물(Drug) 검색을 실시함으로써, 복용하는 약물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줄 수 있으며, 기존 전문성으로 인해 알기 어려웠던 정보들을 일반인들에게도 용이하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번역기능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의료에 관해 토론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료질문을 올리면 자동으로 추천 해쉬태그를 제안할 수 있다. 가령, #급성복통 #설사 #장염 #맹장염 등의 해쉬태그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약국 등의 의료기관 에서는 빠른 문진, 병원등에서는 일반문진을 통하여 환자가 실제 약국및 병원에서 필요한 문진을 환자의 언어 등으로 응답 후, 의료기관 및 의료인의 언어로 손쉽게 번역해주어 의료기관에서 환자에 대해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추후 의료인이 환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부분까지 도와줄 수 있는 의료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인 환자용 의료사고보험 가입 및 번역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진료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외국인 환자는 병원에서 진료, 수술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고 환자 단말(2240)을 통해 의료비를 결제한다(S2201).
의료비 결제가 완료되면, 병원 서버(2230)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220)에 외국인 환자 정보를 전송한다(S2203). 외국인 환자 정보는 외국인 환자의 국적, 성별, 이메일, 연락처 등의 신상정보, 진료과목 정보, 의료비 정보, 병원 정보, 진단의료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220)는 제공된 외국인 환자 정보를 보험 서버(2250)에 제공한다(S2205).
보험 서버(2250)는 의료사고보험 가입 안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한다(S2207).
보험 서버(2250)가 환자 단말(2240)로부터 의료사고보험 가입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보험 서버(2250)는 보험 가입 절차를 진행한다(S2209).
환자 단말(2240)은 보험 서버(2250)로부터 보험가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S2211).
보험 서버(2250)는 외국인 환자의 이메일로 의료사고보험 가입 정보와 보험가입 사이트의 URL 정보를 전송한다(S2213).
보험 서버(2250)는 의료사고보험 가입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220)에 제공하고(S2215),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220)는 의료사고보험 가입 정보의 번역을 환자 단말(2250)에 제공한다(S2217).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환자 단말
2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300 의료인 단말

Claims (10)

  1.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환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환자 단말; 및
    의사, 약사를 포함하는 의료인이 소지하는 단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는 의료인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 또는 상기 의료인 단말에서 상기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로그인 화면에서 환자용 아이디로 로그인된 환자 단말에 언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언어로 의료 진단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며, 로그인 화면에서 의료인용 아이디로 로그인된 의료인 단말에 언어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언어로 의료 진단 정보를 의료인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설정된 언어로 의료 문진을 위한 체계적 질문 화면을 제공하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이와 연관된 후속 질문 화면을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문진을 진행하고, 문진이 종료되면, 이에 따른 문진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의료인 단말에 문진 결과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문진을 통해 해당 증상과 필요한 약물 정보를 포함하는 문진 결과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약물 정보를 검색하여 필요한 약물 정보를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문진 결과에 적합한 병원 정보를 추천하되, 현재 환자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이내에 있는 병원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여 병원 정보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병원 정보를 추천하되, 해당 병원의 평점, 의료인의 모국어, 의료인이 사용 가능한 언어를 포함하는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하되, 해외 여행 중인 국가와 지역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된 국가와 지역 인근의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해외여행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해외여행 설정 기능 제공 시에 설정된 국가의 언어와 설정된 언어가 다르면, 환자 단말에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문진 절차와 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문진 결과와 의료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의료인 단말에 문진 결과와 의료진단 정보를 설정된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환자 단말에 의해 수행된 문진 관련 정보를 환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지정된 약사가 소지한 의료인 단말에 제공하고, 해당 약사의 의료인 단말로부터 약 종류, 약 성분, 약 복용 방법, 부작용 정보를 포함하는 약학문진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환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KR1020200010931A 2019-01-30 2020-01-30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KR102351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1777 2019-01-30
KR1020190011777 2019-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698A true KR20200094698A (ko) 2020-08-07
KR102351230B1 KR102351230B1 (ko) 2022-01-14

Family

ID=7204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931A KR102351230B1 (ko) 2019-01-30 2020-01-30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92B1 (ko) * 2021-01-20 2021-06-03 이창엽 의료진단 관리 시스템
KR20230043628A (ko) *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참약사 건강관리용 상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097A (ko) * 2020-07-15 2022-01-24 하이케어넷 주식회사 국가별 맞춤형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는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6221A1 (en) * 2010-12-23 2012-06-28 Clinton Glen Phillips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telemedicine sessions across different geopolitical zones
KR101505398B1 (ko) 2013-12-17 2015-03-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JP2016091298A (ja) * 2014-11-05 2016-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問診票作成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問診票作成方法、問診票作成プログラム、及び、問診票管理サーバ
KR101887521B1 (ko) * 2017-06-21 2018-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인식 기반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6221A1 (en) * 2010-12-23 2012-06-28 Clinton Glen Phillips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telemedicine sessions across different geopolitical zones
KR101505398B1 (ko) 2013-12-17 2015-03-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JP2016091298A (ja) * 2014-11-05 2016-05-23 凸版印刷株式会社 問診票作成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問診票作成方法、問診票作成プログラム、及び、問診票管理サーバ
KR101887521B1 (ko) * 2017-06-21 2018-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인식 기반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hokkumar Palanivinayagam 외, Drug recommendation with minimal side effects based on direct and temporal symptoms, The Natural Computing Applications Forum 2018, 2018.10.09., Vol.32, pp10971-1097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092B1 (ko) * 2021-01-20 2021-06-03 이창엽 의료진단 관리 시스템
KR20230043628A (ko) *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참약사 건강관리용 상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230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e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informal caregivers’ needs in providing home‐based end‐of‐life care to people with cancer
Aikins Healer shopping in Africa: new evidence from rural-urban qualitative study of Ghanaian diabetes experiences
Givler et al.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e in pain and palliative care
Poulin et al. Chronic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pilot mixed-methods cross-sectional study examining patient characteristics and reasons for presentations
Chen et al. A pilot study of mobile telephone message interventions with suicide attempters in China
KR102351230B1 (ko) 체계적 의료 문진 번역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진료 보조 시스템
Lim et al. Effects of a technology-assisted integrated diabetes care program on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the Asia-Pacific region: the JADE program randomized clinical trial
Waumans et al. Barriers and facilitators for treatment-seeking in adults with a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 in a Western-European health care setting: a qualitative study
Kuehn WHO: Pandemic sparked a push for global mental health transformation
US11101044B2 (en) Uber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Rampioni et al. A qualitative study toward Technologies for Active and Healthy Aging: A thematic analysis of perspectives among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end users
Rahman et al. Perceptions of patient‐centred care among providers and patients in the orthopaedic department of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arachi, Pakistan
Brezing et al. Digital clinical trial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in the age of Covid-19
Huchko et al. ‘I’m here to save my life’: a qualitative study of experiences navigating a cryotherapy referral system for human papillomavirus-positive women in western Kenya
Isaac et al. Australian pharmacists’ perspectives on physician-assisted suicide (PAS): thematic analysis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Farmer et al. Practice guidance for buprenorphine for the treatment of opioid use disorders: results of an expert panel process
Chen et al. Remaining agile in the COVID-19 pandemic healthcare landscape–How we adopted a hybrid telemedicine geriatric oncology care model in an academic tertiary cancer center
Jacobs et al. The CMS strategy to promote equity in quality and value programs
Brimley et al. The emerging critical role of telemedicine in the urology clinic: a practical guide
Schonberg et al. Talking about stopping cancer screening—not so easy Comment on “Older adults and forgoing cancer screening:‘I think it would be strange’”
Soheilipour et al. Antibiotic prophylaxis in dentistry: part II. A qualitative study of patient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of the NICE guideline
Saloner et al. A stronger treatment system for opioid use disorders
Lane et al. Newcomer challenges with accessing healthcare services in Saskatchewan, Canada
Rajaram et al. Medicare
Smith et al. Integrative oncology in Australia 2016: mapping service provision and exploring unmet n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