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445A -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445A
KR20200109445A KR1020190028462A KR20190028462A KR20200109445A KR 20200109445 A KR20200109445 A KR 20200109445A KR 1020190028462 A KR1020190028462 A KR 1020190028462A KR 20190028462 A KR20190028462 A KR 20190028462A KR 20200109445 A KR20200109445 A KR 2020010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ot
patient
que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883B1 (ko
Inventor
최윤희
송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칼엑셀런스
Priority to KR102019002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88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고,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processing of patient IoT information}
본 발명은 환자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고,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약어로 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즉,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아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된다.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051호의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한 환자상태정보 제공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환자마다 손가락에 끼워져 있는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에 의해 획득된 환자상태정보(예컨대, 산소포화도, 맥박수) 혹은 상기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로부터 출력되는 의료인 호출신호를 병원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망(예컨대 LoRa, NB-IoT,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원격지의 환자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를 손가락에 끼운 환자가 자유롭게 이동하고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에서 원격지의 환자관리서버 관리자가 환자의 환자상태정보(예컨대, 산소포화도, 맥박수)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환자 관리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의료인(예컨대, 의사나 간호사)을 호출할 필요가 있을 때, 환자가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의 호출버튼을 눌러 쉽고 편리하게 의료인을 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었다.
KR 10-2019-0002051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고,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할 수 있는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는, IoT 단말기(11)와 스마트폰(12)을 구비한 환자용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환자의 IoT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11)에서 측정된 환자의 심박수, 체온 및 스트레스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IoT 정보를 웹소켓을 통해 바이트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는 수신부(21)와; 디코더 UI(30)에서 설정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2)에서 수신한 환자의 IoT 데이터를 설정한 데이터 크기의 저장공간에 문자열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간을 비워지도록 처리하는 제1 큐(22)와; 상기 제1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문자열을 분해하고,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디코더(23)와; 상기 디코더의 JSON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큐(24)와; 상기 제2 큐에 저장된 JSON 데이터를 계산하고,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25)와; 상기 IoT 단말기(11)의 환자 IoT 정보와 상기 컨버터(25)에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No-SQL(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26)와; 상기 No-SQL(26)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연결된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에 원본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서버(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방법은, IoT 단말기(11)와 스마트폰(12)을 구비한 환자용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환자의 IoT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병원 IoT 처리서버(20)에서의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11)에서 측정된 환자의 심박수, 체온 및 스트레스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IoT 정보를 웹소켓을 통해 바이트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부(21)에서 수신하도록 하는 수신단계(ST1)와; 상기 수신단계 후 제1 큐(22)에서는 디코더 UI(30)에서 설정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2)에서 수신한 환자의 IoT 데이터를 설정한 데이터 크기의 저장공간에 문자열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간을 비워지도록 처리하는 제1 큐 처리단계(ST2)와; 상기 제1 큐 처리단계 후 디코더(23)에서는 상기 제1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문자열을 분해하고,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디코딩단계(ST3)와; 상기 제3 단계 후 제2 큐(24)에서는 상기 디코더의 JSON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큐 처리단계(ST4)와; 상기 제2 큐 처리단계 후 컨버터(25)에서는 상기 제2 큐에 저장된 JSON 데이터를 계산하고,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컨버팅단계(ST5)와; 상기 컨버팅단계 후 No-SQL(26)에서는 상기 IoT 단말기(11)의 환자 IoT 정보와 상기 컨버터(25)에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No-SQL 처리단계(ST6)와; 상기 No-SQL 처리단계 후 API 서버(27)에서는 상기 No-SQL(26)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연결된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에 원본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결과전송단계(ST7);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고,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고,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념도이다.
병원 IoT 처리서버(20)는 IoT 단말기(11)와 스마트폰(12)을 구비한 환자용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환자의 IoT 정보를 실시간 처리한다.
수신부(Receiver)(21)는 IoT 단말기(11)에서 측정된 환자의 심박수, 체온 및 스트레스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IoT 정보를 웹소켓을 통해 바이트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한다.
이때는 웹서버 스트리밍(websocket streaming)(ST1)을 수행하게 된다.
그래서 IoT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웹소켓(websocket)을 통해 바이트 스트리밍(byte streaming) 형태로 병원 IoT 처리서버(20) 쪽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웹소켓(WebSocket)이란 웹버전의 TCP 또는 Socket(소켓)이다. 웹소켓(WebSocket)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소켓 연결(socket connection)을 유지해서 언제든 양방향 통신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며, 2008년에 HTML5에 포함이 되어서 여러 번의 토론을 통해 프로토콜이 제정되었고, 2009년 구글 크롬을 시작으로 여러 웹브라우저에서 이 기술을 적용하여 현재 실시간 웹 응용프로그램(Real-time web application) 구현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실시간 웹 어플리케이션(Real-time web application)이란 서버 쪽 또는 클라이언트 쪽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심박수와 체온을 기준으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IoT가 있다고 가정하면 심박수 100bpm, 체온 36도, 스트레스 7단위 일 경우, '100 + 36 + 7 = 1000367'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런 식의 데이터가 끝없이 계속 전달되게 된다.
제1 큐(22)는 디코더 UI(30)에서 설정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수신부(22)에서 수신한 환자의 IoT 데이터를 설정한 데이터 크기의 저장공간에 문자열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간을 비워지도록 처리한다.
이는 flush buffer and save(ST2) 처리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그래서 디코더 UI(Decoder User Interface)(30)를 통해 7자리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주며, 해당 데이터는 첫 3자리는 심박수, 2자리는 체온, 1자리는 스트레스라는 것을 시스템에 설정할 수 있다.
전달된 데이터는 7자리를 기준으로 한 연속 데이터이므로 7자리만 담을 수 있는 버퍼(buffer)의 메모리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한자리씩 채워지다가 7자리가 다 차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간을 비워준다(flush). 추출한 데이터는 제1 큐(Queue #1)(22)에 저장한다.
큐(Queue)에 저장하는 것은 데이터 정체현상을 위한 해소하기 위해서이다. 이후 처리하는 프로세스 속도가 진입하는 스트리밍(streaming) 속도보다 늦으면 데이터 정체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 상 오버로드(overload)가 발생하여 실제 실시간 처리 시 지연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큐를 적용한다.
디코더(23)는 제1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문자열을 분해하고,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이때는 notify to decoder(ST3)를 수행하게 된다.
그래서 제1 큐(Queue #1)(22)는 먼저 들어간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디코더(Decoder)(23)로 해당 데이터를 전달하고, 제1 큐(Queue #1)(22)에서는 처리가 끝난 것으로 판별하여 해당 데이터를 삭제한다.
디코더(Decoder)(23)는 디코더 UI(Decoder UI)(30)에서 설정한 형태대로 7자리 문자열을 심박수, 체온, 스트레스로 분해하고, 이를 내부 처리를 위한 JSON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1000367 = 100 / 036 / 1 = { heartrate: 100, temperature: 36, stress: 7 }
여기서 JSON(제이슨, 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속성-값 쌍( attribute-value pairs and array data types (or any other serializable value)) 또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이다. 비동기 브라우저/서버 통신을 위해, 넓게는 XML(AJAX가 사용)을 대체하는 주요 데이터 포맷이다.
제2 큐(24)는 디코더의 JSON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는 save decoded result(ST4) 처리를 통해 수행한다.
즉, 변환된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다시 제2 큐(Queue #2)(24)에 저장한다. 이의 동작은 제1 큐(22)에서의 처리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컨버터(25)는 제2 큐에 저장된 JSON 데이터를 계산하고,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는 notify to converter(ST5) 동작을 통해 수행한다.
컨버터(Converter)(25)는 전달된 데이터를 다른 형태 또는 연산을 통해 또다른 데이터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타 IoT 단말기(60)로 전달한다거나 특정 모니터링 툴(monitoring tool)(50)을 위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해당 부분의 설정은 컨버터 UI(Converter UI)(40)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자바스크립트라는 개발 언어를 통해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예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합니다.
heartrate x temperature + stress = 또 다른 지표라면 { otherIndex: 100 x 36 + 7 }
형태를 바꾸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h: 100, t: 36, s: 7 }
다음과 같이 데이터의 분해 또한 가능하다. { heartrate: 100, unit: bps }, { temperature: 36, unit: C }, { stress: 7, source: 'heartrate' }
No-SQL(Not Only Structured Query Language,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26)는 IoT 단말기(11)의 환자 IoT 정보와 컨버터(25)에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는 save source & converted result(ST6) 처리를 통해 수행한다.
그래서 처음에 전달된 원천 데이터와 컨버터(Converter)(25)를 통해 변환된 데이터들을 모두 저장한다.
여기서 NoSQL 데이터베이스는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보다 덜 제한적인 일관성 모델을 이용하는 데이터의 저장 및 검색을 위한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에 대한 동기에는 디자인의 단순화, 수평적 확장성, 세세한 통제를 포함한다. NoSQL 데이터베이스는 단순 검색 및 추가 작업을 위한 매우 최적화된 키 값 저장 공간으로, 레이턴시와 스루풋과 관련하여 상당한 성능 이익을 내는 것이 목적이다.
API 서버(27)는 No-SQL(26)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연결된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에 원본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이는 notify to api server(ST7) 처리를 통해 수행한다.
그래서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연결되어 있는 타 IoT 단말기(60) 또는 모니터링 툴(monitoring tool)(50)을 위해 해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api server로 전달한다.
그리고 relay result(ST8) 처리를 통해 결과 데이터를 전달한다. 즉, 연결되어 있는 타 IoT 단말기(60), 스마트폰(12)의 앱 또는 모니터링 툴(50)에게 실시간으로 원본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 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여러 다양한 IoT로부터 전달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특정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IoT 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처리하고, 동일 측정 지표(체온, 심박수 등)를 측정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사용처에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환자용 단말기
11 : IoT 단말기
12 : 스마트폰(앱)
20 : 병원 IoT 처리서버
21 : 수신부
22 : 제1 큐
23 : 디코더
24 : 제2 큐
25 : 컨버터
26 : No-SQL
27 : API 서버
30 : 디코더 UI
40 : 컨버터 UI
50 : 모니터링 툴
60 : 다른 IoT 단말기

Claims (2)

  1. IoT 단말기(11)와 스마트폰(12)을 구비한 환자용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환자의 IoT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11)에서 측정된 환자의 심박수, 체온 및 스트레스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IoT 정보를 웹소켓을 통해 바이트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는 수신부(21)와;
    디코더 UI(30)에서 설정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2)에서 수신한 환자의 IoT 데이터를 설정한 데이터 크기의 저장공간에 문자열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간을 비워지도록 처리하는 제1 큐(22)와;
    상기 제1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문자열을 분해하고, JSON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는 디코더(23)와;
    상기 디코더의 JSON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큐(24)와;
    상기 제2 큐에 저장된 JSON 데이터를 계산하고,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25)와;
    상기 IoT 단말기(11)의 환자 IoT 정보와 상기 컨버터(25)에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No-SQL(26)와;
    상기 No-SQL(26)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연결된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에 원본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API 서버(2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2. IoT 단말기(11)와 스마트폰(12)을 구비한 환자용 단말기(10)와 연결되어 환자의 IoT 정보를 실시간 처리하는 병원 IoT 처리서버(20)에서의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기(11)에서 측정된 환자의 심박수, 체온 및 스트레스 정보를 포함한 환자의 IoT 정보를 웹소켓을 통해 바이트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부(21)에서 수신하도록 하는 수신단계(ST1)와;
    상기 수신단계 후 제1 큐(22)에서는 디코더 UI(30)에서 설정한 데이터 크기에 따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2)에서 수신한 환자의 IoT 데이터를 설정한 데이터 크기의 저장공간에 문자열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모두 채워지면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고 공간을 비워지도록 처리하는 제1 큐 처리단계(ST2)와;
    상기 제1 큐 처리단계 후 디코더(23)에서는 상기 제1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문자열을 분해하고, JSON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되도록 하는 디코딩단계(ST3)와;
    상기 제3 단계 후 제2 큐(24)에서는 상기 디코더의 JSON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큐 처리단계(ST4)와;
    상기 제2 큐 처리단계 후 컨버터(25)에서는 상기 제2 큐에 저장된 JSON 데이터를 계산하고,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컨버팅단계(ST5)와;
    상기 컨버팅단계 후 No-SQL(26)에서는 상기 IoT 단말기(11)의 환자 IoT 정보와 상기 컨버터(25)에서 표준화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No-SQL 처리단계(ST6)와;
    상기 No-SQL 처리단계 후 API 서버(27)에서는 상기 No-SQL(26)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병원 IoT 처리서버(20)에 연결된 모니터링 툴(50) 또는 다른 IoT 단말기(60)에 원본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결과전송단계(ST7);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방법.
KR1020190028462A 2019-03-13 2019-03-13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62A KR102236883B1 (ko) 2019-03-13 2019-03-13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62A KR102236883B1 (ko) 2019-03-13 2019-03-13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445A true KR20200109445A (ko) 2020-09-23
KR102236883B1 KR102236883B1 (ko) 2021-04-06

Family

ID=7270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462A KR102236883B1 (ko) 2019-03-13 2019-03-13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6850A (zh) * 2021-09-07 2021-12-03 成都小步创想慧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多通道数据采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60A (ko) * 2012-07-30 2014-02-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엔에프씨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7326A (ko) * 2012-09-17 2014-03-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건강기록을 위한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5398B1 (ko) * 2013-12-17 2015-03-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KR20190002051A (ko) 2017-06-29 2019-01-08 (주) 팬옵틱스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한 환자상태정보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60A (ko) * 2012-07-30 2014-02-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엔에프씨를 이용한 개인 건강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7326A (ko) * 2012-09-17 2014-03-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건강기록을 위한 실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5398B1 (ko) * 2013-12-17 2015-03-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환자감시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기반 환자 진료 시스템
KR20190002051A (ko) 2017-06-29 2019-01-08 (주) 팬옵틱스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한 환자상태정보 제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6850A (zh) * 2021-09-07 2021-12-03 成都小步创想慧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多通道数据采集方法
CN113746850B (zh) * 2021-09-07 2023-08-15 成都小步创想慧联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多通道数据采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883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8092A (zh) 一种远程运动康复系统
Ge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operable IoT healthcare system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CN107278363A (zh) 用于网络通信的系统和技术
EP3079569B1 (en) Combining information from multiple formats
CN102622522A (zh) 一种手持移动式安全远程医疗健康状态监护系统
CN103259859A (zh) 一种基于Android的体域网及其智能终端连接方法
CN105306573B (zh) 医学影像原始数据调度方法和医学影像传输系统
JP2020166801A (ja) 室内環境と高齢者の健康との関連をモニタリングするIoTシステム及びモニタリング方法
CN104523252A (zh) 一种移动健康服务方法及系统、移动终端
KR102236883B1 (ko) 환자 IoT 정보의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8694995A (zh) 一种医疗诊断系统及方法
KR20170107189A (ko)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컴포넌트 기반 모바일 헬스 대시보드 제작 시스템
Irawan et al. Heart rate monitoring using IoT wearable for ambulatory patient
US10931304B1 (en) Sensor content encoding
Bellagente et al. M 3 IoT—message-oriented middleware for M-health Internet of Things: Design and validation
Kadhim et al. Monitoring vital signs of human hear based on IOT
KR20190048720A (ko) 코앱기반의 파이어 리소스를 사용하는 개인의료장치 정보모델 구조
L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ion architecture of ISO 11073 DIM with FHIR resources using CoAP
Mendoza et al.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monitoring heart rate of patients on the cloud using IoT devices
CN204260730U (zh) 一种无线网络化多参数生命体征监测仪
Singh et al. Towards an open data framework for body sensor networks supporting bluetooth low energy
SIVKOV Information system for collectio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data from sensor nodes
KR20170050873A (ko) 다른 통신환경을 사용하는 헬스기기로부터 수집된 헬스 정보를 관리하는 빅데이터 프레임워크 및 이를 포함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Morón et al. Prototyping of 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a medical Personal Area Network using Python
CN106936762A (zh) 一种用于防火实验中多数据接入整合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