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736B1 - 회전식 갱문 - Google Patents

회전식 갱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736B1
KR101504736B1 KR1020140088534A KR20140088534A KR101504736B1 KR 101504736 B1 KR101504736 B1 KR 101504736B1 KR 1020140088534 A KR1020140088534 A KR 1020140088534A KR 20140088534 A KR20140088534 A KR 20140088534A KR 101504736 B1 KR101504736 B1 KR 10150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interlocking
door
link shaft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순
Original Assignee
(주)해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밀 filed Critical (주)해밀
Priority to KR102014008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 E06B5/14Gas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피난 연락 갱 또는 대피로 등에 설치되어서 통행인 또는 각종 차량 등의 통행에 간섭을 주지 않고, 사고 발생시 각종 유해가스 등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안정된 동작이 보장되는 회전식 갱문에 관한 것으로, 도어축을 구비한 스윙도어와, 상기 도어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축을 구비한 연동기어와, 상기 제1링크축과 연동하는 제2링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링크축의 회전력과 반대방향의 복원회전력을 일으키는 자동폐쇄장치가 포함된 회전식 갱문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활차와, 상기 제2링크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활차와, 상기 제1,2활차가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제1,2활차를 감아 거는 연동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갱문{Evacuation Door for Tunnel}
본 발명은 터널 피난 연락 갱 또는 대피로 등에 설치되어서 통행인 또는 각종 차량 등의 통행에 간섭을 주지 않고, 사고 발생시 각종 유해가스 등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안정된 동작이 보장되는 회전식 갱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내 인공 시설(이하 '터널')에는 붕괴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때 상기 터널 내 통행자가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통로를 설치하고,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비상통로에는 회전식 갱문이 설치된다.
종래 회전식 갱문은 등록특허 제1218206호(공고일자 2013. 01. 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윙도어(11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160)와, 일정시간 후 개방된 스윙도어(110)를 강제로 폐구하기 위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자동폐쇄장치(150)와, 자동폐쇄장치(150)의 회전력에 상관없이 스윙도어(110)가 일정시간 동안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맞물리는 회전체(120) 및 연동부재(130, 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속기(160)는 스윙도어(110)의 도어축(111)과 직접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자동폐쇄장치(150)는 회전체(120) 및 연동부재(130, 130')를 매개로 도어축(111)과 연동하는 구조를 이룬다. 결국, 자동폐쇄장치(150)가 회전력을 도어축(111)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회전체(120) 및 연동부재(130, 130')로 구성된 연동기어와 맞물려야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150)의 맞물림을 위해서 등록특허 제1218206호의 도 3과 같이, 자동폐쇄장치(150)와 회전체(120) 사이에 베벨기어를 삽입해서 이를 매개로 서로 연동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서로 독립된 구성인 감속기(160)와 자동폐쇄장치(150) 및 연동기어의 배치 위치를 제한하게 되므로, 설계방향이 지나치게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와 같은 중간기어가 보강되므로 감속기(160)와 자동폐쇄장치(150) 및 연동기어 등의 점유 공간이 증가하면서 회전식 갱문의 규모가 커지고, 제작비용 또한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자동폐쇄장치(150)와 연동기어 간의 배치 위치를 제한하지 않고 서로 연동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조인트가 적용되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조인트는 연결하는 두 축의 중심이 일치하기 어려울 때, 또는 경년 변화(經年變化)로 중심이 맞지 않게 될 우려가 있을 때, 도 1(종래 회전식 갱문에 구성되는 자동폐쇄장치와 연동기어 간의 플렉시블 조인트를 매개로 한 연동모습을 보인 도면)에서 보인 구조로 상기 두 축을 연결하는 이음수단으로서, 플렉시블 조인트(F)를 활용하면 자동폐쇄장치(150)와 연동기어 간의 위치 제한 없이 안정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플렉시블 조인트를 매개로 자동폐쇄장치(150)와 연동기어를 서로 연결할 경우,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150) 간의 회전력 전달이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에서 모두 이루어지면서 플렉시블 조인트(F) 자체의 뒤틀림이 발생하고, 자동폐쇄장치(150)와 연동기어에 각각 고정되는 플렉시블 조인트(F)의 양단 또한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면서 자동폐쇄장치(150)와 연동기어 간의 불안정한 동력 전달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층에 위치하며 스윙도어의 도어축(111)과 직접 맞물리는 연동기어(120)와, 상층에 위치하는 자동폐쇄장치(150)가 플렉시블 조인트(F)를 매개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조인트(F)가 라운드 형태의 자세를 이루며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라운드 형태를 유지하면서 플렉시블 조인트(F)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곡률로 구부러져야 하므로, 상기 플렉시블 조인트의 배치위치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공간 확보는 종래 문제 중 하나인 점유공간 증대를 해소하지 못하므로, 이 또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였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218205호(2013. 01. 03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스윙도어의 도어축과 감속기 간의 연동을 매개하는 연동기어가 자동폐쇄장치에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회전력 전달의 정밀성을 유지하며, 최소의 점유공간을 갖도록 한 회전식 갱문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축을 구비한 스윙도어와, 상기 도어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축을 구비한 연동기어와, 상기 제1링크축과 연동하는 제2링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링크축의 회전력과 반대방향의 복원회전력을 일으키는 자동폐쇄장치가 포함된 회전식 갱문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활차와, 상기 제2링크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활차와, 상기 제1,2활차가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제1,2활차를 감아 거는 연동로프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갱문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회전식 갱문에 구성되는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의 연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위한 점유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정밀한 동작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식 갱문에 구성되는 자동폐쇄장치와 연동기어 간의 플렉시블 조인트를 매개로 한 연동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갱문의 정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M'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갱문에 구성된 연동기어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의 연결구조에 대한 제1 및 제2실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의 모습을 도시한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의 연결구조에 대한 제3실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갱문의 정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갱문은 프레임(100)에 도어축(11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윙도어(110)와, 도어축(111)과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일정한 회전각 범위에서는 도어축(111)과 공회전하도록 연동하는 회전체(121; 도 4 참조)가 구비된 연동기어(120)를 포함한다.
스윙도어(110)는 여닫이 형태로 동작하므로, 대피자(이하 '통행인')가 밀면 열리도록 되어서, 비상시 통행인이 본능적으로 스윙도어(110)를 밀고 통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윙도어(110)가 열리면서 개방된 면적이 해당 비상 통로의 단면적에 준하므로, 갱문이 위치한 지점에서도 상기 비상 통로의 단면적 만큼을 통행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어축(111)을 스윙도어(110)의 중앙부에 배치시켜서, 스윙도어(110)가 비상 통로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비상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동일한 비상 통로에서 서로 반대로 통행하는 통행인(대피자)과 응급복구반이 충돌없이 교차해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윙도어(110)의 양면에는 각각 통행인이 스윙도어(110)를 밀어 열 수 있도록 손잡이(11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도어축(111)이 스윙도어(11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서 스윙도어(110)가 회전하도록 된 경우, 한 쌍의 손잡이(113)는 통행인의 좌측통행 또는 우측통행(도면의 경우 우측통행)을 유도하기 위해 스윙도어(110)의 일면에서 편중된 일측방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계속해서, 손잡이(113)는 프레임(100)에 삽탈되도록 스윙도어(110)에 배치된 잠금쇠(115)와 연동하면서, 손잡이(113)의 조작 시에만 스윙도어(11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해제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스윙도어(110)가 도로를 지나가는 차량의 풍압 등에 의하여 임의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스윙도어(11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손잡이(113)는 하나의 잠금쇠(115)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스윙도어(110)의 양면에 배치된 손잡이(113) 중 어느 한 개만 조작하더라도 잠금쇠(115)가 일괄 동작하면서 스윙도어(1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이를 통해 스윙도어(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잠금쇠(115)가 상하로 승,하강하도록 되어서, 한 쌍의 잠금쇠(115) 중 어느 하나만 조작하더라도 잠금쇠(115)가 모두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외에도 잠금쇠(115)에는 아날로그 열쇠나 디지털 도어록 등의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M'을 확대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식 갱문의 스윙도어(110)를 지지하는 도어축(111)은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도어축(111)은 연동기어(120)를 통해 감속기(160) 및 자동폐쇄장치(150)와 연동한다. 이를 위해서 연동기어(120)는 도어축(111)과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서 하층에 위치하고, 감속기(160)는 연동기어(120)를 관통한 도어축(111)과의 연결을 위해서 연동기어(120)의 위층인 중간층에 위치하며, 자동폐쇄장치(150)는 감속기(160)의 위층인 상층에 위치한다. 여기서, 하층과 상층에 각각 분리 배치된 연동기어(120)와 자동폐쇄장치(150) 간의 연동을 위해서, 연동기어(120)의 제1링크축(128)과 제2링크축(151)에 감아 걸도록 된 연동로프(L)로 연결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연동로프(L)의 감김과 풀림에 의한 의한 동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1링크축(128)에는 제1활차(128a)를 동축으로 보강하고, 제2링크축(151)에는 제2활차(151a)를 동축으로 보강해서, 연동로프(L)가 제1,2활차(128a, 151a)에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기재한 연동로프(L)는 감김과 풀림이 가능한 모든 재질을 의미하며, 일 예로 와이어, 체인, 벨트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동기어(120)의 제1링크축(128)과 자동폐쇄장치(150)의 제2링크축(15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활차(128a)의 일측으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연동로프(L)가 제2활차(151a)의 타측으로부터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또한, 제1활차(128a)와 제2활차(151a)는 연동로프(L)를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연동로프(L)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1라인의 연동로프(L)로 제1,2활차(128a, 151a)를 연결하고, 제1활차(128a) 또는 제2활차(151a)를 자체 회전시켜서 늘어진 연동로프(L)가 당겨지도록 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갱문에 구성된 연동기어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120)는 도어축(111)의 회전력을 감속기(160)로 전달해서 스윙도어(11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력을 자동폐쇄장치(150)로 전달해서 일정시간 경과 후 자동폐쇄장치(150)가 가하는 복원회전력에 의해 스윙도어(110)가 닫히게 한다.
이를 위해 연동기어(120)는 도어축(111)과 동축을 이루면서 관통하는 기어 타입의 회전체(121)와, 회전체(1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베벨기어(126)와, 제1베벨기어(126)의 회전축과 각을 이루는 제1링크축(12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베벨기어(126)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127)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링크축(128)의 단부에는 제1활차(128a)가 고정되어서, 제1링크축(12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연동기어(120)는 다수의 기어가 맞물리는 구조를 이룬다. 결국, 제2베벨기어(127)의 회전축인 제1링크축(128)의 회전속과 회전수는 도어축(111)의 회전속과 회전수에 비해 증가하면서, 자동폐쇄장치(150)에 효과적인 회전운동을 전달하고, 자동폐쇄장치(150)는 스윙도어(110)를 회전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는 복원회전력으로도 스윙도어(100)를 회전시켜서 안정하게 닫히도록 한다.
한편, 도어축(111)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21)는 도어축(111)을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도어축(111)이 회전하더라도 회전체(121)는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도어축(111)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연동부재(미도시함)가 형성되고, 회전체(121)의 일지점에는 상기 연동부재와 맞물리는 걸림부(미도시함)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일지점에 이르면 걸림부에 걸리고 연동부재의 회전력이 회전체(121)에 전달된다. 결국, 도어축(111)의 회전력이 항상 회전체(121)에 전달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연동부재가 일지점에 이를 때에만 도어축(111)의 회전력이 회전체(121)에 전달된다. 물론, 이 시점에만 도어축(111)의 회전력이 제1링크축(128)에 출력되거나, 제1링크축(128)의 회전력이 도어축(111)에 전달된다.
본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218205호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8205호의 기술이 적용되면, 도 5의 (a)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윙도어(110)가 열린 상태에서 통행인은 스윙도어(110)를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즉, 통행인이 스윙도어(110)를 열고 닫을 때는 상기 연동부재와 걸림부가 서로 걸리지 않고 스윙도어(110)가 자유롭게 열리고 닫히는 것이다.
계속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폐쇄장치(150)는 복원회전력을 일으켜서 제2링크축(151)을 통해 제2활차(151a)로 상기 복원회전력을 전달하고, 도 5의 (b)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로프(L)를 매개로 제1활차(128a) 및 제1링크축(128)에 상기 복원회전력을 전달해서 회전체(121)로 전달한다. 상기 복원회전력을 받은 회전체(121)의 걸림부는 연동부재가 걸리기 전까지는 홀로 회전을 하며, 연동부재가 걸리면 연동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해서 도어축(111)이 회전하도록 한다. 물론, 도어축(111)이 회전하면 스윙도어(110)가 회전하면서 열려져 있는 비상통로를 닫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의 연결구조에 대한 제1 및 제2실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동로프(L)를 매개로 제1,2활차(128a, 151a)가 서로 연동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서 연동로프(L)의 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연동로프(L)의 양단이 제1,2활차(128a, 151a)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해서, 제1활차(128a)에 감긴 연동로프(L)가 풀리면 제2활차(151a)의 연동로프(L)가 감기고, 제1활차(128a)에 감긴 연동로프(L)가 감기면 제2활차(151a)의 연동로프(L)가 풀리도록 한다.
또한, 제1활차(128a)에 연동로프(L)과는 독립된 당김로프(131)의 일단을 감고, 당김로프(131)의 타단은 당김로프(131)를 당기는 풀러(132, 132')에 연결시켜서, 풀러(132, 132')가 당김로프(131)를 지속적으로 당기고, 당김로프(131)는 제1활차(128a)로부터 지속적으로 풀리도록 한다. 결국, 제1활차(128a)는 제2활차(151a)와는 무관하게 연동로프(L)를 감기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유지하면서, 연동로프(L)가 늘어지면 이를 곧바로 감고, 이를 통해서 연동로프(L)가 일정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풀러(132, 132')는 도 6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태엽스프링 또는 일반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서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유지하는 도르래 구조의 풀러(132)일 수도 있고, 도 6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 또는 고무연동로프 구조의 풀러(132')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풀러(132, 132')는 당김로프(131)를 당길 수 있는 동력을 갖는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당김로프(131)의 연결 대상을 제1활차(128a)로 했으나, 제2활차(151a)일 수도 있고, 제1,2활차(128a, 151a) 모두에 당김로프(131)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외부 회전력에 반응해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복원회전력을 일으키는 제2활차(151a)보다는 제1활차(128a)에 당김로프(131)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1,2활차(128a, 151a)는 연동로프(L)의 감김 위치에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연동로프(L)의 엉김을 방지하고 고품질의 재질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2활차(128a, 151a)의 둘레면을 따라 정렬을 유지하며 감기게 한다. 이를 위해서 제1,2활차(128a, 151a)는 연동로프(L)가 감기는 둘레면이 일정한 폭으로 곡면을 이루는 원통 형상으로 되고, 제1활차(128a)에서 풀리는 지점은 제2활차(151a)가 감는 지점과 일치시키며, 제1활차(128a)가 감는 지점은 제2활차(151a)가 풀리는 지점과 일치시킨다. 결국, 연동로프(L)는 최적의 환경에서 제1,2활차(128a, 151a)에 풀리거나 감기고, 이를 통해서 엉김이나 늘어짐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의 모습을 도시한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연동로프(L)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활차(128a)의 회전축인 제1링크축(128)에 로테이터(133)가 보강될 수 있다.
로테이터(133)는 도 6에서 보인 당김로프(131)와 풀러(132, 132')를 대신해서 제1활차(128a)를 일방향으로만 자체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서 제1활차(128a)에 연결된 연동로프(L)가 지속적으로 당겨지면서, 장기간 사용에 의한 연동로프(L)의 늘어짐 상태를 방지한다.
참고로, 로테이터(133)는 탄발력으로 해당 회전력을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로테이터(133)는 코일스프링으로 되어서 일단은 제1링크축(128)에 고정되고 타단은 인접한 고정체(미인출함)에 고정될 수도 있고, 고무줄 등의 탄성로프로 되어서 일단은 제1링크축(128)에 고정되고 타단은 인접한 상기 고정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태엽스프링 형태로 되어서 일단은 제1링크축(128)에 고정되고 타단은 인접한 상기 고정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와 자동폐쇄장치의 연결구조에 대한 제3실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링크축(128)과 제1활차(128a)는 원웨이 클러치(134)를 매개로 연결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럭치(134)는 임의의 회전체가 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링크축(128)을 중심으로 제1활차(128a)가 반시계 방향으로는 공회전하도록 한다.
결국, 제1활차(128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풀러(132, 132')가 당김로프(131)를 당기면, 제1활차(128a)는 제1링크축(128)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공회전하고, 제1링크축(128)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1링크축(12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134)의 걸림에 의해서 제1활차(128a)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제1활차(128a)는 제2활차(151a)에 감긴 연동로프(L)를 당겨 감으면서 자동폐쇄장치(15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한편, 자동폐쇄장치(150)가 복원회전력을 일으켜서 제2활차(151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동로프(L)를 매개로 상기 복원회전력을 받는 제1활차(128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링크축(128)은 원웨이 클럭치(134)의 걸림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복원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갱문은 당김로프(131)의 당김에 의해 회전하는 제1활차(128a) 또는 제2활차(151a)의 제1,2링크축(128, 151)이 스윙도어(110)의 개폐 또는 자동폐쇄장치(150)의 복원회전력과는 무관하게 회전하면서 연동기어(120)를 동작시키는 문제를 해소하고, 이를 통해서 연동로프(L)의 늘어짐과 상기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되는 보조수단들에 의한 연동기어(120)의 동작 제한을 최소화한다.
참고로, 원웨이 클러치(134)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원웨이 클러치(134)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스윙도어 111; 도어축 120; 연동기어
121; 회전체 121a; 걸림부
126; 제1레벨기어 127; 제2레벨기어 128; 제1링크축
128a; 제1활차 131; 당김로프 132, 132'; 풀러
133; 로테이터 134; 원웨이 클러치 150; 자동폐쇄장치
151; 제2링크축 151a; 제2활차

Claims (6)

  1. 도어축을 구비한 스윙도어와, 상기 도어축과 연동하는 제1링크축을 구비한 연동기어와, 상기 제1링크축과 연동하는 제2링크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링크축의 회전력과 반대방향의 복원회전력을 일으키는 자동폐쇄장치가 포함된 회전식 갱문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활차와, 상기 제2링크축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2활차와, 상기 제1,2활차가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제1,2활차를 감아 거는 연동로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동로프는 일단이 상기 제1활차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활차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활차 또는 제2활차에 감겨 풀리도록 연결된 당김로프와, 상기 당김로프를 당기는 풀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갱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로프가 제1,2활차에 감길 때 정렬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2활차는 상기 연동로프가 감기는 둘레면이 일정한 폭의 곡면으로 된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갱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로프가 연결된 상기 제1활차 또는 제2활차는 해당하는 제1링크축 또는 제2링크축과 원웨이 클러치를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갱문.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축 또는 제2링크축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로프로 또는 태엽스프링으로 되어서 일단은 상기 제1링크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체에 고정되어 탄발력을 가하는 로테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갱문.
KR1020140088534A 2014-07-14 2014-07-14 회전식 갱문 KR10150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34A KR101504736B1 (ko) 2014-07-14 2014-07-14 회전식 갱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534A KR101504736B1 (ko) 2014-07-14 2014-07-14 회전식 갱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736B1 true KR101504736B1 (ko) 2015-03-24

Family

ID=5302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534A KR101504736B1 (ko) 2014-07-14 2014-07-14 회전식 갱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95B1 (ko) 2014-08-07 2016-04-12 주식회사 이음엔지니어링 회전식 갱문
KR101779108B1 (ko) 2017-02-16 2017-09-18 에스텍이앤지(주)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915Y1 (ko) 2003-07-18 2003-10-01 왕복권 탄지구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자동회전문의동력전달구조
JP2007211452A (ja) 2006-02-08 2007-08-23 Koyo Denki:Kk ドア開閉装置
KR20110044351A (ko) * 2009-10-23 2011-04-29 방성미 미닫이문의 닫힘 지연 장치
KR101218205B1 (ko) * 2012-04-26 2013-01-03 한국도로공사 비상 통로의 피난용 갱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915Y1 (ko) 2003-07-18 2003-10-01 왕복권 탄지구 및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자동회전문의동력전달구조
JP2007211452A (ja) 2006-02-08 2007-08-23 Koyo Denki:Kk ドア開閉装置
KR20110044351A (ko) * 2009-10-23 2011-04-29 방성미 미닫이문의 닫힘 지연 장치
KR101218205B1 (ko) * 2012-04-26 2013-01-03 한국도로공사 비상 통로의 피난용 갱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895B1 (ko) 2014-08-07 2016-04-12 주식회사 이음엔지니어링 회전식 갱문
KR101779108B1 (ko) 2017-02-16 2017-09-18 에스텍이앤지(주)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128B2 (en) Bi-fold door latch assembly
KR101218205B1 (ko) 비상 통로의 피난용 갱문
KR101504736B1 (ko) 회전식 갱문
US8870243B2 (en) Single-motion mechanically leveraged latch apparatus for horse trailer stall divider
WO2005035352A3 (en)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KR101541065B1 (ko) 해적 방호 장치
JP5294481B2 (ja) トンネル用避難扉
JP7131088B2 (ja) 伐採用ワイヤ取付け装置
WO2017155076A1 (ja) 登高器
EP2177708A3 (en) Security device, particularly for doors or window closure elements
CN206608071U (zh) 省力方便儿童门
US20220003027A1 (en) Quick-deploy emergency door securing device
KR102095378B1 (ko) 턴버클 회전장치
KR101606895B1 (ko) 회전식 갱문
US7546665B2 (en) Cinch for tether
KR102507199B1 (ko) 철도차량 출입문용 낙상 방지 벨트
KR101585657B1 (ko) 미닫이방식의 비상도어용 체인 링커와 연동 페어
KR101021314B1 (ko)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CN102753781A (zh) 一种卷帘
JP5192141B2 (ja) 開閉装置用急閉鎖抑制装置
JPH0343584A (ja) 自動閉鎖扉
US2153693A (en) Control for multiple doors
JP6894623B2 (ja) タイヤチェーン用自動増し締め具
RU2708403C2 (ru) Механизм передачи движения
JPS6019732Y2 (ja) 非常用救助袋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