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323B1 -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323B1
KR101504323B1 KR20130165212A KR20130165212A KR101504323B1 KR 101504323 B1 KR101504323 B1 KR 101504323B1 KR 20130165212 A KR20130165212 A KR 20130165212A KR 20130165212 A KR20130165212 A KR 20130165212A KR 101504323 B1 KR101504323 B1 KR 101504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edal
fastening member
brak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의진
Original Assignee
고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진 filed Critical 고의진
Priority to KR2013016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60K2026/043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with mechanical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는, 전측단에 손잡이(12)를 가진 조작레버(1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중간 위치에 전단이 포개어져 제1 체결부재(20)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된 제1 링크(3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일부 삽입 연결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승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40)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중간 위치에 열십자 모양으로 포개어져 제2 체결부재(21)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링크(30)의 후측단에 포개어져 제3 체결부재(22)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제2 링크(32)와, 상기 제2 링크(32)의 타측 끝단에 전측단이 포개어져 제4 체결부재(23)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액셀 로드(42)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후측단에 제5 체결부재(24)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50)에 탈부착되는 제1 페달 장착부(60)와, 상기 액셀 로드(42)의 후측단에 제6 체결부재(25)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액셀 페달(52)에 탈부착되는 제2 페달 장착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운전보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자동차를 비장애인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비용의 염려가 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행동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AUXILIARY DEVICE FOR DRIVING OF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이 자동차를 운전할 때, 액셀 페달(Accelerator Pedal)과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을 한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지가 불편한 장애인이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는, 자동변속기가 구비된 자동차가 이용되며, 그 운전조작은, 핸들을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핸들조작용 보조구와,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을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운전보조장치(일명: 핸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운전보조장치로서는 액셀 페달, 브레이크 페달에 각각 조작용 아암을 연결하여 경사지게 하는 레버나, 수평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레버류를 운전자의 다리 밑바닥 또는 대시보드(Dash Board) 아래에 미리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운전보조장치는 미리 차에 고정 부착되도록 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 운전자와의 공유하기가 어려우며 자동차 교습소 혹은 렌터카 회사는 이러한 특수한 운전보조장치를 보유하지 않아 하지가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에게는 불편하다. 또,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어도 그때마다 운전보조장치를 구입하여 장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새로 구매할 경우에는 운전보조장치와 함께 구매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운전보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자동차를 비장애인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추가 비용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제이고 장애인의 행동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는, 전측단에 손잡이를 가진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중간 위치에 전단이 포개어져 제1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된 제1 링크와, 상기 조작레버의 후측단에 일부 삽입 연결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승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중간 위치에 열십자 모양으로 포개어져 제2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후측단에 포개어져 제3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타측 끝단에 전측단이 포개어져 제4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액셀 로드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후측단에 제5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에 탈부착되는 제1 페달 장착부와, 상기 액셀 로드의 후측단에 제6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액셀 페달에 탈부착되는 제2 페달 장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손잡이는 상기 조작레버의 전측단과 티(T)자 모양으로 맞닿아 고정되고, 그 표면에는 스폰지, 고무, 가죽,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의 커버가 씌워져 그립감을 높여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조작레버,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링크는 상기 브레이크 로드를 사이에 두고 하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3 링크와 연결되어 같은 각도 및 속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2 링크의 중앙측과 브레이크 로드의 중간측 및 제3 링크의 일측단은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의해 동시 체결되고, 상기 제2 링크의 중간측을 기점으로 좌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상기 제3 링크의 좌측단은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를 끼운 상태에서 제7 체결부재에 의해 동시 체결되며, 상기 제2 링크의 중간측을 기점으로 우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상기 제3 링크의 우측단은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를 끼운 상태에서 제8 체결부재에 의해 동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 체결부재는 볼트, 와셔,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링크는 경량화를 위해 얇은 두께의 바(Bar) 형상의 막대로서,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브레이크 로드는, 그 전측단이 상기 조작레버의 후측단에 삽입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의 전체를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측단에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부측으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링크를 체결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장홀이 형성된 링크연결부와, 상기 링크연결부의 후측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좌우측으로 상기 제5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제1 페달 장착부를 체결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페달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액셀 로드는, 그 전측단이 상기 제4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링크의 일측 끝단을 체결하도록 상하측으로 체결홀이 형성된 링크연결부와, 상기 링크연결부의 후측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하측으로 상기 제6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제2 페달 장착부를 체결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페달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페달 장착부는, 상기 브레이크 로드의 페달연결부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5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측연결판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측연결판의 상하 단부와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상하 한 쌍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후측연결판과, 상기 후측연결판의 중앙에 끼워져 브레이크 페달과의 접촉력을 높여주는 합성수지제의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페달 장착부는, 상기 액셀 로드의 페달연결부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6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액셀 페달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측연결판과, 상기 액셀 페달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측연결판의 좌우 단부와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좌우 한 쌍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후측연결판과, 상기 후측연결판의 중앙에 끼워져 액셀 페달과의 접촉력을 높여주는 합성수지제의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는, 브레이크 로드에 연결된 제1 페달 장착부와 액셀 로드에 연결된 제2 페달 장착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조작레버와 브레이크 로드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서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운전보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자동차를 비장애인과 공유할 수 있어 추가 비용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장애인의 행동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보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보조장치를 운전자쪽을 당겨서 브레이크를 해제함과 동시에 액셀을 누르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보조장치를 눌러서 액셀을 해제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누르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장착부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장착부가 브레이크 페달과 액셀 페달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보조장치를 휴대 및 보관시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는, 전측단에 손잡이(12)를 가진 중공관 형상의 조작레버(1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중간 위치에 전단이 포개어져 제1 체결부재(20)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된 제1 링크(3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일부 삽입 연결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승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40)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중간 위치에 열십자 모양으로 포개어져 제2 체결부재(21)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링크(30)의 후측단에 포개어져 제3 체결부재(22)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제2 링크(32)와, 상기 제2 링크(32)의 타측 끝단에 전측단이 포개어져 제4 체결부재(23)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액셀 로드(42)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후측단에 제5 체결부재(24)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50)에 탈부착되는 제1 페달 장착부(60)와, 상기 액셀 로드(42)의 후측단에 제6 체결부재(25)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액셀 페달(52)에 탈부착되는 제2 페달 장착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12)는 상기 조작레버(10)의 전측단과 티(T)자 모양으로 맞닿아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그 표면에는 스폰지, 고무, 가죽,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의 커버가 씌워져 그립감을 높여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10),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32)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링크(32)는 상기 브레이크 로드(40)를 사이에 두고 하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3 링크(34)와 연결되어 같은 각도 및 속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2 링크(32)의 중앙측과 브레이크 로드(40)의 중간측 및 제3 링크(34)의 일측단은 상기 제2 체결부재(21)에 의해 동시 체결되고, 상기 제2 링크(32)의 중간측을 기점으로 좌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상기 제3 링크(34)의 좌측단은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6a)를 끼운 상태에서 제7 체결부재(26)에 의해 동시 체결되며, 상기 제2 링크(32)의 중간측을 기점으로 우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상기 제3 링크(34)의 우측단은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6b)를 끼운 상태에서 제8 체결부재(27)에 의해 동시 체결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8 체결부재(20)(21)(22)(23)(24)(25)(26)(27)는 볼트, 와셔,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30)(32)(34)는 경량화를 위해 얇은 두께의 바(Bar) 형상의 막대로서,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레이크 로드(40)는, 봉 형상의 막대로서, 그 전측단은 상기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삽입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40)의 전체를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40a)와, 상기 슬라이딩부(40a)의 후측단에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부측으로 상기 제2 체결부재(21)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링크(32)와 제3 링크(34)를 체결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장홀(40b)이 형성된 링크연결부(40c)와, 상기 링크연결부(40c)의 후측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좌우측으로 상기 제5 체결부재(24)가 관통되어 상기 제1 페달 장착부(60)를 체결하도록 체결홀(40d)이 형성된 페달연결부(40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셀 로드(42)는, 봉 형상의 막대로서, 그 전측단은 상기 제4 체결부재(23)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링크(32)와 제3 링크(34)의 일측 끝단을 체결하도록 상하측으로 체결홀(42a)이 형성된 링크연결부(42b)와, 상기 링크연결부(42b)의 후측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하측으로 상기 제6 체결부재(25)가 관통되어 상기 제2 페달 장착부(70)를 체결하도록 체결홀(42c)이 형성된 페달연결부(42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페달 장착부(60)는,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페달연결부(40e)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5 체결부재(24)에 의해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5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측연결판(62)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50)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측연결판(62)의 상하 단부와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상하 한 쌍의 체결부재(64)에 의해 체결되는 후측연결판(66)과, 상기 후측연결판(66)의 중앙에 끼워져 브레이크 페달(50)과의 접촉력을 높여주는 합성수지제의 튜브(6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페달 장착부(70)는, 상기 액셀 로드(42)의 페달연결부(42d)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6 체결부재(25)에 의해 체결되어 액셀 페달(52)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측연결판(72)과, 상기 액셀 페달(52)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측연결판(72)의 좌우 단부와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좌우 한 쌍의 체결부재(74)에 의해 체결되는 후측연결판(76)과, 상기 후측연결판(76)의 중앙에 끼워져 액셀 페달(52)과의 접촉력을 높여주는 합성수지제의 튜브(7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하 및 좌우 한 쌍의 체결부재(64)(74)는 볼트, 복수의 너트의 조합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이 중에서 전측연결판(62)(72)으로부터 후측연결판(76)을 체결 또는 해제하는 너트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으로 조임 또는 풀림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널링(Knurling)이 형성된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를 휴대하였다가 운전보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페달 장착부(60)를 도 5a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50)에 결합하고 제2 페달 장착부(70)를 도 5b와 같이 액셀 페달(52)에 결합시키면, 이러한 두 지점의 결합력에 의해 조작레버(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별도의 구조물없이 자동차의 핸들(미도시)과 근접한 운전자의 앞쪽으로 손잡이(12)가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 페달 장착부(60)(70)의 전측연결판(62)(72)과 후측연결판(66)(76)을 브레이크 페달(50)와 액셀 페달(52)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위치시킨 후, 복수의 체결부재(64)(74)에 의해 도 4와 같이 양 단부를 결합함으로써 운전보조장치의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운전보조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손잡이(12)를 운전자쪽을 잡아 당기면, 조작레버(10)가 동시 당겨지면서 조작레버(10)의 중간 위치에 연결된 제1 링크(30)를 당기게 되고, 제1 링크(30)는 후측단에 연결된 제2 링크(32)를 당기게 된다.
이때, 제2 링크(32)는 그 중간 위치가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연결된 브레이크 로드(40)의 링크연결부(40c)에 형성된 장홀(40b)에 제2 체결부재(21)를 매개로 연결되고, 그 일측 끝단이 제3 체결부재(22)를 매개로 제1 링크(30)의 후측단과 연결되며, 그 타측 끝단이 제4 체결부재(23)를 매개로 액셀 로드(42)의 페달연결부(42b)의 전측단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레버(10)와 제1 링크(30)가 당겨질 때 제2 링크(32)의 전체가 동시 당겨짐과 동시에 브레이크 로드(40)를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로드(40)는 그 후측단에 제5 체결부재(24)를 매개로 연결된 제1 페달 장착부(60)를 동시 당겨줌으로써 도 2에 표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제1 페달 장착부(60)에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50)의 작동이 해제된다.
또, 조작레버(10)와 제1 링크(30)가 당겨질 때 제2 링크(32)는 제2 체결부재(21)를 회동 중심으로 시이소운동되면서 그 타측 끝단과 제4 체결부재(23)를 매개로 연결된 액셀 로드(42)를 후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액셀 로드(42)는 그 후측단에 제6 체결부재(25)를 매개로 연결된 제2 페달 장착부(70)를 동시 밀어줌으로써 도 2에 표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제2 페달 장착부(70)에 결합된 액셀 페달(52)이 눌러져 자동차가 전진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보조장치의 손잡이(12)를 도 3과 같이 잡고서 조작레버(10)를 밀게되면, 이 조작레버(10)에 연결된 제1 링크(30), 제2 링크(32) 및 브레이크 로드(40)가 동시 후진됨으로써 이들 연결점을 회동 중심으로 제2 링크(32)가 시이소운동하여 액셀 로드(42)를 운전자쪽으로 당겨서 제2 페달 장착부(70)를 매개로 결합된 액셀 페달(52)의 작동을 해제하게 되고, 브레이크 로드(40)는 조작레버(10)의 미는 힘에 의해 후진되면서 제1 페달 장착부(60)를 매개로 결합된 브레이크 페달(50)을 눌러서 자동차가 감속 및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삽입된 브레이크 로드(40)의 슬라이딩부(40a)는 브레이크 로드(40), 조작레버(10),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32)가 서로 연결되어 운전자쪽으로 전진하도록 당겨지거나 또는 후진하도록 눌러질 때 제2 링크(32)가 시이소운동할 수 있는 회동(꺽임) 각도 변화에 따른 트러블(Trouble)을 흡수하도록 조작레버(10)의 후측단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조작레버(10)의 후측 끝단과 제2 체결부재(21)와의 간격을 넓게 또는 좁게 조절하게 되고, 또한 브레이크 로드(40)의 장홀(40b)은 회동(꺽임) 각도 변화에 따라 제2 체결부재(21)가 상하 유동되도록 트러블(Trouble)을 2차 흡수함으로써 제2 링크(32)가 부드럽고 정확하게 시이소운동하면서 브레이크 로드(40)와 액셀 로드(42)의 전후진을 제어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운전보조장치를 자동차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페달 장착부(60)와 제2 페달 장착부(70)를 브레이크 페달(50)과 액셀 페달(52)로부터 각각 분리한 후, 조작레버(10)의 후측단으로부터 브레이크 로드(40)를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보조장치를 도 6에 표시한 화살표방향과같이 조작레버(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링크(30)가 포개어지도록 접어줌과 동시에 제2 링크(32)를 제1 링크(30)쪽으로 포개어지도록 접어주면서 제2 링크(32)에 연결된 브레이크 로드(40)와 액셀 로드(42)가 조작레버(10)를 향해 나란히 배열되도록 위치시킨 후 서로 근접되게 포개어주면, 협소한 공간에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는 브레이크 로드(40)에 연결된 제1 페달 장착부(60)와 액셀 로드(42)에 연결된 제2 페달 장착부(7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50)과 액셀 페달(52)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조작레버(10)와 브레이크 로드(40)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서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운전보조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자동차를 비장애인과 공유할 수 있어 추가 비용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장애인의 행동범위를 넓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조작레버 12 : 손잡이
20,21,22,23,24,25,26,27 : 제1 내지 제8 체결부재
30 : 제1 링크 32 : 제2 링크
34 : 제3 링크 36a,36b : 간격유지부재
40 : 브레이크 로드 40a : 슬라이딩부
40b : 장홀 40c : 링크연결부
40d : 체결홀 40e : 페달연결부
42 : 액셀 로드 42a,42c : 체결홀
42b : 링크연결부 42d : 페달연결부
50 : 브레이크 페달 52 : 액셀 페달
60 : 제1 페달 장착부 62 : 전측연결판
64 : 체결부재 66 : 후측연결판
68 : 튜브 70 : 제2 페달 장착부
72 : 전측연결판 74 : 체결부재
76 : 후측연결판 78 : 튜브

Claims (10)

  1. 전측단에 손잡이(12)를 가진 조작레버(1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중간 위치에 전단이 포개어져 제1 체결부재(20)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된 제1 링크(3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일부 삽입 연결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승하강되는 브레이크 로드(40)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중간 위치에 열십자 모양으로 포개어져 제2 체결부재(21)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고 일측 끝단이 상기 제1 링크(30)의 후측단에 포개어져 제3 체결부재(22)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제2 링크(32)와, 상기 제2 링크(32)의 타측 끝단에 전측단이 포개어져 제4 체결부재(23)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는 액셀 로드(42)와,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후측단에 제5 체결부재(24)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50)에 탈부착되는 제1 페달 장착부(60)와, 상기 액셀 로드(42)의 후측단에 제6 체결부재(25)에 의해 회동가능케 체결되어 액셀 페달(52)에 탈부착되는 제2 페달 장착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는 상기 조작레버(10)의 전측단과 티(T)자 모양으로 맞닿아 고정되고, 그 표면에는 스폰지, 고무, 가죽,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의 커버가 씌워져 그립감을 높여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10),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32)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32)는 상기 브레이크 로드(40)를 사이에 두고 하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3 링크(34)와 연결되어 같은 각도 및 속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2 링크(32)의 중앙측과 브레이크 로드(40)의 중간측 및 제3 링크(34)의 일측단은 상기 제2 체결부재(21)에 의해 동시 체결되고, 상기 제2 링크(32)의 중간측을 기점으로 좌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상기 제3 링크(34)의 좌측단은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6a)를 끼운 상태에서 제7 체결부재(26)에 의해 동시 체결되며, 상기 제2 링크(32)의 중간측을 기점으로 우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과 상기 제3 링크(34)의 우측단은 그 사이에 간격유지부재(36b)를 끼운 상태에서 제8 체결부재(27)에 의해 동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체결부재(20)(21)(22)(23)(24)(25)(26)(27)는 볼트, 와셔,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링크(30)(32)(34)는 경량화를 위해 얇은 두께의 바(Bar) 형상의 막대로서,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일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드(40)는, 그 전측단은 상기 조작레버(10)의 후측단에 삽입되어 회동각도에 따라 브레이크 로드(40)의 전체를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40a)와, 상기 슬라이딩부(40a)의 후측단에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부측으로 상기 제2 체결부재(21)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링크(32)를 체결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장홀(40b)이 형성된 링크연결부(40c)와, 상기 링크연결부(40c)의 후측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좌우측으로 상기 제5 체결부재(24)가 관통되어 상기 제1 페달 장착부(60)를 체결하도록 체결홀(40d)이 형성된 페달연결부(40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셀 로드(42)는, 그 전측단은 상기 제4 체결부재(23)가 관통되어 상기 제2 링크(32)의 일측 끝단을 체결하도록 상하측으로 체결홀(42a)이 형성된 링크연결부(42b)와, 상기 링크연결부(42b)의 후측단에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중앙 상하측으로 상기 제6 체결부재(25)가 관통되어 상기 제2 페달 장착부(70)를 체결하도록 체결홀(42c)이 형성된 페달연결부(4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페달 장착부(60)는, 상기 브레이크 로드(40)의 페달연결부(40e)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5 체결부재(24)에 의해 체결되어 브레이크 페달(5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측연결판(62)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50)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측연결판(62)의 상하 단부와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상하 한 쌍의 체결부재(64)에 의해 체결되는 후측연결판(66)과, 상기 후측연결판(66)의 중앙에 끼워져 브레이크 페달(50)과의 접촉력을 높여주는 합성수지제의 튜브(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페달 장착부(70)는, 상기 액셀 로드(42)의 페달연결부(42d)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6 체결부재(25)에 의해 체결되어 액셀 페달(52)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측연결판(72)과, 상기 액셀 페달(52)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측연결판(72)의 좌우 단부와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좌우 한 쌍의 체결부재(74)에 의해 체결되는 후측연결판(76)과, 상기 후측연결판(76)의 중앙에 끼워져 액셀 페달(52)과의 접촉력을 높여주는 합성수지제의 튜브(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KR20130165212A 2013-12-27 2013-12-27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KR10150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5212A KR101504323B1 (ko) 2013-12-27 2013-12-27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5212A KR101504323B1 (ko) 2013-12-27 2013-12-27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323B1 true KR101504323B1 (ko) 2015-03-20

Family

ID=5302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5212A KR101504323B1 (ko) 2013-12-27 2013-12-27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039A (ko) * 2014-12-17 2016-06-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5384A (ja) 2005-08-11 2007-02-22 Ir Care Kk 自動車の運転補助装置
JP2008204421A (ja) 2007-02-20 2008-09-04 Ir Care Kk 自動車の携帯型運転補助装置
KR20130005252U (ko) * 2013-08-16 2013-09-04 최태윤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5384A (ja) 2005-08-11 2007-02-22 Ir Care Kk 自動車の運転補助装置
KR20080042646A (ko) * 2005-08-11 2008-05-15 아이. 아루. 케아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의 운전보조장치
JP2008204421A (ja) 2007-02-20 2008-09-04 Ir Care Kk 自動車の携帯型運転補助装置
KR20130005252U (ko) * 2013-08-16 2013-09-04 최태윤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039A (ko) * 2014-12-17 2016-06-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KR101645457B1 (ko) 2014-12-17 2016-08-08 대한민국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45384A (ja) 自動車の運転補助装置
US10308114B2 (en) Hand control throttle system
US8672075B1 (en) Vehicle assembly
KR101504323B1 (ko) 장애인 휴대용 운전보조장치
KR200474609Y1 (ko)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JP2010511550A5 (ko)
JP2016007866A (ja) 手動推進車両
JP3878202B2 (ja) 自動車の補助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ブレーキ作動機構
US9186990B2 (en) Accel and brake
KR101460701B1 (ko) 장애인용 차량 운전 보조장치
CN106347329B (zh) 用于加速踏板和制动踏板的手动触动的操作装置
JP6483790B1 (ja) 車椅子
EP3036143B1 (en) Clickable hand control device in a vehicle
JP5298344B2 (ja) 片手駆動片脚舵取りの車いす
JPH0745393Y2 (ja) 車椅子の固定装置
JP6829652B2 (ja) 軌陸車
KR200312912Y1 (ko) 장애자용 자동차 운전연습기
KR20160087674A (ko) 조향 편의성 배치 구조의 전동스쿠터용 조향핸들 어셈블리
JPS584756Y2 (ja) 建設車輌の操向装置
TWI426894B (zh) 動力輔助助推模組
JP3964545B2 (ja) 電動乗用車の緊急停止機構
JP3211874U (ja) 歩行補助車
JP2003093448A (ja) ブレーキの連動機構
JP3533628B2 (ja) 車椅子
JP2015128473A (ja) 移動型x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