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915B1 - 루프 핀 - Google Patents

루프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915B1
KR101503915B1 KR1020130161494A KR20130161494A KR101503915B1 KR 101503915 B1 KR101503915 B1 KR 101503915B1 KR 1020130161494 A KR1020130161494 A KR 1020130161494A KR 20130161494 A KR20130161494 A KR 20130161494A KR 101503915 B1 KR101503915 B1 KR 10150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ead
loop
loop pin
small diameter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418A (ko
Inventor
켄이치 오소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Oat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Oat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Oat
Publication of KR2014014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7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tie-wrap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2Joints produced by deformation or tying of ends of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2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pins, staple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6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밀봉한 루프가 일단 파괴되면 재밀봉되지 않는 루프 핀이며 또한 고의로 밀봉을 파괴한 경우에, 그 상태로 남게 되는 루프 핀을 제공함.
본 발명의 루프 핀(30)은, 필라멘트부(3), 이 필라멘트부(3)의 한쪽의 끝단에 구비되고, 한 쌍의 블레이드부(6)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23)를 가지는 삽입 머리부(19) 및, 필라멘트부(3)의 다른 끝단에 구비되고 삽입 머리부(19)를 불가역적으로 통하기 위한 구멍(10)을 가지는 소켓부(2)로 이루어지는 루프 핀(30)로서, 상기 삽입 머리부(19)의 작은 지름부(20)의 인장강도가 필라멘트부(3) 및 삽입 머리부(19)의 다른 부분의 인장강도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루프 핀{A LOOP PIN}
본 발명은 의류품, 이너웨어, 일용잡화, 구두 또는 가방 등의 상품에, 브랜드 라벨, 가격 태그(tag), 소재설명 태그, 또는 사용설명 태그 등과 같은 태그를 부착하고, 이 태그로 상기 제품들을 밀봉하는 루프 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해당 상품에 대하여, 상기 태그를 루프형상의 필라멘트를 통하여 밀봉한 후, 그 루프 핀을 일단 파단한 경우에는, 상품에 다시 밀봉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된 루프 핀에 관한 것이다.
의류품 전반, 이너웨어, 일용잡화, 부츠, 샌들, 또는 구두 등을 결속시키거나, 해당 상품에 브랜드 라벨, 가격표 등을 부착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루프 핀이 사용되어 왔다.
도 5의 (a)에 있어서 루프 핀(30)은 태그를 통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필라멘트부(3), 필라멘트부(3)의 한 끝단에 구비되고 한 쌍의 블레이드부(6)를 가지는 삽입 머리부(19) 및 필라멘트부(3)의 다른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 머리부(19)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0)을 가지는 소켓부(2)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루프 핀(30)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특히 필라멘트부(3)는 연신되어 있어서, 인장(引張)에 대하여 매우 강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6의 (a)에 있어서는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b)와 같이 삽입 머리부(19)가 완전히 소켓부(2)에 형성된 관통구멍(10)의 내부 측면상에 형성된 돌기부(23)와 같은 좁은 부분을 관통하면, 삽입 머리부(19)의 근방의 위치상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6)인 날개부재가 바깥쪽으로 확대되고, 이것에 의하여 블레이드부(6)의 선단부에 있는 걸어맞춤부(5)가 해당 소켓부(2) 내부 벽면에 형성된 돌기부(23)와 걸어맞춤하고, 삽입 머리부(19)는, 이 소켓부(2)내에 불가역 상태로 고정되고, 루프형상의 필라멘트부와 함께 라벨 부착상태가 완성되어 밀봉된다.
종래, 이러한 루프 핀(30)은, 부츠, 샌들이나 구두의 결속뿐 아니라, 브랜드 라벨이나 사용법을 써넣은 태그를 상품에 고정하는 것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최근 그러한 루프 핀(30)이, 부정하게 의도적으로 상품으로부터 떼어져서, 본래의 가격 태그가 별도의 가격 태그로 교체되거나 또는 원래의 고가의 브랜드가 모방 라벨로 교체되거나, 또는 루프 핀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던 원래의 고가 브랜드의 라벨이 도난되고 저가의 다른 브랜드와 교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소비자에 대한 신용을 악화시키는 상황이 발생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백화점이나 수퍼마켓의 경우, 매장과 계산대는 통상 별개의 독립된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경우, 종래의 루프 핀에서는 소켓부(2)와 삽입 머리부(3)가 용이하게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한 것이므로, 간단하게 가격태그 (T)를 바꿀 수가 있다.
즉, 예를 들면, 종래에 있어서는, 삽입 머리부(19)의 선단부, 또는 블레이드부(6)의 날개부 및 루프 핀(30)의 돌기부(23)가 비교적 약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경우보다 다소 높은 인장강도를 루프 핀에 가하는 것에 의하여, 블레이드부(6)의 날개부 또는 돌기부(23)가 변형하여, 삽입 머리부가 해당 소켓부(2)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필라멘트부(3)에 부착되어 있던 라벨 또는 가격 태그(T) 등이 도난당하거나 다른 라벨 또는 가격태그(T)로 교체되고, 다시 삽입 머리부(19)를 소켓부(2)에 끼워넣어서 원래의 상태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삽입 머리부(19)는, 현저하게 변형될 것이고, 작업자가 다시 소켓부(2)에 대한 삽입 머리부(19)의 삽입을 시도하더라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없는 일이 많지만, 한편으로는 그러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에 삽입되어도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내에서 강고하게 유지된다는 보장도 없지만, 외견상으로는 정상적인 루프 핀이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제 3 자에게 있어서는 그 구별이 쉽지 않다.
따라서, 소비자는 높은 품질의 고가 상품을 사는 대신에 품질이 나쁜 상품 혹은 모방품을 구입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67347 호 공보(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필라멘트부(2)와 삽입 머리부(19)의 접합부 근방 혹은 삽입 머리부(19)의 본체부(4)의 일부에, 적극적으로 그 루프 핀(30)의 중심축선 C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눈금 또는 슬릿부 혹은 홈부(34)를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인장강도가 낮은 부분을 만들고, 이 부분(34)에 조작방지(tamper-proof) 기능을 부여하도록 한 루프 핀(30)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유명 브랜드의 라벨을 훔치려고 하는 자나, 저렴한 상품에 유명 브랜드의 라벨의 모조품 라벨을 부착하려고 하는 자가, 필라멘트부의 밀봉된 루프형상의 구조에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여, 의도적으로 필라멘트의 폐쇄루프 구조를 파괴하여 유명 브랜드 라벨을 저렴한 라벨로 교체하려고 하거나 도용을 기하여도, 삽입 머리부(19)의 잔부가 소켓부에 남아 있기 때문에, 그 루프 핀(30)를 원래와 같은 폐쇄루프 형상의 밀봉 상태로 돌리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 조작방지 기능이 정상으로 기능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 있어서는, 그 루프 핀(30)이 부착되는 각 상품이 소형화되고, 또한 얇게 되는 경향에 있으며, 따라서 이들 상품을 점포에 전시함에 있어서, 이들 상품을 쌓아서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이 루프 핀(30)의 크기 및 두께 등이 영향을 미쳐서 전시되고 있는 각 상품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되거나, 그 루프 핀(30)의 팽창된 표면부가 그 상품의 표면을 상하게 하는 등의 문제도 파생적으로 발생하는 일이 있고, 또한, 이 루프 핀(30) 자체의 생산단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산업 폐기물의 폐기에 따른 CO2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환경친화의 확대에 공헌시킬 필요도 발생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이 루프 핀(30)에 필요한 합성수지 원료 소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발생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루프 핀(30)의 다운사이징화를 목표로 하여, 도 6(b)의 점선 D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화 및 편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결과, 소켓부(2)의 폭이나 길이 등의 규격도 당연히 작게 설계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삽입 머리부(19)의 길이나 굵기도 그에 따라서 축소해야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그 때에도, 상기한 파단강도는, 종래의 것의 강도를 유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그 삽입 머리부(19)의 길이를 지나치게 작게 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이 루프 핀(30)을 작업자 등이 수작업에 의하여, 삽입 머리부(19)를 소켓부(2)의 관통구멍(10)내로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루프 핀의 인장강도의 저하는 피할 것이 요구됨과 동시에, 이 삽입 머리부(19)를 소켓부(2) 내로 삽입할 때의 삽입하는 힘은 가능한 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이 삽입 머리부(19)의 헤드부(9)의 형상으로서, 전체가 포탄형 혹은 방추형이고, 블레이드부(6)를 가지지 않는 것,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4059300 호 명세서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10-116034 호 공보(특허문헌 3), 특개평 9-207962 호 공보 (특허문헌 4) 또는 미국특허 제 5738265 호 명세서 (특허문헌 5) 등에 개시되어 있는 루프 핀(30) 있다.
한편, 기초 단면부(7)의 단부에 블레이드부(6)를 가지는 것,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60-36588 호 공보(특허문헌 6), 특공평 1-36631 호 공보(특허문헌 7), 미국특허 제 5943741 호 공보(특허문헌 8), 미국특허 제 6009997 호 명세서(특허문헌 9), 미국특허 제 6026544 호 명세서(특허문헌 10), 및 미국특허 제 6101683 호 (특허문헌 11)등에 개시되어 있는 루프 핀(30)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후자의 유형은 그 루프 핀(30)의 쪽이, 삽입 머리부(19)를 소켓부(2)에 삽입하는 경우의 삽입력이 적지 않게 마무리되어 있어서, 이러한 유형의 삽입 머리부(19)를 가진 루프 핀(30)로서, 상기한 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루프 핀(30)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취급 상품이 다른 각 업계마다, 이 루프 핀(30)에 있어서의 조작방지 기능의 정도, 즉 요구되는 바람직한 조작방지 강도의 레벨이 다르며, 따라서 각 업계마다 해당 루프 핀(30)의 인장강도의 정도에 대한 요구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소정의 인장강도를 가진 루프 핀(30)를 임의로 제조함으로써, 특정한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장강도를 가지는 루프 핀(30)를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개별 업계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특성을 가지는 루프 핀(30)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도 증대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평 11-167347 호 공보 미국 미국특허 제 4059300 호 명세서 일본국 특개평 10-116034 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9-207962 호 공보 미국특허 제 5738265 호 명세서 일본국 특공소 60-36588 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 1-36631 호 공보 미국특허 제 5943741 호 공보 미국특허 제 6009997 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 6026544 호 명세서 미국특허 제 6101683 호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밀봉한 루프가 일단 빠지면, 충분한 재현성을 가지고 다시 밀봉될 수 없는 루프 핀을 제공함과 함께, 일단 악의의 조작이 아닌, 무엇인가의 우발적인 현상에 의하여 루프 핀(30)의 조작방지 기능이 발휘되어, 루프의 밀봉 상태가 파괴된 경우라도, 그 루프 핀(30)에 있어서의 파단 단부(70),(70')에 의하여 그것이 사용되고 있는 상품에 미칠 악영향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다운사이징화에 의하여, 단가가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우수한 루프 핀인 동시에, 이를 사용하는 각 업계에서 요망하는 적절한 인장강도, 파단강도를 가지는 조작방지 인덱스를 가지는 루프 핀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는 루프 핀(30)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이하에 기재된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은, 필라멘트부, 상기 필라멘트부의 한 쪽의 끝단에 구비되고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삽입 머리부 및,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 머리부가 불가역적으로 통해지도록, 그의 안쪽 둘레벽면의 일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를 가지는 소켓부로 이루어지는 루프 핀으로서, 상기 삽입 머리부는, 또한 그의 한 쪽의 끝단부가 상기 필라멘트부에 접합되어 있는 삽입 머리부 본체부와, 한쪽의 끝단부가,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다른 쪽의 끝단부와 접합되고,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다른 쪽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중심축선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작은 지름부와, 상기 기초단면부를 통하여 상기 작은 지름부의 다른 쪽 끝단부에 접촉되며,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확대된 형상으로 외부로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구멍부의 내부면의 일부 상에 마련된 상기 돌기부와 걸어멈추되도록 블레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단면부를 가지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은 지름부의 인장강도가 상기 필라멘트부 및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인장강도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밀봉한 루프가 일단 파괴되면, 충분한 재현성을 가지고 원래의 밀봉상태로 재설정될 수 없는 루프 핀을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일단 악의의 조작이 아니고, 무언가의 우발적인 현상에 의하여 루프 핀(30)의 조작방지 기능이 발휘되어, 루프부의 폐쇄상태가 파괴된 경우라도, 루프 핀(30)의 파단 끝단부(70), (70')에 의하여, 그것이 사용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악영향이 방지될 수 있는 루프 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가가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인 루프 핀(3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그 루프 핀을 사용하는 각 업계에서 요망하는 적절한 인장강도, 파단강도를 나타내는 조작방지 인덱스를 가진 환경친화적 측면 및 다운사이징화에 완전하게 적응한 루프 핀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루프 핀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루프 핀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루프 핀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루프 핀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은 지름부의 단면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예의 루프 핀에 따른 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루프 핀에 있어서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측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루프 핀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켓부와 헤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의 작은 지름부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실험의 일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의 작은 지름부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실험의 일부를 설명하는 다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의 작은 지름부의 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실험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의 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중, 필라멘트부(3), 이 필라멘트부(3)의 한쪽의 끝단에 구비되며 적절한 걸어맞춤부(5)를 가지는 삽입 머리부(19) 및, 그 필라멘트부(3)의 다른 끝단에 구비되고 그 삽입 머리부(19)를 불가역적으로 통하도록, 그의 내부 둘레벽면의 일부에 돌기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0)을 가지는 소켓부(2)로 이루어지는 루프 핀으로서, 이 삽입 머리부(19)는, 다시 그의 한 쪽의 단부가 필라멘트부(3)에 접합되어 있는 삽입 머리부 본체부(4)와, 한쪽의 끝단부가,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4)의 다른 쪽의 끝단부와 접합되고, 삽입 머리부 본체부(4)의 다른 쪽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심축선 C를 따라 전방으로 연이어 있는 직선형상의 로드부로서, 상기 삽입 머리부(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작은 지름부(20)와, 상기 작은 지름부(20)의 다른 쪽의 끝단부에, 적어도 2개의 확대된 형상으로,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4)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소켓부(2) 내의 상기 돌기부(23)와 걸어맞추어지도록 블레이드부(6)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단면부(7)를 가지고 있는 헤드부(9)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작은 지름부(20)의 인장강도가 상기 필라멘트부(3) 및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4)의 각각의 인장강도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루프 핀(3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의 평면도이며, 도 1(b)은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의 측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삽입 머리부(19)의 일부의 인장강도가, 필라멘트부(3) 및 삽입 머리부(19)의 다른 부분의 인장강도보다 특히 약해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의 소정의 구멍부(10)에 삽입된 후에, 약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부분이 소정의 인장력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파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는, 적절한 합성수지 소재,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인젝션 방식을 주체로 하는 성형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통상,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강도가 높은 쪽이 좋지만, 필라멘트부(3) 및 삽입 머리부(19)의 인장강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놓으면, 무리하게 필라멘트부(3)를 끌어당겨서, 삽입 머리부(19)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6) 및 돌기부(23)를 파괴 내지는 변형시켜서, 그 밀봉을 해제시킬 수도 있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재밀봉하는 일도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삽입 머리부(19)의 걸어맞춤부(5)등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정한 부분이 최대의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루프 핀(30)로서는, 부츠, 샌들, 구두 등을 결속시켜 놓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품의 이동시에 가해지는 상당히 큰 부하가 루프 핀(30)에 가해지기 때문에, 상당히 작은 인장강도로 파단하여 버리는 일도 피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루프 핀(30)는 4.0 내지 8.0 kg 의 인장강도를 받으면 삽입 머리부(19)의 적어도 일부가 파단하도록 구성하여 놓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라멘트부(3) 및 삽입 머리부(19)의 다른 부분의 인장강도보다 특히 약하도록 설계하고 있는 특정의 부분은, 이 삽입 머리부 내에 형성되는 작은 지름부(20)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작은 지름부(20)가 조작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종래의 루프 핀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루프 핀(30)의 삽입 머리부(19)가, 어떠한 이유로, 특히 의도적으로 삽입 머리부(19)가 설치된 슬릿부(34)로부터 절단되어 버린 경우에,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삽입 머리부(19)의 적어도 일부가 그 소켓부(2)의 내부에 잔존함과 함께, 그 절단부의 앞끝단부(70)가, 소켓부(2)의 측방향 표면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게 되면 상기한 종래의 문제로 되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루프 핀에 있어서는, 그 삽입 머리부(19)내에 마련된 작은 지름부(20)에서 적극적으로 또한 우선적으로 파단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설령 삽입 머리부(19)의 작은 지름부(20)의 일부가 파단한 경우라도,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그 파단 끝단부가 소켓부(2)의 측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사태를 완전히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프 핀(30)에서는, 삽입 머리부(19)의 헤드부(9)의 정점부(8)가, 특히 완만한 만곡면 형상의 구면체 또는 평탄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점부의 두께를 얇게 억제할 수 있고, 도 6(b)의 점선 D 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다운사이징화된 소켓부(2)라도, 도 7에 나타내 있는 바와 같이, 소켓부(2)의 측면의 둘레 끝단부로부터 정점부가 돌출한다고 하는 위험성도 완전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이 삽입 머리부(19)의 일부인 작은 지름부(20)의 일부가 파단된 경우에도, 적어도 그 헤드부(9) 및 작은 지름부(20)의 잔류물이 소켓부(2)내에 잔존하는 경우가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소켓부(2)의 삽입 구멍부(10)내에, 삽입 머리부(19)의 일부의 부재가 잔존하는 것에 의하여, 루프 핀(30)가 부정하게 파괴된 것이, 나중에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소정의 인장강도가 루프 핀(30)에 인가된 경우, 조작방지 기능을 발휘시키는 부위로서, 작은 지름부(20)가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의 소정의 구멍부(10)에 삽입된 후에, 작은 지름부(20)의 일부가, 소정의 인장력을 받은 겨우,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적극적으로 그 인장력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약한 부분을 구성하게끔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는, 주로 연신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라멘트부(3)는, 연신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필라멘트부(3)의 인장강도가 루프 핀(30)의 중에서는, 가장 높은 인장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루프 핀(30)에 있어서의 삽입 머리부(19)는, 미연신 상태인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것에 의하여 미연신 상태인 합성수지로 구성된 삽입 머리부(19)는 전체적으로 필라멘트부(3)의 인장강도에 비하여 상당히 그 인장강도가 낮게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 작은 지름부(20)는, 미연신 상태인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삽입 머리부(19) 중에서도, 작은 지름부(20)의 인장강도를 삽입 머리부(19)의 다른 부분의 인장강도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을 특히한 형상으로 되도록 설정하여 성형가공한 것으로서, 그것에 의하여, 해당 부분이, 필라멘트부(3) 및 삽입 머리부(19)의 다른 부분보다 소정의 인장강도의 하에서 우선적으로 절단된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 머리부(19)의 절단 끝단부가 소켓부(2)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절단 끝단부(70)는, 소켓부(2)의 끝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서 사용되는 소켓부(2)의 크기는, 취급이 용이한 정도로, 또한 가능한 한 그의 외관형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그 삽입 머리부(19)의 헤드부(9)가, 그의 꼭대기부가 완만한 만곡형상의 면 혹은 평탄화된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하여 헤드부(9)가, 소켓부(2)내로 삽입된 때에, 헤드부(9)의 꼭대기부(8)가 소켓부(2)의 끝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제적으로도 또한 환경보호의 관점으로부터도, 사용원료의 수량을 절감시켜서, 생산단가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부가비용의 삭감도 목적으로 하는 것과, 취급 상품의 소형화, 박형화에 대응하여, 소형으로 두께가 얇은 루프 핀(30)를 제조하는 것이 목표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은 기술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목표가 용이하게 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루프 핀(30)에 있어서, 루프 핀(30)의 구성부분의 대부분의 부분이 원형 단면형상인 원통체 또는 구형상체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채용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각 요소부분에서, 평탄면의 형상을 채용하도록 한 결과, 보다 확실하게 상기 목표를 용이하게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의 삽입 머리부(19)의 본체부(4)에서의 측면부(41)는,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본체부(4)의 상면 부분의 만곡면부(42)의 헤드부(9) 근방부(43)도 부분적으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 중 돌기부(22)는,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내로 삽입된 경우에, 그 삽입 머리부(19)가 소켓부(2)를 관통하지 않도록 소켓부(2)의 안벽면에 형성된 돌기부(23)와 접촉하는 스톱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며, 이 부분의 평탄면부(43)와 접속하고 있는 돌기부(22)의 부분(44)도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 중, 삽입 머리부(19)의 필라멘트부(3)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에 형성된 구형상부(50)는, 작업자가 손으로 삽입 머리부(19)를 소켓부(2)의 구멍부(10)내에 삽입할 때의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지만, 구형상부(50)의 소정의 부분(51),(52)[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형상부(5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선으로 원형으로 표시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평탄면을 형성하는 놓는 것도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 작은 지름부(20)를 다른 부위에 있어서의 파단에 필요한 인장강도에 비하여 선택적으로 약화시킨다고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후술하는 것과 같은 특정한 단면형상을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그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의 헤드부(9)의 구조는, 상기한 대부분의 특허문헌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헤드부(9) 및 삽입 머리부(19)의 본체부(4)에 접속하고 있는 부재,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은 지름부(20)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형상이, 헤드부(9)의 최대 원형 단면형상의 지름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일 뿐 아니라, 이 부분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없도록 강한 힘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루프 핀의 헤드부(9)의 구조는, 블레이드부(6)와 소켓부의 내벽면 상에 형성된 돌기형상부(23)의 접속부분이 취약하여, 블레이드부(6)가 용이하게 파괴 또는 파단됨으로써, 조작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불가능함과 함께, 본 발명의 작은 지름부(20)에 대응하는 부분이, 극히 강고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파단이 발생되는 일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루프 핀(30)에 있어서, 헤드부(9)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부(6),(6')에 대하여, 루프 핀(30)의 길이 방향 중심축선 C 과 직교하는 면에서 본 단면형상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C 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대향하고 있는 면(61),(62)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호간에 평행한 직선형상(63),(64)을 나타내는 선으로 형성되며, 그 밖의 부분은, 이 직선(63),(64)의 양 끝단부를 묶는 만곡선(65),(6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 이 작은 지름부(20)에서의 루프 핀(3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C 과 직교하는 면에서 본 단면 형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한 쌍의 블레이드부(6),(6')에 있어서 상호간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직선부(63),(64)의 각각에 대응하고, 이 각각의 직선부(63),(64)와 루프 핀(30)의 길이방향 축선 C 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직선형상 부분(67),(68)과, 이 각각의 직선부(67),(58)의 대응하는 한 쪽의 끝단부(67'),(68') 끼리를 연결하는 제1 의 만곡형상 곡선부 R1 과 각각의 직선부(67),(58)의 대응하른 다른 쪽의 끝단부(67"),(68") 끼리를 연결하는 제2 의 만곡형상 곡선부 R2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작은 지름부(20)의 특징적 구성으로서는, 제1 과 제2의 만곡형상 곡선부 R1, R2 의 최대 바깥둘레 가장자리부 P1, P2 는, 헤드부(9)에 있어서의 기초단면부(7)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 P3 보다 안쪽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 제1 과 제2 만곡형상 곡선부 R1, R2 의 최대 바깥둘레 가장자리부 P1, P2 의 걸어멈춤부(3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C 로부터의 길이 L1 은, 루프 핀(3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 C 로부터의 헤드부(9)의 기초단면부(7)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 P3 까지의 길이 L2 보다 10% 내지 40% 짧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에 관한 루프 핀(30)에 있어서의 작은 지름부(20)의 직선부(67),(68)의 길이, 또는 그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길이, 또는 만곡형상 곡선부 R1, R2 의 곡률반경 등을 거듭 변경하여, 각각의 작은 지름부(20)의 파단 시점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이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의 단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파단강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즉,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간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의 직선형상 부분(67),(68)의 길이 F 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작은 지름부(20)의 단멱적이 변화하는 것으로부터, 이 작은 지름부(20)에 있어서의 인장강도도 그것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이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에 관하여, 제1 및 제2 의 직선형상 부분(67),(68)의 길이 F 가 0 인 경우,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은, 원형형상으로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도 10(b)는, 이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에 관하여, 제1 및 제2 의 직선형상 부분(67),(68)의 길이 F 가 0.35mm 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또한 도 10(c)는, 제1 및 제2 의 직선형상(67),(68)의 길이 F 가 0.52mm 인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환언하면, 그 작은 지름부(20)의 단면적을 특정화함으로써, 각각의 업계에서, 이 작은 지름부(20)에 필요로 되는 인장강도를 가진 루프 핀(30)를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예를 들면, 이 루프 핀(30)에 있어서의 작은 지름부(20)가 파단상태로 되는 때의 인장강도값을 조작방지 인덱스값으로 칭하면, 특정의 업계가 필요로 하는 그 조작방지 인덱스값을 가진 루프 핀(30)를, 그 작은 지름부(20)의 면적을 소정의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하고, 그것을 필요로 하는 업계에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루프 핀(30)의 작은 지름부(20)의 단면적과, 이 단면적에 대응하는 작은 지름부(20)의 인장강도와의 관계를, 여러가지 실험에 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즉, 본원 발명자는, 우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작은 지름부(20)의 지름에 상당하는 부분 X 와, 방추형의 헤드부(9)의 최대직경 Z와, 본원 발명의 작은 지름부(20)의 길이 Y를 여러가지로 변경하고, 조작방지 기능과 관련하는 작은 지름부(20)의 인장강도와의 관계를 실험에 의하여 추적하였따.
그 결과, X의 치수와 Y의 치수 및 Z의 치수에는, 이하와 같은 관련성과 경향이 존재하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X 치수 …… 작은 지름부의 조작방지의 강도를 결정함
Y 치수 …… 머리부의 인장강도를 결정함
Z 치수 …… 머리부의 삽입력을 결정함
다시 상세하게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 상기한 X 치수(ø)[즉, 작은 지름부(20)의 단면적과 관련하는 팩터]와, 인장강도에 대응하는조작방지값과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관계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X 치수와 조작 방지의 관계:
X 치수 (ø) 조작 방지
ø 1.00 3.0 kg 내지 3.2 kg
ø 1.05 3.5 kg 내지 3.7 kg
ø 1.08 3.8 kg 내지 4.0 kg
이러한 결과로부터, 상기한 X 치수, Y 치수 및 Z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삽입력, 인장강도 및 조작방지 강도 등을 자유로 설정하여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단, 이 3개의 치수는 각각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므로, 그의 절대치수는 형상이나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서 변화함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이 결과를 응용하여, 블레이드부(6)를 가지는 루프 핀(30)의 각 부위의 치수와 각 부위에 있어서의 인장강도를 포함하는 강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각종의 실험을 행한 결과, 도 4(a) 및 도 9에 나타낸 각 치수를 변화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판명되었다.
즉, 도 4(a) 및 도 9에 나타낸 각 치수(A 내지 F)의 각각은, 루프 핀의 특성치와 개별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A 치수 …… 목치수 조작방지에 관계
B 치수 …… 날개외경 주로 삽입력에 관계
C 치수 …… 날개 두께 주로 인장장도에 관계
D 치수 …… 금형강도 금형가공한계와 금형강도에 관계
E 치수 …… A 치수의 일부 조작방지에 관계
(주: E 치수는, 만곡형상 곡선부 R1 및 R2 의 곡률반경을 나타냄)
F 치수 …… A 치수의 일부 조작방지에 관계
한편, 별도, 사용자의 요구항목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항목이 존재한다.
즉;
1. 고급 루프핀으로서 최저한 필요로 되는 루프 핀의 인장강도는 4kg 이상이 될 필요가 있음.
2. 머리부의 크기의 범용성의 관점에서, 소켓부의 내부지름구멍지름 ø은, 주로 2.0 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등은 상술한 점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① 상기 항목 1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작은 지름부(20)의 인장강도를 유지하려면 어느 정도 일정한 C 치수가 필요한 것.
② 상기 항목 1를 고려하여, 외경 B 치수가 결정됨.
그 값은, 2.49mm 정도가 바람직한 것,
③ 또한, 금형가공한계와 금형강도로부터 D 치수가 결정됨.
그 값은, 0.33mm 정도가 필요로 되는 것
그리고, 상기의 각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필연적으로 A 치수(조작방지에 직접적으로 관계하는)에 사용가능한 치수는 0.88mm 정도로 된다.
즉, 상기의 각 검토로부터, 상기한 필요조건이, 루프 핀(30)의 이상적인 구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조건으로서 부상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요건을 베이스로 하여, 작은 지름부(20)의 이상적인 형상에 대해서 다시 조사하였다.
즉,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이 작은 지름부(20)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특정한 형상에 대해서 다시 설명하자면, 블레이드부가 없는 타입의 실험결과로부터, 조작방지에 대하여 4kg 이상을 확보하기에는, A부 치수는 ø1.08 이상의 굵기가 필요하였.
그렇지만, 블레이드 타입의 루프 핀(30)에서는, A부 치수는 기껏해야 0.8mm 의 스페이스로 유지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의 각 문제점을 고려하여, 0.8밀리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4kg 이상의 조작방지 특정치를 얻는 것이 가능한 작은 지름부(20)의 단면형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도 4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지름부의 단면형상을, 상기한 치수 F 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이 부분의 단면적을 여러가지로 변경하고, 각각의 단면형상에서의 인장강도, 즉 조작방지 강도, 환언하면 조작방지값이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검토하고, 이러한 종류의 정보는 작은 지름부(20)의 설계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당연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은 지름부(2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선 C 와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즉 작은 지름부(20)의 두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F 치수가 0인 경우는, 그의 구성은 원형으로 된다.
실험을 행한 결과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F 치수 조작방지값 (강도)
F = 0.00 mm 2.0kg 미만
F = 0.10 mm 2.0kg 미만
F = 0.20 mm 2.8kg 내지 3.0kg
F = 0.30 mm 4.0kg 내지 4.2kg
F = 0.35 mm 4.8kg 내지 5.0kg
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작은 지름부(20)의 F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조작방지값을 가지는 루프 핀(30)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 루프 핀(30)의 설계에 있어서는, 실제로는, 형상이나 성형 원재료의 차이에 따라 다소 변화한다.
2 : 소켓부 3 : 필라멘트부
4 : 삽입 머리부 본체부 5 : 걸어맞춤부
6, 6' : 블레이드부 7 : 기초단면부
8 : 정점부 9 : 헤드부
10 : 구멍부 19 : 삽입 머리부
20 : 작은 지름부 23 : 돌기부
30 : 루프 핀 34 : 슬릿부
41 : 측면부 42 : 만곡면부
43 : 헤드부의 근방부 44 : 평탄면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
50 : 구형상부 51, 52 : 평탄면
61, 62 : 면 63, 64 : 직선형상부
65, 66 : 만곡선 67, 68 : 직선부
67', 68' : 직선부(67),(68)에 대응하는 한 쪽의 끝단부
67", 68" : 직선부(67),(68)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끝단부
70, 70' : 파단끝단부
R1 : 제1 의 만곡형상 곡선부
R2 : 제2 의 만곡형상 곡선부

Claims (13)

  1. 필라멘트부;
    상기 필라멘트부의 한 쪽의 끝단에 구비되고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삽입 머리부; 및,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 머리부가 불가역적으로 삽입되도록, 그의 안쪽 둘레벽면의 일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를 가지는 소켓부로 이루어지는 루프 핀으로서:
    상기 삽입 머리부는;
    그의 한 쪽의 끝단부가 상기 필라멘트부에 접합되어 있는 삽입 머리부 본체부와,
    그의 한 쪽의 끝단부가,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다른 쪽의 끝단부와 접합되고,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다른 쪽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중심축선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작은 지름부 및,
    기초단면부를 통하여 상기 작은 지름부의 다른 쪽 끝단부에 접촉되며,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확대된 형상으로 외부로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구멍부의 내부면의 일부 상에 마련된 상기 돌기부와 걸어멈추되도록 블레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단면부를 가지는 헤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작은 지름부의 인장강도가 상기 필라멘트부 및 상기 삽입 머리부 본체부의 인장강도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부에서 상기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면에서 본 단면형상이, 상기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대향하고 있는 면이 직선형상이고, 또한 상호간에 평행한 직선형상을 나타내는 선으로 형성되고, 그 밖의 부분은, 상기 직선의 양끝단부를 연결하는 만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머리부가 소켓부의 소정의 구멍부에 삽입된 후에, 상기 작은 지름부의 일부가 소정의 인장력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름부가 조작방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머리부의 상기 헤드부는, 그의 정점부가 완만한 만곡형상의 면 또는 평탄화된 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소켓부 내로 삽입된 때에도,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정점부가 상기 소켓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름부는 미연신 상태인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부는, 연신된 상태인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름부에서의 상기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면에서 본 단면형상은, 한 쌍의 블레이드 부에서 상호간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직선부의 각각에 대향하고, 상기 각각의 직선부와, 상기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직선형상 부분과, 상기 각각의 직선부의 대응하는 한 쪽의 끝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제1 의 만곡형상 곡선부와 상기 각각의 직선부의 대응하는 다른 쪽의 끝단부 끼리를 연결하는 제2 의 만곡형상 곡선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 제2 의 만곡형상 곡선부의 최대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상기 헤드부에서의 상기 기초단면부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보다 안쪽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 제2 의 만곡형상 곡선부의 최대 바깥둘레 가장자리부의 상기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으로부터의 길이는, 상기 기초단면부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상기 루프 핀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으로부터의 길이보다 10% 내지 40% 짧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11. 제 8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름부의 절단강도는, 상기 작은 지름부의 단면적에 의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름부의 절단강도에 기초하여 조작방지 인덱스값을 상기 작은 지름부의 면적을 소정의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인덱스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1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머리부에서의 원통형상부 또는 구면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평탄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핀.
KR1020130161494A 2013-05-30 2013-12-23 루프 핀 KR101503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4725 2013-05-30
JP2013114725A JP5804606B2 (ja) 2013-05-30 2013-05-30 係止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418A KR20140141418A (ko) 2014-12-10
KR101503915B1 true KR101503915B1 (ko) 2015-03-19

Family

ID=5209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494A KR101503915B1 (ko) 2013-05-30 2013-12-23 루프 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04606B2 (ko)
KR (1) KR101503915B1 (ko)
CN (1) CN1042137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823A (zh) * 2018-01-25 2018-06-12 灰度环保科技(上海)有限公司 循环使用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347A (ja) * 1997-12-02 1999-06-22 Kotecs Co Ltd 封緘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8355A (en) * 1971-08-27 1973-02-27 R Canter Seal
BR9501030A (pt) * 1995-03-10 1997-05-06 Elc Prod Seguranca Ind Selo de segurança adequado para lacrar um porta-rótulo para o fechamento e lacre de malotes e semelhantes
US6446311B1 (en) * 2000-01-06 2002-09-10 Kotec's Co., Ltd. Loop pin
US7559587B2 (en) * 2007-03-12 2009-07-14 Mangone Jr Peter G Unitized security se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347A (ja) * 1997-12-02 1999-06-22 Kotecs Co Ltd 封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35195A (ja) 2014-12-15
KR20140141418A (ko) 2014-12-10
CN104213780B (zh) 2017-03-01
JP5804606B2 (ja) 2015-11-04
CN104213780A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8762A1 (en) Rfid tag
US20070012772A1 (en) Plastic case for an EAS tag
KR101503915B1 (ko) 루프 핀
US6446311B1 (en) Loop pin
US20080257766A1 (en) Storage container
JP2005190173A (ja) 封緘具付きicタグ
US20070193313A1 (en) Anti-theft tag
US9803399B2 (en) Thermoplastic security seal with covered locking recess
JP4260910B2 (ja) 封緘具
US10435213B2 (en) Fastener with support feature for pawl component
JP5607295B2 (ja) 包装容器
EP2862477B1 (en) Cutter for double-edged eyelid-forming tape or thread
KR200478105Y1 (ko) 의류용 메달 택
JP5470130B2 (ja) タグ
US5897044A (en) Needles useful in the dispensing of plastic fasteners
JP2000276057A (ja) 封緘具
JP2000276056A (ja) 封緘具
JP6268741B2 (ja) ブローピン
WO2022123231A3 (en) Security tag
US563126A (en) Nose-piece for eyeglasses
IT202100027155A1 (it) Castone per inserto ornamentale
JP2008234635A (ja) Rfidタグ
KR200235299Y1 (ko) 태그 연결 고리
US1113670A (en) Pin.
CN104299023A (zh) 一种可重复使用防拆式rfid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