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307B1 -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 Google Patents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307B1
KR101503307B1 KR20140128168A KR20140128168A KR101503307B1 KR 101503307 B1 KR101503307 B1 KR 101503307B1 KR 20140128168 A KR20140128168 A KR 20140128168A KR 20140128168 A KR20140128168 A KR 20140128168A KR 101503307 B1 KR101503307 B1 KR 10150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ly conductive
graphite sheet
graphite
elastom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구
송준현
김상현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송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송이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송이엠씨
Priority to KR2014012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그라파이트 시트의 외부 면을 감싸던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 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그라파이트 시트를 전도성 테이프를 매개로 회로 부품에 직접 접지시킴으로써, 회로 부품, 그라파이트 시트 및 전도성 테이프가 도체로 각각 이루어지는 전기전도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전자파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로 회로부품에서 발생된 노이즈가 열전도 탄성체의 주재료로 사용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전기전도성 및 파이프 형태에 의해 증폭되어 주변 회로부품에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차단한 열전도 탄성체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는 내부 탄성체; 상기 내부 탄성체의 외부 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각 기재필름에 내재되어 열 및 전기를 전도하는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는 열전도층; 상기 내부 탄성체와 열전도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 탄성체와 그라파이트 시트를 부착시키는 접착제층; 및 상기 열전도층의 표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전도성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층과 전도성 테이프가 부착되는 내면에 열전도층의 기재필름 일부가 제거되어 그라파이트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와 전도성 테이프가 맞닿아 전기전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THERMAL CONDUCTIVE ELASTOMER DEFENDING ANTENNA EFFECT BY NOISE COUPLING}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열전도 및 방열을 위한 열전도성 탄성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외부 면을 감싸던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필름의 일부를 제거하고, 전도성 테이프를 제거부위 보다 넓게 덮어 부착함으로써, 발열원과 그라파이트 시트 간의 전기적 접지를 통하여 전자파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는 동작 시에 그 주변에 열과 전자파를 방사한다. 특히, 최근 마이크로 전자기술의 발달로 인해 출현하는 고속 디지털기기는 많은 열과 광대역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열은 전자기기의 오작동과 성능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전자파는 노이즈로 작용하여 서로간의 불필요한 간섭 및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228603호 (2013.01.25)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에 대해 기재되어있다.
상기 문헌에 의한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은 특정 전자파환경에서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효과로 주변회로 부품에 전자파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파이트 시트의 외부 면을 감싸던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 필름의 일부를 제거하여, 그라파이트 시트를 전도성 테이프를 매개로 회로 부품에 직접 접지시킴으로써, 회로 부품, 그라파이트 시트 및 전도성 테이프가 도체로 각각 이루어지는 전기전도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하여,
종래의 열전도성 탄성체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전자파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로 회로부품에서 발생된 노이즈가 열전도 탄성체의 주재료로 사용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전기전도성 및 파이프 형태에 의해 증폭되어 주변 회로부품에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차단한 열전도 탄성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는 내부 탄성체; 상기 내부 탄성체의 외부 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각 기재필름에 내재되어 열 및 전기를 전도하는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는 열전도층; 상기 내부 탄성체와 열전도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 탄성체와 그라파이트 시트를 부착시키는 접착제층; 및 상기 열전도층의 표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전도성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층과 전도성 테이프가 부착되는 내면에 열전도층의 기재필름 일부가 제거되어 그라파이트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와 전도성 테이프가 맞닿아 전기전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이하 "열전도성 탄성체"라 한다.)는 도체인 회로 부품과 도체인 그라파이트 시트 사이에 도체 재질의 전도성 테이프를 부착시킴으로써, 회로 부품, 전도성 테이프 및 그라파이트 시트가 차례로 적층되는 전기전도 일체형 구조를 가져 회로 부품의 내부에서 전자파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그라파이트 시트가 접지되어 있으므로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효과가 발생하지 않아 전자파장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는 도체인 회로 부품과 도체인 그라파이트 시트 사이에 도체 재질의 전도성 테이프를 부착시킴으로써, 그라파이트 시트와 회로 부품 간의 열전도도가 더욱 상승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열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는 전자파 장애 환경이 다른 곳에서는 일 측면은 전도성 테이프를 매개로 회로 부품과 접지되고, 타 측면 또한 전도성 테이프를 매개로 백 커버 등에 접지됨으로써, 백 커버 및 기판에 탑재된 회로 부품에 그라운드 처리되어 열전도도의 상승으로 열 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부품의 내부 및 백 커버의 내부에서 방출되던 전자파 노이즈에 의한 전자파 장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는 그라파이트 시트의 외부 면을 감싸던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필름의 일부를 제거하고, 전도성 테이프를 제거부위 보다 넓게 덮어 부착함으로써 그라파이트 시트의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의 노이즈 발생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의 노이즈 억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 대한 EMI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대한 EMI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의 노이즈 발생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1)은 내부 탄성체(10)와, 내부 탄성체(10)의 외주 면을 감싸는 그라파이트 시트(20)와, 그라파이트 시트(20)의 외주 면을 감싸는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 필름(40)과, 비전도성 절연 필름(4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 전도성 테이프(50)를 포함한다. 이때, 일 예로 비전도성 절연 필름(40)으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이 이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1)은 전도성 테이프(50)를 매개로 회로 부품(5)에 부착된다. 즉, 도체인 회로 부품(5) 상에 도체인 전도성 테이프(50),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 필름(40), 도체인 그라파이트 시트(20)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회로부품에서 발생하는 불요전자파(노이즈)가 도체와 도체 사이에 외측 기재필름인 PET 재질의 비전도성 절연 필름(40)이 배치되면, 반대편 도체의 내부에 전하가 형성하게 되고, 축적된 에너지가 쌓이게 되며,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의 도전성 재질인 그라파이트 시트(20)형태에 의해 노이즈가 증폭되고 또한 안테나 역할을 하므로 주변의 회로부품에 전자파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즉, 두 도체 사이에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 필름(40)이 개재될 경우, 비전도성 절연 필름(40)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이격 거리를 형성하게 되고, 이때 도체와 도체 간의 전기 저항편차가 크면 클수록 전자파 노이즈가 상승하게 되고, 이격 거리가 클수록 전하의 이동은 작아지게 되어 전자파 노이즈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1)은 도체인 회로 부품(5) 상에 도체인 전도성 테이프(50), 외측 기재필름인 비전도성 절연 필름(40)과 도체인 그라파이트 시트(20)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두 도체의 내부에 전하를 축적하게 되므로,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서 대기 중으로 전자파 노이즈를 방출하게 된다.
이 결과, 대기 중으로 방출된 전자파 노이즈는 전자 기기 상호 간에 불필요한 간섭 작용을 하여 이른바 전자파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100)는 내부 탄성체(110), 열전도층(120), 접착제층(130) 및 전도성 테이프(150)를 포함하며, 외측 기재필름을 일부 제거하여 형성된 그라파이트 노출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도 3은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100)의 일면에 외측 기재필름(122)을 일부 제거하여 그라파이트 노출부(125)의 예를 보이기 위하여 전도성 테이프(150)가 부착되기 전 상태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 탄성체(110)는 스펀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PU계 스펀지, 아크릴계 스펀지, CR계라고도 지칭되는 네오프렌계 스펀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스펀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내부 탄성체(11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내부 탄성체(110)는 쿠션성 및 탄성을 가지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실리콘, 불소수지 등의 단일물질계 스펀지 또는 실리콘, 불소수지의 용액에 폴리우레탄, 아크릴, EPDM 등의 스펀지를 함침 코팅한 복합 물질의 내열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탄성체(110)는 1m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부 탄성체(110)의 두께가 1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쿠션성 및 탄성의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전도층(120)은 내부 탄성체(110)의 외부 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전기와 열을 전도하는 역할을 한다.
열전도층(120)은 전기와 열전도를 목적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시트(121), 그라파이트 시트(121)의 표면 보호 및 밀폐를 목적으로 내, 외측에 부착된 각 기재필름(122)으로 구성된다.
열전도층(120)의 그라파이트 시트(121)는 천연 또는 인조 그라파이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0 ~ 50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라파이트 시트(121)의 두께가 1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열 방출 효율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대로, 그라파이트 시트(121)의 두께가 500㎛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열전도는 증가하나, 과도한 두께 증가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열전도층(120)에 내재된 그라파이트 시트(121)로 인한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외측 기재필름(122)을 일부 제거하여 그라파이트 노출부(1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파이트 노출부(125)의 면적은 열전도 탄성체의 바닥면적 대비 10 ~ 80% 정도로 그라파이트 시트(121)를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출면적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테이프(150)와의 접촉면적이 적어 전기접지 효과를 발휘하기 충분치 못하고, 노출면적이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외곽 기재필름(122)과 전도성 테이프(150)의 부착면적이 적어 그라파이트 시트(121)의 밀폐력이 부족하게 된다.
열전도층(120)의 내, 외측 각 기재필름(122)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점ㆍ접착제에 의해 그라파이트 시트(121)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기재필름(122)의 두께는 점ㆍ접착제를 포함하여 10 ~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기재필름(122)의 두께가 1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그라파이트 시트(121) 표면을 보호하는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 반대로, 각 기재필름(122)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성형이 용이하지 않다.
각 기재필름(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필름,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이미드(PI),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필름, 폴리 우레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및 아크릴 수지 필름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층(130)은 내부 탄성체(110)와 열전도층(120) 사이에 개재되어, 내부 탄성체(110)와 열전도층(120)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접착제층(130)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PU계, 불소계 중 하나의 점착제 이거나, 열전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에 CNT, 카본, 알루미나 및 금속 파우더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 중 하나의 점착제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 우레탄,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중 하나의 핫멜트 접착제 이거나, 열전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CNT, 카본, 알루미나 및 금속 파우더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 중 하나의 핫멜트 접착제로 형성되거나, 또는,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경화형 액상수지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테이프(150)는 열전도층(12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그라파이트 시트(121)를 회로 부품에 부착되면서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도성 테이프(150)는 열전도층(120)의 그라파이트 노출부(125)에 부착되면서, 그라파이트 노출부(125)보다 넓게 부착되고 그라파이트 시트(121)를 밀폐하여 부스러기가 떨어져나올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전도성 테이프(150)의 면적은 열전도성 탄성체(100)의 바닥면적의 60 ~ 95% 이면서, 그라파이트 노출부(125) 보다 120 ~ 300%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테이프(150)는 기재타입 또는 무기재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기재타입인 경우 기재의 재질은 금, 은, 동, 알루미늄, 주석, 니켈, 철 등이거나, 상기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류의 금속박일 수 있다.
전도성 테이프(150)는 30 ~ 10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테이프(150)의 두께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반대로, 전도성 테이프(150)의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 상승 대비 더 이상의 효과가 없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전도성 테이프(150)는 고분자 점착 수지 및 열ㆍ전기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이 점착 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고분자 점착 수지는 아크릴계 점착 수지, 우레탄계 점착 수지, 초산비닐계 점착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점착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점착 수지, 폴리아미드계 점착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점착 수지 중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열.전기전도성 필러는 무기계 파우더 및 금속 파우더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무기계 파우더는 그라파이트, CNT(carbon nanotube), 알루미나, 보론나이트라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티타늄나이트라이드,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및 베릴륨옥사이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파우더는 니켈, 구리, 금, 은, 주석, 코발트, 알루미늄, 은이 코팅된 구리, 은이 코팅된 니켈, 은이 코팅된 알루미늄, 및 주석이 코팅된 구리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테이프(150)의 일면은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100)의 그라파이트 노출부(125)에 부착되고 타면은 이형지(160)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전도층(120)의 외측 기재필름(122)을 일부 제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그라파이트 노출부(125)의 다른 예를 보이기 위하여 전도성 테이프(150)가 부착되기 전 상태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과 비교하여 그라파이트(121) 밀폐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의 노이즈 억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탄성체는 도체인 회로 부품(105) 상에 도체인 전도성 테이프(150), 도체인 그라파이트 시트(121)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도성 테이프(150)를 매개로 회로 부품(105)에 부착된다. 따라서, 그라파이트 시트(121)를 전도성 테이프(150)를 매개로 회로 부품(105)에 직접 접지시킴으로써, 회로 부품(105), 그라파이트 시트(121) 및 전도성 테이프(150)가 도체로 각각 이루어지는 전기전도 일체형 구조를 갖으므로 노이즈 커플링이 형성되지 않아, 노이즈가 증폭되지 않고, 그라파이트 시트(121)가 안테나 역할을 하지 않게 되므로 전자파장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체인 회로 부품(105)과 도체인 그라파이트 시트(121) 사이에 도체 재질의 전도성 테이프(150)를 부착시킴으로써, 그라파이트 시트(120)와 회로 부품(105) 간의 열전도도가 상승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열 방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200)는 내부 탄성체(210), 열전도층(220), 접착제층(230), 전도성 테이프(250) 및 전도성 접지 필름(26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탄성체(210), 열전도층(220), 접착제층(230) 및 전도성 테이프(25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탄성체, 그라파이트 시트, 접착제층 및 전도성 테이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전도성 테이프(250)는 열전도층(22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어, 그라파이트 시트(220)를 회로 부품(205)에 접지시킨다. 이때, 회로 부품(205)은 기판(202) 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전도성 접지 필름(260)은 열전도층(220)에 부착되어, 열전도층(220)를 백 커버(204)에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도성 접지 필름(260)은 전도성 테이프와 동종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연히 전도성 접지 필름(260)이 부착되는 열전도층의 표면은 외측기재 필름이 일부 제거되어 그라파이트 노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200)는 열전도층(220)의 아랫면은 전도성 테이프(250)를 매개로 회로 부품(205)과 접지되고, 열전도층(220)의 윗면은 전도성 접지 필름(260)을 매개로 백 커버(204)에 접지됨으로써, 백 커버(204) 및 기판(202)에 탑재된 회로 부품(205)에 양면이 각각 그라운드 처리되어 열전도도의 상승으로 열 방출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부품(205) 또는 주변의 부품에서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노이즈가 증폭도지 않고 오히려 접지를 통해 노이즈가 배출되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던 전자파 노이즈에 의한 전자파 장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비교예 1에 대한 EMI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실시예 1에 대한 EMI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를 그리고 비교예 1은 일반적인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을 42LM6600 TV 모델에 부착하여 EMI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하여 750MHz 영역에서 대략 8dB 정도의 감쇄 현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비록, 450MHz에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하여 약간 상승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1의 경우 전자 제품 스펙의 마진은 충분히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열전도성 탄성체 105 : 회로 부품
110 : 내부 탄성체 120 : 열전도층
121 : 그라파이트 시트 122 : 기재필름
125 : 그라파이트 노출부 130 : 접착제
150 : 전도성 테이프 160 : 이형지
200 : 열전도성 탄성체 202 : 기판
204 : 백 커버 205 : 회로 부품
210 : 내부 탄성체 220 : 열전도층
230 : 접착제층 250 : 전도성 테이프
260 : 전도성 접지 필름

Claims (9)

  1. 내부 탄성체;
    상기 내부 탄성체의 외부 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각 기재필름에 내재되어 열 및 전기를 전도하는 그라파이트 시트를 포함하는 열전도층;
    상기 내부 탄성체와 열전도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부 탄성체와 그라파이트 시트를 부착시키는 접착제층; 및
    상기 열전도층의 표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부착되는 전도성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층과 전도성 테이프가 부착되는 내면에 열전도층의 기재필름 일부가 제거되어 그라파이트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와 전도성 테이프가 맞닿아 전기전도가 가능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노출부는 열전도성 탄성체의 바닥면적 대비 10 ~ 80%로 그라파이트 시트를 노출하여 전도성 테이프와 맞닿도록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테이프는 상기 그라파이트 노출부 보다 120 ~ 300%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테이프는
    상기 열전도층의 그라파이트 노출부에 부착되면서, 상기 그라파이트 노출부 보다 넓게 부착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를 밀폐하여 부스러기가 떨어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와 전도성 테이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부품에 접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의 그라파이트 시트는
    10 ~ 50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의 각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P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필름,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이미드(PI),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필름, 폴리 우레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및 아크릴 수지 필름 중 하나로 형성되며, 그라파이트 시트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테이프는
    30 ~ 10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테이프는
    고분자 점착 수지 및 전기전도성 필러 및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이 무기재타입으로 형성되거나, 금, 은, 동, 알루미늄, 주석, 니켈 및 철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의 금속박에 형성된 기재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탄성체는
    폴리우레탄계 스펀지, 아크릴계 스펀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계 스펀지, 네오프렌계 스펀지, 실리콘계 스펀지, 불소수지계 스펀지, 폴리우레탄 고무, 아크릴계 고무, EPDM계 고무, 네오프렌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및 불소수지계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탄성체는
    상기 열전도층에 부착되어,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를 백 커버에 접지시키는 전도성 접지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KR20140128168A 2014-09-25 2014-09-25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KR10150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168A KR101503307B1 (ko) 2014-09-25 2014-09-25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168A KR101503307B1 (ko) 2014-09-25 2014-09-25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307B1 true KR101503307B1 (ko) 2015-03-19

Family

ID=5302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8168A KR101503307B1 (ko) 2014-09-25 2014-09-25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605B1 (ko) * 2016-12-22 2018-01-18 김재범 전파 전달이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가지는 전도층이 코팅된 비전도성 프레임
US20220085267A1 (en) * 2019-01-23 2022-03-17 Lg Innotek Co., Ltd. Thermoelectric 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825B2 (ja) * 2000-09-29 2004-05-17 北川工業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用ガスケット
JP2008258020A (ja) * 2007-04-05 2008-10-23 Otis Kk 軟式電気導通体
JP4733752B2 (ja) * 2008-03-07 2011-07-27 ジョインセット株式会社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KR101228603B1 (ko) * 2012-07-31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6825B2 (ja) * 2000-09-29 2004-05-17 北川工業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用ガスケット
JP2008258020A (ja) * 2007-04-05 2008-10-23 Otis Kk 軟式電気導通体
JP4733752B2 (ja) * 2008-03-07 2011-07-27 ジョインセット株式会社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KR101228603B1 (ko) * 2012-07-31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605B1 (ko) * 2016-12-22 2018-01-18 김재범 전파 전달이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가지는 전도층이 코팅된 비전도성 프레임
US20220085267A1 (en) * 2019-01-23 2022-03-17 Lg Innotek Co., Ltd. Thermoelectric element
US11844278B2 (en) * 2019-01-23 2023-12-12 Lg Innotek Co., Ltd. Thermoelectric 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452B2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tructure
US9445528B2 (en) Thermal gap pad
KR200494361Y1 (ko) 성형 가능한 차폐 필름
US7608326B2 (en) Thermally conductive EMI shield
JP4226041B2 (ja) 積層構造を有する透過導電シールド
KR101544587B1 (ko) 열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9968004B2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s including electrically-conductive material
CN204298318U (zh) 一种抗刮防潮电磁屏蔽胶带
KR100977064B1 (ko) 다목적 접착테이프
US9999158B2 (en) Thermally conductive EMI suppression compositions
KR101256397B1 (ko) 그라파이트 밀폐형 전기/열 전도성 탄성가스켓
US20160113161A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s including see-through portions
KR101549987B1 (ko) 열전도성 접착층을 이용하며, 흑연층을 포함하는 방열기능이 향상된 복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3307B1 (ko) 노이즈 커플링에 의한 안테나 효과를 차단한 열전도성 탄성체
KR101895573B1 (ko) 복합 열전 부재
KR101801879B1 (ko) 복합 열전 부재
KR101951927B1 (ko) Emi 개스킷
JP2008124258A (ja) 熱伝導性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及び電磁波シールド構造
JP4075481B2 (ja) 金属−グラファイトシート複合体および電子機器
JP5894612B2 (ja) 熱伝導性emi抑制構造
JP2004335770A (ja) 電磁波吸収体
EP2897164B1 (en) Thermally-conductive interface pad for EMI-suppression
CN206564760U (zh) 一种电磁屏蔽夹套
CN208649201U (zh) 一种多功能pet保护膜
KR101322618B1 (ko) 자체방열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전도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