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983B1 -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983B1
KR101502983B1 KR20140161479A KR20140161479A KR101502983B1 KR 101502983 B1 KR101502983 B1 KR 101502983B1 KR 20140161479 A KR20140161479 A KR 20140161479A KR 20140161479 A KR20140161479 A KR 20140161479A KR 101502983 B1 KR101502983 B1 KR 10150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d
main body
inflow sp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훈 최
Original Assignee
훈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훈 최 filed Critical 훈 최
Priority to KR2014016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83B1/ko
Priority to JP2015079702A priority patent/JP604049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Abstract

본 발명의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는 좌우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제 1 유체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공간부(111)이 형성되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 상부에 제 2 유체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1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돌출부(113)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를 밀폐시키는 밀폐블록(120)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부(214)가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와 연통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로부터 제 2 유체가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2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214) 외곽에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과 연통되는 제 1 유체 공급공(2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중간부(212) 및 결합부(215)가 구비된 하부(2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부터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를 각각 분리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헤드부(210);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되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로 유입되어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와 제 2 유입공간부(112)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는 제 2 유체를 혼합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Double Fluid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분사 표면적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분사액을 기체와 혼합하여 분무시키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로서, 분사부의 청소를 위한 분사부의 분리 및 청소후 분사부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는 2유체분사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즐은 액체를 분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분무되는 액체가 공기와 혼합되는 위치에 따라 내부 혼합식 분무 노즐과 외부 혼합식 분무 노즐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은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분사 효율은 물론 분사 표면적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분사액을 기체와 혼합하여 분무시키는 2유체 분사노즐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2유체 분사노즐은 분사액이 기체에 의해 작은 입자 형태로 분사되므로, 분사액이 도포되는 영역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2유체 분사노즐은 반도체 기판을 생산할 때 증착, 리소그래피, 식각, 화학적/기계적 연마, 세정, 건조 등과 같은 공정에서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2유체 분사노즐은 분사액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분사액과 기체를 동시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어느 하나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이 더 크게되면 유체가 역류하거나 유체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2유체 분사노즐은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이 관형태로 형성되고, 이 관형태의 하우징에 복수의 노즐헤드를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을 절삭하여 헤드 결합면을 형성하므로, 하우징의 강도가 저하되고, 하우징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헤드가 결합되는 부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압차에 의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사노즐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를 개발한 바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389733호(발명의 명칭: 분사노즐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분사노즐용 하우징(10)은 중공 형태를 가지는 본체(13); 및 상기 본체(13)에서 돌출 형성되며, 유체를 분사하는 헤드(43)가 결합되는 보강부(15)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3) 및 상기 보강부(15)에는 유체 유입공간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는, 상기 본체(13)의 중공에 의해 상기 본체(13)에 형성되는 제1 유입공간부(11a); 및 상기 보강부(15)에 형성되는 제2 유입공간부(11b)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15)는, 상기 본체(13)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5a); 및 상기 제2 유입공간부(1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3)의 상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1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특허에 개시된 분사노즐용 하우징을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는 구획된 2개의 유체 유입공간부(11)를 형성하는 하우징(10);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20);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를 커버하는 제2 커버부(30); 및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와 각각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며, 각각의 유로를 통해 서로 다른 유체를 동시에 분사하는 분사노즐(4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은, 중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공에 의해 제1 유입공간부(11a)를 형성하는 본체(13); 및 상기 본체(13)에서 돌출형성되며 제2 유입공간부(11b)를 형성하는 보강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15)는, 상기 본체(13)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5a); 및 상기 제2 유입공간부(11b)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3)의 상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1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분사노즐(40)은 제1 유로(41a)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로(41a)가 어느 하나의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와 연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헤드(43); 및 제2 유로(41b)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로(41b)가 다른 하나의 상기 유체 유입공간부(11)와 연통하도록 상기 헤드(43)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헤드(4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5);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43)는 연결부재(45)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헤드본체(43a)와, 상기 헤드본체(43a)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부(43b)와, 상기 분사부(43b)를 상기 헤드본체(43a)에 고정되도록 상기 헤드본체(43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43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사부(43b)는 헤드본체(43a)에 결합되어 2유체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분리공급캡(43b′)과, 상기 분리공급캡(43b′)이 상기 헤드본체(43a)에 수용되도록 상기 헤드본체(43a)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분리공급캡(43b′)으로부터 공급된 2유체를 혼합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캡(43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액체는 상기 헤드본체(43a)에 결합된 분사부(43b)에 의해 분사되게 되며, 분사노즐 작동 정지 후에는 분사부(43b)에 액체가 액적 형태로 잔존하게 된다. 이 분사부(43b)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재가동되는 경우에는 분사부(43b)에 액적형태로 잔존하는 액체가 굳는 등에 의해 분사부(43b)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된다. 재가동을 위해 분사부(43b)로부터 굳은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헤드본체(43a)에 나사결합된 고정부(43c)를 완전히 푼 다음 헤드본체(43a)로부터 분사부(43b), 즉,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을 분해시켜 굳은 액체를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하고, 다시 헤드본체(43a)에 분사부(43b), 즉,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을 결합시키고 고정부(43c)를 헤드본체(43a)에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분사부(43b)를 헤드본체(43a)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43b)는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으로 되어 있어, 헤드본체(43a)와 분사부(43b)를 분해시키거나 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43c)를 풀거나 조일 때 상기 분사부(43b), 즉,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이 헤드본체(43a)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43c)를 풀 때에는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이 헤드본체(43a)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될 우려가 크고, 상기 고정부(43c)를 조일 때에는 상기 분사부(43b)의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이 헤드본체(4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여야 하는데, 분사노즐이 대부분 하향분사형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분사부(43b)의 분리공급캡(43b′)과 분사캡(43b″)이 헤드본체(43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낙하되기 일쑤여서 조립이 쉽지 않고 분실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분사노즐용 하우징(10)은 제 1 유체 공급라인(3)을 통해 제1유입공간부(11a)로 공급된 제 1 유체가 헤드본체(13)로 공급되도록 유체 배출구멍(13c)을 천공하여야 한다. 이때, 유체 배출구멍(13c)은 연결부재(45)가 관통하는 제1 연통구멍(13a) 주위로 적어도 2개 이상 천공하게 된다. 이러한 천공은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분사노즐용 하우징(10) 크기에 비해 아주 작은 부분이어서 사출시 사출압력이 미치지 못할 수 있어, 유체 배출구멍(13c)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유체 배출구멍(13c) 부근에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크게 된다. 또한, 사출시 불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매우 큰 압력으로 하우징(10)을 사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부를 헤드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분해시키지 않고도 분사부를 헤드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분사부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본체로부터 분사부의 분리 후에 고정부를 풀어 분사부가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종의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공급하고 분사부의 분사캡에서 합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는, 좌우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제 1 유체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공간부(111)이 형성되고, 외주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 상부에 제 2 유체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1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돌출부(113)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를 밀폐시키는 밀폐블록(120)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부(214)가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와 연통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로부터 제 2 유체가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2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214) 외곽에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과 연통되는 제 1 유체 공급공(2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중간부(212) 및 결합부(215)가 구비된 하부(2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부터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를 각각 분리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헤드부(210);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되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로 유입되어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와 제 2 유입공간부(112)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는 제 2 유체를 혼합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10)는,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서로 평행한 제 1 평면부(221a′)와 제 2 평면부(221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평면부(221a′)와 제 2 평면부(221a′)에는 상기 헤드부(210)의 상부(211) 및 중간부(212)가 각각 결합되는 제 1 결합공(114)와 제 2 결합공(11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제 1 평면부(221a′) 외곽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결합공(115)는 결합되는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공형상으로 되며,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제 2 결합공(115)와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는,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보다 직경이 크며, 내측에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 및 상기 중공부(214)와 연통되는 원형 수용부(215a)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하부인 상기 결합부(215)의 하단에는 상기 원형 수용부(215a)와 함께 장공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걸림부(215b)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220)는, 상기 걸림부(215b)를 통과하는 평면부(221a′)와,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내주연과 접하는 원호부(221a″)로 구성되는 장공형상으로 된 삽입부(221a)와, 상기 삽입부(221a)의 하부에 이격형성되는 너트부(221b)와, 상기 너트부(221b)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부(221c)와, 상기 나사부(221c)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공급된 2유체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리공급부(221d)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가 상기 걸림부(215b)에 걸려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과 상기 중공부(214)가 각각 연통되는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제 2 유체 연통공(221f)이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형성된 분사부 본체(221);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공급부(221d)를 수용하며 상기 분리공급부(221d)로부터 공급된 2유체를 혼합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캡(222); 상기 나사부(221c)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분사캡(222)을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분사캡 고정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내주연 상단에는 실링삽입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삽입홈(216)에 삽입되며,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시 압착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실링(217)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2 유체 연통공(221f)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중공부(214)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삽입결합되는 돌출삽입부(221g)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삽입부(221g)는, 중간부위에 링홈(221i)가 형성되고, 상기 링홈(221i)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된 제 2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 2 실링(221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외곽에는 상기 분사부(220)가 상기 헤드부(210)에 결합될 때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구비된 상기 제 1 실링(217)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환형테(221j)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원호부(221a″)의 하부에는 상기 평면부(221a′)와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시 상기 걸림부(215b)가 안착되어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90도 회전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안착홈(221k)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221k)의 높이는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 후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이 안착될 때 상기 제 1 실링(217)이 100% 탄성복원이 되는 높이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사부를 헤드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풀어 분사부를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부를 헤드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종래의 분사장치와는 달리, 분사부 전체를 헤드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후에 분사부가 분해하도록 함으로써 분사부의 부품 분실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부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본체로부터의 분리 및 헤드본체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종의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공급하여 분사부의 분사캡에서 합류되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역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노즐용 하우징에 이종유체 중 어느 하나의 유체가 헤드본체로 공급되도록 유체 배출구멍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할 시에, 분사노즐용 하우징 크기에 비해 아주 작은 부분이어서 사출시 사출압력이 미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커서 천공가공을 하여야 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하우징에 별도로 천공하지 않고,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을 헤드부(210)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 형성시 상기 헤드부(210)를 천공하지 않고 제작이 용이한 사출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의 헤드부와 분사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는 크게 하우징(100), 헤드부(210)와 분사부(220)로 이루어지는 분사노즐(200)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10)와 밀폐블록(1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는 제 1 유체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제 2 유체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제 1 유체는 공기를 이용하며, 제 2 유체는 액상으로 되며, 제 1 유체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공간부(111)로는 압축공기를 소정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를 좌우로 관통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는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는 외주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는 후술할 상기 헤드부(210)의 상부(211) 및 중간부(212)가 각각 결합되는 제 1 결합공(114)과 제 2 결합공(1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주연 상부 외곽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밀폐블록(120)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돌출부(113)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113)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에는 분사노즐(200)이 결합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00)은 크게 헤드부(210)와 분사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210)는 상기 하우징(100)부터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를 각각 분리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10)는 상부(211)와 중간부(212)와 하부(2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210)의 상부(211)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부(214)가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와 연통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로부터 제 2 유체가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다(도 6 참조).
상기 헤드부(210)의 상부(211)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 1 결합공(114)에 삽입결합되는 삽입결합부(211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결합부(211a)의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제 1 결합공(114) 하단과 접하도록 단턱(211b)이 형성된다(도 6, 도 9 및 도 10 참조).
상기 삽입결합부(211a)는 상기 제 1 결합공(114)에 끼워맞춤결합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로 공급되는 제 2 유체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좌우로 관통된 중공, 즉 제 1 유입공간부(11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턱(211b)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로 공급되는 제 2 유체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좌우로 관통된 중공, 즉 제 1 유입공간부(11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결합부(211a)에 결합되는 고무링(미도시됨)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214) 외곽에 하우징(100)의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과 연통되는 제 1 유체 공급공(2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도 6 참조).
분사노즐용 하우징에 이종유체 중 어느 하나의 유체가 헤드본체로 공급되도록 유체 배출구멍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할 시에, 분사노즐용 하우징 크기에 비해 아주 작은 부분이어서 사출시 사출압력이 미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커서 천공가공을 하여야 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하우징에 별도로 천공하지 않고,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을 헤드부(210)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 형성시 상기 헤드부(210)를 천공하지 않고, 상기 헤드부(210) 사출시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을 형성하도록 상기 헤드부(210) 사출시에는 상기 헤드부(210)가 상기 하우징(100)에 비해 크기가 작으므로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 형성부위에서도 사출압력이 고르게 미치게 됨으로써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적게 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사출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부(210)에 별도의 천공을 하지 않고 제작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 2 결합공(115)에 삽입결합된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제 2 결합공(115)는 결합되는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공형상으로 되며,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제 2 결합공(115)와 상응하는 단면형상(즉, 장공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및 도 10 참조).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제 2 결합공(115)에 끼워맞춤결합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로 공급되는 제 1 유체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 하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제 2 결합공(115) 하단과 접하도록 단턱(미도시됨)이 형성되어도 되며,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부(212) 하단으로 설치되는 고무링(미도시됨)을 설치하여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로 공급되는 제 1 유체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고무링 대신에 수지와 같은 코킹재료를 사용하여 제 1 유체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10)의 하부(213)에는 결합부(21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15)에는 후술할 분사부(22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는,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보다 직경이 크며, 내측에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 및 상기 중공부(214)와 연통되는 원형 수용부(215a)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하부인 상기 결합부(215)의 하단에는 상기 원형 수용부(215a)와 함께 장공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부(215b)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는 후술할 상기 분사부(220)의 삽입부(221a)가 결합되어 수용되게 된다.
상기 분사부(220)는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되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로 유입되어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와 제 2 유입공간부(112)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는 제 2 유체를 혼합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부(220)는, 분사부 본체(221)와 분사캡(222) 및 분사캡 고정부(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부 본체(221)는 삽입부(221a)와 너트부(221b)와 나사부(221c)와 분리공급부(221d)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분사부 본체(221)는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과 상기 중공부(214)가 각각 연통되는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제 2 유체 연통공(221f)이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21a)는 상기 걸림부(215b)를 통과하는 평면부(221a′)와,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내주연과 접하는 원호부(221a″)로 구성되는 장공형상으로 된다.
상기 너트부(221b)는 상기 삽입부(221a)의 하부에 이격형성된다. 상기 너트부(221b)는 손가락의 힘으로 회전가능하나,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패너와 같은 도구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너트부(221b)는 회전에 의해 이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분사부 본체(221)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입부(221a)가 상기 결합부(215)의 원형 수용부(215a)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나사부(221c)는 상기 너트부(221b)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221c)에는 상기 분사캡 고정부(223)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분리공급부(221d)는 상기 나사부(221c)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공급된 2유체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삽입부(221g)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삽입부(221g)는 상기 중공부(214)에 삽입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 유체 연통공(221f)은 상기 돌출삽입부(221g) 상단으로부터 상기 분사부 본체(221) 하단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14)와 연통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삽입부(221g)가 상기 중공부(214)에 삽입결합될 때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분사부(220)가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분리될 때 분리를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돌출삽입부(221g)의 중간부위에는 링홈(221i)가 형성되고 상기 링홈(221i)에는 제 2 실링(221h)이 결합된다. 상기 제 2 실링(221h)은,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된 제 2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부(214)로부터 제 2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외곽에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분사부(220)가 상기 헤드부(210)에 결합될 때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구비된 제 1 실링(217)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환형테(221j)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의 원호부(221a″)(도 9 및 도 10 참조)가 상기 걸림부(215b)에 걸려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도 9 참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의 평면부(221a′)(도 9 및 도 10 참조)가 상기 걸림부(215b)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도 9 참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상기 분사부 본체(221)는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의 원호부(221a″)가 상기 걸림부(215b)에 걸려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21a)가 상기 걸림부(215b)에 걸려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된 상태(도 11 참조)에서는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과 상기 중공부(214)는 각각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제 2 유체 연통공(221f)과 연통되어 각각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제 2 유체 연통공(221f)을 통하여 각각 공급된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는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를 통하여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분사캡(222)으로 공급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의 평면부(221a′)가 상기 걸림부(215b)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도 12 참조)에서는 제 2 유체 연통공(221f)을 통하여 제 2 유체만 공급될 수 있는 상태이고 제 1 유체는 도 11과는 다르게 제 1 유체 공급공(212a)이 상기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제 2 유체 연통공(221f)을 통하여 각각 공급된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는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를 통하여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분사캡(222)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분사캡(222)은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공급부(221d)를 수용하며 상기 분리공급부(221d)로부터 공급된 2유체를 혼합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캡 고정부(223)는 상기 나사부(221c)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분사캡(222)을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분사부(220)를 상기 헤드부(210)와 결합 또는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분리시,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삽입부(221a)가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부(210) 결합부(215)의 원형 수용부(215a)와 결합되거나 상기 헤드부(210) 결합부(215)의 원형 수용부(215a)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부(220) 전체를 상기 헤드부(210)와 결합 또는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분사부(220) 청소시에는 분사부(220) 전체를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분리된 상기 분사부(220)를 분해시켜 청소를 한다. 상기 분사부(220)의 청소가 완료되면 분사부(220)를 조립한 후에 조립된 분사부(220) 전체를 상기 헤드부(210)에 조립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사부 청소를 위하여 분사부를 분해하면서 헤드부로부터 분리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상기 분사부(220) 전체를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분리한 후에 분리된 분사부(220)를 분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사부(220)를 헤드부(210)로부터의 분리 및 상기 분사부(220)의 분해가 용이하게 되며, 분사부(220)의 분해시 분해된 부품의 분실우려가 없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사부 청소 후 분해된 분사부 부품을 조립하면서 분사부를 헤드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분해된 상기 분사부(220) 부품들을 먼저 조립하고 조립된 상기 분사부(220) 전체를 상기 헤드부(210)에 결합시킴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므로, 상기 분사부(220)의 조립 및 조립된 상기 분사부(220)를 헤드부(210)로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헤드부(210)와 분사부(220)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부위에서 제 1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실링한다. 이를 위하여,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내주연 상단에는 실링삽입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삽입홈(216)에 삽입되며,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시 압착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실링(217)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220)의 제 1 유체 공급공(212a)은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상기 실링삽입홈(216)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중공부(214)로부터 상기 분사부(220)로 공급되는 제 2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분사부(220)의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종의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유체가 역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분사부 본체(221)는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고정될 때 상기 너트부(221b)를 90도 회전시켜 결합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부(221a)의 상기 원호부(221a″) 하부에는 상기 평면부(221a′)와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시 상기 걸림부(215b)가 안착되어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90도 회전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안착홈(221k)(도 9 참조)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 본체(221)를 상기 헤드부(210)에 결합고정시킬 때에는 상기 삽입부(221a)의 평면부(221a′)를 상기 걸림부(215b) 사이를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221a)의 원호부(221a″)를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수용되도록 한 다음, 상기 너트부(221b)를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부(221a)의 원호부(221a″)가 상기 걸림부(215b)에 걸리게 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221a)의 원호부(221a″) 하부에 형성된 안착홈(221k)에 상기 걸림부(215b)가 안착되게 되어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한 90도 회전각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221k)에 상기 걸림부(215b)가 안착되도록 하는 힘은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이다.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 후 상기 너트부(221b)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분사부 본체(221)를 상기 헤드부(210)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너트부(221b)를 회전시키는 시점부터,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시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 1 실링(217)이 압착되게 된다.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이 거의 완료되기 직전에는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되게 되며,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되게 되면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분사부 본체(221)와 상기 헤드부(210)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힘 또한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이다.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은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이 거의 완료되기 직전에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실링(217)이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착홈(221k)의 높이와 상기 제 1 실링(217)이 탄성복원이 되는 높이는 서로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안착홈(221k)의 높이는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 후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이 안착될 때 상기 제 1 실링(217)이 100% 탄성복원이 되는 높이보다 작도록 하여,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이 안착될 때 상기 제 1 실링(217)이 탄성복원이 되는데, 상기 안착홈(221k)의 높이가 상기 제 1 실링(217)이 100% 탄성복원이 되는 높이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를 하부로 밀어내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되는 힘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안착홈(221k)의 높이가 상기 제 1 실링(217)이 100% 탄성복원이 되는 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를 하부로 밀어내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되는 힘을 제공하게 되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실링(217)의 압착은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외곽에서 상부로 돌출된 환형테(221j)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상기 환형테(221j)는 상기 분사부(220)가 상기 헤드부(210)에 결합될 때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구비된 상기 제 1 실링(217)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형성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하우징 110: 하우징 본체
111: 제 1 유입공간부 112: 제 2 유입공간부
113: 돌출부 114: 제 1 결합공
115: 제 2 결합공 120: 밀폐블록
210: 헤드부 211: 상부
212: 중간부 212a: 제 1 유체 공급공
213: 하부 214: 중공부
215: 결합부 215a: 원형 수용부
215b: 걸림부 216: 실링삽입홈
217: 제 1 실링 220: 분사부
221: 분사부 본체 221a: 삽입부
221b: 너트부 221c: 나사부
221d: 분리공급부 221e: 제 1 유체연통공
221f: 제 2 유체 연통공 221g: 돌출삽입부
221h: 제 2 실링 221i: 링홈
221j: 환형테 221k: 안착홈
222: 분사캡 223: 분사캡 고정부

Claims (10)

  1. 좌우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어 제 1 유체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공간부(111)이 형성되고, 외주연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13)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 상부에 제 2 유체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공간부(112)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1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돌출부(113)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를 밀폐시키는 밀폐블록(120)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
    상하로 관통된 중공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부(214)가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와 연통되어 상기 제 2 유입공간부(112)로부터 제 2 유체가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2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214) 외곽에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과 연통되는 제 1 유체 공급공(212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중간부(212) 및
    결합부(215)가 구비된 하부(2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부터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를 각각 분리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헤드부(210);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되 분리가능하며, 상기 제 1 유입공간부(111)로 유입되어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와 제 2 유입공간부(112)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되는 제 2 유체를 혼합하여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2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10)는, 외주연 상부와 하부에 상기 헤드부(210)의 상부(211) 및 중간부(212)가 각각 결합되는 제 1 결합공(114)와 제 2 결합공(115)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3)는,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외주연 상부 외곽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공(115)는 결합되는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공형상으로 되며,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는 상기 제 2 결합공(115)와 상응하는 단면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는,
    상기 헤드부(210)의 중간부(212)보다 직경이 크며, 내측에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 및 상기 중공부(214)와 연통되는 원형 수용부(215a)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하부인 상기 결합부(215)의 하단에는 상기 원형 수용부(215a)와 함께 장공형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걸림부(215b)가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220)는,
    상기 걸림부(215b)를 통과하는 평면부(221a′)와,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삽입 수용되어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내주연과 접하는 원호부(221a″)로 구성되는 장공형상으로 된 삽입부(221a)와,
    상기 삽입부(221a)의 하부에 이격형성되는 너트부(221b)와,
    상기 너트부(221b)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부(221c)와,
    상기 나사부(221c)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공급된 2유체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리공급부(221d)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2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221a)가 상기 걸림부(215b)에 걸려 상기 헤드부(210)의 결합부(215)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과 상기 중공부(214)가 각각 연통되는 제 1 유체연통공(221e)과 제 2 유체 연통공(221f)이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형성된 분사부 본체(221);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공급부(221d)를 수용하며 상기 분리공급부(221d)로부터 공급된 2유체를 혼합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캡(222);
    상기 나사부(221c)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분사캡(222)을 상기 분사부 본체(221)의 분리공급부(221d)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분사캡 고정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수용부(215a)의 내주연 상단에는 실링삽입홈(216)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삽입홈(216)에 삽입되며,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시 압착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공급되는 제 1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실링(217)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2 유체 연통공(221f)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중공부(214)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삽입결합되는 돌출삽입부(221g)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삽입부(221g)는, 중간부위에 링홈(221i)가 형성되고, 상기 링홈(221i)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214)로 공급된 제 2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상기 제 1 유체 공급공(212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 2 실링(221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21a)의 상부 외곽에는 상기 분사부(220)가 상기 헤드부(210)에 결합될 때 상기 헤드부(210)의 상기 원형 수용부(215a)에 구비된 상기 제 1 실링(217)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환형테(221j)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221a″)의 하부에는 상기 평면부(221a′)와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시 상기 걸림부(215b)가 안착되어 상기 분사부 본체(221)가 90도 회전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안착홈(221k)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21k)의 높이는 상기 원형 수용부(215a)로의 상기 삽입부(221a) 결합 후 상기 너트부(221b)의 90도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이 안착될 때 상기 제 1 실링(217)이 100% 탄성복원이 되는 높이보다 작도록 하여, 상상기 제 1 실링(2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215b)가 상기 안착홈(221k)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KR20140161479A 2014-11-19 2014-11-19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KR10150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479A KR101502983B1 (ko) 2014-11-19 2014-11-19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JP2015079702A JP6040498B2 (ja) 2014-11-19 2015-04-09 2流体噴射用噴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1479A KR101502983B1 (ko) 2014-11-19 2014-11-19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983B1 true KR101502983B1 (ko) 2015-03-16

Family

ID=5302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1479A KR101502983B1 (ko) 2014-11-19 2014-11-19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40498B2 (ko)
KR (1) KR101502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684B1 (ko) * 2020-01-08 2020-11-11 이지민 2유체 노즐 및 이를 구비한 노즐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494A (ja) * 1994-10-07 1997-04-08 Spraying Syst Co 内部混合気の霧化噴霧用ノズル
KR101389733B1 (ko) 2013-10-01 2014-04-28 훈 최 분사노즐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387A (en) * 1997-09-19 1999-05-04 Spraying Systems Co. Air assisted spray system
US6161778A (en) * 1999-06-11 2000-12-19 Spraying Systems Co. Air atomizing nozzle assembly with improved air cap
JP2003220354A (ja) * 2002-01-31 2003-08-05 Kyoritsu Gokin Co Ltd 噴霧ノズル
DE60332935D1 (de) * 2002-05-07 2010-07-22 Spraying Systems Co Sprühdüsenanordnung mit interner mischluftzerstäubung
JP2004216320A (ja) * 2003-01-16 2004-08-05 Kyoritsu Gokin Co Ltd 噴霧ノズル
CN100571890C (zh) * 2004-08-23 2009-12-23 喷洒系统公司 改进的内混合空气雾化喷嘴装置
KR100855309B1 (ko) * 2007-03-27 2008-09-04 한상철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KR101122289B1 (ko) * 2010-05-28 2012-03-21 스프레이시스템캄파니코리아 유한회사 내부 혼합식 분무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494A (ja) * 1994-10-07 1997-04-08 Spraying Syst Co 内部混合気の霧化噴霧用ノズル
KR101389733B1 (ko) 2013-10-01 2014-04-28 훈 최 분사노즐용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2유체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684B1 (ko) * 2020-01-08 2020-11-11 이지민 2유체 노즐 및 이를 구비한 노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7401A (ja) 2016-05-30
JP6040498B2 (ja)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11028A (ja) 逆止弁付ウォッシャノズル及び逆止弁付ホースジョイント
US6951389B2 (en) Ink cartridge
JP2019196229A (ja) シール剤ディスペンサ
KR101502983B1 (ko) 2유체 분사용 분사장치
CN107051794B (zh) 流体微量喷射装置及其流道组件
CN102514379A (zh) 喷墨打印机喷头的清洗方法及装置
KR102269324B1 (ko) 유체 미량 분사 장치 및 그 유로 어셈블리
CN114054225B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KR101597410B1 (ko) 효율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한 디스펜서
KR200357709Y1 (ko) 샤워기 헤드
CN114054227B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CN114054228B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JP2002143797A (ja) ディスペンサー洗浄用アダプター
JP6343919B2 (ja) シャワーヘッド
CN213996327U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WO2015170366A1 (ja) ミストシャワーヘッド
CN213255163U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CN114054224B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CN114054232B (zh) 空化件、喷淋装置和洗涤系统
KR101071587B1 (ko) 공조설비용 스프레이 노즐
CN114054226A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KR101535623B1 (ko) 워터제트직기용 분사노즐 장치
CN114054229A (zh) 喷淋装置和洗涤系统
KR101550428B1 (ko) 액체 분사장치
JP6257038B2 (ja) 塗装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