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798B1 -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798B1
KR101502798B1 KR1020130074381A KR20130074381A KR101502798B1 KR 101502798 B1 KR101502798 B1 KR 101502798B1 KR 1020130074381 A KR1020130074381 A KR 1020130074381A KR 20130074381 A KR20130074381 A KR 20130074381A KR 101502798 B1 KR101502798 B1 KR 10150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anol
methanol extract
rhu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334A (ko
Inventor
송민동
윤여찬
김재광
염문정
윤찬진
유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드원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드원,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드원
Priority to KR102013007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7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 성상세포 생장 억제 효능.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mRNA 발현량 감소 효능,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단백질 발현량 감소 효능이 우수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붉나무로부터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B) 분쇄한 붉나무 조각을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용매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분쇄한 붉나무 조각과 극성용매와의 혼합물로부터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Hepatic Fibrosis Cure Composition containing Methanol Extracts from Rhus Chinensi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 성상세포 생장 억제 효능.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mRNA 발현량 감소 효능,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단백질 발현량 감소 효능이 우수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 섬유화는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과다한 침착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간 성상세포는 세포 외 기질을 생산하는 주요 생산 원천으로 활성화되면 근섬유모세포 유사 형태로 변화하며, 세포 증식의 증가, 교원질(Collagen Type I and III)을 포함한 각종 세포 외 기질의 생성 증가, α-SMA의 발현 증가, 세포 수축성의 증가 등을 야기한다.
이처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간 성상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간 섬유화를 예방하거나 치료함으로써 유의미한 의학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종래 간 섬유화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상당수 연구들이 있어 왔는데,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448552호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조성물'은, 자연산 산삼의 뿌리를 이용하여 수득한 산삼 배양근의 추출물이 간 섬유화 치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이를 간 섬유화 치료용 조성물로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붉나무 추출물의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에 주목하여 이를 약제학적 조성물 등에 접목하는 시도는 연구된바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 또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화된 조성물, 생약제제, 건강보조식품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붉나무 메탄올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메탄올 용매는 메탄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을 1 내지 20 중량부 혼합한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에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식용음료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하여 제형화된 조성물,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약제제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A) 붉나무로부터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B) 분쇄한 붉나무 조각을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용매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분쇄한 붉나무 조각과 극성용매와의 혼합물로부터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A1)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여 채취한 붉나무 조각을 15 ℃ 내지 20 ℃의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3일 내지 5일간 건조하는 단계; 및 (A2) 건조한 붉나무 조각을 입도가 0.1 mm 내지 5 mm를 갖도록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B) 단계의 극성용매는 메탄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을 1 내지 20 중량부 혼합한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C) 단계는, (C1) 추출 온도를 40 ℃ 내지 60 ℃로 유지하면서 1일 내지 5일 동안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C2) 추출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40 ℃ 내지 60 ℃에서 진공 농축하고 -60 ℃ 내지 -80 ℃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및 (C3) 동결 건조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용기에 주입한 후 -1 ℃ 내지 -10 ℃에서 저온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진공 농축 및 동결 건조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에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식용음료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하여 제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 또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화된 조성물, 생약제제, 건강보조식품 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 확인 결과.
도 2는 간 성상세포 분리 및 배양 결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간 성상세포 생장 억제 결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mRNA 발현량 확인 결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단백질 발현량 확인 결과.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붉나무(Rhus chinensis)는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에 분포하는 옻나무과의 관목으로서 다른 옻나무와는 달리 독성이 없으며 굵은 가지가 드물게 자라고 작은 가지에는 갈색 털들이 분포한다.
본 발명자들은 메탄올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붉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 인체를 포함하는 생체 내에서 우수한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간 성상세포 생장 억제 효능.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mRNA 발현량 감소 효능,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단백질 발현량 감소 효능 확인 등의 실험을 거친 끝에 우수한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에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또는 식용음료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하여 제형화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제제, 건강보조식품 또는 음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 추출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붉나무로부터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여 건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붉나무의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등 부위에서 무작위적으로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되 10 그루 이상의 붉나무로부터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였으며 반복 실험을 위해 충분한 붉나무 조각을 확보하였다.
그 다음, 채취한 붉나무 조각을 15 ℃ 내지 20 ℃의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3일 내지 5일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건조한 붉나무 조각을 분쇄하였다.
건조한 붉나무 조각은 고른 입자를 가지도록 분쇄되었으며 입도가 0.1 mm 내지 5 mm 사이에 분포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분쇄된 붉나무를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용매와 혼합하였다.
이때 혼합하는 극성용매는 100% 메탄올이거나, 메탄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을 1 내지 20 중량부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또한 혼합하는 극성용매의 중량은 분쇄된 붉나무 중량의 3배 내지 5배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분쇄한 붉나무 100g에 대하여 메탄올 99.9%, 물 0.1%로 이루어진 혼합 극성용매를 400g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붉나무 혼합물로부터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 및 동결 건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때,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 추출법, 온침 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고, 추출 온도를 40 ℃ 내지 60 ℃로 유지하면서 1일 내지 5일 동안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추출 온도를 45 ℃로 유지하며 3일간 추출하였는데, 특히 15분간 초음파 처리(Sonication) 후 2시간 정치시키는 과정을 1일에 10회 반복하면서 초음파추출기(Sonicator)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여과 과정은 여과 필터로서 무형광 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여과 처리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침전물이 발생하므로 바로 진공 농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농축은 40 ℃ 내지 60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결 건조를 통해 분말 형태의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평균 수득률은 10%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농축은 45 ℃에서 수행하였고, 감압 농축기(Rotary Evaporator, N-1000 SWD, EYELA)를 사용하였다.
동결 건조에는 Biotron Corporation의 Modul Spin 40을 사용하였으며 20시간 내지 30시간, 특히 24시간 동안 -60 ℃ 내지 -80 ℃의 온도를 가하였다.
그리고 실험 시료 등으로서의 사용을 위해 수득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튜브에 넣고 -1 ℃ 내지 -10 ℃의 온도에서 저온 보관하였으며, 용량이 20 mg ± 0.5 mg인 튜브를 15개 이상 확보하여 그 중에서 실험 대상 시료를 무작위로 추출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평균값을 실험 결과로서 채택하였다.
실험에 있어서는 간 성상세포를 실험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간 성상세포는 간에서 분리된 뒤 배양 접시에서 별다른 처치 없이 자연적으로 활성화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체외 실험에서 각종 약제의 항 섬유 효과와 섬유화 기전의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실험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간 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 확인, 간 성상세포 분리 및 배양,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간 성상세포 생장 억제 확인, RT-PCR을 이용한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mRNA 발현량 확인, Western blot를 이용한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단백질 발현량 확인 등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MTT Assay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정상 간세포에서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세포 독성 확인 결과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24 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이다.
다음으로, 간 성상세포를 분리한 다음 8일이 경과 후 활성화된 사실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의 A 내지 E는 각각 간 성상세포를 분리한 이후 1일, 2일, 4일, 6일, 8일 경과 후의 사진이며, 8일이 소요된 때 간 성상세포가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이 간 성상세포의 생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는데, 도 3을 참조하면,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에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면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의 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간 성상세포는 500 μg/ml의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에 24시간 동안 노출되었으며, 100배의 배율에 의한 현미경 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의 수가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인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GF를 제외한 COL1A2, TGF-β 및 α-SMA mRNA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에서, 활성화된 간 성상세포에 대해 24 시간 동안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이 처리되었으며 발현량은 RT-PCR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 성상세포 관련 인자 COL1A2 및 Smad의 단백질 발현량이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서, 24 시간 동안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이 처리되었으며 COL1A2 및 Smad의 단백질 발현량은 western blot assay에 의하여 측정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붉나무 메탄올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용매는 메탄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을 1 내지 20 중량부 혼합한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또는 시럽제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하여 제형화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약제제.
  5.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붉나무로부터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
    (B) 분쇄한 붉나무 조각을 메탄올을 포함하는 극성용매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분쇄한 붉나무 조각과 극성용매와의 혼합물로부터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추출한 후 여과하고 진공 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붉나무 조각을 채취하여 채취한 붉나무 조각을 15 ℃ 내지 20 ℃의 온도 조건을 유지하면서 3일 내지 5일간 건조하는 단계; 및
    (A2) 건조한 붉나무 조각을 입도가 0.1 mm 내지 5 mm를 갖도록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극성용매는 메탄올 100 중량부에 대해 물 1 내지 20 중량부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을 1 내지 20 중량부 혼합한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추출 온도를 40 ℃ 내지 60 ℃로 유지하면서 1일 내지 5일 동안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C2) 추출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40 ℃ 내지 60 ℃에서 진공 농축하고 -60 ℃ 내지 -80 ℃에서 동결 건조하는 단계; 및
    (C3) 동결 건조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용기에 주입한 후 -1 ℃ 내지 -10 ℃에서 저온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조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진공 농축 및 동결 건조한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에 정제, 캅셀제, 용액제, 현탁제 또는 시럽제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가하여 제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제조 방법.
  10. 붉나무 메탄올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섬유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30074381A 2013-06-27 2013-06-27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81A KR101502798B1 (ko) 2013-06-27 2013-06-27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81A KR101502798B1 (ko) 2013-06-27 2013-06-27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34A KR20150001334A (ko) 2015-01-06
KR101502798B1 true KR101502798B1 (ko) 2015-03-18

Family

ID=5247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381A KR101502798B1 (ko) 2013-06-27 2013-06-27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627B1 (ko) 2016-11-16 2021-0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09200071A (zh) * 2018-10-09 2019-01-15 昆明理工大学 盐肤木果实或其提取物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415A (ko) * 2011-04-29 2012-11-0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415A (ko) * 2011-04-29 2012-11-0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34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7446B1 (en) Method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and pluripotent stem cells prepared by said method
JP2009514960A (ja) ハーブエキス末およびその調製および使用法
US1032811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ng bone tissue forma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0854685B1 (ko)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홍삼 농축액
JP2008100999A (ja) ジンセノサイド成分含量の多い人参果実と人参花柄の製造方法
KR101502798B1 (ko) 붉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치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50231A (ja) 鎮咳組成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2249707B1 (ko) 초고압 처리를 이용한 인삼열매의 가공방법
KR101414741B1 (ko) 녹차 열매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녹차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03136B1 (ko) 홍삼환의 제조 방법
KR101765455B1 (ko) 고 함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 스프레이 제제의 제조방법
CN107488158B (zh) 一种从莲蓬壳中同时提取多糖和原花青素的方法
KR1008521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27035B1 (ko) 버섯을 이용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071018A (zh) 一种具有抗肿瘤作用的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3181553A (zh) 猪胎素的生产方法
KR20100043723A (ko) 원적외선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CN105309901A (zh) 含高浓度蒜氨酸的大蒜粉末及其制造方法
CN109602759A (zh) 罗汉松实多糖的用途
CA3003967A1 (en) Dual-extraction method for inonotus obliquus
JP2019052109A (ja) 筋形成促進用組成物
KR100972941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605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20248964A1 (zh) 盐肤木果实在制备治疗或预防肝纤维化的药物中的应用
TW201729825A (zh) 含有人參花軸萃取物之促進毛髮生長或預防脫髮的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