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769B1 -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 Google Patents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769B1
KR101502769B1 KR20130158912A KR20130158912A KR101502769B1 KR 101502769 B1 KR101502769 B1 KR 101502769B1 KR 20130158912 A KR20130158912 A KR 20130158912A KR 20130158912 A KR20130158912 A KR 20130158912A KR 101502769 B1 KR101502769 B1 KR 10150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locking wall
guide vanes
wall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5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는 절단영역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분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절단영역과 그 인접영역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차단벽; 차단벽 내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차단벽 내면 쪽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급수장치; 차단벽 하측에 설치되는 담수조; 및 차단벽 하부에 설치되며 차단벽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모아 담수조로 보내는 집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BARRIER FACILITY OF CONTINUOUS CASTING PLANT}
본 발명은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에 관한 것으로, 절단영역에서 생기는 열기와 분진이 인접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일정한 형상의 주형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주형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라브(slab), 블룸(bloom), 빌렛(billet)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주편을 성형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편은 절단영역에서 적정길이로 절단된 후 정정영역으로 이송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장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주조공장은 주조설비들이 설치된 주조영역(A)과, 주조영역(A)에서 성형된 주편을 적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영역(B)과, 절단된 주편의 결함검사 및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정정영역(C)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조영역(A)에는 래들(10)로부터 정련된 용강(molten steel)을 공급받는 턴디쉬(11, tundish)와, 턴디쉬(11)에 일시 저장된 용강을 전달받아 일정한 형상으로 초기 응고시키는 주형(12, mold)과, 미응고 상태로 주형(12)으로부터 배출되는 주편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는 가운데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의 안내롤, 핀치롤, 이송롤러를 갖춘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들이 설치된 냉각라인(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영역(B)에는 제품의 이송을 위한 이송라인(15)과, 연속하여 제조되는 주편(16)을 적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주조공장은 도 1의 예처럼 설비의 특성상 주조영역(A)의 건물 높이가 가장 높고, 연이어 배치되는 절단영역(B)과 정정영역(C)의 건물 높이가 차츰 낮아지는 형태다.
한편, 절단영역(B)의 절단장치(30)는 산소절단방식으로 주편을 절단하는데, 이처럼 주편(20)을 절단할 때는 강중의 Fe가 연소되면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FeO, Fe2O3, Fe3O4)과 같은 분진(Fume)이 발생한다. 또 절단영역(B)에서는 대략 700 ~ 800℃ 정도되는 고온의 주편(20)이 노출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주편(20)의 복사열로 인하여 주위의 공기가 가열되면서 열상승기류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러한 연속주조공장은 주조영역(A)과 절단영역(B)이 연속하여 배치된 관계로 절단영역(B)에서 생긴 미세 분진이 열상승기류와 함께 절단영역(B) 상부를 거쳐 주조영역(A)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각종 주조설비가 분진에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고, 주조영역(A)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절단영역(B)으로부터 주조영역(A)으로 이동하는 열기는 각종 설비들을 열화시키고, 작업장 전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63928호(2005. 06. 29.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절단영역에서 생기는 열기와 분진이 인접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절단영역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분진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단영역과 그 인접영역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차단벽; 상기 차단벽 내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차단벽 내면 쪽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급수장치; 상기 차단벽 하측에 설치되는 담수조; 및 상기 차단벽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모아 상기 담수조로 보내는 집수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차단벽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벽 내면 쪽으로 물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물분산부재와, 상기 담수조의 물을 상기 물분산부재 쪽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의 물을 상기 물분산부재로 안내하는 급수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산부재는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차단벽 내면 쪽에 상대적으로 낮은 물막이턱을 구비하여 상기 물수용공간의 물이 물막이턱을 넘어 상기 차단벽 내면 쪽으로 분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설비는 상기 물분산부재로부터 상기 절단영역 상부공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며 상승하는 열기와 분진을 상기 차단벽 내면 쪽으로 유도하는 캐노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장치는 상기 차단벽 하부에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물을 상기 담수조로 안내하는 집수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설비는 상기 차단벽의 내면에 설치되며, 흘러 내리는 물이 연쇄적으로 다단의 폭포수를 형성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는 낙수안내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수안내패널은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차단벽의 내면에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고 상호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1낙수안내날개;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각 제1낙수안내날개의 외측에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와 역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그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낙수안내날개의 상부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낙수안내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수안내패널은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차단벽의 내면에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고 상호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1낙수안내날개;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각 제1낙수안내날개의 외측에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로부터 넘쳐 낙하하는 물을 그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낙수안내날개의 상부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낙수안내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는 차단벽이 절단영역과 그 인접영역의 경계부를 구획하기 때문에 절단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상승기류와 분진이 인접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주조설비가 분진에 오염되거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주조영역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는 차단벽에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단벽이 열상승기류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수막이 열상승기류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절단영역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는 낙수안내패널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이 다단의 폭포수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상승기류와 함께 상승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절단영역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는 차단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낙수안내패널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에 흘러 내리는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장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벽설비가 연속주조공장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 차단벽설비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 차단벽설비의 낙수안내패널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공장 차단벽설비의 낙수안내패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벽설비가 연속주조공장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이러한 차단벽설비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벽설비(100)는 연속주조공장의 절단영역(B)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분진이 주조영역(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절단영역(B)과 주조영역(A) 사이의 경계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부호 15는 주조영역(A)으로부터 제조된 주편(20)을 절단영역(B)으로 이송하는 이송라인, 부호 30은 주편(20)을 절단하는 절단장치(30)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단벽설비(100)가 절단영역(B)과 주조영역(A)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차단벽설비(B)는 절단영역(B)과 정정영역(C)의 경계부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차단벽설비(100)는 분진과 열기의 차단이 필요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벽설비(1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영역(B)과 주조영역(A)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차단벽(110)과, 차단벽(110)의 내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차단벽(110) 내면 쪽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급수장치(120)와, 차단벽(110) 하측에 설치되는 담수조(130)와, 차단벽(110) 하부에 설치되어 차단벽(110)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물을 모아 담수조(130)로 보내기 위한 집수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벽(110)은 강판 등에 의하여 절단영역(B)의 상부공간과 주조영역(A)의 경계부를 구획하는 패널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차단벽(110)은 주조영역(A)으로부터 절단영역(B)으로 주편(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그 하부영역을 제외하고, 절단영역(B)과 주조영역(A) 사이 경계부를 구획하여 차폐시키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120)는 차단벽(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차단벽(110) 내면 전역으로 물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물분산부재(121), 담수조(130)의 물을 물분산부재(121) 쪽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22), 급수펌프(122)로부터 물분산부재(121) 쪽으로 연장되어 급수를 안내하는 급수배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110)의 내면이란 절단영역 쪽에 위치하는 차단벽(110)의 측면을 의미한다.
급수펌프(122)는 도 4의 예처럼 담수조(130) 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로 구성될 수 있고, 급수배관(123)은 이러한 급수펌프(1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물분산부재(121)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분산부재(121)는 차단벽(110)의 가로폭과 대응하도록 차단벽(1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공간(121a)을 구비한다. 물분산부재(1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제1물막이턱(121b)과, 차단벽(110)에 근접한 위치에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제2물막이턱(121c)을 구비하며, 물수용공간(121a)은 이들 두 물막이턱(121b,121c)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펌프(122)의 동작에 의해 물수용공간(121a)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물막이턱(121c)을 넘어 차단벽(110) 내면 쪽으로 분산 공급될 수 있다.
물분산부재(121)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절단영역 상부공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는 캐노피(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캐노피(150)는 절단영역(B)으로부터 상승하는 열상승기류와 분진을 차단벽(110)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캐노피(110)에 의해 안내된 열기가 차단벽(110) 내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접하여 냉각되고, 분진도 역시 수막과 접하여 포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담수조(1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편(20)이 이동하는 경로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담수조(130)에는 냉각수의 보충이 필요할 때 물을 보충할 수 있는 별도의 급수시설과, 필요 시 담수조(130)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기 위한 여과설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집수장치(140)는 차단벽(110)의 하부에 차단벽(1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집수통(141)과, 이 집수통(141)에 집수된 물을 담수조(130)로 안내하는 집수배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배관(142)은 도 3의 예처럼 집수통(141)의 양단 쪽으로부터 각각 하측의 담수조(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집수장치(140)는 차단벽(110)으로부터 흘러내려 집수통(141)에 고인 물이 집수배관(142)을 통해 담수조(130)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단벽설비(100)는 차단벽(110)을 따라 흘러 내리는 물이 연쇄적으로 다단의 폭포수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흘러 내리는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벽(110)의 내면에 설치된 낙수안내패널(160)을 구비한다.
낙수안내패널(1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벽(110)의 가로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의 제1낙수안내날개(161)와 다수의 제2낙수안내날개(162)를 포함한다.
다수의 제1낙수안내날개(161)는 차단벽(110)의 내면에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고, 상호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제2낙수안내날개(162)는 각 제1낙수안내날개(161)의 외측에 제1낙수안내날개(161)와 역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제1낙수안내날개(161)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그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낙수안내날개(161)의 상부영역으로 안내한다.
즉 낙수안내패널(1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낙수안내날개(161) 상면을 거쳐 흘러 내리는 물이 제2낙수안내날개(162)의 안내에 의해 다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1낙수안내날개(161)의 상면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차단벽(110) 내면을 흐르는 물이 집수통(141)에 이르기까지 다단의 폭포수를 형성하면서 지그재그형 유체흐름을 이루도록 한다. 또 다수의 제2낙수안내날개(162)가 제1낙수안내날개(161)의 외측을 커버하므로 흘러 내리는 물이 낙수안내패널(160)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낙수안내패널(160)은 물이 흘러 내리는 과정에서 작은 폭포수를 이루며 많은 물거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레나드 효과(Lenard Effect)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면서 미세한 분진의 포집효과를 높여준다. 또 흘러내리는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하면서 열상승기류와의 열교환효과도 높여준다.
도 6은 낙수안내패널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낙수안내패널(170)은 역시 차단벽(1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의 제1낙수안내날개(171)와 다수의 제2낙수안내날개(172)를 구비한다.
도 6의 예에서 제1낙수안내날개(171)는 차단벽(110)의 내면에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고 상호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낙수안내날개(172)는 각 제1낙수안내날개(171)의 외측에 제1낙수안내날개(171)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낙수안내날개(171)로부터 넘쳐 낙하하는 물을 그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낙수안내날개(171)의 상부영역으로 안내한다. 즉 이러한 방식도 제1낙수안내날개(171)에 의해 다단의 폭포수가 형성되도록 하고, 제2낙수안내날개(172)가 제1낙수안내날개(171)의 외측을 커버함으로써 흘러 내리는 물이 낙수안내패널(170)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은 이러한 차단벽설비(100)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단벽설비(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벽(110)이 절단영역(B)과 주조영역(A) 경계부의 상부공간을 구획하기 때문에 절단영역(B)에서 발생하는 열상승기류와 분진이 주조영역(A)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주조설비가 분진에 오염되거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주조영역(A)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차단벽설비(100)는 급수펌프(122)의 동작에 의해 담수조(130)의 물이 급수배관(123)을 통하여 급수안내부재(121)로 공급된다. 그리고 급수안내부재(121)로 공급된 물은 급수안내부재(121)에 의해 차단벽(110) 내면 쪽으로 분산되어 공급됨으로써 낙수안내패널(160,170)을 따라 흘러 내린다. 또 차단벽(110) 하부로 흘러내린 물은 집수통(141)에서 집수된 후 담수조(130)로 흐르고, 담수조(130)의 물이 다시 차단벽(110) 상부의 급수안내부재(121)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따라서 차단벽설비(100)는 차단벽(110)에 수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단벽(110)이 열상승기류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막이 열상승기류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절단영역(B)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절단영역(B)의 열상승기류는 캐노피(150)에 의해 차단벽(110) 쪽으로 유도됨으로써 차단벽(110) 내면을 따라 흘러 내리는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 차단벽설비(100)는 차단벽(110) 내면 쪽에서 다단의 폭포수를 이루며 흘러 내리는 물이 열상승기류와 함께 상승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때문에 절단영역(B)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즉 주편(20)의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차단벽설비(100)가 포집하기 때문에 절단영역(B)의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다. 이때는 낙수안내패널(160,170)을 통하여 다단의 폭포수를 이루며 흘러 내리는 물이 많은 물거품을 일으키며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승하는 열기에 포함된 미세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차단벽(110) 쪽에서 포집된 분진은 물과 함께 담수조(130)로 흘러 내리고, 담수조(130)에서는 여과설비(미도시)에 의해 이러한 분진이 제거될 수 있다.
20: 주편, 30: 절단장치,
100: 차단벽설비, 110: 차단벽,
120: 급수장치, 121: 물분산부재,
122: 급수펌프, 123: 급수배관,
130: 담수조, 140: 집수장치,
141: 집수통, 142: 집수배관,
150: 캐노피, 160,170: 낙수안내패널,
161,171: 제1낙수안내날개, 162,172: 제2낙수안내날개.

Claims (8)

  1. 절단영역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분진을 차단하기 위한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에 있어서,
    상기 절단영역과 그 인접영역의 경계부에 설치되며, 주편이 이동하는 하부영역을 제외한 상기 경계부 상부를 구획하여 차폐하는 차단벽;
    상기 차단벽 내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차단벽 내면 쪽에 수막을 형성시키는 급수장치;
    상기 차단벽 하측에 설치되는 담수조;
    상기 차단벽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벽으로부터 흘러 내린 물을 모아 상기 담수조로 보내는 집수장치; 및
    상기 절단영역 상부공간 일부를 덮으며, 상기 절단영역에서 상승하는 열기와 분진을 상기 차단벽 내면 쪽으로 유도하는 캐노피;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차단벽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벽 내면 쪽으로 물을 분산시켜 공급하는 물분산부재와,
    상기 담수조의 물을 상기 물분산부재 쪽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의 물을 상기 물분산부재로 안내하는 급수배관을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산부재는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차단벽 내면 쪽에 상대적으로 낮은 물막이턱을 구비하여 상기 물수용공간의 물이 물막이턱을 넘어 상기 차단벽 내면 쪽으로 분산 공급될 수 있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상기 물분산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장치는
    상기 차단벽 하부에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물을 상기 담수조로 안내하는 집수배관을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내면에 설치되며, 흘러 내리는 물이 연쇄적으로 다단의 폭포수를 형성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는 낙수안내패널을 더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안내패널은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차단벽의 내면에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고 상호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1낙수안내날개;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각 제1낙수안내날개의 외측에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와 역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그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낙수안내날개의 상부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낙수안내날개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안내패널은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차단벽의 내면에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되고 상호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1낙수안내날개;
    상기 차단벽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각 제1낙수안내날개의 외측에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낙수안내날개로부터 넘쳐 낙하하는 물을 그 하부에 배치된 다른 제1낙수안내날개의 상부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낙수안내날개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KR20130158912A 2013-12-19 2013-12-19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KR101502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8912A KR101502769B1 (ko) 2013-12-19 2013-12-19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8912A KR101502769B1 (ko) 2013-12-19 2013-12-19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769B1 true KR101502769B1 (ko) 2015-03-16

Family

ID=5302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8912A KR101502769B1 (ko) 2013-12-19 2013-12-19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410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범 이송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부품에 대한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4642A1 (en) 2002-04-04 2003-10-16 Kabushiki Kaisha Yms Dust collector
KR100868622B1 (ko) 2007-08-17 2008-11-13 이재혁 비산먼지 제거장치
KR20130015281A (ko) * 2011-08-03 2013-02-14 조설자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20130131891A (ko) * 2012-05-25 2013-12-0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4642A1 (en) 2002-04-04 2003-10-16 Kabushiki Kaisha Yms Dust collector
KR100868622B1 (ko) 2007-08-17 2008-11-13 이재혁 비산먼지 제거장치
KR20130015281A (ko) * 2011-08-03 2013-02-14 조설자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20130131891A (ko) * 2012-05-25 2013-12-0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410A (ko) * 2021-08-05 2023-02-14 (주)세범 이송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부품에 대한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2618710B1 (ko) * 2021-08-05 2023-12-28 (주)세범 이송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부품에 대한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90467B (zh) 一种冶炼接水滤渣槽
JP5074543B2 (ja)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装置
KR101502769B1 (ko)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KR101842168B1 (ko) 용융 아연 도금 라인용 드로스 제거장치
US20170198367A1 (en) Quen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lic material
WO2010058172A1 (en) Metal melting apparatus
EP3469263B1 (en) Conditioning plan for exhaust fumes
CN215947371U (zh) 一种粗铅火法精炼装置
US820142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KR101382923B1 (ko) 가열로 추출구의 스케일 제거장치
CA31942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and preheating a metal charge in a melting furnace
TWI391337B (zh) 浮法玻璃之製造裝置
KR20230032143A (ko)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JP2013056362A (ja) 連続鋳造機の集塵装置及び方法
JP5849989B2 (ja) ドロス除去装置
CN113787458B (zh) 一种气吹式除鳞箱装置
CN202934219U (zh) 等离子切割平台
KR20160079613A (ko) 도금포트의 상부 드로스 제거장치
UA77698C2 (en) Method and device for draining waste water from inner bend of strand guide of beam blank casting machine
CN111356788A (zh) 用于收集和去除铝还原槽中的气体的装置
Berlioux et al. New casthouse smelter layout for the production of small non-alloyed ingots: Three furnaces/two lines
JP5824838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製造装置
JP5447562B2 (ja) エルボセパレータ
KR20120091747A (ko)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CN209945045U (zh) 一种矿热炉烟气及冷却烟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