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281A - 습식 공기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공기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281A
KR20130015281A KR1020110077164A KR20110077164A KR20130015281A KR 20130015281 A KR20130015281 A KR 20130015281A KR 1020110077164 A KR1020110077164 A KR 1020110077164A KR 20110077164 A KR20110077164 A KR 20110077164A KR 20130015281 A KR20130015281 A KR 2013001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filter
ai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217B1 (ko
Inventor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Original Assignee
조설자
정보미
정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설자, 정보미, 정영민 filed Critical 조설자
Priority to KR102011007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2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24F2006/14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using pressurised water for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측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부에 형성된 워터프레임 및 상기 워터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조밀하게 권취된 스트링으로 구성된 워터필터를 본체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여서 1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워터필터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의 사이마다 급수배관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급수배관부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인접한 스트링에 물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링을 타고 흐르는 물의 속도를 완화시킴과 동시에 스트링에 흐르는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정화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는, 워터필터를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1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워터필터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의 사이마다 급수배관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급수배관부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인접한 스트링에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 이상의 워터필터를 본체 바닥면에 대해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단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물의 낙하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 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습식 공기정화 장치{Wet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습식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 측면에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부에 형성된 워터프레임 및 상기 워터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조밀하게 권취된 스트링으로 구성된 워터필터를 본체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여서 1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워터필터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의 사이마다 급수배관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급수배관부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인접한 스트링에 물을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워터프레임의 경사진 형태를 통해 스트링을 타고 흐르는 물의 속도를 완화시킴과 동시에 스트링에 흐르는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정화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정화장치는 먼지와 같은 공기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필터식 혹은 전기집진식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필터식의 경우,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 등을 빨아들여 이를 여과하는 방식이나, 먼지가 퇴적됨에 따라 공기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화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기집진식의 경우,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전리된 공간을 통과시키면서 집진부의 전극에 부착시키는 방식이나, 이 또한 전극에 여과물질이 쌓이면서 정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축적된 여과물질에 의해 흡착력이 감소됨으로 인해 먼지가 다시 공기 중에 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물을 이용한 정화방식이 개발되었는데, 국내공개특허 2004-78740호(공개일자: 2004.9.13.)의 경우, 워터필터를 형성하는 물기둥이 스프링과 같은 출수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여 공기를 정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스프링을 통과한 공기로 인해 물이 비산되어 제2필터에 영향을 줌으로 인해 정화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출수가이드의 단면만 나타나 있을 뿐, 폭 방향에 대한 상기 출수가이드의 구조가 명확하지 않음으로 인해 물의 응집력에 의한 공기정화 효과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국내등록특허 10-1010559호(등록일자: 2011.1.18.)의 경우,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워터필터(40)의 전면 상측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급수배관부(60), 워터필터 내부 및 워터필터와 차단막필터 사이 상부에 형성된 급수배관부(60)에 구비된 분사노즐(61)을 통해 물을 스트링(41)에 분사함으로써 수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하나의 워터필터에 대한 분사방식만으로는 수막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공기정화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상기 워터필터가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됨에 의해 물의 낙하속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2004-0078740 A (2004.9.13.) KR 10-1010559 B1 (2011.1.18.)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워터필터를 본체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여서 1개 이상 형성함으로써,스트링을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에 의해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정화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는, 수조(100) 위에 설치된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물을 흘러내리기 위한 워터필터(400)와, 상기 워터필터(400)를 거쳐 통과되는 공기에 의해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워터필터(400)의 후방에 설치된 차단막필터(900)와, 상기 워터필터(400)를 통해 공기를 정화시킨 물이 하부 수조(100)로 회수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230)와,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흡입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등(800)과, 상기 수조(100)의 물을 유입하여 상기 본체의 워터필터(4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조(1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된 순환펌프(500)와, 상기 순환펌프(500)에 의해 유입된 물을 상기 워터필터(400)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부(600)와, 상기 워터필터(400)의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워터프레임(300, 350) 및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워터프레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형성된 스트링(410)으로 이루어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터필터(400)는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1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워터필터(400)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400)의 사이마다 급수배관부(600)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급수배관부(600)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610)을 설치하여 인접한 스트링(410)에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는, 상기 워터필터(400)의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중공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에 인접하며 또한 옆면의 스트링과 접촉되는 물흐름가이드부(31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급수배관부(600)를 통해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에 공급된 물이 상기 관통된 구멍을 통해 흘러나온 후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를 통해 옆면에 접촉된 스트링(410)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는,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의 폭이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원형단면의 외부직경과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길이는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길이와 같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는,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의 경우 상기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인접한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수로홈(31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 이상의 워터필터를 본체 바닥면에 대해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단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물의 낙하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 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면에 관통구멍을 갖는 중공의 상부 워터프레임의 하부에 인접한 물흐름가이드부를 통해 스트링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수막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워터필터 주위에 급수배관부를 다수 구비하고 분사노즐을 통해 공기정화를 구현하는 종래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공기정화장치의 본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워터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멍 및 물흐름가이드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
도7은 물흐름가이드부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홈을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 위에 설치된 본체(200)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조(100)는 칸막이(120)에 의해 배관부(130)와 물저장부(140)로 나뉘게 되는데, 상기 배관부(130)에는 각종 배관선들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물저장부(140)에는 상부에 위치한 본체(20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게 된다.
상기 물저장부(140)의 상부 일측에는 정수필터(110)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정수필터(110)는 상부에 위치한 본체(200)의 워터필터(400)를 통해 공기정화에 사용된 물이 본체 하부에 위치한 배수구(230)를 통해 물저장부(140)에 회수될 때 회수된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140)에는 보충수 주입구(150) 및 수위센서(1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수위센서(160)를 통해 물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한 후, 기화현상에 의해 물이 기화되어 상기 물저장부(140)의 수위가 낮아지는 등으로 인해 물을 보충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보충수 주입구(150)를 통해 물을 보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조(100)의 하단 일측에는 순환펌프(5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순환펌프(500)를 통해 물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이 급수배관부(600)를 통해 상부에 위치한 본체(200)의 워터필터(400)에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본체(200)에는 물을 흘러내려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워터필터(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워터필터(400)에는 물을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스트링(410)이 권취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워터프레임(300) 및 하부 워터프레임(3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워터필터(400)는 본체 바닥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1개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터필터(400)의 상부 워터프레임(300)이 차단막필터(90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울어진 각도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전면부와 차단막필터(900) 사이의 폭에 의해 정해지게 되나, 수직면에 대해 10°~ 20°의 범위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10)은 속이 빈 중공형태의 것으로서, 하부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함으로써 급수배관부(600)를 통해 물저장부(140)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 내부를 통과하면서 관통구멍을 통해 하부의 물흐름가이드부(310)에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워터필터(400)의 스트링(410)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비산되더라도 실내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위한 차단막필터(900)가 함께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순환펌프(500), 송풍팬(700) 및 살균등(800)이 동시에 가동되게 된다. 즉, 전원을 온 시키면, 상기 송풍팬(700)의 구동에 의해 본체(200)에 구비된 흡입구(210)를 통해 본체(200) 내부에 공기가 흡입되게 되고, 흡입된 공기가 살균등(800)에 의해 1차 살균된다. 전원을 온 시키면, 순환펌프(500)에 의해 물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이 급수배관부(600)를 따라 본체(200)에 유입되어 상기 워터필터(400)의 스트링(410)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상기 살균등(800)에 의해 1차 살균된 공기는 상기 워터필터(400)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구(22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200)의 바닥면에 대해 워터필터(400)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워터프레임(300)이 차단막필터(900)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취한다. 도4를 참조하면, 급수배관부(600)가 지지프레임(420)을 따라 워터필터(40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워터필터(400)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의 사이마다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4의 확대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배관부(600)에는 워터필터의 스트링(410) 방향으로 분사노즐(6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면부에 형성된 급수배관부의 경우 스트링이 구비되어 있는 방향의 일측면에만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있음에 비해, 워터필터의 사이에 형성된 급수배관부의 경우 양측면의 스트링을 향해 분사노즐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610)은 비교적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분사노즐(610)을 통한 물의 분사에 의해 측면의 스트링에 수막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정화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 공기정화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4의 실시예에 더하여 중공의 상부 워터프레임(300) 하부면에 일정 간격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 하부에 인접하여 물흐름가이드부(31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의 습식 공기정화 장치에 구비된 조절밸브용 스위치를 온 시켜 조절밸브(620)를 개방시킴으로써 물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을 급수배관부(600)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조절밸브용 스위치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절밸브(620)가 개방되면 지지프레임(420) 내부로 연장 형성된 급수배관부(600)를 통해 공급된 물이 중공의 상부 워터프레임(30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에는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된 구멍을 따라 공급된 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상기 구멍은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과 하부 워터프레임(35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조밀하게 권취된 스트링(410)에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정도로 조밀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밀하게 형성된 스트링(410)에 물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수막에 의한 공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다만, 관통구멍의 직경은 지나치게 넓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에 공급된 물이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어 흘러 내리게 함으로써 워터필터(400)의 좌우측 모든 면에서 동일하게 공기정화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물흐름가이드부(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는 워터필터(400)의 지지프레임(420) 사이에 형성된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길이와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은 상기 워터프레임(300)의 외부직경과 같게 하여 양측의 스트링(410)에 접촉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물이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관통된 구멍을 통해 하부면에 인접한 물흐름가이드부(310)에 흘러내리게 되고, 흘러내린 물이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에 의해 안내되어 양 측면에 접촉되어 형성된 스트링(410)을 통해 하부로 흐르면서 공기 정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흐름가이드부(310)는 상기 직사각형의 판 형상 외에, 양 측면에 구비된 스트링(4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정 곡률반경을 갖되 상부의 워터프레임을 향해 볼록한 배사구조의 형태를 갖는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의 물흐름가이드부(310)에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심에 수로홈(311)을 음각하여 형성함으로써, 상부의 워터프레임(300)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로홈(311)에 머문 후 넘쳐 흐르면서 양 측면에 인접한 스트링(410)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며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 및 도2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워터필터의 전후방 및 중앙에 급수배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배관부에 분사노즐을 형성한 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스트링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워터필터에 대한 분사방식만으로는 수막을 균일하게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고, 상기 워터필터가 본체 바닥면에 수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스트링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의 낙하속도가 빨라 적절한 공기 정화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워터필터를 1개 이상 형성하고 스트링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의 사이마다 급수배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배관부에 조밀하게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 형성된 워터필터를 본체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여 형성함으로써 물의 낙하속도를 늦춰서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수직으로 형성된 워터필터에 비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워터필터를 흐르는 물의 속도는 느려지게 되는데, 스트링을 흐르는 물의 속도가 느릴수록 정화되는 공기와의 접촉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결국 정화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중공의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인접하여 물흐름가이드부(310)를 형성하는 구성을 통해 향상된 공기정화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물흐름가이드부(310)를 통해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형성된 스트링(410)에 물이 안정되게 공급됨으로써, 워터필터(400)의 좌우측 모든 면에서 일정하게 수막을 형성하여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필터(400)의 스트링(410)을 따라 흐르는 물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즉, 워터필터(400)의 양 측면 지지프레임(420)의 상하에 형성된 상부 워터프레임(300)과 하부 워터프레임(350)의 외주면에 조밀한 간격으로 밀착되게 권취된 스트링(410)에 의해 물이 가이드됨으로써, 공기의 흐름 속에서도 물의 응집력에 의해 물 입자의 분산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된 스트링(410)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수막은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오염된 공기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장치에 의해 정화됨으로써,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40: 워터필터 41: 스트링
60: 급수배관부 61: 분사노즐
100: 수조
110: 정수필터 120: 칸막이
130: 배관부 140: 물저장부
150: 보충수 주입구 160: 수위센서
200: 본체
210: 흡입구 220: 배출구
230: 배수구 300: 상부 워터프레임
310: 물흐름가이드부 311: 수로홈
350: 하부 워터프레임 400: 워터필터
410: 스트링 420: 지지프레임
500: 순환펌프 600: 급수배관부
610: 분사노즐 620: 조절밸브
700: 송풍팬 800: 살균등
900: 차단막필터

Claims (4)

  1. 수조(100) 위에 설치된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물을 흘러내리기 위한 워터필터(400)와, 상기 워터필터(400)를 거쳐 통과되는 공기에 의해 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워터필터(400)의 후방에 설치된 차단막필터00)와, 상기 워터필터(400)를 통해 공기를 정화시킨 물이 하부 수조(100)로 회수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230)와,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흡입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등(800)과, 상기 수조(100)의 물을 유입하여 상기 본체의 워터필터(4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조(1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된 순환펌프(500)와, 상기 순환펌프(500)에 의해 유입된 물을 상기 워터필터(400)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부(600)와, 상기 워터필터(400)의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워터프레임(300, 350) 및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워터프레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형성된 스트링(410)으로 이루어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워터필터(400)는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1개 이상 형성하되,
    상기 워터필터(400)의 전면부 및 워터필터(400)의 사이마다 급수배관부(600)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 형성된 급수배관부(600)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분사노즐(610)을 설치하여 인접한 스트링(410)에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필터(400)의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중공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하부에 인접하며 또한 옆면의 스트링과 접촉되는 물흐름가이드부(31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급수배관부(600)를 통해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에 공급된 물이 상기 관통된 구멍을 통해 흘러나온 후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를 통해 옆면에 접촉된 스트링(410)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의 폭은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원형단면의 외부직경과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길이는 상기 상부 워터프레임(300)의 길이와 같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가이드부(310)는 상기 워터프레임(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인접한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수로홈(31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20110077164A 2011-08-03 2011-08-03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28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64A KR101288217B1 (ko) 2011-08-03 2011-08-03 습식 공기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64A KR101288217B1 (ko) 2011-08-03 2011-08-03 습식 공기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81A true KR20130015281A (ko) 2013-02-14
KR101288217B1 KR101288217B1 (ko) 2013-07-19

Family

ID=4789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64A KR101288217B1 (ko) 2011-08-03 2011-08-03 습식 공기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21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69B1 (ko) * 2013-12-19 2015-03-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CN107551722A (zh) * 2017-10-25 2018-01-09 昆山金盟塑料薄膜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术巾膜成型的除尘装置
KR20200120306A (ko) 2019-04-12 2020-10-21 조설자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20200120305A (ko) 2019-04-12 2020-10-21 조설자 정류장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KR20200120304A (ko) 2019-04-12 2020-10-21 조설자 천정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335397B1 (ko) 2020-06-17 2021-12-03 조설자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335400B1 (ko) 2020-07-31 2021-12-03 조설자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350271B1 (ko) * 2020-07-10 2022-01-13 (주)해피앤나이스 도심형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36B1 (ko) * 2014-07-22 2015-04-20 강흥묵 습식 공기여과 및 가습기
WO2016032224A2 (ko) * 2014-08-26 2016-03-03 주식회사웰트리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2096168B1 (ko) 2018-07-04 2020-04-24 박헌재 공기 정화용 인더스트리얼 수직 가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559B1 (ko) * 2010-05-11 2011-01-24 정영민 습식 공기정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69B1 (ko) * 2013-12-19 2015-03-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공장의 차단벽설비
CN107551722A (zh) * 2017-10-25 2018-01-09 昆山金盟塑料薄膜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术巾膜成型的除尘装置
KR20200120306A (ko) 2019-04-12 2020-10-21 조설자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20200120305A (ko) 2019-04-12 2020-10-21 조설자 정류장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KR20200120304A (ko) 2019-04-12 2020-10-21 조설자 천정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335397B1 (ko) 2020-06-17 2021-12-03 조설자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350271B1 (ko) * 2020-07-10 2022-01-13 (주)해피앤나이스 도심형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335400B1 (ko) 2020-07-31 2021-12-03 조설자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217B1 (ko) 201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217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01055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538772B1 (ko) 자유말단을 가지는 침지형 중공사막 유닛 모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과 간헐/연속포기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침지형 수처리 장치 및 이의 포기 방법
KR101152015B1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793695B1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1218943B1 (ko) 물흐름가이드부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JP5354752B2 (ja) 気流浄化装置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20180011572A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KR20180022245A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CN103933818A (zh) 湿式负离子除尘装置
KR10102851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2004675B1 (ko) 청정 공기생성기
KR20050074931A (ko) 균등접촉식 습식 집진장치
CN104220173A (zh) 电集尘系统的电集尘装置和利用所述电集尘装置的集尘方法
WO2017169897A1 (ja) 空気浄化装置
KR101196885B1 (ko) 폭포형 공기 청정기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1196886B1 (ko) 폭포형 공기 청정기
KR20200018980A (ko) 공기 정화기
KR19980014703A (ko) 습식공기정화장치
KR101442082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장착식 정화냉각장치
KR101950154B1 (ko) 세정형 나노 세라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