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00B1 -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00B1
KR102335400B1 KR1020200096093A KR20200096093A KR102335400B1 KR 102335400 B1 KR102335400 B1 KR 102335400B1 KR 1020200096093 A KR1020200096093 A KR 1020200096093A KR 20200096093 A KR20200096093 A KR 20200096093A KR 102335400 B1 KR102335400 B1 KR 10233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ipe
water
water film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Original Assignee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filed Critical 조설자
Priority to KR102020009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40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cutt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B29C53/063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combined with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29C53/38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by bending sheets or strips at right angles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rticle being formed and joining th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프레스된 필터를 파이프에 끼우고 장력을 조절하면 되는 조립성이 향상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Air purification filter system to maintain a constant air purify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프레스된 필터를 파이프에 끼우고 장력을 조절하면 되는 조립성이 향상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입자들은 먼지 핵에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엉겨 붙어 구성된 것으로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에 유입될 수 있다.
장기간 흡입 시, 입자가 미세할수록 코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흡입 시 허파꽈리까지 직접 침투하기에 천식이나 폐 질환의 유병률, 조기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를 따르면 장기적, 지속적 노출 시 건강 영향이 나타나며 단시간 흡입으로 갑자기 신체변화가 나타나지는 않는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어린이/노인/호흡기 질환자 등 민감 군은 일반인보다 건강 영향이 클 수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물을 이용한 정화방식이 개발되었는데, 도 1a의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8740호는 흐르는 물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서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며, 이산화티타늄을 물 속에 구비하고 자외선으로 이산화티타늄에 흡착된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서, 물의 교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흐르는 물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서 에너지 소비 및 소음은 적게 하고 여과 효율은 높일 수 있으며, 공기 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수분을 최소화함으로서 습도가 높은 계절에도 별도의 제습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수조(110)의 사이를 계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출수공(125)들에는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출수 가이드(140)들이 각기 결합되며, 상기 물이 출수 가이드(140)들을 따라서 흐르게 되므로 용이하게 수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출수 가이드의 형태가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될 수 있어 바람이 흐르는 부분을 촘촘하게 막지 못해 정화되지 않고 밖으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b의 한국등록특허 제0482926호는 가느다란 철선으로 직조된 망을 여러겹 중첩하여 설치한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 여과부와, 상기 필터 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향해 살수관으로 여과수를 분무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외부에서 복수개의 살수관으로 여러 부분을 뿌려대는 것은 정렬되고 촘촘한 수막을 형성하지 못해 필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없고 철선의 물질적 특성상 표면 장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고 녹이 잘 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가느다란 철선으로 직조된 망 필터를 사람이 일일이 직조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비의 상승이 만만치 않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38863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5281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8-00010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탱크를 통해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수막을 형성하여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프레스된 필터를 파이프에 끼우고 장력을 조절하면 되는 조립성이 향상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제1 상측면 파이프와 제2 상측면 파이프와,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의 하측 방향에 설치된 하측면 파이프를 포함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 사이에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일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판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막이 형성되는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이 한번에 찍히도록 프레스 금형을 만들고 전단가공과 굽힘가공을 통해 T자걸림부를 갖는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는 제1 수막형성부, 제2 수막형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막형성부와 제2 수막형성부는 각각 상측부와 하측부에 T자걸림부와, 상기 T자걸림부 사이에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물유도부가 상기 제1 수막형성부와 제2 수막형성부의 스트링 사이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제1 수막형성부와 제2 수막형성부 내부에 다시 새로운 수막형성부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수막을 만들기 위해, 상기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 사이의 수막을 일정하게 또는 일정 두께로 형성하기 위해 스트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날카로운 쇄기 모양 또는 완만한 곡선 모양이 미세하게 일련하여 형성된 모양을 프레스 금형으로 찍는다.
본 발명은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제1 상측면 파이프와 제2 상측면 파이프와,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의 하측 방향에 설치된 하측면 파이프를 포함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T자걸림부를 형성되어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와 결합되고, 상기 T자걸림부 사이에 표면 장력에 의해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물유도부가 스트링 사이 사이에 구성되도록 서로 연결부로 연결된 제1 수막형성부와 제2 수막형성부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편리하게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 방향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여 제2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거리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1 장력 조정바, 장력이 조절될 때 거리의 축소나 확장에 따른 이격 현상을 완충하는 장력 완충바, 상기 제1 장력 조정바와 동시에 회전하여 제2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거리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2 장력 조정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일정 위치 형성된 복수개의 홀 사이에 제1 장력 조정바, 장력 완충바, 제2 장력 조정바가 각각 스크류 삽입 또는 스프링 삽입 방법으로 삽입된다.
양측단에 나사산이 있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의 일 표면과 결합되는 제1 장력 조정바와, 제2 장력 조정바;를 더 포함한다.
양측단에 나사산이 없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에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의 고정을 위해 고정부가 형성되는 장력 완충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필터를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일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판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막이 형성되는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이 한번에 찍히도록 프레스하여 만들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르게 T자결합홈이 파이프에 끼워지기만 하면 결합되어 결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에 먼저 필터를 걸치고 결합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더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한쌍의 필터를 동시에 만들 수 있어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하나의 필터가 끼워짐으로 인해 2개의 필터가 따로 끼워지는 것보다 내구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물유도판을 따라 촘촘하게 밀착되어 권취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공기정화를 위한 수막이 밀도 있게 형성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정화의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도 1 a, b는 종래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파이프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내부 또는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T자걸림부, 수막형성부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에 한쌍의 필터가 끼워진 상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내부에 장력 조정바와 장력 완충바가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정바와 장력 완충바가 끼워진 상태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정바를 회전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로 연결된 제1 수막형성부와 제2 수막형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평면 펼침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로 연결된 제1 수막형성부와 제2 수막형성부가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에 한쌍의 필터가 끼워지기 전과 끼워진 후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 소재의 우수한 성질을 실험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32-25, 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와, 상기 파이프(32, 34)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1)와 하측면 파이프(3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는 한몸체로 이루어진 스트링으로 되어 있어 상측 및 하측 파이프(34, 39)에 한번에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하측면 파이프(39)의 상측면에는 하측 흡입공이 형성된다.
왜냐하면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가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되기 때문에 스트링 사이의 공간 즉 낙하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공간의 방출되지 못한 물이 계속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키는 데는 유리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방출되지 못한 물에 의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부족해져 공기정화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면 파이프(39)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하측 흡입공은 슬릿형, 장공형, 원형로 나누어지며, 그 내부로 인입된 물이 하측면 파이프(39)를 타고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측면 파이프(39)를 타고 외부로 방출되는 물흐름을 강제하여 공기 정화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물(Water)에 소독약을 첨부할 수 있는 데, 바이러스나 균을 잡을 수 있는 차염산나트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프레임은 물탱크(40)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32-25, 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와, 상기 파이프(32, 34)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1)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및 하측 파이프(34, 39)에는 한몸체로 이루어진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가 형성되는 데,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스트링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강화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트링을 사용하면 겉표면이 친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이 사이의 표면장력 때문에 용이하게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측면 파이프의 내부에는 파이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삼각형상인 삼각 경사대(39-6)가 더 설치되어 용이한 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형상의 물유도판(34-21)을 가운데 추가로 설치하고 상측부에 흡입공(39-3)이 형성된 하측면 파이프(39)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의 물유도판(34-21)에 의해 2 방향으로 물줄기를 PE(Polyethylene) 줄에 보내면 PE줄과 PE줄 사이의 공간 즉 낙하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공간의 방출되지 못한 물이 계속 증가하지 않도록 흡입공(39-3)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측면 파이프(34)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흡입공(39-3)이 형성된 하측면 파이프(39)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된다.
상기 저면에 천공(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를 통해 상기 30도 내지 50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는 파이프 홀더(32-21)와 물유도판(34-2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를 각각 흐르게된다.
상기 파이프 홀더(32-2)와 물유도판(34-21) 표면은 상기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에 수직으로 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스트링의 수막을 거쳐 정화되어 포화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엘리미네이터(36, 39-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에는 스트링이나 습기 제거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를 거쳐 나온 습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한 건조한 공기를 정화 공기 유출로(14-2)로 배출하여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는 풍량과 펌프 작동 여부를 1단계 내지 3단계 또는 시간을 1시간 내지 3시간으로 나누어 제어하여,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고,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는 즉시 원래의 수막으로 재형성되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정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0, 340)와, 상기 파이프(320, 340)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0-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320, 340)에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가 결합 장착되는 데, 상기 파이프(320, 340)의 바깥쪽 외주면에 형성된 스트링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는 PE로 이루어진 낚시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강화 플라스틱 줄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를 사용하면 겉표면이 친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이 사이의 표면장력 때문에 용이하게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측면 파이프(340)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하측면 파이프(390)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340)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생성된 스트링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측면 파이프(340)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하측면 파이프(390)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형성된 스트링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측면 파이프(340)의 상측부를 타고 넘어 권취될 때 일정 각도약간 비틀어 감기 시작하면 반대편의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과 마주보지 않고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지 않고 배치된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에 유입되는 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PE로 이루어진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600) 대신 금속판(예 : 알루미늄) 또는 특정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금속판 또는 특정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판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막이 형성되는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이 한번에 찍히도록 프레스 금형을 만들고 전단가공과 굽힘가공을 통해 T자걸림부(611, 621)를 갖는 필터(600)를 제조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600)는 제1 수막형성부(610), 제2 수막형성부(620),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는 각각 상측부와 하측부에 T자걸림부(611, 621)와, 상기 T자걸림부(611) 사이에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물유도부(615)가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의 스트링 사이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 내부에 다시 새로운 수막형성부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수막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 사이의 수막을 일정하게 또는 일정 두께로 형성하기 위해 스트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날카로운 쇄기 모양 또는 완만한 곡선 모양이 미세하게 일련하여 형성된 모양을 프레스 금형으로 찍을 수도 있다.
제1 상측면 파이프(320), 제2 상측면 파이프(340)가 상측부에 설치되고, 제2 상측면 파이프(340)는 제1 T자결합홈(341), 제2 T자결합홈(342)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보다 편리하게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 방향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여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의 거리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1 장력 조정바(710), 장력이 조절될 때 거리의 축소나 확장에 따른 이격 현상을 완충하는 장력 완충바(720), 상기 제1 장력 조정바(710)와 동시에 회전하여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의 거리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2 장력 조정바(730), 상기 제1 장력 조정바(710)에 형성된 제1 손잡이부(711), 상기 제2 장력 조정바(730)에 형성된 제2 손잡이부(731), 상기 장력 완충바(720)에 형성된 스프링(721) 등으로 구성된다.
도 13 (b)과 같이 제1 장력 조정바(710)와 제2 장력 조정바(73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스트링의 장력이 증가하고 감소하며, 이에 따른 물리적인 뒤틀림 등의 효과를 장력 완충바(720)가 완충해 준다.
따라서 장력 완충바(720)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장력 조정바(710, 730)도 동일하다.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 사이에 제1 장력 조정바(710), 장력 완충바(720), 제2 장력 조정바(730)가 각각 스크류 삽입 또는 스프링 삽입 방법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장력 조정바(710)와, 제2 장력 조정바(730)는 양측단에 나사산이 있는 삽입부(7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의 일 표면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력 완충바(720)는 양측단에 나사산이 없는 삽입부(723)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에 스프링(721)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721)의 고정을 위해 고정부(722)가 형성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600')는 제1 수막형성부(610'), 제2 수막형성부(620'),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는 각각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T자걸림부(611', 621')와, 상기 T자걸림부(611') 사이에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물유도부(615')가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의 스트링 사이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필터(600')는 상술한 필터(600)와 달리 서로 연결부(625)로 연결된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를 포함하여 제2 상측면 파이프(340) 또는 하측면 파이프(390)에 먼저 걸치고 결합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더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금속판 또는 특정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판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막이 형성되는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이 한번에 찍히도록 프레스 금형을 통해 한쌍의 필터를 동시에 만들 수 있어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T자걸림부(611', 621')에 하나의 필터가 끼워짐으로 인해 2개의 필터가 따로 끼워지는 것보다 내구성이 높아진다.
한편, 도 18의 비교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은 PE(폴리에틸렌) 재질의 스트링을 엮어 만든 구조이지만, 인용 발명들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이거나 금속 재질의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비교 사진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E 재질의 스트링을 초기화 상태(청소가 완료된 상태)에서 준비하고, 인용 발명들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을 초기화 상태로 하여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기화 30일 후 비교를 하면 (a) 종래 발명의 플라스틱 재질은 누렇고 끈적한 재질의 불순물이 많이 끼어 있지만, (b) 본 발명에 따른 PE 재질의 스트링은 불순물이 적게 끼어서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물줄기가 흐르는 것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PE 소재는 다른 소재의 플라스틱과 비교시 내마모성, 낮은 수분흡수성, 우수한 내화학성, 우수한 내부식성, 끈적이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PS), 폴리아세탈(POM),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계속 사용하다 보니 수분 흡수성이 높아 끈적임이 증가하고 필터 청소 주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10 :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12 : 상측부 커버
13-1 : 실외 공기 유도로
14 : 실내 공기 유입홀
14-1 : 실내 공기 유입로
14-2 : 정화 공기 유출로
15 : 외부 프레임 박스
19 : 구분 프레임
21 : 팬 모터 커버
32 : 제1 상측면 파이프
32-21 : 파이프 홀더
34, 340, 340' : 제2 상측면 파이프
34-21 : 물유도판
34-25 : 천공
39, 390, 390' : 하측면 파이프
39-1, 390-1 : 하측면 제1 파이프
39-2, 390-2 : 하측면 제2 파이프
39-3, 30-4, 39-5 : 하측 흡입공
39-6 : 삼각 경사대
40 : 물탱크
61 : 제1 PE줄
62 : 제2 PE줄
600 :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710 : 제1 장력 조정바
711 : 제1 손잡이부
720 : 장력 완충바
721 : 스프링
730 : 제2 장력 조정바

Claims (8)

  1.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제1 상측면 파이프(320)와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의 하측 방향에 설치된 하측면 파이프(390)를 포함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 사이에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일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판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막이 형성되는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이 한번에 찍히도록 프레스 금형을 만들고 전단가공과 굽힘가공을 통해 T자걸림부(611, 621)를 갖는 필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는 제1 수막형성부(610), 제2 수막형성부(6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는 각각 상측부와 하측부에 T자걸림부(611, 621)와, 상기 T자걸림부(611) 사이에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물유도부(615)가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의 스트링 사이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 내부에 다시 새로운 수막형성부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수막을 만들기 위해,
    상기 스트링의 주변을 이루는 장공 사이의 수막을 일정하게 또는 일정 두께로 형성하기 위해 스트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날카로운 쇄기 모양 또는 완만한 곡선 모양이 미세하게 일련하여 형성된 모양을 프레스 금형으로 찍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4.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제1 상측면 파이프(320)와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의 하측 방향에 설치된 하측면 파이프(390)를 포함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T자걸림부(611', 621')를 형성되어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와 결합되고, 상기 T자걸림부(611') 사이에 표면 장력에 의해 수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물유도부(615')가 스트링 사이 사이에 구성되도록 서로 연결부(625)로 연결된 제1 수막형성부(610')와 제2 수막형성부(620')를 포함하는 필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의 거리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1 장력 조정바(710), 장력이 조절될 때 거리의 축소나 확장에 따른 이격 현상을 완충하는 장력 완충바(720), 상기 제1 장력 조정바(710)와 동시에 회전하여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의 거리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2 장력 조정바(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의 일정 위치 형성된 복수개의 홀 사이에 제1 장력 조정바(710), 장력 완충바(720), 제2 장력 조정바(730)가 각각 스크류 삽입 또는 스프링 삽입 방법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양측단에 나사산이 있는 삽입부(73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의 일 표면과 결합되는 제1 장력 조정바(710)와, 제2 장력 조정바(7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측면 파이프(340)와 하측면 파이프(390) 사이에 끼워지고, 양측단에 나사산이 없는 삽입부(723)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에 스프링(721)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721)의 고정을 위해 고정부(722)가 형성되는 장력 완충바(7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0200096093A 2020-07-31 2020-07-31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33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93A KR102335400B1 (ko) 2020-07-31 2020-07-31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93A KR102335400B1 (ko) 2020-07-31 2020-07-31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400B1 true KR102335400B1 (ko) 2021-12-03

Family

ID=7886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093A KR102335400B1 (ko) 2020-07-31 2020-07-31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4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082A (ko) 2006-06-29 2008-01-03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KR20130015281A (ko) 2011-08-03 2013-02-14 조설자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388639B1 (ko) 2012-05-25 2014-04-2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KR101416563B1 (ko) * 2012-11-21 2014-07-10 김은희 공기정화장치
KR101652021B1 (ko) * 2015-01-27 2016-09-09 (주)에이스원테크 섬유사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082A (ko) 2006-06-29 2008-01-03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KR20130015281A (ko) 2011-08-03 2013-02-14 조설자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388639B1 (ko) 2012-05-25 2014-04-2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KR101416563B1 (ko) * 2012-11-21 2014-07-10 김은희 공기정화장치
KR101652021B1 (ko) * 2015-01-27 2016-09-09 (주)에이스원테크 섬유사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677B1 (ko) 습식 공기세척기
US4016080A (en) Fluid filter and purifying apparatus
CN106765583A (zh) 空气净化装置及净化空气的方法
BRPI0808473A2 (pt) Método para filtragem de fluido
KR102335400B1 (ko)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121466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2228281B1 (ko) Pe 수막필터를 이용한 일체형 수막형 세정탑
KR102335397B1 (ko)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WO1992020974A1 (en) Disinfectant system
SE520520C2 (sv) Metod för att forma en skiktad fibrig bana och en maskin för utförande av denna
KR102192836B1 (ko)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1513836B1 (ko) 습식 공기여과 및 가습기
KR100564040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
CN111780277B (zh) 一种智能家居用空气净化装置
KR102365929B1 (ko) 기관절개술 튜브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시스템
KR20200086085A (ko)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304116B1 (ko) 정류장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CN104990106B (zh) 低温等离子体空气净化单元及低温等离子空气净化装置
KR102097502B1 (ko) 풍향에 따라 공기 유입구의 방향이 조절되는 공기청정기
CN104990139B (zh) 低温等离子体空气净化装置
JPS60183024A (ja) 塵埃および塩分除去装置
CN204404403U (zh) 一种广谱杀菌过滤器
US3550357A (en) Separator having adjustable louvers with cleaning means therefor
CN206715066U (zh) 空气净化单元和装置
CN207279913U (zh) 空调通风口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