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397B1 -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397B1
KR102335397B1 KR1020200073454A KR20200073454A KR102335397B1 KR 102335397 B1 KR102335397 B1 KR 102335397B1 KR 1020200073454 A KR1020200073454 A KR 1020200073454A KR 20200073454 A KR20200073454 A KR 20200073454A KR 102335397 B1 KR102335397 B1 KR 10233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water
lin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Original Assignee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설자, 정영민, 정보미 filed Critical 조설자
Priority to KR102020007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물유도판을 통해 경사지게 권취된 PE줄으로 흘러내릴 때 복수개의 수막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하여 안정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Air purification filter system to maintain a constant air purify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물유도판을 통해 경사지게 권취된 PE줄으로 흘러내릴 때 복수개의 수막을 용이하게 형성되고, PE줄 사이 내부에서 빠져 나가지 못한 물도 외부로 방출이 용이하도록 흡입공이 하측부에 설치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입자들은 먼지 핵에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엉겨 붙어 구성된 것으로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 내에 유입될 수 있다.
장기간 흡입 시, 입자가 미세할수록 코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흡입 시 허파꽈리까지 직접 침투하기에 천식이나 폐 질환의 유병률, 조기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를 따르면 장기적, 지속적 노출 시 건강 영향이 나타나며 단시간 흡입으로 갑자기 신체변화가 나타나지는 않는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어린이ㅇ노인ㅇ호흡기 질환자 등 민감 군은 일반인보다 건강 영향이 클 수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물을 이용한 정화방식이 개발되었는데, 도 1a의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8740호는 흐르는 물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서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며, 이산화티타늄을 물 속에 구비하고 자외선으로 이산화티타늄에 흡착된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서, 물의 교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흐르는 물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서 에너지 소비 및 소음은 적게 하고 여과 효율은 높일 수 있으며, 공기 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수분을 최소화함으로서 습도가 높은 계절에도 별도의 제습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수조(110)의 사이를 계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출수공(125)들에는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출수 가이드(140)들이 각기 결합되며, 상기 물이 출수 가이드(140)들을 따라서 흐르게 되므로 용이하게 수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 출수 가이드의 형태가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될 수 있어 바람이 흐르는 부분을 촘촘하게 막지 못해 정화되지 않고 밖으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b의 한국등록특허 제0482926호는 가느다란 철선으로 직조된 망을 여러겹 중첩하여 설치한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 여과부와, 상기 필터 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향해 살수관으로 여과수를 분무하여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외부에서 복수개의 살수관으로 여러 부분을 뿌려대는 것은 정렬되고 촘촘한 수막을 형성하지 못해 필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없고 철선의 물질적 특성상 표면 장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고 녹이 잘 스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발명의 도면인 도 1 a, b, c, d와 본 발명의 도면 부호는 관련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38863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5281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8-00010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탱크를 통해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경사지게 형성된 물흐름가이드부를 통해 PE줄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수막을 형성하여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부에서 빠져 나가지 못한 물도 외부로 방출이 용이하도록 흡입공이 하측부에 설치된 공기정화 시스템을 이루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는 PE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면 파이프의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파이프 홀더와 물유도판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을 각각 흐르고,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어 정화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는 PE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면 파이프의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파이프 홀더와 물유도판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을 각각 흐르고, 상기 하측면 파이프의 상측면에는 하측 흡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 흡입공은 슬릿형, 장공형, 원형로 나뉘어진다.
상기 하측면 파이프의 내부에는 파이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삼각형상인 삼각 경사대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 내부에 새로운 PE줄이 일정 각도로 비틀어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PE줄이 상기 상측면 파이프의 상측부를 타고 넘어 권취될 때 일정 각도로 비틀어 감아 반대편의 제2 PE줄이 제1 PE줄과 마주보지 않고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형상의 물유도판이 더 형성된다.
상기 PE줄의 수막을 거쳐 정화되어 포화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엘리미네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의 직경은 상기 실내 공기 유입로의 직경 보다 적다.
실외 공기를 받아 들이는 실외 공기 유도로;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는 실내 공기 유입로;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가 일측에 형성되고, 실내 공기 유입로가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측면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동시에 빨아들여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정화 공기 유출로로 공급하는 팬 모터;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와 팬 모터 커버를 보호하고,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실외 공기 유도로, 실내 공기 유입로, 및 정화 공기 유출로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박스;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상측면 파이프와, 상기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 방향으로 수직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 하측면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를 포함하는 파이프 프레임; 상기 물탱크에서의 유입량과 팬모터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홀더는"ㄷ"자 형상의 양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상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를 걸림고정한다.
상기 파이프 홀더와 물유도판이 30도 내지 50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진다.
상기 파이프 홀더와 물유도판 표면은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에 수직으로 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내에서, 실외 공기 유도로와 실내 공기 유입로, 및 파이프 프레임을 구분하는 구분 프레임;이 더 설치된다.
상기 PE줄은 파이프의 양면을 이루는 PE줄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만들어 내는 제1 수막과 제2 수막을 관통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팬모터로 보낸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물탱크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물유도판을 따라 촘촘하게 밀착되어 권취된 PE줄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공기정화를 위한 수막이 밀도 있게 형성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정화의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E줄으로 낚시줄을 사용할 경우 겉표면이 친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이 사이의 표면장력 때문에 용이하게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정화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측면 파이프를 타고 외부로 방출되는 물흐름을 강제하여 공기 정화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공이 하측부 파이프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빠져 나가지 못한 물도 외부로 방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a, b, c, d는 종래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파이프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내부 또는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파이프의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절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프레임은 물탱크(40)로부터 물유도관(미도시)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32-25, 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와, 상기 파이프(32, 34)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32, 34)에는 PE줄이 형성되는 데,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PE줄은 PE로 이루어진 낚시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표면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플라스틱 줄 또는 강화 플라스틱 줄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PE줄을 사용하면 겉표면이 친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이 사이의 표면장력 때문에 용이하게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측면 파이프(34)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하측면 파이프(39)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측면 파이프(34)의 상측부를 타고 넘어 권취될 때 일정 각도(예를 들어 1도 내지 5도 사이) 약간 비틀어 감기시작하면 반대편의 제2 PE줄(62)은 제1 PE줄(61)과 마주보지 않고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지 않고 배치된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에 유입되는 물은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형상의 물유도판(34-21)을 가운데 설치하고 추가로 파이프 홀더(32-2)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의 물유도판(34-21)에 의해 2 방향으로 물줄기를 PE줄에 보낼 수 있어 용이한 공기 정화를 이룰 수 있다. 이 때 파이프(34)에는 ^"형상의 물유도판(34-21)의 위치에 대응되는 한쌍의 천공(34-25)이 형성된다.
상기 PE줄(61, 62) 내부에 다시 새로운 PE줄(61′, 62′)이 설치된 경우로서 복수개의 수막을 만들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 박스(15) 내에는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가 설치되며, 외부 프레임 박스(15)의 실외 공기 유도홀(13)은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의 실외 공기를 받아 들이는 실외 공기 유도로(13-1)로 연결되며, 실내 공기 유입홀(14)은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는 실내 공기 유입로(14-1)로 연결되며, 팬 모터 커버(21)의 유출홀은 정화 공기 유출로(14-2)로 연결된다.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는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13-1)를 일측에 형성하고, 실내 공기 유입로(14-1)를 타측에 형성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서, 측면에 팬 모터 커버(21)에 의해 커버되는 팬 모터(22)가 설치된다.
상기 팬 모터(22)는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동시에 빨아들여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정화 공기 유출로로 공급하는 모터이다.
상기 외부 프레임 박스(15)는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와 팬 모터 커버(21)를 보호하고,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의 실외 공기 유도로(13-1), 실내 공기 유입로(14-1), 및 정화 공기 유출로(14-2)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파이프 프레임은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의 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40)로부터 물유도관(미도시)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32-25, 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와, 상기 파이프(32, 34)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1)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32, 34)에는 PE줄이 형성되는 데,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측면 파이프(34)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하측면 파이프(39)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된다.
상기 저면에 천공(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를 통해 상기 30도 내지 50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는 파이프 홀더(32-21)와 물유도판(34-2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을 각각 흐르게된다.
상기 파이프 홀더(32-2)와 물유도판(34-21) 표면은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에 수직으로 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로(33-33; 도 6b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PE줄의 수막을 거쳐 정화되어 포화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엘리미네이터(36, 39-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에는 PE줄이나 습기 제거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을 거쳐 나온 습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한 건조한 공기를 정화 공기 유출로(14-2)로 배출하여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내에서, 실외 공기 유도로와 실내 공기 유입로, 및 파이프 프레임 등을 구분하는 구분 프레임(19)이 더 설치된다.
또한 구분 프레임(19)은 엘리미네이터 등에 의해 분리된 물방울 등이 모여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의 직경은 상기 실내 공기 유입로의 직경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실외 공기 유도로의 직경이 클 경우, 실내 공기의 열이 외부로 유출이 되고,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열교환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의 공기 유도로만으로도 고가의 열교환기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는 풍량과 펌프 작동 여부를 1단계 내지 3단계 또는 시간을 1시간 내지 3시간으로 나누어 제어하여,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고,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는 즉시 원래의 수막으로 재형성되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정화시킨다.
공기 정화를 완료한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에는 우수의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미세망 형태를 이뤄 오염 물질을 흡착 후 토양으로 흘려보내는 토양 침투 방식 필터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은 배수홀에는 우수의 오염물질이 흡착되어지도록 미세망 형태를 이뤄 오염 물질을 흡착 후 토양으로 흘려 보내는 토양 침투 방식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상측면 파이프(34)와 하측면 파이프(39)가 파이프 지지대(34-1)의 홀(34-4)에 결합된 형태로서 상측면 파이프(34)와 하측면 파이프(39)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촘촘히 메운 PE줄(60)에 물을 공급하여 공기 정화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PE줄(60)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복수개의 파이프(32, 34, 39)는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10)의 중앙 부근에 설치된 복수개의 파이프 지지대(34-1)에 지지되어 상측부에서 물을 뿌리도록 내부 저면에 천공(34-25)이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상측면 파이프(32, 34) 중 하나의 상측면 파이프(34)와 하측면 파이프(39)는 파이프 지지대(34-1)에 지지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격된 간격을 PE줄으로 메우기 위해, PE줄은 상측면 파이프(34)에서 하측면 파이프(39)로, 하측면 파이프(39)에서 상측면 파이프(34)로 돌면서 감긴다.
이 때 PE줄의 직경이 있으므로, 처음 감긴 궤적과 다른 궤적으로 일정하게 이격되며 반대편 파이프 지지대(34-1) 방향으로 가면서 PE줄이 밀접하게 이어 붙여진 형상으로 제2 상측면 파이프(34)와 하측면 파이프(39)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촘촘히 메우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 지지대(34-1)의 측면에 제1 상측면 파이프(32)가 결합될 도 10의 "ㄷ"자 형상의 양측면(32-22)에 관통홀(32-23)을 형성하여 파이프 프레임의 상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를 걸림 고정하는 파이프 홀더(32-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상측면 파이프(34)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하측면 파이프(39)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이 서로 연결된 형태이다.
상기 저면에 천공(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를 통해 상기 30도 내지 50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는 파이프 홀더(32-21)와 물유도판(34-2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을 각각 흐르게된다.
즉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빨아들인 팬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흡인력에 의하여 먼저 파이프 홀더(32-21)에 의해 제1 PE줄(61)에 수막이 형성되고, 물유도판(34-21)에 의해 제2 PE줄(62)에 수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2번 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 스위치를 올리면 제어부에 전원이 공급되고 물탱크의 펌프 모터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물을 파이프에 펌핑할 준비를 완료한다.
그리고 제어부를 통해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작동 시간과 작동량을 지정하여 가동시키면, 상측면 파이프(34)의 저면에 천공(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를 통해 파이프 홀더(32-21)와 물유도판(34-2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을 각각 흐르고,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어 정화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어 2중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팬 모터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동시에 빨아들여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데, 파이프 홀더(32-21)의 제1 PE줄(61)에 의해 형성된 제1 수막과, 물유도판(34-21)의 제2 PE줄(62)에 의해 형성된 제2 수막에 의해 2번 정화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상측면 파이프(32, 34)에 한줄 이상의 천공(32-25, 34-25)을 형성시켜 복수개의 수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프레임은 물탱크(40)로부터 물유도관(미도시)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32-25, 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와, 상기 파이프(32, 34)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1)와 하측면 파이프(39)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면 파이프(39)의 상측면에는 하측 흡입공(39-3, 30-4, 39-5)이 형성된다.
왜냐하면 도 2의 경우 PE로 이루어진 낚시줄이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되기 때문에 PE줄과 PE줄 사이의 공간 즉 낙하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공간의 방출되지 못한 물이 계속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장력에 의해 촘촘히 수막을 형성시키는 데는 유리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방출되지 못한 물에 의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부족해져 공기정화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흡입공(39-3, 30-4, 39-5)은 슬릿형(39-3), 장공형(39-4), 원형(39-5)로 나뉘어지며, 그 내부로 인입된 물이 하측면 파이프(39)를 타고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측면 파이프(39)를 타고 외부로 방출되는 물흐름을 강제하여 공기 정화 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물(Water)에 소독약을 첨부할 수 있는 데, 바이러스나 균을 잡을 수 있는 차염산나트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프레임은 물탱크(40)로부터 물유도관(미도시)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32-25, 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와, 상기 파이프(32, 34)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32-1)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32, 34)에는 PE줄이 형성되는 데,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PE줄은 PE로 이루어진 낚시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표면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플라스틱 줄 또는 강화 플라스틱 줄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PE줄을 사용하면 겉표면이 친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이 사이의 표면장력 때문에 용이하게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측면 파이프의 내부에는 파이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삼각형상인 삼각 경사대(39-6)가 더 설치되어 용이한 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새로운 "^"형상의 물유도판(34-21)을 가운데 추가로 설치하고 상측부에 흡입공(39-3)이 형성된 하측면 파이프(39)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의 물유도판(34-21)에 의해 2 방향으로 물줄기를 PE줄에 보내면 PE줄과 PE줄 사이의 공간 즉 낙하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공간의 방출되지 못한 물이 계속 증가하지 않도록 흡입공(39-3)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도 4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면 파이프(34)의 상측부를 감싸면서 흡입공(39-3)이 형성된 하측면 파이프(39)의 하측면을 감싸돌아 형성되는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32, 34)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PE줄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이 형성된다.
상기 저면에 천공(34-25)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32, 34)를 통해 상기 30도 내지 50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는 파이프 홀더(32-21)와 물유도판(34-2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을 각각 흐르게된다.
상기 파이프 홀더(32-2)와 물유도판(34-21) 표면은 상기 제1 PE줄과 제2 PE줄에 수직으로 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막은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나, 즉시 원래의 수막을 재형성하여 공기를 정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PE줄의 수막을 거쳐 정화되어 포화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엘리미네이터(36, 39-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엘리미네이터에는 PE줄이나 습기 제거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PE줄(61)과 제2 PE줄(62)을 거쳐 나온 습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한 건조한 공기를 정화 공기 유출로(14-2)로 배출하여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는 풍량과 펌프 작동 여부를 1단계 내지 3단계 또는 시간을 1시간 내지 3시간으로 나누어 제어하여,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된 사이마다 물의 표면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고,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 및 실내 공기 유입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순간적으로 파열되는 즉시 원래의 수막으로 재형성되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정화시킨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의 실제 제품 사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면 하측면 제2 파이프(39-2)에도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수막을 거쳐 정화되어 포화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엘리미네이터(36)에 생성되는 물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10 :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12 : 상측부 커버
13-1 : 실외 공기 유도로
14 : 실내 공기 유입홀
14-1 : 실내 공기 유입로
14-2 : 정화 공기 유출로
15 : 외부 프레임 박스
19 : 구분 프레임
21 : 팬 모터 커버
32-21 : 파이프 홀더
34 : 상측면 파이프
34-21 : 물유도판
34-25 : 천공
39 : 하측면 파이프
39-1 : 하측면 제1 파이프
39-2 : 하측면 제2 파이프
39-3, 30-4, 39-5 : 하측 흡입공
39-6 : 삼각 경사대
40 : 물탱크
61 : 제1 PE줄
62 : 제2 PE줄

Claims (8)

  1.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면 파이프의 바깥쪽 외주면에 밀착하여 조밀하게 권취되어 얇은 수막을 형성하는 PE줄;
    실외 공기를 받아 들이는 실외 공기 유도로; 실내 공기를 유입시키는 실내 공기 유입로; 상기 실외 공기 유도로가 일측에 형성되고, 실내 공기 유입로가 타측에 형성되는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 내에서, 실외 공기 유도로와 실내 공기 유입로, 및 파이프 프레임을 구분하는 구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면 파이프의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파이프를 통해 파이프 홀더와 물유도판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PE줄을 각각 흐르고, 상기 하측면 파이프의 상측면에는 하측 흡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흡입공은 슬릿형, 장공형, 원형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 파이프의 내부에는 파이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삼각형상인 삼각 경사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측면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동시에 빨아들여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정화 공기 유출로로 공급하는 팬 모터;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와 팬 모터 커버를 보호하고,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실외 공기 유도로, 실내 공기 유입로, 및 정화 공기 유출로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외부 프레임 박스;
    상기 공기 정화 유닛 케이스의 측면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물탱크로부터 물유도관을 따라 공급되는 물을 유도하여 균일하게 분사시키는 저면에 천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상측면 파이프와, 상기 상측면 파이프와 하측 방향으로 수직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 하측면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대를 포함하는 파이프 프레임;
    상기 물탱크에서의 유입량과 팬모터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파이프 홀더는"ㄷ"자 형상의 양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 프레임의 상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를 걸림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홀더와 물유도판 표면은 상기 PE줄에 수직으로 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줄 내부에 새로운 PE줄이 일정 각도로 비틀어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0200073454A 2020-06-17 2020-06-17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233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54A KR102335397B1 (ko) 2020-06-17 2020-06-17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54A KR102335397B1 (ko) 2020-06-17 2020-06-17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397B1 true KR102335397B1 (ko) 2021-12-03

Family

ID=7886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54A KR102335397B1 (ko) 2020-06-17 2020-06-17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388A (ko) 2022-07-08 2024-01-16 정종배 공기정화용 습식 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082A (ko) 2006-06-29 2008-01-03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KR20130015281A (ko) 2011-08-03 2013-02-14 조설자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20140046151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웰트리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1388639B1 (ko) 2012-05-25 2014-04-2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24822A (ko)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웰트리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082A (ko) 2006-06-29 2008-01-03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KR20130015281A (ko) 2011-08-03 2013-02-14 조설자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388639B1 (ko) 2012-05-25 2014-04-24 조설자 공기정화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46151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웰트리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160024822A (ko)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웰트리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7388A (ko) 2022-07-08 2024-01-16 정종배 공기정화용 습식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677B1 (ko) 습식 공기세척기
CN204593637U (zh) 室内空气消毒净化器
US20180147523A1 (en) Wet air purifier
KR10101055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US10364994B2 (en) Air humidification and/or purification
KR102121466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180029939A (ko) 습식 공기세척기
KR102335397B1 (ko) 일정한 공기 정화 성능을 유지하는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US11629872B2 (en) Single pass kill air purifier system and process of operation
KR20200016444A (ko) 가습장치
KR102107164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192836B1 (ko)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101513836B1 (ko) 습식 공기여과 및 가습기
KR102042830B1 (ko) 습식 공기정화기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JP2006200762A (ja) 加湿装置
KR102304116B1 (ko) 정류장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KR20200086085A (ko)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020982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335400B1 (ko) 결합 및 장력 조절이 용이한 공기 정화기 필터 장치
KR20220039024A (ko) 가습청정장치
KR102192834B1 (ko) 천정 설치형 챔버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132564B1 (ko) 가습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JPS60183024A (ja) 塵埃および塩分除去装置
KR101474981B1 (ko) 워터링 에어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