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71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716B1
KR101500716B1 KR20130135456A KR20130135456A KR101500716B1 KR 101500716 B1 KR101500716 B1 KR 101500716B1 KR 20130135456 A KR20130135456 A KR 20130135456A KR 20130135456 A KR20130135456 A KR 20130135456A KR 101500716 B1 KR101500716 B1 KR 10150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elastic
plug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오루 호소카와
타이치 하기우다
토시유키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에 도통부재가 콘택트의 두께 방향에 접촉가능하면서 콘택트의 열을 도통부재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두께 방향의 양면에 대하여 한 쌍의 도통부재(15)(26)(67)(68)가 접촉하는 금속제의 콘택트(40)(65)를 가진 커넥터(10)로서, 콘택트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지지편(42)과,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일방향의 길이가 탄성지지편보다 짧은 연결편(46)(53)과, 연결편에서 연결편의 돌출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주연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일방향의 도통부재(15)와 접촉되고 상기 일방향의 길이가 연결편보다 긴 일방향접촉편(47)(54)과, 탄성지지편에서 연결편과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타방향의 도통부재(26)에 접촉되며 상기 일방향의 위치가 연결편과 동일한 타방향접촉편(51)(58)과, 상기 일방향접촉편의 상기 접촉부의 근방에 형성된 슬릿(49)(5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으로 연장된 축선이 중심인 플러그삽입공을 가진 금속제의 베이스부재와, 해당 플러그삽입공 내에 설치된 금속으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리셉터클콘택트를 가진 리셉터클커넥터와 외주면이 원통면을 이루고 상기 플러그삽입공 및 리셉터클콘택트 내에 대하여 삽입 가능한 금속제의 플러그콘택트를 가진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의 종래 예로는 특허문헌 1(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실시형태)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콘택트(콘택트유닛)는 복수의 탄성지지편(비틂부, 경사부, 반비틂부), 연결편(플러그접촉부의 기단부), 플러그콘택트접촉편(플러그접촉부) 및 삽입공접촉편(소켓접촉부)을 구비하고 있다.
각 탄성지지편은 상기 일방향과 평행(일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다)하게 연장되어 리셉터클콘택트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각 연결편은 각 탄성지지편으로부터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각 탄성지지편이 위치하는 가상의 원통면의 내주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일방향의 길이는 탄성지지편보다 짧다.
각 플러그콘택트접촉편은 연결편에서 연결편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주연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리셉터클콘택트 내의 삽입된 플러그콘택트와 접촉된다. 또한, 각 플러그콘택트접촉편의 상기 일방향의 길이는 연결편보다 길다.
각 삽입공접촉편은 탄성지지편으로부터 연결편과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상의 원통면보다도 외주측에 위치됨으로써 리셉터클커넥터의 플러그삽입공의 내면에 접촉된다.
리셉터클커넥터의 리셉터클콘택트는 케이블이 접속가능하며, 플러그커넥터의 플러그콘택트에도(상기 케이블과는 별도의) 케이블이 접속 가능하다.
플러그커넥터의 플러그콘택트가 베이스부재의 플러그삽입공 및 리셉터클콘택트(의 내부)에 삽입될 때, 플러그콘택트가 각 플러그콘택트접촉편에 접촉되면서 각 플러그콘택트접촉편을 외주측(베이스부재의 플러그삽입공측)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각 탄성지지편이 자신의 축선 주변으로 뒤틀리게 되고 각 탄성지지편에 해당 뒤틀림을 원상복귀 하려고 하는 방향의 반력이 발생하므로 각 플러그콘택트접촉편과 플러그콘택트의 접촉압력은 높아진다. 또한, 각 탄성지지편의 뒤틀림(반력)으로 인하여 각 삽입공접촉편과 플러그삽입공의 내면과의 접촉압력은 높아진다.
따라서, 플러그커넥터측의 상기 케이블과 리셉터클커넥터측의 상기 케이블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플러그콘택트와 리셉터클콘택트가 통전하면, 플러그콘택트와 리셉터클콘택트가 발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콘택트와 리셉터클콘택트의 접점에서 발열하며, 리셉터클콘택트는 자신의 도체저항에 기인하여 발열한다.
플러그콘택트와 리셉터클콘택트에서 발생한 열은 리셉터클콘택트의 삽입공접촉편에서 베이스부재의 플러그삽입공(의 내면)으로 방열된다.
JP 특개 2013-8629호 공보
플러그콘택트와 리셉터클콘택트의 접점에서 발열한 열 및 리셉터클콘택트에서 발생한 열은 리셉터클콘택트의 플러그콘택트 접촉편, 연결편 및 탄성지지편을 사이에 두고 삽입공접촉편으로 전해져 삽입공접촉편에서 베이스부재의 플러그삽입공(의 내면)으로 방열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커넥터의 리셉터클콘택트는 연결편과 삽입공접촉편의 상기 일방향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다. 즉, 플러그콘택트접촉편에서 삽입공접촉편까지의 거리가 길다.
이 때문에, 플러그콘택트와 리셉터클콘택트의 접점에서 발생한 열 및 리셉터클콘택트에서 발생한 열은 베이스부재의 플러그삽입공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에 대하여 도통부재가 콘택트의 두께 방향에 접촉가능하면서 콘택트의 열을 도통부재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두께 방향의 양면에 대하여, 한 쌍의 도통부재가 접촉하는 금속제의 탄성 변형 가능한 콘택트를 가진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지지편과, 해당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일방향의 길이가 상기 탄성지지편보다 짧은 연결편과, 해당 연결편으로부터 해당 연결편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주연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일방향의 상기 도통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일방향의 길이가 상기 연결편보다 긴 일방향접촉편과, 상기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연결편과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타방향의 상기 도통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일방향의 위치가 상기 연결편과 동일한 타방향접촉편과, 상기 일방향접촉편의 상기 접촉부의 근방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플러그삽입공을 가진 상기 일방향의 도통부재로 구성된 금속제의 베이스부재 및 해당 플러그 삽입공 내에 설치된 해당 플러그 삽입공의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상기 콘택트로 구성된 금속제의 리셉터클콘택트를 가진 리셉터클커넥터와, 외주면이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을 이루면서 상기 플러그삽입공 및 상기 리셉터클콘택트 내에 대해서 삽입가능하면서 상기 타방향의 도통부재로 구성된 금속제의 플러그콘택트를 가진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콘택트가 상기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면서 상기 탄성지지편이 위치하는 가상의 원통면보다도 내주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편과, 상기 접촉부가 상기 리셉터클콘택트 내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콘택트와 접촉되는 상기 일방향접촉편으로 구성된 플러그콘택트접촉편과, 상기 가상의 원통면보다도 외주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플러그삽입공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기 타방접촉편으로 구성된 삽입공접촉편을 구비하여도 좋다.
삭제
또한, 상기 콘택트가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과, 상기 각 탄성지지편에 돌출된 복수의 상기 연결편과, 상기 타방향접촉편과 상기 연결편에 돌출된 복수의 상기 일방향접촉편을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연결편의 일부 및 상기 일방향접촉편의 일부는 자신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지지편보다도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일방향에 위치되며, 나머지 상기 연결편 및 나머지 상기 일방향접촉편은 자신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지지편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향에 위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콘택트가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1탄성지지편군과, 해당 제1탄성지지편군과는 상기 일방향 위치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2탄성지지편군을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에 지지된 상기 일방향접촉편은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보다도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일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에 지지된 상기 일방향접촉편은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보다도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타방향에 위치되어도 좋다.
아울러, 상기 콘택트가 제1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1탄성지지편군과, 해당 제1탄성지지편군과는 상기 일방향 위치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2탄성지지편군을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과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탄성지지편과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을 접속하도록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과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탄성지지편보다 강성이 높은 타이 바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연결편과 상기 일방향접촉편으로 구성된 일체물이 상기 타방향접촉편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의 길이가 긴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콘택트의 연결편과 타방향접촉편의 일방향(탄성지지편의 길이방향)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다. 즉, 일방향접촉편에서 타방향접촉편까지의 거리가 짧다.
이 때문에 콘택트와 일방향의 도통부재의 접점에서 발열한 열 및 콘택트에서 발열한 열을 타방향의 도통부재측으로 효율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분해상태의 리셉터클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스탬핑 가공 직후의 리셉터클콘택트의 평면도.
도 6은 원통형상으로 완곡시켰을 때의 리셉터클콘택트의 사시도.
도 7은 리셉터클콘택트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리셉터클커넥터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Ⅳ-Ⅸ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ΧΙ-Χ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ⅩΙΙ선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3은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의 도 9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14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의 도 10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15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의 도 11에 대응되는 도면.
도 16은 변형예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역시, 이하의 설명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내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제1케이블(21)과 제2케이블(60)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플러그커넥터(14) 및 리셉터클커넥터(25)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커넥터(14)는 금속(도전성재료)으로 구성된 일체 성형품인 플러그콘택트(15)(도통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콘택트(15)는 전후방향(일방향)으로 연장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접속부(16)와, 접속부(16)의 일방향의 단부에 접속되는 접속부(16) 보다 대경의 환상플랜지부(17)와, 환상플랜지부(17)에서 접속부(16)와 반대측으로 연장된 원주상접촉부(18)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원주상접촉부(18)는 접속부(16)와 동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외주면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주상접촉부(18)의 선단부의 외주면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테이퍼면(19)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콘택트(15)에는 제1케이블(21)의 일단이 접속된다. 제1케이블(21)은 도전성 및 가요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된 심선(22)(연선과 단선)의 표면을 가요성을 가진 절연튜브(23)로 피복한 것이다. 제1케이블(21)은 심선(22)의 일방향의 단부를 노출시켜 접속부(16)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심선(22)의 일방향의 단부는 접속부(16)를 내주측에 소성변형(코킹)되어 접속부(16)의 내주면에 접합(압착)된다. 접속부(16)(압착부분)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직사각형, 원형 혹은 타원도 무방하며, 심선(22)의 굵기와 플러그콘택트(15)에 의한 제1케이블(21)의 설정지지력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플러그콘택트(15)와 제1케이블(21)을 연결한 후에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수지와 고무로 구성된 절연성의 플러그인슐레이터(24)에 플러그콘택트(15)를 일체화시켜 플러그커넥터(14)를 구성한다. 플러그인슐레이터(24)와 플러그콘택트(15)를 일체화하는 것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플러그인슐레이터(24)를(플러그콘택트(15)에) 조립하거나, 플러그인슐레이터(24)를(플러그콘택트(15)에) 아웃서트 성형하여 가능하다.
리셉터클커넥터(25)는 베이스부재(26), 캡(35), 리셉터클콘택트(40) 및 리셉터클인슐레이터(62)를 구비한다.
베이스부재(26)(도통부재)는 금속(도전성 재료)로 구성된 일체성형품으로서, 전후방향(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부재(26)는 대경통상체(27)와 상기 대경통상체(27)와 동축을 이루면서 대경통상체(27) 보다 소경의 소경통상체(28)로 구성된다. 대경통상체(27)의 단면에는 베이스부재(26)의 상기 축선을 따라서 소경통상체(28)측으로 연장된 플러그삽입공(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삽입공(29)의 안쪽(소경통상체(28)측)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내주면에는 플러그삽입공(29)보다 일단경이 큰 환상요부로 구성된 콘택트지지요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통상체(27)의 선단부는 대경통상체(27)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소경이며, 해당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통상체(28)의 단면에는 베이스부재(26)의 상기 축선을 따라서 대경통상체(27)측으로 연장된 케이블접속용요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캡(35)은 금속(도전성재료)로 구성된 일체성형품이다. 캡(35)의 중심부에는 베이스부재(26)의 상기 축선을 따라서 연장된 단부공(36)이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공(36)의 내경은 콘택트지지요부(30)의 내경보다 작고 플러그삽입공(29)의 내경과 동일하다. 캡(35)은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돌출부(37)를 구비하고 있으며 환상돌출부(37)의 내주면에 암나사구(38)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콘택트(40)(콘택트)는 스프링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과 콜슨계 동합금의 얇은판(평판)을 금형(도시생략)을 이용하여 도 5의 형상(평판형상)이 되도록 스탬핑 가공한 것이다. 리셉터클콘택트(40)는 도 5의 형상으로 가동된 후에 표면 전체에 도금(예를 들어 은도금, 석동도금, 금도금 등)이 시행된다.
도 5(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콘택트(40)는 서로 평행한 3개의 타이 바(41)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핑 가공 직후에 각 타이 바(41)는 직선형태를 이룬다(각 타이 바(41)는 동일측 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리셉터클콘택트(40)는 인접한 타이 바(41)들과 접속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6개)의 탄성지지편(42)을 구비하고 있다. 각 탄성지지편(42)은 서로 평행하며, 각 타이 바(4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시한 것처럼 각 탄성지지편(42)의 폭은 타이 바(41)의 폭보다 좁다. 탄성지지편(42)은 타이 바(41)의 길이방향(제1방향)을 따라서 늘어선 8개의 탄성지지편(42)으로 구성된 제1탄성지지편군(43)과, 타이 바(41)의 길이방향(제2방향)을 따라서 늘어선(제1탄성지지편군(43)과는 타이 바(41)에 대한 직교방향의 위치가 다르다) 8개의 탄성지지편(42)으로 구성된 제2탄성지지편군(44)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탬핑가공 과정에서 제1탄성지지편군(43)은 축선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비틀어지고, 제2탄성지지편군(44)은 축선을 중심으로 타방향(제1탄성지지편군(43)의 비틀림 방향과 반대측)을 향해 제1탄성지지편군(43)의 비틀림양(비틀림 각)과 동일한 양만큼 비틀리게 된다.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일방향(도 5의 우측)의 측면에는 제1탄성지지편군(43)(탄성지지편(42))의 길이방향(상기 일방향)이 제1탄성지지편군(43) 보다 짧은 제1연결편(46)(연결편)이 돌출된다. 또한, 각 제1연결편(46)에는 각 제1연결편(46)에서 제1탄성지지편군(43)으로 돌출된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반원형상의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플러그콘택트접촉편)(일방향접촉편)이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은 제1탄성지지편군(43)(탄성지지편(42))으로의 길이방향(상기 일방향)이 제1연결편(46)보다 길다. 도시한 것처럼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과 제1탄성지지편(43)(탄성지지편(42))과의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1)과 대응되는 제1탄성지지편군(43) 사이에는 제1탄성지지편군(43)과 평행한 2개의 제1슬릿(4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의 외주연부의 중앙부에는 제1연결편(46)측으로 향하여 연장된 제1이물제거용슬릿(49)(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의 외주연부(외주측의 원호상부분 및 제1이물제거용슬릿(49)이 형성된 부분)는 단면원호상에 가공된다. 또한 제1탄성지지편군(43)의 타방향(도 5의 좌측)의 측면에는 제1삽입공접촉편(51)(삽입공 접촉부)(타방향 접촉부)이 제1연결편(46)과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제1삽입공접촉편(51)은 제1탄성지지편군(43)(탄성지지편(42))으로의 길이방향(상기 일방향)이 제1연결편(46)과 동일(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보다 짧다)하며, 해당 길이방향(상기 일방향)의 위치는 제1연결편(46)과 동일하다.
제1탄성지지편군(43)에 설치된 제1연결편(46),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1삽입공 접촉편(51) 및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제1연결편(46)과 제1삽입공접촉편(51)의 사이에 위치한 부위는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제1연결편(46)과 제1삽입공접촉편(5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와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강성이 높고, 제1연결편(46),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제1연결편(46)과 제1삽입공접촉편(5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부분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탄성지지편군(43)이 상기와 같이 비틀어져 있으므로, 제1연결편(46),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제1연결편(46)과 제1삽입공접촉편(5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해당 부위는 각 타이 바(41)(가 위치하는 일측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7 참조). 또한 제1연결편(46)과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으로 구성된 일체물의 방향은 제1삽입공접촉편(51)에 비하여, 제1탄성지지편군(43)의 길이방향의 길이 보다 직교방향의 길이가 길다.
한편, 제2탄성지지편군(44)은 제1연결편(46),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1슬릿(48) 및 제1삽입공접촉편(51)과 정중앙 타이 바(41)에 대하여 각각 대칭을 이루는 제2연결편(53)(연결편),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플러그콘택트 접촉편)(일방향 접촉편), 제2이물제거용슬릿(56)(슬릿) 및 제2삽입공접촉편(58)(삽입공 접촉편)(타방향 접촉편)이 설치되어 있다.(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에 대응되는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사이에는 제2탄성지지편군(44)과 평행인 2개의 제2슬릿(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연결편(53)과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으로 구성된 일체물의 방향은 제2삽입공접촉편(58)에 비하여 제2탄성지지편군(4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의 길이가 길다.
제2탄성지지편군(44)에 설치된 제2연결편(53),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 제2삽입공접촉편(58)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연결편(53)과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는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2연결편(53)과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와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강성이 높고, 제2연결편(53),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 제2삽입공접촉편(58)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2연결편(53)과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부분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탄성지지편군(44)이 상기와 같이 비틀어져 있으므로 제2연결편(53),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 제2삽입공접촉편(58)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2연결편(53)과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해당 부위는 각 타이 바(41)(가 위치하는 일측 평면)에 대하여(제1연결편(46),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제1연결편(46)과 제1삽입공접촉편(5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부분과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7 참조).
이상 구성의 리셉터클콘택트(40)는 도시를 생략한 치구 등에 의해 도 6에 표시된 원통형상(리셉터클콘택트(40)의 주변 방향의 양단부가 이격된 단면 C자 형상) (이 원호 형상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원호 형상"에 포함된다)에 완곡(탄성변형)된다. 그러면 제1연결편(46) 및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은 리셉터클콘택트(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면서 각 타이 바(41) 및 각 탄성지지편(42)이 위치하는 가상의 원통면보다 내주측(리셉터클콘택트(40)의 두께방향 중 일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제1삽입공접촉편(51)은 해당 가상의 원통면보다 외주측(리셉터클콘택트(40)의 두께방향 중 타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연결편(53) 및 제2플러그콘택트 접촉편(54)는 리셉터클콘택트(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면서 각 타이 바(41) 및 각 탄성지지편(42)가 위치하는 상기 가상의 원통면보다 내주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2삽입공접촉편(58)은 해당 가상의 원통면보다 외주측에 위치하게 된다.
원통형상의 리셉터클콘택트(40)의 바깥지름은 상기 치구 등을 이용하여 리셉타큰커넥터(25)의 콘택트지지요부(30)(및 플러그 삽입구(29))의 안지름보다 조금 크게 만든다(이하, "상태 A"로 한다). 이어서 손과 치구 등을 이용하여 원통형상의 리셉터클콘택트(40)의 지름 방향 길이를 작게 만들면서 리셉터클콘택트(40)를 플러그삽입공(29) 내의 콘택트지지요부(30)에 대응하는 부위에 삽입한 다음 리셉터클콘택트(40)에 가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리셉터클콘택트(40)가 자기 탄성복귀력에 의해 외주측으로 넓어진다(상기 상태 A로 돌아가려고 한다). 이로 인하여 리셉터클콘택트(40)의 각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각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선단부(58)가 콘택트지지요부(30)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리셉터클콘택트(40)의 외주측으로의 변형이 규제된다(도 10, 도 14 참조). 또한, 가장 소경통상체(28) 측에 위치하는 타이 바(41)가 콘택트지지요부(30)의 소경통상체(28)측의 단면과 결합되므로 리셉터클콘택트(40)는 보다 큰 소경통상체(28)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리셉터클콘택트(40)가 베이스부재(26)의 플러그삽입공(29)(콘택트지지요부(30))에 장착되면(리셉터클콘택트(40)에 의해 구성된 원통형상의 중심축이 플러그삽입공(29)의 축선과 일치되면), 캡(35)의 암나사구(38)를 대경통상체(27)의 수나사구(31)에 체결시켜 대경통상체(27)의 상기 선단부에 캡(35)을 고정상태로 씌운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26), 캡(35) 및 리셉터클콘택트(40)를 상호 일체화하여 리셉터클콘택트(25)를 구성하면, 상기와 같이 단부공(36)의 안지름이 콘택트지지요부(30)의 안지름보다 작으므로(플러그 삽입공(29)의 안지름과 동일), 리셉터클콘택트(40)의 단부공(36)에서의 빠짐이 규제된다.
베이스부재(26)에는 제1케이블(21)과 같은 구조인 제2케이블(6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제2케이블(60)은 절연튜브(23)의 일방향의 단부가 절단되어 심선(22)의 일방향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심선(22)의 일방향의 단부가 케이블접속용요부(32)에 삽입되어 소경통상체(28)가 내주측에 소성변형(코킹)되면서 케이블접속용요부(32)의 내주면과 심선(22)의 일방향의 단부는 접합(압착)된다. 소경통상체(28)(압착부분)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직사각형, 원형 혹은 타원 등 이어도 무방하고, 심선(22)의 굵기와 케이블접속용요부(32)에 의한 제2케이블(60)의 설정지지력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베이스부재(26)와 제2케이블(60)을 결선한 후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지와 고무로 구성된 절연성의 리셉터클인슐레이터(62)에 베이스부재(26), 캡(35) 및 리셉터클콘택트(40)로 구성된 일체물을 일체화시켜 리셉터클커넥터(25)를 구성한다. 리셉터클인슐레이터(62)의 베이스부재(26), 캡(35) 및 리셉터클콘택트(40)로 구성된 일체물을 일체화하는 것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리셉터클인슐레이터(62)(해당 일체물에)를 구성하거나, 리셉터클인슐레이터(62)를(해당일체물에) 아웃서트 성형하여 가능하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커넥터(25)의 단부공(36)을 통하여 플러그콘택트(15)의 원주상접촉부(18)가 플러그삽입공(29) 내 및 리셉터클콘택트(4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환상플랜지부(17)가 캡(35)의 단면에 접촉되면 플러그커넥터(14)와 리셉터클커넥터(25)가 서로 접속된다.
플러그콘택트(15)의 원주상접촉부(18)가 리셉터클콘택트(40)(의 내부)로 삽입되면 원주상접촉부(18)(의 내주면)가 리셉터클콘택트(40)의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의 외주면의 중앙부(접촉부, 제1이물제거용슬릿(49)과 제2이물제거용슬릿(56)의 근방부)에 접촉되면서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콘택트접촉편(54)를 외주측(베이스부재(26)의 콘택트지지요부(30)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이 자기의 축선방향으로(리셉터클커넥터(25)에 플러그콘택트(15)가 삽입되지 않은 비삽입상태에 비하여 비틀림 각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꼬여서,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이 해당 꼬임을 원상복귀(상기 비삽입상태의 비틀림 각을 되돌리려고 하는)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반력이 발생하므로, 원주상 접촉부(18)와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이 강한 접촉압력을 동반하면서 서로 접촉한다. 그 결과, 제1케이블(21)과 제2케이블(60)은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상기 비틀림 때문에 각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각 제2삽입공접촉편(58)과 콘택트지지요부(30)의 내면과의 접촉압력은 높아진다.
원주상접촉부(18)와 리셉터클콘택트(40)가 통전되면 원주상접촉부(18)와 리셉터클콘택트(40)가 발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주상접촉부(18)와 리셉터클콘택트(40)(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의 접점에서 발열하며, 리셉터클콘택트(40)는 자신의 도체저항으로 인하여 발열한다.
원주상접촉부(18)과 리셉터클콘택트(40)(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의 접점에서 발열한 열 및 리셉터클콘택트(40)에서 발열한 열은 리셉터클콘택트(40)의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에서 제1연결편(46) 및 제2연결편(53)을 사이에 두고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1연결편(46), 제2연결편(53)에 접속되는 부위)에 전해지며,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1연결편(46), 제2연결편(53)에 접속되는 부위)에서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2삽입공접촉편(58)으로 전해진다. 그리고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2삽입공접촉편(58)에서 콘택트지지요부(30)의 내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열이 베이스부재(26)에 전해진다.
또한, 베이스부재(26)(의 콘택트지지요부(30))와 리셉터클콘택트(40)(제1삽입공접촉편(51),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접점에서 발열한 열 및 리셉터클콘택트(40)에서 발생한 열은 리셉터클콘택트(40)의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2삽입공접촉편(8)에서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1연결편(46), 제2연결편(53)에 접속되는 부위)를 사이에 두고 제1연결편(46) 및 제2연결편(53)으로 전해지며,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에서 원주상접촉부(18)로 전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콘택트(40)은 제1연결편(46) 및 제2연결편(53)과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으로의 길이방향(일방향)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에서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2삽입공접촉편(58)까지의(리셉터클콘택트(40)의 원주방향의) 거리가 짧다. 이 때문에, 원주상접촉부(18)와 리셉터클콘택트(40)(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제 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의 접점에서 발열한 열, 베이스부재(26)(의 콘택트지지요부(30))와 리셉터클콘택트(40)(제1삽입공접촉편(51),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접점에서 발열한 열 및 리셉터클콘택트(40)에서 발열한 열은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 제1연결편(46) 및 제2연결편(53),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1연결편(46), 제2연결편(53)에 접속되는 부위) 또는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2삽입공접촉편(58)을 사이에 두고 콘택트지지요부(30)(베이스부재(26))측과 플러그콘택트(19)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열된다.
또한, 플러그콘택트(14)와 리셉터클커넥터(25)가 접속될 때, 원주상접촉부(18)가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원주상접촉부(18)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미소한 이물(먼지, 티끌 등)이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의 상기 접촉부에 의해 제거되며, 제거된 이물은 제1이물제거용슬릿(49) 및 제2이물제거용슬릿(56)을 통해서 콘택트지지요부(30)측(리셉터클콘택트(40)의 외주측)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플러그커넥터(14)와 리셉터클커넥터(25)가 완전하게 접속될 때 (환상플랜지부(17)가 캡(35)의 단면에 접속되었을 때), 원주상접촉부(18)의 청정한 부위(이물이 제거된 부위)에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이 접촉되기 때문에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과 원주상접촉부(18)는 확실하게 접촉(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콘택트(40)는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과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슬릿(48) 및 제2슬릿(55)을 가지고 있으므로(제1연결편(46) 및 제2연결편(53)보다도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측이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길이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각 탄성지지편(42)(제1탄성지지편군(43),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1연결편(46) 및 제2연결편(53)과 접촉하고 있는 부위를(제1슬릿(48) 및 제2슬릿(55)을 구비하지 않고,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 전체를 탄성지지편(42)에 접속한 경우에 비하여)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각 탄성지지편(42)(제1탄성지지군(43), 제2탄성지지편군(44))이 쉽게 꼬여지므로, 플러그커넥터(14)와 리셉터클커넥터(25)가 접속될 때의 각 탄성지지편(42)(제1탄성지지편군(43),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커넥터(14)와 리셉터클커넥터(25)를 접속했을 때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원주상접촉부(18)의 지름의 차이와 원주상접촉부(18)의 리셉터클콘택트(40)에 대한 축의 어긋남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의 길이가 제1연결편(46)과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으로 구성된 일체물측이 제1삽입공접촉편(51)에 비해 길고, 제2연결편(53)과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으로 구성된 일체물측이 제2삽입공접촉편(58)에 비해 길다. 이 때문에(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의 길이가 제1연결편(46)과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로 구성된 일체물측이 제1삽입공접촉편(51)에 비하여 짧고, 제2연결편(53)과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으로 구성된 일체물측이 제2삽입공접촉편(58)과 비교하여 짧은 경우와 비교해서), 플러그커넥터(14)와 리셉터클커넥터(25)를 접속했을 때에 제1연결편(46)과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으로 구성된 일체물 및 제2연결편(53)과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으로 구성된 일체물의 원주상접촉부(18)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을 접속부(16)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연결편(46), 제2플러그콘택트접촉부(47), 제1삽입공접촉편(51) 및 제1탄성지지편군(43)의 제1연결편(46)과 제1삽입공접촉편(5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부분과, 제2연결편(53),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 제2삽입공접촉편(58)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제2연결편(53)과 제2삽입공접촉편(58)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로 구성된 해당 부위가 서로 반대측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 결과, 양자를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원주상접촉부(18)에는 리셉터클콘택트(40)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또는 균등하게 힘이 미치기 때문에 역학적인 밸런스가 향상한다. 따라서, 리셉터클콘택트(40)에 의한 원주상접촉부(18)의 센터링기능(리셉터클콘택트(40)에 원주상접촉부(18)가 축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삽입되거나, 리셉터클콘택트(40)에 원주상접촉부(18)가 경사진 상태로 삽입된 경우는 원주상접촉부(18)가 리셉터클콘택트(40)에 동일 축 상태를 이루려고 하는 기능, 리셉터클콘택트(40)에 원주상접촉부(18)가 동일 축 상태로 삽입된 경우는 동일 축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양자를 동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은 원주상접촉부(18)에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지지편군(43)과 제2탄성지지편군(44)는 직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제1탄성지지편군(43)과 제2탄성지지편군(44)의 사이에(3개의 타이 바(41)의 사이에서 정중앙에 위치하는) 타이 바(41)가 위치되어 있고, 각 타이 바(41)가 각 탄성지지편(42)(제1탄성지지편군(43), 제2탄성지지편군(44))보다 광폭이기 때문에, 각 타이 바(41)의 강성은 각 탄성지지편(42) 보다 높다. 이 때문에 플러그커넥터(14)와 리셉터클커넥터(25)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제1탄성지지편군(43) 및 제2탄성지지편군(44)이 상기 비삽입상태에서 비틀어지더라도 각 타이 바(41)는 변형되지 않는다. 즉, 제1탄성지지편군(43)과 제2탄성지지편군(44)에 발생한 탄성력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제1탄성지지편군(43)과 제2탄성지지편군(44)의 비틀림 각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제1탄성지지편군(43)과 제2탄성지지편군(44)을 직교 접속한 경우와 비교하여), 각 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47) 및 각 제2플러그콘택트접촉편(54)을 원주상접촉부(18)에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를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콘택트(40)의 탄성지지편(42)은 1열(제1탄성지지편군(43) 또는 제2탄성지지편군만)이어도 무방하고, 3열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리셉터클콘택트(40)에서 제1이물제거용슬릿(49)과 제2이물제거용슬릿(56)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콘택트(40)을 베이스부재(26)에 장착했을 때에, 리셉터클콘택트(40)가 완전한 원통형상 (리셉터클콘택트(40)의 주변 방향의 양단부가 접촉하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커넥터(10)가 제1케이블(21) 및 제2케이블(60)과는 별개의 접속대상물에 접속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플러그콘택트(15)와 리셉터클커넥터(25)를 서로 별체의 회로기판에 각각 접속시켜 플러그콘택트(15)와 리셉터클커넥터(25)가 접속되도록 하여 두개의 회로기판들을 도통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평판상콘택트(65)(도 5에 도시된 평판형상의 리셉터클콘택트(40)와 동일한 구조)를 금속으로 구성된 제1평판(67)과 제2평판(68)의 접속에 이용해도 좋다.
10...커넥터 14...플러그커넥터
15...플러그콘택트(도통부재) 16...접속부
17...환상플랜지부 18...원주상접촉부
19...테이퍼 21...제1케이블
22...심선 23...절연튜브
24...플러그인슐레이터 25...리셉터클 커넥터
26...베이스부재(도통부재) 27...대경통상부
28...소경통상부 29...플러그삽입공
30...콘택트지지요부 31...수나사구
32...케이블접속용요부 35...캡
36...단부공 37...환살돌부
38...암나사구 40...리셉터클콘택트(콘택트)
41...타이 바 42...탄성지지편
43...제1탄성지지편군 44...제2탄성지지편군
46...제1연결편(연결편)
47...제1플러그콘택트접촉편(플러그콘택트접촉편)(일방향접촉편)
48...제1슬릿 49...제1이물제거용슬릿(슬릿)
51...제1삽입공접촉편(삽입공접촉편)(타방향접촉편)
53...제2연결편(연결편)
54...제2플러그콘택트연결편(플러그콘택트접촉편)
55...제2슬릿 56...제2이물제거용슬릿(슬릿)
58...제2삽입공접촉편(삽입공접촉편)(타방향접촉편)
60...제2케이블 62...리셉터클인슐레이터
65...평판상콘택트(콘택트) 67...제1평판(토통부재)
68 제2평판(도통부재)

Claims (8)

  1. 두께 방향의 양면에 대하여, 한 쌍의 도통부재가 접촉하는 금속제의 탄성 변형 가능한 콘택트를 가진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가
    일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지지편과,
    해당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두께 방향의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일방향의 길이가 상기 탄성지지편보다 짧은 연결편과,
    해당 연결편으로부터 해당 연결편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주연부에 형성된 접촉부가 일방향의 상기 도통부재와 접촉되고 상기 일방향의 길이가 상기 연결편보다 긴 일방향접촉편과,
    상기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연결편과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타방향의 상기 도통부재에 접촉되며 상기 일방향의 위치가 상기 연결편과 동일한 타방향접촉편과,
    상기 일방향접촉편의 상기 접촉부의 근방에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 플러그삽입공을 가진 상기 일방향의 도통부재로 구성된 금속제의 베이스부재 및 해당 플러그 삽입공 내에 설치된 해당 플러그 삽입공의 축선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상기 콘택트로 구성된 금속제의 리셉터클콘택트를 가진 리셉터클커넥터와,
    외주면이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을 이루면서 상기 플러그삽입공 및 상기 리셉터클콘택트 내에 대해서 삽입가능하면서 상기 타방향의 도통부재로 구성된 금속제의 플러그콘택트를 가진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콘택트가
    상기 탄성지지편에서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면서 상기 탄성지지편이 위치하는 가상의 원통면보다도 내주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편과,
    상기 접촉부가 상기 리셉터클콘택트 내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콘택트와 접촉되는 상기 일방향접촉편으로 구성된 플러그콘택트접촉편과,
    상기 가상의 원통면보다도 외주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플러그삽입공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기 타방접촉편으로 구성된 삽입공접촉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콘택트가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과,
    상기 각 탄성지지편에 돌출된 복수의 상기 연결편과,
    상기 타방향접촉편과 상기 연결편에 돌출된 복수의 상기 일방향접촉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일부 및 상기 일방향접촉편의 일부는 자신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지지편보다도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일방향에 위치되며,
    나머지 상기 연결편 및 나머지 상기 일방향접촉편은 자신을 지지하는 상기 탄성지지편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상기 타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콘택트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1탄성지지편군과, 해당 제1탄성지지편군과는 상기 제1방향 위치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2탄성지지편군을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에 지지된 상기 일방향접촉편은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보다도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에 지지된 상기 일방향접촉편은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보다도 상기 두께방향의 상기 타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콘택트는 제1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1탄성지지편군과, 해당 제1탄성지지편군과는 상기 제1방향 위치가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상기 탄성지지편으로 구성된 제2탄성지지편군을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과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탄성지지편과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을 접속하도록 상기 제1탄성지지편군과 상기 제2탄성지지편군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탄성지지편보다 강성이 높은 타이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과 상기 일방향접촉편으로 구성된 일체물이 상기 타방향접촉편보다도 상기 일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의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30135456A 2013-09-02 2013-11-08 커넥터 KR101500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1341 2013-09-02
JP2013181341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716B1 true KR101500716B1 (ko) 2015-03-09

Family

ID=5258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5456A KR101500716B1 (ko) 2013-09-02 2013-11-08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0716B1 (ko)
WO (1) WO2015029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1722B1 (en) * 2016-02-23 2020-04-2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ontact stud and contact assembly in particular for car technology
CN106129680A (zh) * 2016-08-24 2016-11-16 梁宇庆 连接器及其簧片
CN107732508A (zh) * 2017-11-16 2018-02-23 资阳中车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金属连接器插孔连接件及制作方法
CN116581578B (zh) * 2023-07-13 2024-03-15 深圳市格瑞达电力连接器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5275A (ja) * 2006-11-28 2008-06-12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JP2012238500A (ja) * 2011-05-12 2012-12-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JP2013008511A (ja) * 2011-06-23 2013-01-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710Y1 (ko) * 1971-08-26 1976-03-08
US4191445A (en) * 1976-01-16 1980-03-04 Multilam Corporation Louvered electrical connector
US5147229A (en) * 1989-12-11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igh current electrical connector
JP5732330B2 (ja) * 2011-06-27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5275A (ja) * 2006-11-28 2008-06-12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JP2012238500A (ja) * 2011-05-12 2012-12-0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ンタクトエレメント及びコネクタ
JP2013008511A (ja) * 2011-06-23 2013-01-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9731A1 (ja)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1090B1 (en) Press-fit terminal, connector incorporating same, press-fit terminal continuum, and body wound with press-fit terminal continuum
US10008800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472272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00716B1 (ko) 커넥터
US7931507B2 (en) Conductive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the conductive terminal assembly
US76286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ing terminal used therein
US20130115810A1 (en) Coaxial connector plug
EP3007276B1 (en) Single element connector
JP2019220325A (ja) コネクタ装置
US9831581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allowing repeated insertion and removal of a wire
US20140213107A1 (en) Coaxial connector
CN110364842B (zh) 导电端子和连接器
US734441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8163814A1 (ja) 雄端子
JP6155820B2 (ja)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ネクタ端子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7122116B2 (ja) 同軸コネクタ
EP1710865A2 (en)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assembly
US9231325B2 (en) Electrical contact with male termination end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dimension
JP2009059569A (ja) 差込みプラグ
JP6577416B2 (ja) 感電防止構造及び該構造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4111172A (ja) プレスフィットピン
JP3186949U (ja) 電気コネクタ
US1114599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8022644A (ja) 端子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