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322B1 -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322B1
KR101500322B1 KR1020130093258A KR20130093258A KR101500322B1 KR 101500322 B1 KR101500322 B1 KR 101500322B1 KR 1020130093258 A KR1020130093258 A KR 1020130093258A KR 20130093258 A KR20130093258 A KR 20130093258A KR 101500322 B1 KR101500322 B1 KR 10150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information
offic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246A (ko
Inventor
강종대
배병우
이성진
김병화
이소현
김진경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3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차량의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요금징수를 수행할 때 통신오류가 발생된 차량의 전자카드를 직접 삽입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하여 통신오류가 발생하거나 차량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 전자 요금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GPS 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영업소 이외에서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사용을 방지하여 요금면탈 등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입구정보 기록시 차량을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입구정보의 기록오류가 발생된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PORTABLE ELECTRONIC TOLL COLL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요금 징수를 수행할 때 통신오류가 발생된 차량의 전자카드를 직접 삽입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GPS 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영업소 이외에서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패스 시스템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통행료 지불을 위해 정차하지 않고 주행중인 상태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통행료를 지불하는 전자 요금징수 시스템이다. 최근 고속도로 통행 차량의 급격한 증가로 고속도로 영업소의 부근에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해 고속도로 톨게이트 부근은 극심하게 정체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도로 톨게이트 부근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용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하이패스 시스템은 차량이 유료도로의 진,출입구에 설치된 영업소를 통과할 때 정차하지 않고 달리는 상태에서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요금징수를 위한 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고, 영업소의 적절한 곳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에서 하이패스 단말기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요금징수를 위한 정보를 수신 받아 요금징수 기능을 처리하는 차로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47065호(2009. 05. 12. 공개, 발명의 명칭 : 통합형 차로제어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주행상태에서 요금을 자동으로 정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으나, 차로제어기가 고장 나거나, 하이패스 시스템을 점검하거나 또는 도로 보수 공사 등을 할 경우에는 해당 차로의 차로제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요금징수를 수행할 때 통신오류가 발생된 차량의 전자카드를 직접 삽입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PS 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영업소 이외에서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에는 동작모드 및 초기값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영업소에 대한 영업소 번호와 요금징수를 위한 요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모듈;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동작모드에 따라 등록된 영업소 번호를 기반으로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고 인터페이스부에 전자카드가 삽입될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여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도록 하고, 카메라부에 셔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스타트키;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인터페이스부는 메모리슬롯, 스마트카드 슬롯과 I/O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때 차량번호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와 촬영된 시간을 기준으로 저장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저장부에 등록할 뿐만 아니라 등록된 영업소 번호의 사용을 제한하고, 설정주기 단위로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와 등록된 영업소 번호에 따른 영업소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영업소 번호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제한하고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 및 제어부의 상태정보 표시와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LCD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요금정보는 입구영업소와 출구영업소 간 요금테이블, 할인/할증테이블과 분실도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는 차량의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요금징수를 수행할 때 통신오류가 발생된 차량의 전자카드를 직접 삽입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하여 통신오류가 발생하거나 차량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 전자 요금징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PS 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영업소 이외에서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사용을 방지하여 요금면탈 등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면서 차량을 촬영하여 저장함으로써 입구정보의 기록오류가 발생된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제어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전자카드의 삽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는 본체부(10)와 손잡이부(14)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미도시)와 근거리 전용 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 DSRC)을 수행하여 입구 영업소에서는 전자카드(45)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고, 출구 영업소에서는 전자카드(45)에 기록된 입구정보를 읽어와 요금징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정보는 본 발명의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운용하는 영업소에 대한 영업소 정보와 차로 정보, 시간 정보 및 차종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요금징수를 위해서는 입구영업소와 출구영업소 간 요금테이블, 할인/할증테이블 및 분실도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업소 정보는 입구영업소와 출구영업소의 영업소 번호와 영업소 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영업소 번호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함에 따라, 설정된 영업소 이외에서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사용을 방지하여 요금면탈 등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주차장 등에서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운영할 경우에는 입차시 입차 시간을 기록하고, 출차시 입차 시간을 읽어와 출차 시간과의 요금테이블에 따라 요금징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케이스(11)의 전면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전면창(13)과, 외부 물체와의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12)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가 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전면창(13)은 본체부(10) 내부에 설치된 무선통신모듈(60)이 차량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방된 불투명창으로 형성된다.
쿠션부(12)는 본체부(10)를 내려놓거나 거치할 때 전면창(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창(13)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의 전면 가장자리로 다수 곳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부(10)의 후면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동작 상태 및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와 동작모드 및 초기값을 입력받는 키입력부(20)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70)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동작상태 즉, 전원상태, 배터리 상태, RF 통신모듈의 작동상태, IR 통신모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72)과, 동작모드, 영업소 번호, 차종 등 각종 상태정보 표시와 카메라부(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LCD창을 포함하여 사용하면서 작동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부(20)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초기값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14)는 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4)는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4)의 상단에는 스타트키(22)가 구비되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부(50)에 셔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본체부(10) 하단에는 전원스위치(24)가 구비되어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부(10)의 측면에는 외부기기(미도시)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0)가 구비되어 외부기기(미도시)를 통해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영업소 번호 및 각종 설정을 변경하거나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40)에 전자카드(45)가 삽입될 경우 스타트키(22)가 작동되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전자카드(45)에 직접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자카드(45)에 직접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차량 단말기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할 때 또는 차량 단말기를 부착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도 전자카드(45)를 인터페이스부(40)에 삽입하여 전자 요금징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체부(10)의 전면에는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출구영업소에서 입구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차량에 대해 입구영업소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입구정보를 기록하면서 기록오류가 발생한 차량의 경우에도 요금 징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제어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는 본체부(10)와 손잡이부(14)를 포함하되, 본체부(10)에는 키입력부(20), 저장부(30), 무선 통신모듈(60), 제어부(100), 인터페이스부(40), 스타트키(22) 및 디스플레이부(70)를 비롯하여, 전원스위치(24), 음성출력부(80) 보안인증모듈(90), 카메라부(50), 차량번호 인식부(110) 및 GPS 수신부(12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20)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초기값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GPS 수신부(120)는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카메라부(50)는 영업소를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한다.
차량번호 인식부(110)는 카메라부(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제공한다.
저장부(30)는 영업소에 대한 영업소 번호와 요금징수를 위한 요금정보를 저장한다.
요금정보는 입구영업소와 출구영업소 간 요금테이블, 할인/할증테이블 및 분실도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GPS 수신부(120)가 설치된 경우 영업소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카메리부(50)가 설치된 경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저장부(3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경우 촬영된 시간, 영업소 번호 및 차량번호를 조합한 파일명으로 저장하여 출구영업소에서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모듈(60)은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모듈(60)은 차량 단말기와 RF 통신방식으로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는 RF 통신모듈(62)과 차량 단말기와 IR 통신방식으로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는 IR 통신모듈(64)을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방식은 차량 단말기의 통신 방식에 따라 선택된다.
즉, IR 통신모듈(64)은 Wake Up 신호와 BST(Bast Service Table)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RF 통신모듈(62)은 5.8GHz 안테나(미도시)를 통해서 차량 단말기가 반응할 수 있도록 프레임제어슬롯과 접속요구슬롯으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후, VST(Vehicle Service Table)가 수신되면, 이후 동작은 IR 통신방식만으로 수행되고, 반면에 접속요구슬롯에 차량 단말기가 액티베이션(Activation)하면 RF 통신방식의 통신만을 수행하며, 이 경우, IR 통신모듈(64)을 통한 Wake Up 신호와 BST 데이터 프레임 송신을 중단한다.
제어부(100)는 키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동작모드에 따라 등록된 영업소 번호를 기반으로 무선 통신모듈(60)을 통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입구정보의 기록 및 요금징수를 수행한다.
이때 카메라부(5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0)는 카메라부(50)를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차량번호 인식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촬영된 시간과 영업소 번호를 조합한 파일명으로 저장부(30)에 저장한다.
따라서, 출구영업소에서 요금 징수를 하기 위해 입구영업소를 검색할 때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와 진입한 시간을 기반으로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제어부(100)는 동작모드가 입구정보 기록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설정된 시간동안 무선 통신모듈(60)을 통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며, 통과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저장한다.
반면에 동작모드가 요금징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설정된 시간동안 무선 통신모듈(60)을 통해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단말기로부터 입구정보를 읽어와 저장부(30)에 저장된 요금정보를 기반으로 요금징수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GPS 수신부(120)가 설치된 경우 GPS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저장부(30)에 등록할 뿐만 아니라 등록된 영업소 번호의 사용을 제한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설정주기 단위로 GPS 수신부(5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와 등록된 영업소 번호에 따른 영업소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영업소 번호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제한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오남용 방지를 위해 설정주기 단위로 GPS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와 등록된 영업소 번호를 비교할 수도 있으며, 초기 전원이 인가될 때 영업소 번호의 사용 제한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트키(22)가 입력될 때마다 차량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전에 영업소 번호의 사용제한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0)는 제어부(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외부기기의 접속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40)는 메모리슬롯, 스마트카드 슬롯 및 I/O포트를 포함하여 외부기기를 통해 저장부(30)에 저장된 설정을 변경하거나, 저장부(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I/O포트를 통해 외부기기와 접속될 경우 외부기기로부터 보안 인증 처리를 수행한 프로그램을 통해 영업소 번호를 설정하고, 저장부(30)에 저장된 촬영된 영상 및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다운로드된 영상은 영업심사를 위해 서버로 전송되어 출구영업소에서 검색하여 입구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차량에 대해 요금 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모리카드나 스마트카드와도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데이터를 메모리카드나 스마트카드에 기록하거나 메모리카드나 스마트카드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40)의 스마트카드 슬롯에 차량 단말기에 삽입되는 전자카드(45)가 삽입될 경우, 제어부(100)는 스타트키(22)의 작동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전자카드(45)에 직접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자카드(45)에 직접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차량 단말기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할 때 또는 차량 단말기를 부착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도 전자카드(45)를 인터페이스부(40)에 삽입하여 전자 요금징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타트키(22)는 제어부(100)에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여 근거리 전용 통신이나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부(50)에 셔터 신호를 출력하여 통과 차량을 촬영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7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부(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70)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동작상태 즉, 전원상태, 배터리 상태, RF 통신모듈의 작동상태, IR 통신모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72)과, 동작모드, 영업소 번호, 차종 등 각종 상태정보 표시와 카메라부(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LCD창(74)을 포함하여 사용하면서 작동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14)는 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4)는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24)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출력부(8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80)는 각종 동작 상태에 따른 적절한 부저음과 효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현재 동작 상태 및 경고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안인증모듈(9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이용 및 요금 징수를 위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증한다.
이러한 보안인증모듈(90)에는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전자화폐단말기용 보안응용모듈(Purchase Secure Application Module ; PSAM)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를 작동시켜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설정상태 및 등록된 영업소 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S10).
이후, 디스플레이되는 영업소 번호를 확인 한 후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사용할 새로운 영업소 번호를 입력할 경우 영업소 번호를 입력받는다(S12)(S14).
영업소 번호는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외부기기(미도시)에서 입력할 수도 있고, 키입력부(20)를 통해 등록모드로 설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후 GPS 수신부(12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대기 모드로 전환된다(S26).
그러나, GPS 수신부(120)가 장착된 경우에는 영업소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업소 번호가 입력된 후에는 GPS 수신부(50)를 통해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6).
이후 영업소 번호에 해당하는 영업소의 위치와 GPS 수신부(5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허용범위 이내에 위치하는가를 판단한다(S18).
예를 들어, 영업소 번호로써 '101'이 설정된 경우 영업소 번호 '101'에 해당하는 위치정보 위도 37.365212와 경도 127.103378을 저장부(30)로부터 읽어온다. 그리고, GPS 수신부(5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영업소의 규모에 따라 설정된 허용범위 이내에 위치하는가 판단한다.
이때 허용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70)와 음성 출력부(80)를 통해 허용범위가 벗어났음을 경고하고(S20), 영업소 번호를 초기화하여 사용을 제한한다(S22).
그러나, 허용범위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입력된 영업소 번호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영업소 번호를 유지하고(S24), 사용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26).
이후, 제어부(100)는 스타트키(22)의 입력을 판단한다(S28).
스타트키(22)가 입력되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될 경우 무선 통신모듈(60)을 제어하여 차량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S30).
이때 카메라부(50)가 설치된 경우 카메라부(50)에 셔터 신호를 출력하여 설정시간 동안 통과차량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IR 통신모듈(64)을 제어하여 Wake Up 신호와 BST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RF 통신모듈(62)을 제어하여 5.8GHz 안테나를 통해서 차량 단말기가 반응할 수 있도록 프레임제어슬롯과 접속요구슬롯으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VST(Vehicle Service Table)가 수신되면, IR 통신방식만으로 단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된다. 반면에 접속요구슬롯에 차량 단말기가 액티베이션(Activation)하면, RF 통신방식의 통신만을 수행하며, 이 경우, IR 통신모듈(64)을 통한 Wake Up 신호와 BST 데이터 프레임 송신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의 전자카드(45)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전자카드(45)에 기록된 입구정보를 읽어 요금징수를 수행한다(S32).
또한, 카메라부(50)가 설치된 경우 제어부(100)는 입구정보를 기록하면서 촬영된 영상을 차량번호 인식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촬영된 시간과 영업소 번호를 조합한 파일명으로 저장부(30)에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70)와 음성 출력부(80)를 제어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70)와 음성 출력부(80)를 통해 입구정보가 정상적으로 기록된 상태를 표시하거나, 요금징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사용 대기모드(S26)에서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오남용 방지를 위해 설정주기 단위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6)로 리턴되어, GPS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와 등록된 영업소 번호를 비교하여 허용범위 이내에 위치하는가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 대기모드(S26)에서 인터페이스부(40)에 전자카드(45)가 삽입될 경우 직접 전자카드(45)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전자카드(45)에 기록된 입구정보를 읽어 요금징수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전자카드의 삽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 대기모드(S100)에서 인터페이스부(40)에 전자카드(45)가 삽입되었는가 판단한다(S102).
사용 대기모드는 영업소 번호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사용 대기모드에서 인터페이스부(40)에 전자카드(45)가 삽입되면 제어부(100)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104).
즉, 입구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모드인가? 요금징수를 위한 요금징수모드인가? 또는 일반 동작모드인가? 판단한다.
이때 일반 동작모드인 경우에는 해당 동작모드를 수행한다(S106).
그러나, 전자카드(45)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위한 요금징수모드인 경우에는 스타트키(22)의 입력상태를 판단한다(S108).
이때 스타트키(22)가 입력될 경우에는 전자카드(45)에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전자카드(45)로부터 입구정보를 읽어와 요금징수를 수행한다(S110).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전자카드(45)에 직접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할 경우에는 무선통신 모듈(6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요금징수를 수행할 때 통신오류가 발생된 차량의 전자카드를 직접 삽입하여 입구정보를 기록하거나 요금징수를 수행하여 통신오류가 발생하거나 차량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 전자 요금징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GPS 정보를 기반으로 영업소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영업소 이외에서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의 사용을 방지하여 요금면탈 등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케이스
12 : 쿠션부 13 : 전면창
14 : 손잡이부 15 : 배터리 수납부
20 : 키입력부 22 : 스타트키
24 : 전원스위치 30 : 저장부
40 : 인터페이스부 45 : 전자카드
50 : 카메라부 60 : 무선 통신모듈
62 : RF 통신모듈 64 : IR 통신모듈
70 : 디스플레이부 72 : 표시등
74 : LCD창 80 : 음성출력부
90 : 보안인증모듈 100 : 제어부
110 : 차량번호 인식부 120 : GPS 수신부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동작모드 및 초기값을 입력받는 키입력부;
    영업소에 대한 영업소 번호와 요금징수를 위한 요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상기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모듈;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동작모드에 따라 등록된 상기 영업소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기와 근거리 전용 통신을 수행하여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자카드가 삽입될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여 입구정보의 기록이나 요금징수를 수행하도록 하고, 카메라부에 셔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스타트키;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메모리슬롯, 스마트카드 슬롯과 I/O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통과하는 상기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때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차량번호와 촬영된 시간을 기준으로 저장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업소 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등록할 뿐만 아니라 등록된 상기 영업소 번호 사용을 제한하고, 설정주기 단위로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위치정보와 등록된 상기 영업소 번호에 따른 영업소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등록된 상기 영업소 번호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제한하고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 및 상기 제어부의 상태정보 표시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LCD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정보는 입구영업소와 출구영업소 간 요금테이블, 할인/할증테이블과 분실도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093258A 2013-08-06 2013-08-06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KR10150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58A KR101500322B1 (ko) 2013-08-06 2013-08-06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258A KR101500322B1 (ko) 2013-08-06 2013-08-06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246A KR20150017246A (ko) 2015-02-16
KR101500322B1 true KR101500322B1 (ko) 2015-03-10

Family

ID=5304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258A KR101500322B1 (ko) 2013-08-06 2013-08-06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79B1 (ko) * 2009-09-24 2011-04-1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공용 i/o 포트를 갖는 차량탑재장치
KR101077943B1 (ko) * 2011-02-10 2011-10-28 박성욱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30039221A (ko) * 2011-10-11 2013-04-1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고속도로 입구정보 기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79B1 (ko) * 2009-09-24 2011-04-1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공용 i/o 포트를 갖는 차량탑재장치
KR101077943B1 (ko) * 2011-02-10 2011-10-28 박성욱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30039221A (ko) * 2011-10-11 2013-04-1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용 고속도로 입구정보 기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246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7936A2 (en) Vehicle-installed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payment method and payment management system thereof
JP2002190043A (ja) Dsrc方式を利用した駐車料金の精算装置及びその方法
JP3616050B2 (ja) 駐車場料金課金システム
JPH1166470A (ja) 訓練可能な送信装置とその使用方法
KR101201643B1 (ko) 위성항법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 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KR2008002015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장착된선불형 전자카드의 금액 자동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0382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정산단말기
JP2005227996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299440B1 (ko) 휴대용 고속도로 입구정보 기록장치
KR101500321B1 (ko) 휴대용 입구정보 기록장치
KR100661370B1 (ko)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500322B1 (ko) 휴대용 요금 징수장치
JP2017097788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4337735B2 (ja) 自動料金決済車載システム
KR101500320B1 (ko) 휴대용 위치기반 요금 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52345B1 (ko)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과 그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661971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車載装置
KR101912302B1 (ko) 영수증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그것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용 영수증 출력 장치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JP2006059074A (ja) 自動料金課金システム
JP4593432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用車載器
KR1013335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결재 시스템
JP4493837B2 (ja) 自動料金収受方法及び自動料金収受車載器
JP5482460B2 (ja) 料金収受用車載器
JP200811714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情報記録媒体処理装置および車載器
JP2019105974A (ja) 精算機を置かない駐車場での駐車料金の精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