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219B1 -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219B1
KR101500219B1 KR20130154473A KR20130154473A KR101500219B1 KR 101500219 B1 KR101500219 B1 KR 101500219B1 KR 20130154473 A KR20130154473 A KR 20130154473A KR 20130154473 A KR20130154473 A KR 20130154473A KR 101500219 B1 KR101500219 B1 KR 10150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ll
roll
crown
pressur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5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165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responsive mainly to the measured thicknes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camber control
    • B21B37/32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camber control by cooling, heating or lubricating th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소재별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스트립의 목표 크라운을 설계하고 입력하는 공정, 소재별 특성에 따라 워크롤의 형상과 재질을 선정하는 공정, 선정된 워크롤로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목표 크라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 및 상기 목표 크라운이 달성되지 않을 때 워크롤에 대한 냉각수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서, 고부하 및 동일한 폭에서의 압연 매수가 많은 소재의 압연시 워크롤의 마모량 증가에 따른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편차 및 양파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THICKNESS PROFILE OF STRIP IN HOT ROLLING PROCESS}
본 발명은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간 압연공정에서 압연될 소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압연기의 워크롤 형상 및 재질과 냉각수의 압력을 최적의 조건으로 조합함으로써,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열간 압연공정은 연속 주조 공정에서 제조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소재를 가열한 후 압연하여 스트립(Strip)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열간 압연시 가열된 고온의 소재를 변형시키는 워크롤은 소재로부터 기인된 변형저항으로 높은 압연하중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워크롤이 휘게 됨으로써, 소재의 폭방향 단면은 가운데 부분이 두껍고 양쪽 선단이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재의 중심부 두께와 양단부 두께의 평균값의 차이를 크라운(Crown)이라고 한다. 부가적으로 워크롤의 초기 형상, 열팽창, 마모 등을 통해 소재의 폭방향 단면의 형상은 복잡하게 변화한다.
특히, 워크롤의 마모량은 소재의 강도 및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소재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 워크롤의 길이방향으로 마모가 일어나 마모로 인한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워크롤의 마모 단차는 광폭 소재의 압연시 선단에서 과압하로 인한 연신율 증가를 일으키고, 폭방향의 연신율 차이로 인한 평탄도 불량 및 폭방향 두께 편차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워크롤의 마모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워크롤을 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워크롤 시프트 장치가 개발되어 워크롤의 마모를 분산시키는 효과를 얻고 있다.
한편, 열간 압연 제품의 박물화 및 고강도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예컨대 마무리압연기의 후단 스탠드에서 압연하중의 저감을 위해 워크롤의 직경을 축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워크롤의 직경을 작게 하면, 워크롤과 소재의 접촉장이 작아지고 압연하중이 감소하여 워크롤의 굽힘 변형량이 적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경 워크롤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워크롤의 마모량은 증가하고,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직경이 작게 됨으로써 워크롤의 굽힘 모멘트가 작아져 굽힘 변형량은 수학식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히려 증가하게 된다.
Figure 112013113747652-pat00001
여기서, I는 굽힘 모멘트이고, D는 워크롤의 직경이다.
Figure 112013113747652-pat00002
여기서, δmax는 압연하중에 의한 워크롤의 최대 굽힘 변형량이고, P는 스트립의 분포하중에 의한 집중하중이며, l은 워크롤의 길이, E는 영의 계수(Young's modulus)이다.
더구나, 워크롤의 마모 분산을 위해 상기 후단 스탠드에 적용된 워크롤 시프트 장치의 경우, 전단 스탠드에 있는 워크롤보다 그 길이가 길어서 굽힘 변형량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단 스탠드의 워크롤을 통과한 스트립에서 양파(스트립의 양측 선단에 형성되는 파(Wave) 형상의 결함)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 열간 압연 제품의 박물화 및 고강도화에 덧붙여, 워크롤 단위 내 동일한 폭을 가진 압연 매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결함은 악화되고 있어서,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함에 있어 한계에 도달한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열간 압연공정에서 소재별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스트립의 목표 크라운을 설계하고, 이에 따라 워크롤의 형상과 워크롤의 재질을 선정하여 압연하며, 목표 크라운의 달성 여부에 따라 워크롤에 대한 냉각수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편차 및 양파의 발생을 감소시켜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은, 소재별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스트립의 목표 크라운을 설계하고 입력하는 공정, 상기 소재별 특성에 따라 워크롤의 형상과 재질을 선정하는 공정, 선정된 상기 워크롤로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상기 목표 크라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 및 상기 목표 크라운이 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워크롤에 대한 냉각수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크라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은, 크라운 계측부로부터 감지된 측정값과 상기 목표 크라운과의 편차를 산출하여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별 특성에 따라 스트립의 목표 크라운을 설계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워크롤의 형상과 재질 및 냉각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압연함으로써, 고부하 및 동일한 폭에서의 압연 매수가 많은 소재의 압연시 워크롤의 마모량 증가에 따른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편차 및 양파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의 형상 불량에 따른 워크롤의 부정기적인 교체, 오작동 발생, 평탄도 불량 등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편차 및 양파의 발생을 감소시켜 열간 압연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열간 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 사용되는 워크롤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워크롤의 시프트 패턴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는 워크롤의 시프트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의 폭방향 두께 편차는 워크롤의 초기 형상, 압연시의 열팽창량, 워크롤의 마모량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열팽창량은 압연시 워크롤이 소재로부터 받는 온도와 워크롤을 냉각하는 냉각온도에 의해 변화되며, 마모량은 소재로부터 받는 온도와 소재의 압연하중, 그리고 워크롤의 재질에 의해 변화된다.
여기서, 소재의 온도와 압연하중 등은 변경하거나 제어하기가 힘든 요소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어가 가능한 요소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최적으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서는, 기계적인 워크롤의 초기 형상과, 워크롤의 마모량에 영향을 미치는 워크롤의 재질, 및 열팽창량을 조절할 수 있는 냉각수의 압력을 제어 요소로 선정하고, 각 제어 요소별로 제어량의 가중치를 설정하여 제어에 활용한다.
워크롤의 형상과 재질에 보다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대략 워크롤의 형상과 재질에 대한 가중치는 80 ~ 90%이고, 냉각수의 압력은 10 ~ 20%로 가중치가 설정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워크롤 형상에 50%, 워크롤 재질에 35%, 그리고 냉각수 압력에 15%로 차등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열간 압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이러한 열간 압연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 압연장치는 워크롤(10), 제어부(20), 실린더(30; 도 5 참조), 냉각부(40) 및 크라운 계측부(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간 압연장치는 인입되는 소재(1)를 압연하도록 상하로 마주보고 배치된 워크롤(10)과, 이들 워크롤(10)과 맞물려 회전하는 백업롤(12)을 포함한다. 워크롤(10)은 소재(1)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구되는 스트립의 크라운 및 인입되는 소재(1)의 재질과 압연매수 등에 따라 설계된 목표 크라운을 입력받는다. 이 제어부(20)는 입력된 목표 크라운에 따라 워크롤(10)을 선정하고 그 결과를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목표 크라운에 따른 워크롤의 선정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목표 크라운별 워크롤(10)을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워크롤(10)의 형상을 선정하게 되는데, 소재(1)가 고부하강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따라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한 일반형 롤을 선택하거나, 도 3b에 도시한 테이퍼 롤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워크롤(10)의 재질을 결정하게 되는데, 워크롤(10)이 테이퍼 롤로 선정된 경우에 니켈-그레인(Ni-Gr)과 고속도 공구강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일반형 롤의 재질은 니켈-그레인으로 한다. 일반형 롤의 롤 크라운은 +100 ~ +150㎛/직경으로 되는 것이 좋다.
스트립의 선단에서 일어나는 두께 감소량을 저감하기 위해, 테이퍼 롤의 테이퍼량은 워크롤(10)의 재질에 따라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워크롤(10)이 니켈-그레인 재질인 경우에는 롤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즉 폭방향 길이(l)가 650 ~ 700mm 사이이며 두께방향 깊이(d)가 200 ~ 250㎛를 갖도록 형성된다. 워크롤(10)이 고속도 공구강(High Speed Steel: HSS) 재질인 경우에는 폭방향 길이(l)가 650 ~ 700mm 사이이며 두께방향 깊이(d)가 150 ~ 200㎛가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니켈-그레인과 고속도 공구강의 물성치와 주요 특성을 비교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분 니켈-그레인 롤 고속도 공구강 롤
물성치



경도(HS) 75-85 80-85
인장강도(kgf/mm2) 40-60 70-90
열전도도(W/mK) 23.5 23.5
열팽창계수(1/K) 0.8 * 10-5 1.3 * 10-5
영의 계수 19,000 23,000
주요 특성

내마모성 고속도 공구강 롤≥5*(니켈-그레인 롤)
내표면거침성 고속도 공구강 롤≥2~3*(니켈-그레인 롤)
내충격성 니켈 -그레인 롤≥고속도 공구강 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서, 워크롤(10)이 테이퍼 롤로 선정된 경우에, 소재가 고부하강에 속하면서 동일 폭 압연매수가 많은 예컨대 고탄소강 또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이면 워크롤의 재질은 고속도 공구강을 선택한다. 테이퍼 롤이 선택되었지만, 소재가 크라운 제어량이 많지 않은 일반강이면 워크롤의 재질로는 니켈-그레인이 선택된다.
이러한 선택결과에 따라 워크롤(10)을 교체한다. 도 1에 도시된 열간 압연장치에서 초기에 설치된 워크롤(10)은 일반형 롤이면서 니켈-그레인 재질이므로, 동일한 형상과 재질의 워크롤(10)이 선택되면 교체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워크롤(10)의 교체가 이루어지면 압연을 실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워크롤의 시프트 패턴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워크롤의 시프트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워크롤(10)이 일반형 롤이면, 제어부(20)는 도 4a에 도시한 사이클릭(Cyclic) 패턴 또는 도 4b에 도시한 진폭감소형 패턴에 따라 워크롤의 시프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실린더(30)의 구동부(32 또는 34)로 출력한다.
또한, 워크롤(10)이 테이퍼 롤이면 제어부(20)는 도 4c에 도시한 일방향으로 시프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실린더(30)의 구동부(32 또는 34)로 출력한다. 소재(1)의 선단이 워크롤(10)의 테이퍼부에 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테이퍼 롤의 일방향 시프트에서는 ±150mm 지점에서 시작하여 소재의 3 ~ 4매당 10mm씩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실린더(30)는 워크롤(10)과 연결되고, 제어부(20)의 신호에 따라 유압을 조절하는 구동부(32 또는 34)에 의해 작동된다. 이들 실린더(3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워크롤(10)을 소재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냉각부(40)는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어부(20)에 설정되는 냉각온도에 따라 워크롤(10)을 냉각할 수 있다. 냉각부(40)는 워크롤(10)의 냉각영역에 대해 냉각수를 제공하도록 분사 노즐들과 이들에 연결된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40)에서는 냉각수가 분사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냉각수의 압력은 소재(1)의 특성에 따라 고압, 중압 및 저압의 3가지 모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컨대 소재가 일반강과 같은 저부하강인 경우에는 약 17~19kgf/cm2, 고탄소강일 때에는 약 14kgf/cm2를 초과하면서 16kgf/cm2 이하로, 그리고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이면 약 12kgf/cm2 이상이고 14kgf/cm2 이하의 압력으로 설정된다. 도 1에 도시된 열간 압연장치에서 초기에 설정된 냉각수의 압력은 소재(1)가 일반강인 수준으로 맞춰져 있다.
더욱이, 제어부(20)는 도 1의 크라운 계측부(50)로부터 감지된 측정값과 목표 크라운과의 편차를 산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워크롤(10)의 냉각온도를, 즉 냉각수의 압력을 변경할 수 있다.
크라운 계측부(50)는 예컨대 프로파일 미터(Profile meter)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열간 압연장치의 워크롤(10)로부터 나오는 스트립의 프로파일을 측정하거나 스트립의 중심부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스트립의 목표 크라운을 달성하게 되면, 냉각부(40)의 냉각수의 압력은 변동없이 유지된다. 하지만, 크라운 계측부(50)의 감지 결과가 목표 크라운에 미치지 못하면, 일단 지나간 스트립은 희생되고, 제어부(20)는 냉각수의 압력을 초기 설정된 모드보다 한 단계 낮은 중압 모드로 변경하여 설정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경에도 불구하고 목표 크라운에 여전히 미치지 못하면, 제어부(20)는 냉각수의 압력을 저압 모드로 다시 변경한다. 냉각수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도시되지 않은 펌프 또는 조절밸브에 의해 해당 압력으로 조절되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압연된 스트립의 크라운이 원하는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을 시험해 보았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304이고, 두께는 3.0mm, 폭은 1249mm, 목표 크라운은 40㎛인 소재에 대해 적용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워크롤 형상 워크롤 재질 냉각수 압력 스트립 크라운 비고
본 발명

테이퍼(일방향 시프트) 고속도 공구강 롤 18kgf/cm2 52㎛ 미흡
테이퍼(일방향 시프트) 고속도 공구강 롤 15kgf/cm2 47㎛ 양호
테이퍼(일방향 시프트) 고속도 공구강 롤 13kgf/cm2 41㎛ 매우 양호
비교예 일반형(사이클릭 시프트) 니켈-그레인 롤 18kgf/cm2 80㎛ 불량
마무리압연기의 후단 스탠드에서, 소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니켈-그레인 재질의 일반형 롤을 워크롤로 하여 사이클릭 시프트를 적용한 비교예의 경우에는 스트립의 크라운이 80㎛로 높은 크라운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을 적용하여 테이퍼 롤 중에서 고속도 공구강 재질의 것을 워크롤로 선택하여 일방향 시프트를 적용하면 스트립의 크라운이 52㎛를 나타내어 비교예 대비 상당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부가적으로 냉각수의 압력을 18kgf/cm2에서 13kgf/cm2까지 단계적으로 낮춘 결과, 스트립의 크라운이 41㎛까지 떨어져 목표 크라운을 만족시킬 수 있었고, 양파 등의 발생으로 인한 워크롤의 부정기적인 교체는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은 강도가 높아 워크롤의 마모를 심화시키는 고탄소강, 고합금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등에 대한 열간 압연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소재 10: 워크롤
20: 제어부 30: 실린더
40: 냉각부 50: 크라운 계측부

Claims (10)

  1. 소재별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스트립의 목표 크라운을 설계하고 입력하는 공정,
    상기 소재별 특성에 따라 워크롤의 형상과 재질을 선정하는 공정,
    선정된 상기 워크롤로 압연을 실시하는 공정,
    상기 목표 크라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 및
    상기 목표 크라운이 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워크롤에 대한 냉각수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크라운의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은, 크라운 계측부로부터 감지된 측정값과 상기 목표 크라운과의 편차를 산출하여 이행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크라운은 요구되는 스트립의 크라운, 인입되는 소재의 재질, 및 압연매수에 따라 설계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의 형상은 일반형 롤 또는 테이퍼 롤 중 하나가 선택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의 재질은 상기 워크롤이 테이퍼 롤인 경우에 니켈-그레인(Ni-Gr) 또는 고속도 공구강 중 하나가 선택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이 일반형 롤일 때, 상기 워크롤은 사이클릭(Cyclic) 패턴 또는 진폭감소형 패턴 중 하나에 따라 시프트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이 테이퍼 롤일 때, 상기 워크롤은 일방향으로 시프트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의 압력은 17~19kgf/cm2인 고압, 14kgf/cm2를 초과하고 16kgf/cm2 이하인 중압, 및 12kgf/cm2 이상이고 14kgf/cm2 이하인 저압의 3가지 모드로 구분되고,
    초기에 상기 냉각수의 압력은 상기 고압으로 설정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계측부는 프로파일 미터(Profile meter)를 포함하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크라운이 달성되지 않을 때 상기 워크롤에 대한 냉각수의 압력을 이전보다 낮게 변화시키는,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KR20130154473A 2013-12-12 2013-12-12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KR10150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473A KR101500219B1 (ko) 2013-12-12 2013-12-12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473A KR101500219B1 (ko) 2013-12-12 2013-12-12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219B1 true KR101500219B1 (ko) 2015-03-06

Family

ID=5302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4473A KR101500219B1 (ko) 2013-12-12 2013-12-12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91A (ko) 2017-01-24 2018-08-01 유운종 스트립 압연 장치 및 스트립 압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621A (ja) * 1994-11-18 1996-06-04 Kobe Steel Ltd 板圧延の形状制御方法
JPH11129010A (ja) * 1997-10-31 1999-05-18 Nippon Steel Corp ロールプロフィル制御方法
KR100226914B1 (ko) * 1995-11-29 1999-10-15 이구택 후판 압연기의 작업롤 크라운 결정방법
JP3304024B2 (ja) * 1994-12-26 2002-07-22 川崎製鉄株式会社 複数の加熱炉を有する熱間圧延工程における圧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621A (ja) * 1994-11-18 1996-06-04 Kobe Steel Ltd 板圧延の形状制御方法
JP3304024B2 (ja) * 1994-12-26 2002-07-22 川崎製鉄株式会社 複数の加熱炉を有する熱間圧延工程における圧延方法
KR100226914B1 (ko) * 1995-11-29 1999-10-15 이구택 후판 압연기의 작업롤 크라운 결정방법
JPH11129010A (ja) * 1997-10-31 1999-05-18 Nippon Steel Corp ロールプロフィル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91A (ko) 2017-01-24 2018-08-01 유운종 스트립 압연 장치 및 스트립 압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0940B (zh) 用森吉米尔轧钢机轧制不锈钢精密带钢的方法
JP3898927B2 (ja) 圧延機スタンド
KR101100051B1 (ko) 강대의 조질 압연 방법 및 고장력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Wang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optimum backup roll contour configured with CVC work roll in hot strip mill
EP3560616A1 (en) Method for cooling steel sheet, cooling device for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
EP2929949B1 (en) Device for cooling hot-rolled steel sheet
KR101500219B1 (ko) 열간 압연공정에서의 스트립 폭방향 두께 프로파일 제어방법
CN110052497A (zh) 一种热连轧精轧机组成套辊形以及板形控制方法
JP5811051B2 (ja) 金属板の冷間圧延方法及び金属板の製造方法
Wang et al. VCR back-up roll and negative work roll contour design for solving roll spalling and transfer bar profile problems in hot strip mill
KR20120125987A (ko) 이음매가 없는 강관용 소관에 있어서의 외면 압입 자국의 억제 방법
EP2764932B1 (en) Method for cooling hot-rolled steel sheet
JP2008043967A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の制御方法
JP2012161842A (ja) T形鋼の製造方法および圧延設備
KR101462399B1 (ko) 후판 형상 교정 장치
JP6874597B2 (ja) フランジを有する鋼矢板の製造方法
JP5862248B2 (ja) 金属帯の圧延方法
KR100216299B1 (ko) 6단 압연기
JP2019038035A (ja) ハット形鋼矢板、ハット形鋼矢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設備
JP4623738B2 (ja) 冷間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5310964B1 (ja) 鋼板製造方法
JP2978056B2 (ja) 圧延機のロール間接触摩耗予測方法
KR101376563B1 (ko) 소경롤을 이용한 열간 압연 방법
JP2009183969A (ja) 冷間圧延における圧延荷重の予測方法
RU2301123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