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994B1 -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994B1
KR101499994B1 KR1020090066606A KR20090066606A KR101499994B1 KR 101499994 B1 KR101499994 B1 KR 101499994B1 KR 1020090066606 A KR1020090066606 A KR 1020090066606A KR 20090066606 A KR20090066606 A KR 20090066606A KR 101499994 B1 KR101499994 B1 KR 10149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folding
gear
rear sea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282A (ko
Inventor
김봉구
박상도
김학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9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의 시트백 폴딩은 메뉴얼 레버의 조작으로 이루어지고, 다시 원위치(언폴딩 위치)로 들어올리는 언폴딩은 편의성 향상을 위해 전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면간에 장착되어,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시트백 폴딩수단과; 시트백의 상단 또는 러기지의 측벽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과 작동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에 폴딩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수동식 폴딩 조작용 레버와; 상기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달기어와, 시트백 프레임의 타측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는 기어고정 브라켓과,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면서 상기 기어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격 구동기어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동모터로 구성되는 시트백 언폴딩수단과; 상기 시트백 언폴딩수단의 작동모터에 구동전류를 인가하도록 러기지의 바닥 또는 측벽에 장착되는 전동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66606
차량, 리어 시트, 폴딩 장치, 전달기어, 원격 구동기어, 언폴딩, 전동식

Description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의 시트백 폴딩은 메뉴얼 레버의 조작으로 이루어지고, 다시 원위치(언폴딩 위치)로 들어올리는 언폴딩은 편의성 향상을 위해 전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승용차량은 프론트 시트 뒤쪽에 1열의 리어시트만이 설치되지만, RV 차량를 비롯한 승합차량의 경우에는 2열 내지 3열 이상의 리어시트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고, 짐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는 별도의 폴딩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에, 상기 폴딩장치를 조작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되는 동시에 시트쿠션상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후면 즉, 폴딩된 상태의 시트백 상면은 트 렁크 공간과 하나로 이어지는 적재공간이 된다.
종래의 시트백 폴딩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트백을 폴딩시킬 때는 수동식 폴딩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고, 반대로 폴딩된 시트백을 다시 본래의 원위치(언폴딩된 위치)로 세울 때는 사용자의 수조작에 의하여 시트백을 들어올리는 수동폴딩/수동복원 방식이 있다.
상기 수동폴딩/수동복원 방식은 시트백의 상단 또는 러기지(트렁크 룸)의 측벽에 장착된 수동식 폴딩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다시 시트백을 본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해서 고중량의 시트백을 러기지쪽에서 직접 당겨주거나 리어도어를 열고 밀어주는 등의 복원 조작을 수동식으로 직접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시트백을 폴딩시킬 때는 러기지 측벽에 마련된 파워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고, 폴딩된 시트백을 다시 본래의 원위치(언폴딩된 위치)로 세울 때에도 파워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을 들어올리는 전동폴딩/전동복원 방식이 있다.
상기 전동폴딩/전동복원 방식은 파워 스위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시트백에 설치된 폴딩 메카니즘이 연동하여, 시트백의 폴딩 및 언폴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동 편의성면에서는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폴딩 및 복원 조작을 위한 파워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원가상승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고, 시트백의 폴딩 및 언폴딩 속도가 전동식 구동에 따라 느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시트의 시트백 폴딩은 수동식 폴딩레버 조작 및 시트백에 설치되는 잠금 메카니즘이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백을 본래 위치로 세우기 위한 언폴딩 작동은 전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이 모두 전동식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에 비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시트백 언폴딩이 수동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방식에 비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면간에 장착되어,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시트백 폴딩수단과; 시트백의 상단 또는 러기지의 측벽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과 작동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에 폴딩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수동식 폴딩 조작용 레버와; 상기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달기어와, 시트백 프레임의 타측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는 기어고정 브라켓과,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면서 상기 기어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격 구동기어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 동모터로 구성되는 시트백 언폴딩수단과; 상기 시트백 언폴딩수단의 작동모터에 구동전류를 인가하도록 러기지의 바닥 또는 측벽에 장착되는 전동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상단부에 핀이 돌출 형성된 잠금브라켓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잠금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축결합된 부위의 아래쪽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는 일정구간의 제1톱니부가 형성된 리클라이너와; 상기 잠금브라켓에 일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면에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제1톱니부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2톱니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잠금해제공간 및 잠금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된 잠금기어와; 후단부는 리턴스프링을 개재시키며 상기 잠금브라켓에 축설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작동케이블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잠금기어의 돌출부를 밀어주거나 잠금해제공간으로 인입되는 잠금단이 돌출 형성된 잠금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단부에는 원격 구동기어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원격 구동기어는 반원 이하의 원주면에 걸쳐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톱니구간이 형성되고, 이 톱니구간이 끝나는 전단부 위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고정 브라켓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동 힌지핀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구동기어의 톱니구간이 끝나는 후단부 위치에는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의 시트백 폴딩은 수동식 폴딩레버 조작과 더불어 시트백 및 시트쿠션 프레임간에 설치되는 폴딩용 메카니즘이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백을 본래 위치로 세우기 위한 언폴딩 작동은 모터를 이용한 전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 및 언폴딩을 위한 작동 편의성 향상 및 작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시트백 폴딩 및 언폴딩이 모두 전동식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은 언폴딩만이 전동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전동부품 절감에 따른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시트백 언폴딩이 수동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불편한 방식에 비하여, 시트백의 언폴딩이 전동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내에 2열 내지 3열 이상 배열된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 밀 언폴딩시킬 수 있는 폴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서, 시트백의 폴딩(적재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은 수동식 폴딩레버 조작과 더불어 시트백 및 시트쿠션프레임에 설치되는 잠금 메카니즘이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트백을 본래 위치(착좌 가능한 상태)로 세우기 위한 언폴딩 작동은 편의성 향상을 위해 전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리어시트의 외측쪽에서 시트쿠션 프레임(10)과 시트백 프레임(12)이 연결되는 지점에 시트백 폴딩수단(100)이 설치되고, 리어시트의 내측쪽에서 시트쿠션 프레임(10)과 시트백 프레임(12)이 연결되는 지점에 전동식의 시트백 언폴딩수단(200)을 설치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폴딩수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백 폴딩수단(100)의 일 구성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10)의 외측쪽에 잠금브라켓(102)이 고정 장착되고, 시트백 프레임(10)의 외측쪽에는 리클라이너(104)가 장착되는 바, 리클라이너(104)의 하단부가 잠금브라켓(102)의 상단부에 겹쳐지면서 축연결되며, 시트백의 폴딩 또는 언폴딩 작동시 리클라이너(104)는 잠금브라켓(102)과의 축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잠금브라켓(102)의 내측면에서 그 상단부에는 핀(10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너(104)의 하단부에는 상기 핀(106)이 삽입되는 슬롯(108)이 관통 형성되는 바, 리클라이너(104)의 각회전시 핀(106)이 슬롯(108)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리클라이너(104)의 각회전 궤적을 일정하게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클라이너(104)의 저면에는 제1톱니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브라켓(102)에는 잠금기어(114)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 잠금기어(114)의 상면에는 리클라이너(104)의 제1톱니부(110)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2톱니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기어(114)의 저면에는 오목한 잠금해제공간(116) 및 잠금돌출부(118)가 나란히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기어(114)의 후단부가 잠금브라켓(102)에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앞쪽으로 오목한 잠금해제공간(116) 및 잠금돌출부(118)가 나란히 형성되며, 상면에는 리클라이너(104)의 제1톱니부(110)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2톱니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브라켓(102)에는 잠금플레이트(120)가 더 장착되는 바, 이 잠금플레이트(120)는 잠금기어(114)의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잠금플레이트(120)의 후단부는 리턴스프링(122)을 개재시키며 상기 잠금브라켓(102)에 축설되고, 전단부에는 작동케이블(124)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잠금기어(114)의 잠금돌출부(118)를 밀어주거나 잠금해제공간(116)으 로 인입되는 잠금단(126)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케이블(124)은 시트백의 상단에 장착되거나 러기지(트렁크 공간) 측벽에 장착되는 수동식 폴딩 조작용 레버(128)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시트백 폴딩을 위한 조작수단이면서 폴딩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언폴딩수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폴딩된 상태의 시트백을 다시 착좌 가능한 상태로 언폴딩하기 위하여, 작동모터(202)에 구동전류를 인가하는 전동스위치(204)가 러기지의 바닥 또는 측벽 등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시트백 언폴딩을 위한 일 구성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10)의 내측쪽에 베이스 브라켓(206)이 고정 장착되고, 시트백 프레임(12)의 내측쪽에는 기어 고정브라켓(208)이 장착되는 바, 기어 고정브라켓(208)의 하단부가 베이스 브라켓(206)의 상단부에 겹쳐지면서 축연결되며, 시트백의 폴딩 또는 언폴딩시 기어 고정브라켓(208)이 베이스 브라켓(206)과의 축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기어 고정브라켓(208)의 축연결 지점에는 원격 구동기어(210)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206)의 상단부에는 원격 구동기어(210)와 치합되는 전달기어(212)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원격 구동기어(210) 위쪽에 배열되면서 기어 고정브라켓(208)상에는 시트백 언폴딩을 위한 구동 힌지핀(21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원격 구동기어(210)는 반원 이하의 원주면에 걸쳐 전달기어(212)와 치합되는 톱니구간(216)이 형성되고, 이 톱니구간(216)이 끝나는 전단부 위치에는 걸림턱(218)이 형성되는 바, 이 원격 구동기어(210)의 걸림턱(218)은 시트백의 언폴딩시 상기 기어 고정브라켓(208)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동 힌지핀(214)을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브라켓(206)에는 작동모터(202)가 고정 장착되고, 이 작동모터(202)의 축은 전달기어(212)과 중심축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원격 구동기어(210)의 톱니구간(216)이 끝나는 후단부 위치에는 볼록한 돌출부(220)가 더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220)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6)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리미트 스위치(222)를 온/오프 스위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백 폴딩 동작
첨부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의한 시트백 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상기 시트백의 상단 또는 러기지(트렁크 공간) 측벽에 장착된 수동식 폴딩 조작용 레버(128)를 당기면, 작동케이블(124)이 당겨지고, 동시에 작동케이블(124)은 잠금플레이트(120)의 전단부를 당겨주게 된다.
이에, 상기 잠금플레이트(120)의 전단부가 후방쪽으로 각회전하면서 잠금플 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된 잠금단(126)이 잠금기어(114)의 잠금해제공간(116)으로 인입되어진다.
즉, 상기 잠금플레이트(120)의 잠금단(126)이 잠금기어(114)의 잠금돌출부(118)를 받쳐주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플레이트(120)의 전단부가 당겨지게 됨에 따라, 잠금단(126)이 잠금기어(114)의 잠금해제공간(116)으로 인입되어진다.
연이서, 상기 잠금기어(114)의 전단부는 잠금브라켓(102)에 대한 축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어, 잠금기어(114)의 상면에 형성된 제2톱니부(112)가 리클라이너(104)의 저면에 형성된 제1톱니부(11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톱니부(110,112)가 서로 치합되었다가 분리된 상태, 즉 리클라이너(104)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해제된 상태가 되어, 결국 리클라이너(104)의 전방 회전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리클라이너(104)와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12)도 전방으로 폴딩됨에 따라 전체 시트백이 시트쿠션상에 밀착되는 폴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트백 폴딩시,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언폴딩수단(200)이 구성들은 동작하지 않으며, 다만 시트백 프레임(102)과 연결된 기어 고정브라켓(208)만이 폴딩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시트백 언폴딩 동작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의한 시트백 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시트백 폴딩시, 시트백 언폴딩수단(200)의 일 구성중 기어 고정브라켓(208)이 수직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각회전되어, 기어 고정브라켓(208)의 구동 힌지핀(214)이 원격 구동기어(210)의 걸림턱(218)상에 얹혀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222)는 원격 구동기어(210)의 돌출부(220)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백의 폴딩 상태에서 다시 착좌 가능한 본래 위치로 언폴딩시키기 위해, 러기지의 바닥 또는 측벽 등에 장착된 전동스위치(204)를 온시키면, 작동모터(202)에 구동전류가 인가된다.
연이어, 상기 작동모터(202)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전달기어(212)에 그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전달기어(212)의 회전력은 원격 구동기어(210)로 전달되어, 원격 구동기어(21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원격 구동기어(210)의 돌출부(220)에 의한 눌림 접촉이 해제되면서 리미트 스위치(222)가 온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원격 구동기어(210)의 걸림턱(218)이 기어 고정브라켓(208)의 구동 힌지핀(214)을 착좌 위치까지 밀어 올리게 되어, 결국 기어 고정브라켓(208) 및 이와 연결된 시트백 프레임(12)이 본래 위치(착좌 위치)로 언폴딩된다.
이렇게 시트백을 본래 위치까지 언폴딩시킨 원격 구동기어는 추후 이루어지는 폴딩 및 언폴딩 작동을 대비하기 위하여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해야 한다.
이에, 상기 작동모터(202)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의 회전력은 전달기어(212)를 통해 원격 구동기어(210)로 전달됨으로써, 원격 구동기어(210)만이 역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원위치까지 각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격 구동기어(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원격 구동기어(210)의 돌출부(220)가 리미트 스위치(222)를 눌러주며 오프시키면, 작동모터(202)가 정지되어, 결국 원격 구동기어(210)는 추후 이루어지는 폴딩 및 언폴딩 작동을 대비하기 위하여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 완료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트백 언폴딩 수단(200)의 언폴딩 작동시,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폴딩수단(100)은 상술한 폴딩 동작의 역순으로 리턴스프링(122)에 의한 복원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시트백의 폴딩 상태로 있던 시트백을 수동 또는 인력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 방식으로 언폴딩시킴으로써, 차량의 고급화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의한 시트백 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의한 시트백 언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쿠션 프레임 12 : 시트백 프레임
100 : 시트백 폴딩수단 102 : 잠금브라켓
104 : 리클라이너 106 : 핀
108 : 슬롯 110 : 제1톱니부
112 : 제2톱니부 114 : 잠금기어
116 : 잠금해제공간 118 : 잠금돌출부
120 : 잠금플레이트 122 : 리턴스프링
124 : 작동케이블 126 : 잠금단
128 : 수동식 폴딩 조작용 레버 200 : 시트백 언폴딩수단
202 : 작동모터 204 : 전동 스위치
206 : 베이스 브라켓 208 : 기어 고정브라켓
210 : 원격 구동기어 212 : 전달기어
214 : 구동 힌지핀 216 : 톱니구간
218 : 걸림턱 220 : 돌출부
222 : 리미트 스위치

Claims (5)

  1.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면간에 장착되어,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시트백 폴딩수단과;
    시트백의 상단 또는 러기지의 측벽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과 작동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에 폴딩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수동식 폴딩 조작용 레버와;
    상기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달기어와, 시트백 프레임의 타측면 하부에 고정 장착되는 기어고정 브라켓과,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면서 상기 기어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격 구동기어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전달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동모터로 구성되는 시트백 언폴딩수단과;
    상기 시트백 언폴딩수단의 작동모터에 구동전류를 인가하도록 러기지의 바닥 또는 측벽에 장착되는 전동스위치;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원격 구동기어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리미트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폴딩수단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상단부에 핀이 돌출 형성된 잠금브라켓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상기 잠금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축결합된 부위의 아래쪽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에는 일정구간의 제1톱니부가 형성된 리클라이너와;
    상기 잠금브라켓에 일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면에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제1톱니부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제2톱니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잠금해제공간 및 잠금돌출부가 나란히 형성된 잠금기어와;
    후단부는 리턴스프링을 개재시키며 상기 잠금브라켓에 축설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작동케이블의 하단이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기 잠금기어의 돌출부를 밀어주거나 잠금해제공간으로 인입되는 잠금단이 돌출 형성된 잠금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구동기어는 반원 이하의 원주면에 걸쳐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톱니구간이 형성되고, 이 톱니구간이 끝나는 전단부 위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고정 브라켓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동 힌지핀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 구동기어의 톱니구간이 끝나는 후단부 위치에는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KR1020090066606A 2009-07-22 2009-07-22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KR101499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06A KR101499994B1 (ko) 2009-07-22 2009-07-22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06A KR101499994B1 (ko) 2009-07-22 2009-07-22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82A KR20110009282A (ko) 2011-01-28
KR101499994B1 true KR101499994B1 (ko) 2015-03-09

Family

ID=4361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06A KR101499994B1 (ko) 2009-07-22 2009-07-22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3135A (zh) * 2019-04-10 2019-07-16 大康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简易折叠座椅
KR102366118B1 (ko) * 2020-08-20 2022-02-23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779A (ja) * 2005-09-20 2007-04-05 Mazd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9006931A (ja) * 2007-06-29 2009-01-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779A (ja) * 2005-09-20 2007-04-05 Mazd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9006931A (ja) * 2007-06-29 2009-01-1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82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060B2 (en) Vehicle seat device
EP2210771B1 (en) Stowable vehicle seat
KR101081213B1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JP4499109B2 (ja) 進入/退出位置及び積荷フロア位置を備える車輌シートシステム
KR101054778B1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US7374243B2 (en) Folding seat apparatus for vehicle
KR100578899B1 (ko) 시트의 탈착장치
US8678501B2 (en) Backrest folding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US6926364B2 (en) Fold flat vehicle seat in rearward position
US9016797B2 (en) Seat device for use in a vehicle
US8974001B2 (en) Motor vehicle seat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seatback from the use position to a stowed position
US9248760B2 (en) Locking and inclination-adjust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backrest lock
WO2009111451A2 (en) Vehicle seat stow release system and method
US20180111513A1 (en) Power lift and recliner release/fold device
KR101499994B1 (ko)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JP456615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080197683A1 (en) Motor Vehicle
KR10192606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US20240174138A1 (en) Manual Seatback Folding Apparatus of Electric Seat for Vehicle
KR102589932B1 (ko) 시트용 래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딩 시트
US20240051437A1 (en) Electric seatback-folding device for emergency escape
JP3828515B2 (ja) 車両用シートの電動収納構造
JP390213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3902130B2 (ja) 車両用シートの収納構造
KR20230017425A (ko) 자동차용 시트백 리클라이닝 조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