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915B1 - Pcd 자동검사장치 - Google Patents

Pcd 자동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915B1
KR101499915B1 KR20130146761A KR20130146761A KR101499915B1 KR 101499915 B1 KR101499915 B1 KR 101499915B1 KR 20130146761 A KR20130146761 A KR 20130146761A KR 20130146761 A KR20130146761 A KR 20130146761A KR 101499915 B1 KR101499915 B1 KR 10149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d
base plate
wheel
coupl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현창
홍승재
유지혁
이형주
Original Assignee
핸즈식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즈식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핸즈식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8Table-like supports for panels, sheet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16C2240/70Diameters; Radii
    • F16C2240/80Pitch circle diameters [PC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의 PCD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PCD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복수 개의 가이드봉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PCD베이스플레이트; 상기 PCD베이스플레트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PCD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로드를 형성한 PCD에어실린더;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PCD고정링; 리니어부시를 통해 상기 가이드봉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PCD에어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와 PCD고정링 사이에 배치되는 PCD완충플레이트; 휠의 러그홀에 끼워지는 러그홀고정핀과, 허브에 끼워지는 허브고정핀과, 에어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PCD고정링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PCD안착부; 상기 PCD완충플레이트와 PCD안착부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PCD보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PCD 자동검사장치 {An apparatus for automatic inspection of PCD}
본 발명은 PCD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러그홀고정핀과 허브고정핀과 에어센서를 통해 휠 검사를 사전에 빠르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부재를 통해 휠 안착에 따른 틀어짐을 자동 보정할 수 있어 휠의 검사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PCD안착부의 상면으로 공급되는 절삭유를 이용하여 PCD안착부의 청정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승강작동하는 완충플레이트와 에어실린더를 통해 설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휠은 강철이나 알루미늄 합금의 주조 또는 단조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휠, 특히 알루미늄 합금 휠은 기계 가공이 완료된 후, 좌우 양측 가장자리 둘레 면에 버(BURR)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버를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버 제거용 나이프를 이용하여 휠에 형성된 버를 일일이 제거하여 왔으나,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버의 제거는 작업능률이 극히 저조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위험성으로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휠의 표면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으로 인해 작업장이 오염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이러한 수작업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드럼에 연마석을 넣고 드럼상에 휠을 걸어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드럼의 회전에 의한 연마석이 휠을 연마하는 연마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드럼 내에 단일 연마재를 사용함에 따라 다단계로 연마하는 과정을 감안하면 극히 제한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능률적인 연마작업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사용상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장에서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보다 능률적으로 연마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반자동 브러싱 머신을 개발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5875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반자동 브러싱 머신은 반자동 작동을 통해 휠의 디자인면과 배면의 일부를 자동으로 디버링 할 수 있었으나, 휠의 PCD 및 허브 직경 검사를 이루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제품의 불량발생 여부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품의 검사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면, 제품의 정밀검사를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한계로 인해 불량제품이 생산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검사시간의 지연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휠을 디버링하기 전에 제품의 검사를 자동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PCD 자동검사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는 휠의 러그홀과 끼워지는 러그홀고정핀 및 안착부에 구성되는 에어센서를 통해 휠의 PCD검사를 정밀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에 끼워지는 허브고정핀을 통해 허브의 직경검사를 이룰 수 있어 제품의 불량 여부를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고정샤프트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신축성부재를 통해 휠의 안착시 발생하는 틀어짐이 자동으로 보정되므로 제품의 검사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PCD보정수단이 결합되는 홀이 PCD완충플레이트에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검사할 휠에 맞게 PCD보정수단의 위치를 조절 설치할 수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절삭유공급부를 통해 러그홀고정핀과 허브 고정핀으로 절삭유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휠의 PCD검사에도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PCD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PCD완충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는 PCD에어실린더가 제품 안착시 완충작용을 하므로 설비의 과부하가 방지되는 PCD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복수 개의 가이드봉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PCD베이스플레이트; 상기 PCD베이스플레트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관통홀을 통해 PCD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로드를 형성한 PCD에어실린더;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PCD고정링; 리니어부시를 통해 상기 가이드봉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PCD에어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와 PCD고정링 사이에 배치되는 PCD완충플레이트; 휠의 러그홀에 끼워지는 러그홀고정핀과, 허브에 끼워지는 허브고정핀과, 에어센서를 구성하여 상기 PCD고정링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PCD안착부; 상기 PCD완충플레이트와 PCD안착부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PCD보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는 휠의 러그홀과 끼워지는 러그홀고정핀 및 안착부에 구성되는 에어센서를 통해 휠의 PCD검사를 정밀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에 끼워지는 허브고정핀을 통해 허브의 직경검사를 이룰 수 있어 제품의 불량 여부를 사전에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고정샤프트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신축성부재를 통해 휠의 안착시 발생하는 틀어짐이 자동으로 보정되므로 제품의 검사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PCD보정수단이 결합되는 홀이 PCD완충플레이트에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검사할 휠에 맞게 PCD보정수단의 위치를 조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절삭유공급부를 통해 러그홀고정핀과 허브 고정핀으로 절삭유를 일정하게 공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휠의 PCD검사에도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PCD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PCD완충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는 PCD에어실린더가 제품 안착시 완충작용을 하므로 설비의 과부하가 방지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PCD안착부의 결합홈에 에어센서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PCD안착부에 휠이 안착되어 에어센서가 작동되는 상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PCD완충플레이트와 PCD안착부 사이에 PCD보정수단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PCD보정수단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에 절삭유분사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에 구성된 PCD안착부에 휠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에 구성된 PCD안착부에 휠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휠의 PCD 및 허브 직경을 검사하여 휠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PCD 자동검사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D베이스플레이트(10)와, PCD에어실린더(20)와, PCD고정링(30)과, PCD완충플레이트(40)와, PCD안착부(50)와, PCD보정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PCD는 Pitch center diameter의 약자로서, 휠이 차에 지탱할 목적으로 뚫은 구멍의 각 중심선을 연결한 원의 지름을 의미하며, PCD가 틀리면 휠을 차에 장착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PCD베이스플레이트(10)는 본 발명의 구성품들이 결합설치되는 기본구성으로, 내부 중앙에 관통홀(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PCD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봉(11)이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등 간격으로 결합설치되며, 하부에는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PCD에어실린더(20)가 결합설치된다.
둘째, PCD에어실린더(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PCD베이스플레트(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PCD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된 관통홀(13)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로드(21)를 구성하여 상기 로드(21)의 승강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셋째, PCD고정링(30)는 상기 가이드봉(11)의 상부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PCD고정링(30)에 의하면, 복수 개로 설치되는 가이드봉(11)의 견고한 고정설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부의 중공을 통해 PCD보정수단(60)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넷째, PCD완충플레이트(40)는 통상의 볼트결합으로 결합되는 리니어부시(41)를 통해 상기 가이드봉(1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PCD에어실린더(20)의 로드(21) 끝단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PCD베이스플레이트(10)와 PCD고정링(30) 사이에 배치되며, PCD안착부(50)를 지지하는 PCD보정수단(60)의 설치를 위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는 PCD에어실린더(20)에 구성된 로드(21)의 승강 작동에 따라 가이드봉(11)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작동하게 되며, 검사할 휠(1)의 안착에 따라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에 압력이 전해지면 PCD에어실린더(40)가 완충작용을 하므로 설비 및 휠(1)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섯째, PCD안착부(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을 안착하여 검사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PCD고정링(3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휠(1)의 러그홀(2)에 끼워지는 러그홀고정핀(52)과, 허브(3)에 끼워지는 허브고정핀(53)과, 에어센서(5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러그홀고정핀(52)과 허브고정핀(53)은 PCD안착부(5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마모 또는 파손 발생시 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통상의 볼트 결합을 통해 분리결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센서(55)는 PCD안착부(50)에 휠(1)이 안착되었을 시, 압력차에 의해 안착이 제대로 이루어졌는 지를 검사하는 구성으로, 센서하우징(56)과, 작동핀(57)과, 밀폐오링(58)과, 공기주입부(59)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더불어, 상기 PCD안착부(50)에는 에어센서(55)를 결합하기 위한 통상의 결합홈(51)이 관통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결합홈(51)은 에어센서(55)를 통해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내부의 홀이 좁아지는 소구경(51a)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어센서(55)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에어센서(55)의 센서하우징(56)은 외주에 통상의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PCD안착부(5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5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 내부의 단턱(56c)에 의해 구분되는 제1, 2홈(56a, 56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에어센서(55)의 작동핀(57)은 상기 센서하우징(56)의 제1, 2홈(26a, 26b)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홈(56a)에 끼워져 센서하우징(56)의 상부로 돌출되는 핀(57a)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하우징(56)의 단턱(56c)에 걸리도록 핀(57a)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홈(56b)에 끼워지는 걸림돌부(57b)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핀(57)의 하측으로는 끼움홈(57c)을 형성하여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끼움돌부(57d)가 구성되는데, 상기 끼움돌부(57d)는 에어의 공급 및 휠(1)의 안착에 따라 PCD안착부(50)에 구성된 결합홈(51)의 소구경(51a)에 삽탈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에어센서(55)의 밀폐오링(58)은 상기 작동핀(57)의 끼움돌부(57d)에 형성된 끼움홈(57c)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양품의 휠(1)이 PCD안착부(50)에 안착되었을 시 작동핀(57)이 하강작동하는 것에 의해 결합홈(51)의 소구경(51a)을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덧붙여, 공기주입부(58)는 상기 PCD안착부(5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작동핀(57)의 하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공기주입호스(미도시)를 통해 공기발생기(미도시)와 연결설치되어 주입되는 공기로 인해 상기 작동핀(57)을 PCD안착부(50)의 상부로 돌출시키는 작동을 하며, 이로 인해 작동핀(57)에 결합된 밀폐오링(58)이 소구경(51a)을 개방시키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PCD안착부(50)의 상면에 휠(1)이 안착되면, 휠(1)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핀(57)이 하강작동하여 상기 작동핀(57)에 끼워진 밀폐오링(58)이 결합홈(51)의 소구경(51a)을 폐쇄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PCD안착부(50)의 상면에 불량품의 휠의 안착되어 PCD가 맞지 않으면, 상기 작동핀(57)의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결합홈(51)의 소구경(51a)이 폐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하우징(56)의 내주에 형성된 제1, 2홈(56a, 56b)과 작동핀(57)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의 누기가 발생하여 셋팅된 일정 압력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경고음이 발생되어 휠(1)의 불량 여부를 사전에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PCD보정수단(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와 PCD안착부(50)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PCD안착부(5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기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 안착시 발생되는 틀어짐을 억제 및 보정할 수 있도록 제1, 2고정샤프트(63, 65)와, 상기 제1, 2고정샤프트(63, 65) 사이에 결합설치되는 신축성부재(69)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고정샤프트(63)는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의 상부에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고정샤프트(63)의 상부에는 신축성부재(69)와의 연결설치를 위해 제1결합홈(6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홈(61)은 제1고정샤프트(63)를 PCD완충플레이트(40)의 상부에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까지 관통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고정샤프트(65)는 통상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PCD안착부(50)의 하부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제2고정샤프트(65)의 하부에는 신축성부재(69)와의 연결설치를 위한 제2결합홈(64)이 형성된다.
아울러, 신축성부재(6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고정샤프트(65)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구성으로, 제1, 2결합홈(61, 64)에 나사결합되는 결합체(68)를 상, 하부에 각각 구성하여 제1, 2고정샤프트(63, 65) 사이에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성부재(69)는 휠(1) 안착에 따른 안착부(50)의 틀어짐을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연질의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휠(1)의 검사 정밀도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구성된 PCD완충플레이트(40)에는 PCD보정수단(60)이 볼트결합되기 위한 홀(43)을 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검사할 휠(1)에 맞게 PCD보정수단(60)의 위치를 이동배치하여 조절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에는, 상기 호 형상의 홀(43)의 상부에는 안착턱(40a)을 형성하고, PCD보정수단(60)의 하부에는 안착턱(40a)에 삽입되는 안착돌부(60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PCD보정수단(60)의 이동배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D안착부(50) 상면의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반복적인 휠(1)의 PCD검사에도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PCD고정링(30)의 외측에 연결설치되어 PCD안착부(50)의 상면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70)를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절삭유공급부(70)는 연결관(71)과, 분기관(73)과, 분사관(75)과, 브라켓(77)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절삭유공급부(7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결관(71)은 상기 PCD고정링(3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로 분할되어 설치되며, 절삭유의 순환을 위해 구성된다.
또한, 분기관(73)은 상기 연결관(71)의 사이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연결관을 통해 순환되는 절삭유를 분사관으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통상의 연결호스(73a)를 통해 절삭유공급수단(미도시)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연결관(71)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구성도 상기 분기관(73)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분사관(75)은 상기 분기관(73)에 연결설치되어 분기되어 공급되는 절삭유를 PCD안착부(50)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또한, 브라켓(77)은 절삭유공급부(70)를 PCD고정링(30)의 외측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설치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볼트를 통해 PCD고정링(30)과 결합되는 가이드봉(11)의 결합부분에 연결설치되어 분사관(75)을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77)에는 분사관(75)의 견고한 고정지지를 위해 밴드와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79)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분사관(75)의 고정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통상의 로봇(미도시)을 통해 휠(1)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휠(1)은 PCD안착부(5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로봇을 통해 하측으로 살짝 가압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PCD안착부(50)에 형성된 러그홀고정핀(52)과 허브고정핀(53)은 휠의 러그홀(2)과 허브(3)에 각각 삽입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휠(1)의 가압에 의해 에어센서(55)에 구성된 작동핀(57)이 하강작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작동핀(57)에 결합된 밀폐오링(58)이 PCD안착부(50)에 형성된 결합홀(51)의 소구경(51a)을 폐쇄하는 작용이 이루어져 본 발명을 통한 휠(1) 검사가 완료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휠(1)에 하측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휠(1)의 틀어짐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휠(1)의 틀어짐은 PCD보정수단(60)에 구성된 신축성부재(69)에 의해 자동으로 보정되게 되어 휠(1)의 검사를 정확하게 이룰 수 있으며, 하강하는 압력에 의해 본 발명에 작용되는 힘은 가이드봉(11)을 통해 슬라이드이동되는 PCD완충플레이트(40)가 PCD에어실린더(20)에 연결설치된 것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설비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고장 및 파손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검사가 완료된 양품의 휠(1)은 로봇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자동이동배치되는데, 로봇을 통해 휠(1)이 본 발명에서 이격되면, 절삭유공급부(70)를 통해 PCD안착부(50)의 상면으로 절삭유가 자동공급되며, 이와 같은 절삭유의 공급은 로봇을 통해 검사할 휠(1)이 안착되기 직전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PCD안착부(50)의 청정도가 항상 유지되어 진다.
한편, PCD가 틀린 휠(1)이 PCD안착부(50)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휠(1)에 구성된 러그홀(2)과 러그홀고정핀(52)이 정확히 맞지 않을 경우에는, PCD안착부(50)에 형성된 러그홀고정핀(52)이 러그홀(2)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휠(1)의 압력에도 에어센서(55)에 구성된 작동핀(57)의 하강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PCD안착부(50)에 구성된 결합홀(51)의 소구경(51a) 폐쇄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공기의 누기가 발생하여 세팅된 일정압력에 도달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휠(1)의 불량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휠(1)에 구성된 허브(3)와 허브홀고정핀(53)이 정확히 맞지 않을 경우에도, 에어센서(55)의 올바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휠(1)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CD 자동검사장치(100)를 이용하면, 로봇을 통해 휠(1)을 본 발명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도, 고장이나 파손 발생 없이 휠의 검사를 손쉽고 빠르게 이룰 수 있게 된다.
1 : 휠 2 : 러그홀 3 : 허브홀
10 : PCD베이스플레이트 11 : 가이드봉 13 : 관통홀
20 : PCD에어실린더 21 : 로드
30 : PCD고정링 40 : PCD완충플레이트 40a : 안착턱
50 : PCD안착부 51 : 결합홈 51a : 소구경 52 : 러그홀고정핀 53 : 허브고정핀 55 : 에어센서 56 : 센서하우징 56a, 56b : 제, 2홈 56c : 단턱 57 : 작동핀 57a : 핀 57b : 걸림돌부 57c : 끼움홈 57d : 끼움돌부 58 : 밀폐오링 59 : 공기주입부
60 : PCD보정수단 60a : 안착돌부 61, 64 : 제1, 2결합홈 63, 65 : 제1, 2고정샤프트 68 : 결합체 69 : 신축성부재
70 : 절삭유공급부 71 : 연결관 73 : 분기관 75 : 분사관 77 : 브라켓 79 : 고정수단
100 : PCD 자동검사장치

Claims (6)

  1. 상부에 복수 개의 가이드봉(11)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관통홀(13)이 형성된 PCD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PCD베이스플레트(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관통홀(13)을 통해 PCD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로드(21)를 형성한 PCD에어실린더(20);
    상기 가이드봉(11)의 상부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는 PCD고정링(30);
    리니어부시(41)를 통해 상기 가이드봉(1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PCD에어실린더(20)의 로드(21)에 결합되어 PCD베이스플레이트(10)와 PCD고정링(30) 사이에 배치되는 PCD완충플레이트(40);
    휠(1)의 러그홀(2)에 끼워지는 러그홀고정핀(52)과, 허브(3)에 끼워지는 허브고정핀(53)과, 에어센서(55)를 구성하여 상기 PCD고정링(3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PCD안착부(50);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와 PCD안착부(5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PCD보정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D안착부(50)에 구성되는 에어센서(55)는,
    상기 PCD안착부(5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단턱(56c)에 의해 구분되는 제1, 2홈(56a, 56b)을 형성한 센서하우징(56);
    상기 센서하우징(56)의 제1홈(56a)에 끼워져 센서하우징(56)의 상부로 돌출되는 핀(57a)과, 상기 센서하우징(56)의 단턱(56c)에 걸리도록 핀(57a)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홈(56b)에 끼워지는 걸림돌부(57b)와, 끼움홈(57c)을 형성하여 상기 핀(57a)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끼움돌부(57d)로 구성된 작동핀(57);
    상기 작동핀의 끼움홈에 결합되는 밀폐오링(58);
    상기 PCD안착부(5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작동핀(57)의 하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5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D보정수단(60)은,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1결합홈(61)을 형성한 제1고정샤프트(63);
    상기 PCD안착부(50)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제2결합홈(64)을 형성한 제2고정샤프트(65);
    상기 제1, 2결합홈(61, 64)에 결합되는 결합체(68)를 상,하부에 각각 구성하여 제1, 2고정샤프트(63, 65)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신축성부재(6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CD완충플레이트(40)에는 PCD보정수단(60)이 결합되는 호 형상의 홀(43)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D고정링(30)의 외측으로는 PCD안착부(50)의 상면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공급부(70)가 더 포함되어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절삭유공급부(70)는,
    상기 PCD고정링(3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설치되는 연결관(71);
    상기 연결관(71) 사이사이에 연결설치되는 분기관(73);
    상기 분기관(73)에 연결설치되어 PCD안착부(50)의 상면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분사관(75);
    상기 가이드봉(11)과 PCD고정링(30)의 결합부분에 고정결합되어 분사관(75)을 고정지지하는 브라켓(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PCD 자동검사장치.
KR20130146761A 2013-11-29 2013-11-29 Pcd 자동검사장치 KR10149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761A KR101499915B1 (ko) 2013-11-29 2013-11-29 Pcd 자동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761A KR101499915B1 (ko) 2013-11-29 2013-11-29 Pcd 자동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915B1 true KR101499915B1 (ko) 2015-03-18

Family

ID=5302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761A KR101499915B1 (ko) 2013-11-29 2013-11-29 Pcd 자동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9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4371A (zh) * 2018-04-02 2018-08-24 盐城哈力动力传动及智能装备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齿轮节圆定位检测装置及使用方法
CN108827196A (zh) * 2018-05-02 2018-11-16 南京大雷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轮毂正圆检测装置
CN112504182A (zh) * 2021-01-08 2021-03-16 汪春香 一种利用水位变化的合金铸件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733B1 (ko) 2005-10-31 2007-03-13 방건경 인서트검사장치
JP2008114360A (ja) 2006-11-07 2008-05-22 Dong Gu Enterprise Co Ltd ガラスレンズの回転式自動研磨装置
KR100936382B1 (ko) 2002-11-23 2010-01-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압을 이용한 공작물 착좌 확인 장치
KR101145875B1 (ko) 2012-03-02 2012-05-15 승현창 반자동 브러싱 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382B1 (ko) 2002-11-23 2010-01-1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압을 이용한 공작물 착좌 확인 장치
KR100694733B1 (ko) 2005-10-31 2007-03-13 방건경 인서트검사장치
JP2008114360A (ja) 2006-11-07 2008-05-22 Dong Gu Enterprise Co Ltd ガラスレンズの回転式自動研磨装置
KR101145875B1 (ko) 2012-03-02 2012-05-15 승현창 반자동 브러싱 머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4371A (zh) * 2018-04-02 2018-08-24 盐城哈力动力传动及智能装备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齿轮节圆定位检测装置及使用方法
CN108444371B (zh) * 2018-04-02 2023-09-26 盐城永安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节圆定位检测装置及使用方法
CN108827196A (zh) * 2018-05-02 2018-11-16 南京大雷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轮毂正圆检测装置
CN112504182A (zh) * 2021-01-08 2021-03-16 汪春香 一种利用水位变化的合金铸件检测装置
CN112504182B (zh) * 2021-01-08 2022-06-10 浙江龙头机械有限公司 一种利用水位变化的合金铸件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915B1 (ko) Pcd 자동검사장치
US20130112661A1 (en) Rapid change mig nozzle configurations and related methods
WO2017028458A1 (zh) 一种铣刨机用刀座基座系统
US10688605B2 (en) Fixing device for position-adjusting jig
JP2017087311A (ja) 位置決め装置
TW201927459A (zh) 切削裝置
KR101792326B1 (ko) 튜브 홀더 서포트
KR101959651B1 (ko) 타이어 시험용 림
KR101754113B1 (ko) 리텝핑 장치
TWI400393B (zh) Locating pins
KR101727659B1 (ko) 연료인젝터용 클램프볼트의 볼트홀 복원방법
KR20100118016A (ko) 베어링 검사장치
CN210314414U (zh) 一种焊道残余应力消除装置
KR102088800B1 (ko) 밸브 가공 장치 및 밸브 가공 방법
JP2017116391A (ja) バルブ駆動圧の導圧検査治具及びバルブ駆動圧の導圧検査方法
KR101329918B1 (ko) 커먼레일 시스템 인젝터용 보수장치 및 그 보수방법
KR20160001763U (ko) 파이프/플랜지 연결부 얼라인 핏업 장치
KR101707075B1 (ko) 구멍가공용 드릴지그
KR20160061724A (ko) 볼트홀 가공 장치
KR200485805Y1 (ko) 튜브 피팅 부재의 가압 연마 기구
KR20200001776U (ko) 파이프 용접 시험편용 지그
KR101029119B1 (ko) 블라인드 툴링 홀 부싱
US2993418A (en) Portable tool for refacing hose fittings
KR20150004588U (ko) 파이프 설치 작업용 지그
KR20040031623A (ko) 벨트 노칭 머신용 성형 풀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