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686B1 - 오조립 판단장치 - Google Patents

오조립 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686B1
KR101499686B1 KR1020130093474A KR20130093474A KR101499686B1 KR 101499686 B1 KR101499686 B1 KR 101499686B1 KR 1020130093474 A KR1020130093474 A KR 1020130093474A KR 20130093474 A KR20130093474 A KR 20130093474A KR 101499686 B1 KR101499686 B1 KR 10149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misassembly
disk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498A (ko
Inventor
박홍기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6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7Surface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1G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Abstract

오조립 판단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오조립 판단장치는, 플레이트와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셋이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안착부재에 안착된 디스크셋의 상측과 접하도록 이동하여 디스크셋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재와, 디스크셋의 측면형상을 기준형상과 비교하여 디스크셋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하는 오조립판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조립 판단장치{DEVICE FOR DETECTING FAULT ASSEMBLING}
본 발명은 오조립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에 적용되는 디스크셋의 높이 및 측면 형상을 측정하여 오조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오조립 판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차량의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변속기의 다단 변속 메커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유성기어세트가 조합된 파워 트레인은 엔진 토크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로부터 회전동력이 입력되면 이를 다단으로 변속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많은 변속단을 보유할수록 동력 성능 및 연료 소비율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이 요구되고 있다.
유성기어세트는 선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유성기어의 회전축을 이루며 복수 개의 유성기어를 서로 연결하는 캐리어가 설치된다.
또한, 자동변속기에는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행하거나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마찰요소가 설치되는데, 마찰요소는 동력전달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클러치와, 작동요소를 구속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클러치는 자동변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고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클러치 드럼과, 클러치 드럼에 설치되는 리테이너와, 리테이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디스크와, 디스크에 교호로 삽입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허브와, 리테이너와 디스크 사이에 설치되고 작동유체의 공급 여부에 따라 디스크를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리테이너와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작동유체가 피스톤을 디스크 측으로 가압하므로 피스톤의 가압력에 의해 디스크와 플레이트가 밀착되면서 클러치 드럼 및 리테이너를 따라 전달되는 엔진 동력이 디스크 및 플레이트를 따라 허브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3572호(2008.01.08 공개, 발명의 명칭: 클러치 디스크 오조립 방지용 지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디스크셋의 측정장치는 디스크셋의 높이만을 측정하므로,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가 오조립 된 경우 오조립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디스크와 플레이트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크셋의 불량을 방지하고, 조립관련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조립 판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는: 플레이트와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셋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디스크셋의 상측과 접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재; 및 상기 디스크셋의 측면형상을 기준형상과 비교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하는 오조립판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조립판단부재는, 상기 디스크셋의 기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대응형상부; 상기 대응형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응형상부 및 상기 연결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대응형상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오조립여부를 판단하는 오조립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응형상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대응형상프레임; 상기 대응형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셋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판; 및 상기 대응형상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돌출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판 및 상기 중간판은 상기 대응형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조립판단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대응형상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판단이동부; 상기 판단이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판단돌출부; 상기 판단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판단돌출부에 간섭되어 상기 대응형상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측정부; 및 상기 이동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대응형상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오조립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는, 디스크셋의 높이와 함께 디스크셋의 측면형상을 측정하여, 디스크셋의 오조립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셋의 사양에 따라 대응형상부의 형상을 달리 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상의 디스크셋의 오조립 판단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에서 높이측정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판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판단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판이 디스크셋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판이 디스크셋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1)는 안착부재(100), 높이측정부재(200) 및 오조립판단부재(300)를 포함한다.
안착부재(100)는 디스크셋(10)이 안착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재(100)는 안착플레이트(110) 및 안착돌기(130)를 포함한다.
안착플레이트(110)는 평평한 판 형상이며, 상측(도 2 기준)면에 디스크셋(10)이 안착된다.
안착돌기(130)는 안착플레이트(11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높이측정판(251)에 형성된 안착홈부(255)에 끼워져 안착플레이트(110)의 이동을 안내한다.
디스크셋(10)은 플레이트(11)와 디스크(15)를 포함한다. 디스크셋(10)은 자동변속기 등에 사용되어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복수개의 플레이트(11)와 디스크(15)를 포함한다. 디스크셋(10)은 장착되는 장치의 사양에 따라 플레이트(11) 또는 디스크(15)의 개수, 두께가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셋(10)은 플레이트(11) 및 디스크(1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와 디스크(15)는 상호 교번하여 위치하며, 차량의 피스톤 등에 의하여 상호 밀착되어 함께 회전함으로써, 유성기어세트 등에 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1)는 환형의 플레이트몸체(12)와 플레이트몸체(1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돌기(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15)는 환형의 디스크몸체(16)와 디스크몸체(16)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디스크돌기(17)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에서 높이측정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높이측정부재(200)는 안착부재(100)에 안착된 디스크셋(10)의 상측과 접하도록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셋(10)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를 조립하고자 하는 디스크셋(10)의 기준높이와 비교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측정부재(200)는 높이측정프레임(210), 상하이동부(230) 및 높이측정부(250)를 포함한다.
높이측정프레임(210)은 안착부재(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판 형상이다.
상하이동부(230)는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하고, 높이측정프레임(210)과 연결되어 높이측정프레임(210)을 도 2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높이측정부(250)는 높이측정프레임(210)과 연결되어 높이측정프레임(210)의 도 2 기준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디스크셋(10)의 상측면과 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측정부(250)는, 높이측정판(251), 측정판연결부(253) 및 안착홈부(255)를 포함한다.
높이측정판(251)은 높이측정프레임(210)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셋(10)에 접하게 되며, 하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판 형상이다.
측정판연결부(253)는 양단부가 높이측정프레임(210)과 높이측정판(251)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높이측정프레임(210)과 높이측정판(251)을 결합시킨다.
안착홈부(255)는 높이측정판(251)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높이측정판(251)의 이동에 따라 안착돌기(130)가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여 높이측정판(251)의 이동을 안내한다.
높이측정판(251)이 디스크셋(10)에 접촉할 때의 높이측정판(251)의 이동거리 또는 높이측정판(251)의 높이를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하여 측정하여 디스크셋(10)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판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판단부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판이 디스크셋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판이 디스크셋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오조립판단부재(300)는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을 기준형상과 비교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셋(10)은 디스크셋(10)이 장착되는 차량 등의 사양, 크기 등에 따라 형상, 플레이트(11) 및 디스크(15) 등의 개수 및 두께가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 오조립판단부재(300)는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을 기준형상, 즉 정조립된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과 비교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조립판단부재(300)는 대응형상부(310), 연결부(330), 이동부(340) 및 오조립판단부(370)를 포함한다.
대응형상부(310)는 디스크셋(10)의 기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디스크셋(10)의 기준형상은 디스크셋(10)을 사양에 맞게 정조립 했을 때 형성되는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을 의미한다. 대응하는 형상이란 디스크셋(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형상에 맞물리는 형상, 구체적으로 디스크셋(10)의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면, 이에 대하여 대응형상부(310)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형상부(310)는 대응형상프레임(311), 돌출판(312) 및 중간판(313)을 포함한다.
대응형상프레임(311)은 연결부(330)에 볼팅, 용접 등의 방향으로 결합되어 연결부(330)의 이동에 따라 안착부재(10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응형상부(310)는 대응형상프레임(31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대응형상프레임(311)의 양측에 위치하여 내측으로 대응형상프레임(311)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부재(100)에 결합되는 대응형상가이드(32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돌출판(312)은 대응형상프레임(311)에 결합되며 디스크셋(10) 방향으로 돌출되고 복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판(312)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돌출판(312)은 대응형상프레임(311)에 결합되며 대응형상프레임(311)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셋(10)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 때 플레이트돌기(13)와 플레이트돌기(13)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플레이트돌기(13)와 플레이트돌기(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는 결국 디스크(15)의 두께에 해당하므로, 돌출판(312)의 두께는 해당 위치의 디스크(15)의 높이에 해당한다.
중간판(313)은 대응형상프레임(311)에 결합되며, 돌출판(312)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판(313)은 돌출판(312) 사이에 위치하는 판 형상으로 대응형상프레임(311)에 결합되어, 대응형상프레임(311)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셋(10)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판(313)은 돌출판(312)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가지며, 돌출판(312)과의 길이의 차이는 플레이트돌기(13)의 길이에 해당된다. 즉, 중간판(313)은 디스크셋(10)의 플레이트(11)의 두께에 해당되는 판 형상으로, 돌출판(312)이 플레이트돌기(1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313)에 끼어 들어 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판(312) 및 중간판(313)은 대응형상프레임(3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판(312)과 중간판(313)은 복수개의 판을 볼트 등의 체결부재(315)를 이용하여 대응형상프레임(311)에 결합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디스크셋(10)에 대응하여 돌출판(312) 및 중간판(313)의 조합을 변경 시킬 수 있다.
연결부(330)는 대응형상부(3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30)는 양단부가 대응형상부(310)와, 이동부(340)에 결합되어 이동부(340)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하여 대응형상부(310)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동부(340)는 연결부(330)에 결합되어 대응형상부(310) 및 연결부(330)를 왕복 이동시키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방식 및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340)는 유압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340)는 이동축(341), 이동하우징(343) 및 유체출입부(345)를 포함한다.
이동축(341)은 일단부가 연결부(330)에 결합되며 이동하우징(34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하우징(343)은 이동부(340)의 외관을 형성하고, 유체출입부(345)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이동축(341)을 디스크셋(10) 방향에 대하여 왕복 이동시킨다.
오조립판단부재(300)는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조립판단부(370)는 판단이동부(371), 판단돌출부(373), 이동거리측정부(375) 및 제어부(377)를 포함한다.
판단이동부(371)는 이동부(340)에 연결되고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판단이동부(371)는 대응형상부(310)가 디스크셋(10)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디스크셋(10)의 정조립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한다.
즉 디스크셋(10)이 정조립된 경우에는 돌출판(312)이 플레이트돌기(13) 사이에 진입하게 되므로 대응형상부(310) 및 연결부(330)가 도 6에서 d3만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d3는 대응형상부(310)가 이동하기 전에 돌출판(312)과 플레이트돌기(13) 사이의 거리인 d1과 플레이트돌기(13)가 플레이트몸체(12)에서 돌출된 거리인 d2를 합친 거리에 해당한다.
반면 디스크셋(10)이 오조립된 경우에는 돌출판(312)이 플레이트돌기(13)와 이동간에 간섭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도 7에서의 d4만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d4는 d1과 동일한 거리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판단이동부(371)가 d3 만큼 이동하게 되면 디스크셋(10)이 정조립되었음을 의미하며, d4만큼 이동하게 되면 오조립 되었음을 의미한다.
판단돌출부(373)는 판단이동부(37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판단이동부(371)의 이동에 따라 이동거리측정부(375)에 간섭되어 판단이동부(371)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377)는 이동거리측정부(375)에서 측정한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여부를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판단장치(1)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크셋(10)을 안착플레이트(110)에 안착시킨다. 디스크셋(10)은 일반적으로 플레이트(11), 디스크(15)가 번갈아 가면서 안착된다.
디스크셋(10)에 장착되는 디스크(15) 또는 플레이트(11)는 장착되는 장치의 구성 및 사양에 따라 포함되는 디스크(15) 또는 플레이트(11)의 두께 및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디스크(15) 및 플레이트(11)를 안착플레이트(110)에 안착한 후에 높이측정부(250)를 통하여 디스크셋(10)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를 정조립된 디스크셋(10)의 높이와 비교하여 디스크셋(10)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크셋(10)의 전체 높이를 측정한 후, 오조립판단부재(300)를 이용하여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을 기준형상과 비교한다.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은, 디스크셋(10)에 포함된 디스크(15)와 플레이트(11)의 두께 및 개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크셋(10)은 내주면으로 디스크돌기(17)가 돌출되고, 외주면으로 플레이트돌기(13)가 돌출된다.
따라서 플레이트돌기(13)와 디스크몸체(16)에 의하여 디스크셋(10)의 외주면 형상이 결정된다.
이때 플레이트돌기(13)가 돌출되는 위치, 두께 등은 디스크(15) 및 플레이트(11)의 개수, 디스크(15) 또는 플레이트(11)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대응형상부(310)는 정조립된 디스크셋(10)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대응형상부(310)의 형상은 디스크셋(1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진다.
대응형상부(310)의 형상은 대응형상프레임(311)에 결합되는 돌출판(312) 및 중간판(313)의 개수, 두께 등을 이용하여 정조립된 디스크셋(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대응형상부(3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동부(340)를 이용하여 대응형상부(310)를 디스크셋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대응형상부(310)의 돌출판(312)이 디스크셋(10)의 플레이트돌기(13)에 걸리지 않는 경우, 즉 안착부재(100)에 안착된 디스크셋(10)의 형상이 정조립된 디스크셋(10)의 기준형상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가 d1과 d2의 합인 d3 만큼 이동하게 된다.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의 이동거리는 이동거리측정부(375)에서 판단돌출부(373)의 이동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대응형상부(310)의 돌출판(312)이 디스크셋(10)의 플레이트돌기(13)에 걸리는 경우는 결국 즉 안착플레이트(110)에 안착된 디스크셋(10)의 형상이 정조립된 디스크셋(10)의 측면형상과 불일치한 경우이며, 이러한 경우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는 d4 즉 d1에 해당하게 되며 오조립 되었음을 뜻한다.
제어부(377)는 이동거리측정부(375)에서 측정한 대응형상부(310) 또는 연결부(330)의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디스크셋(10)의 조립 불량을 판단하고, 이를 시각 또는 청각 신호를 통하여 외부에 알린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에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오조립 판단장치 10: 디스크셋
11: 플레이트 12: 플레이트몸체
13: 플레이트돌기 15: 디스크
16: 디스크몸체 17: 디스크돌기
100: 안착부재 110: 안착플레이트
130: 안착돌기 200: 높이측정부재
210: 높이측정프레임 230: 상하이동부
250: 높이측정부 251: 높이측정판
253: 측정판연결부 255: 안착홈부
300: 오조립판단부재 310: 대응형상부
311: 대응형상프레임 312: 돌출판
313: 중간판 315: 체결부재
320: 대응형상가이드 330: 연결부
340: 이동부 341: 이동축
343: 이동하우징 345: 유체출입부
370: 오조립판단부 371: 판단이동부
373: 판단돌출부 375: 이동거리측정부
377: 제어부

Claims (5)

  1. 플레이트와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셋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디스크셋의 상측과 접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부재; 및
    상기 디스크셋의 측면형상을 기준형상과 비교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오조립 여부를 판단하는 오조립판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조립판단부재는,
    상기 디스크셋의 기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대응형상부;
    상기 대응형상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응형상부 및 상기 연결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대응형상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오조립여부를 판단하는 오조립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판단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형상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대응형상프레임;
    상기 대응형상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셋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판; 및
    상기 대응형상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돌출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판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 및 상기 중간판은 상기 대응형상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판단장치.
  5.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립판단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대응형상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판단이동부;
    상기 판단이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판단돌출부;
    상기 판단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판단돌출부에 간섭되어 상기 대응형상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이동거리측정부; 및
    상기 이동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대응형상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크셋의 오조립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판단장치.

KR1020130093474A 2013-08-07 2013-08-07 오조립 판단장치 KR10149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474A KR101499686B1 (ko) 2013-08-07 2013-08-07 오조립 판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474A KR101499686B1 (ko) 2013-08-07 2013-08-07 오조립 판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98A KR20150017498A (ko) 2015-02-17
KR101499686B1 true KR101499686B1 (ko) 2015-03-06

Family

ID=5304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474A KR101499686B1 (ko) 2013-08-07 2013-08-07 오조립 판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6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204A (ko) * 1996-11-16 1998-08-05 양재신 기어의 이뿌리 검사 장치
JP2007017292A (ja) * 2005-07-07 2007-01-25 Ibara Seiki Kk ブレーキディスク検査装置
JP2009236729A (ja) * 2008-03-27 2009-10-15 Toyota Motor Corp 係合機構評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195814B1 (ko) * 2011-04-27 2012-11-05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클러치 플레이트의 평면도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204A (ko) * 1996-11-16 1998-08-05 양재신 기어의 이뿌리 검사 장치
JP2007017292A (ja) * 2005-07-07 2007-01-25 Ibara Seiki Kk ブレーキディスク検査装置
JP2009236729A (ja) * 2008-03-27 2009-10-15 Toyota Motor Corp 係合機構評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195814B1 (ko) * 2011-04-27 2012-11-05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용 클러치 플레이트의 평면도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98A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093B1 (ko)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US8622185B2 (en) Sealing arrangement and wet-running double-clutch arrangement having a sealing arrangement
JP4691932B2 (ja)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装置
US7264564B2 (en) Cone disc infinitely-variable gearbox
US20100193321A1 (en) Clutch actuation system
KR101348083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KR101305985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시험장치
CN104685265B (zh) 自动变速器及其控制方法
EP2128456A2 (en) Piston position detector
KR101499686B1 (ko) 오조립 판단장치
KR100577657B1 (ko) 자동 변속기
KR102480775B1 (ko) 조 클러치
EP2902671A1 (en) Automatic transmission equipped with friction element having locking mechanism attached thereto,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943665A (zh) 驻车执行装置及具有该驻车执行装置的车辆
CN207701632U (zh) 一种气动驻车制动器
JP5844913B2 (ja) 自動変速機及び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JP5812359B2 (ja) 機械プレスのブレーキ診断装置
JP5484093B2 (ja) 流体式変速機用クラッチピストン
CN110966320B (zh) 用于车辆的制动器及车辆
KR20180011088A (ko) 토크 컨버터의 록업 장치
CN104704266B (zh) 自动变速器及其控制方法
JP6319247B2 (ja) スナップリング組付装置及びスナップリング組付方法
RU2446328C2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101469530B1 (ko) 자동변속기
KR100656934B1 (ko) 자동화 클러치의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