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653B1 -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 Google Patents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653B1
KR101499653B1 KR20140098725A KR20140098725A KR101499653B1 KR 101499653 B1 KR101499653 B1 KR 101499653B1 KR 20140098725 A KR20140098725 A KR 20140098725A KR 20140098725 A KR20140098725 A KR 20140098725A KR 101499653 B1 KR101499653 B1 KR 10149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coupled
unit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to KR2014009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잠수함 등을 비롯한 선박에 반입하여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한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유닛(1,1'), 베드유닛(4,4',4"), 백판넬(7,7',7"), 탑판넬(8)로 이루어지는 다층 침대에 있어서,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사이로 사이드판넬(3,3',3")이 수개 결합되고 하단에는 연결판넬(35)이 결합되는 사이드유닛(1,1'); 상기 사이드유닛(1,1')을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연결하는 전,후의 베이스프레임(11)(12); 상기 사이드유닛(1,1') 사이에서 상하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수개의 베드유닛(4,4',4"); 상기 사이드판넬(3,3',3")과 연결판넬(35)의 후방에 결합되는 수개의 백판넬(7,7',7"); 상기 사이드유닛(1,1') 상부에서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상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탑판넬(8);로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THE PREFABRICATED BED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잠수함 등을 비롯한 선박에 용이하게 반입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잠수함의 함내로 들어가는 해치(Hatch)와 복도를 통해 선실 내로 용이하게 반입할 수 있는 크기로 다층 침대의 부품들을 구성하고, 각 부품들은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튼튼하고 안정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선박 등의 선실은 여러 인원이 함께 단체로 생활하는 공간으로 인원수에 비해 부족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다층으로 침대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의 선실에 설치되는 다층 침대는 공간효율 극대화와 사용편이성 최대화를 위한 구조로 제공되는 데 이를 위한 선박용 다층 침대의 대표적인 선례를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참고문헌1, 2에 다단으로 침상부가 구획된 케이싱의 상부로 수직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 일측으로 서랍장을 설치한 다단침대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3에 다단침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선실 측벽 내면에 설치된 각종 배선이나 배관의 점검 및 보수가 가능케 하며, 또한 다단침대를 선실 바닥에 수평상태로 견고히 고정설치할 수 있게 하는 선박용 다단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4에 다수의 수면 공간이 구비된 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수면 공간이 구획배치되고, 돌출테두리부가 구비되는 매트리스부 내측에 수납 공간이 개폐되는 수납부재로 구성되는 다단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잠수함은 선박 보다 더 열악한 공간제약을 받게 되는 데, 잠수함의 승조원을 위한 침실은 매우 협소한 공간 여건상 다단으로 침대를 구성하여 설치하는 작업 역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즉, 선박의 선실 침대와 마찬가지로 완성품의 침대를 함정 내부로 그대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없으므로 다층 침대를 조립형으로 구성하고 각 침대 부품을 선실내로 옮겨서 조립, 설치할 수 밖에 없음은 당연하다.
그런데 잠수함의 경우에는 침대 부품의 규격이 함내로 들어가는 좁은 해치(Hatch), 그리고 협소한 폭의 복도, 복도에서 선실 내로 들어가는 좁은 문을 통과해야 하므로 이들보다 작은 규격(크기)로 제작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잠수함 내로 반입하여 선실 내부로까지 옮겨 조립, 설치하여야 하는 침대 부품의 잠수함의 해치와 복도, 그리고 선실 문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이동이 용이하도록 경량으로 제작해야 되는 제약으로 침대의 부품수가 많아질 수 밖에 없고 또 협소한 선실 내에서 조립, 설치작업하게 되어 잠수함 선실 내에서의 침대 설치작업에는 많은 장해와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이 잠수함 등에 사용되는 조립식 다층 침대는 좁은 함내로 반입할 수 있어야 하고 또 공간점유 역시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불가피하게 다수의 부품수들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어 침대의 조립, 설치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다수의 부품수 등으로 인해 조립, 설치후의 견고성 또한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잠수함용 다층 침대에 관해서는 참고문헌5를 참조할 수 있다.
참고문헌5에 힌지장치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펼침 및 접혀지는 제1침대와 타측방향으로 펼침 및 접혀지는 제2침대로 구성하여 선실 내부에 다단으로 침대를 구성한 잠수함용 2조연동 접이식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 참고문헌6에는 상하로 적층된 다수 개의 단위침대가 구성되고, 상기 단위침대는 맨 아래에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에 부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면 요철판과, 상기 받침틀 좌우측의 측판과, 상기 받침틀 후방의 후판 등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 확장이 가능한 효과를 부여한 군함용 다층 침대가 개시되어 있는 등 다양한 조립식 다층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24369호, (2000.05.06.)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20571호, (2002.03.15.)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3041호, (2012.10.22.)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89호, (2011.01.07.) (참고문헌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99401호, (2006.07.10.) (참고문헌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6077호, (2013.10.16.)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주로 잠수함 등의 선박은 제한된 공간 여건상 조립식으로 침대를 구성할 수 밖에 없고, 좁은 선실 내에서의 조립 및 설치작업을 위해 부품수가 많아져 조립 및 설치작업의 어려움과 설치후 견고성도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또 조립후에는 조립부분, 즉 조립볼트 등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침대 외관이 깨끗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로 잠수함 등의 선실 내부로 손쉽게 옮겨서 조립, 설치작업할 수 있도록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경량화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다층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베드유닛, 사이드유닛, 백판넬, 탑판넬 등으로 침대를 구성하고, 침대를 구성하는 각 유닛은 프레임과 플레이트 등의 간단하고 경량화된 부품과 조립구조로 구성하며 그 수량을 최소화하여 견고하고 안정된 조립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조립, 설치작업의 간편, 용이성과 함께 완성된 다층 침대의 설치견고성을 함께 보장하여 잠수함을 비롯한 선박 등의 선실에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조립볼트 등의 조립부분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깔끔한 마무리로 외관이 깨끗하고 미려한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전,후방 수직프레임 사이로 사이드판넬이 결합되고 하단에 연결판넬이 결합되는 사이드유닛과; 상기 사이드유닛을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연결하는 전,후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사이드유닛 사이에서 상하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베드유닛과; 상기 사이드판넬과 연결판넬 후방에 결합되는 백판넬과; 상기 사이드유닛 상부에서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 상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탑판넬로 이루어진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유닛을 연결하는 전,후의 베이스프레임은; 양측에 연결브라켓을 형성하여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끼움조립부와 연결판넬의 조립홈을 결합하는 체결볼트의 나사체결공에 조립피스를 체결하여 결합하고, 상기 베드유닛은; 프론트프레임과 백프레임 사이로 베드플레이트를 수개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과 백프레임의 양 브라켓은 사이드유닛의 전,후방 수직프레임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유닛의 프론트프레임과 백프레임 양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유닛의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사이드판넬이 서로 조립된 끼움조립부와 조립홈을 결합하고 있는 체결볼트의 나사체결공에 조립피스를 체결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플레이트는; 각 베드플레이트 사이를 힌지로 서로 연결하여 절첩,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판넬은;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상부로 탑플레이트를 수개 결합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양단에 연결브라켓을 형성하여 상기 사이드유닛의 전,후방 수직프레임 상단 내측에서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주로 잠수함, 선박 등의 선실에 제공하는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로서, 작은 규격의 간단하고 경량화된 부품으로 구성하고 또 간편한 조립구조로 수량을 최소화하여 잠수함 등의 선실 내부로 손쉽게 옮겨서 조립, 설치작업할 수 있으며,
또 부품수의 간소화와 간편한 조립구조로인해 조립, 설치작업의 간편, 용이성과 설치견고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 각 침대부품을 연결하는 체결볼트는 간편하고 견고한 이중 체결구조로 구성되어 조립 및 설치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강력하고 안정된 조립강도로 튼튼한 내구성과 우수한 사용안전성을 제공하는 등의 이익과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다층 침대의 조립완성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중 사이드유닛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및 조립후 사시도
도 2a는 사이드유닛 중 사이드판넬과 연결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사이드유닛을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사이드유닛을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한 정면도
도 5는 사이드유닛에 결합되는 베드유닛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5a는 도 5중 베드플레이트의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베드플레이트의 조립후 단면도
도 7은 사이드유닛과 베드유닛 및 백판넬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백판넬의 일부를 분리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탑판넬을 분리한 사시도
도 10은 탑판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a는 탑판넬의 조립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완성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C-C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15a, 15b는 도 15의 일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사이드유닛, 베드유닛, 백판넬, 탑판넬 등로 다층 침대를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다층 침대를 구성하는 각 사이드유닛, 베드유닛, 백판넬, 탑판넬 등은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고 경량화된 조립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사이드유닛, 베드유닛, 백판넬, 탑판넬 등은 상호 견고한 끼워맞춤 구조와 이중 체결구조로 구성하여 간결하면서도 튼튼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갖춘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침대는 사이드유닛, 베드유닛, 백판넬, 탑판넬 등으로 대분되어 구성되고, 이들 사이드유닛, 베드유닛, 베이스프레임, 백판넬, 탑판넬 등은 서로간 끼움조립된 후 체결볼트와 조립피스의 이중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유닛은 상하 길이방향의 양 수직프레임 사이로 사이드판넬이 수개 결합되어 구성되고, 마주보는 양 사이드유닛 사이로 최하단 저부에는 베이스프레임이 결합되어 양 사이드유닛을 연결하고, 또 이들 사이드유닛 사이로 후술하는 베드유닛이 상하 일정한 공간을 두고 다층으로 결합된다.
상기 베드유닛은 좌우 길이방향의 프론트프레임과 백프레임 사이에 베드플레이트가 수개 결합되어 구성되고, 완성된 베드유닛은 상기 사이드유닛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베드 유닛 상부로 침실 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층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드유닛이 다층으로 결합된 사이드유닛 배면측에는 백판넬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탑판넬이 결합된다.
또 상기한 구성의 다층 침대는 최하단 베드유닛 하부로 서랍을 출납가능하게 설치하는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다층 침대의 조립완성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중 사이드유닛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및 조립후 사시도, 도 2a는 사이드유닛 중 사이드판넬과 연결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사이드유닛을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하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사이드유닛을 베이스프레임으로 연결한 정면도, 도 5는 사이드유닛에 결합되는 베드유닛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5a는 도 5 중 베드플레이트의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베드플레이트의 조립후 단면도, 도 7은 사이드유닛과 베드유닛 및 백판넬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백판넬의 일부를 분리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탑판넬을 분리한 사시도, 도 10은 탑판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a는 탑판넬의 조립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이드유닛(1,1'), 베드유닛(4,4',4"), 백판넬(7,7',7") 및 탑판넬(8), 베이스프레임(11)(12)으로 다층 침대를 구성하고 상기 다층 침대를 구성하는 사이드유닛(1), 베드유닛(4,4',4"), 백판넬(7,7',7") 및 탑판넬(8), 베이스프레임(11)(12)은 서로 끼워맞춤으로 결합하고 체결볼트(9)로 체결하는 간편하고 경량화된 조립구조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사이드유닛(1,1')은; 상하 길이방향의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사이로 사이드판넬(3,3',3")을 수개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방 수직프레임(2)은 일측으로 끼움조립부(21)를 형성하여 사이드판넬(3,3',3")의 일측(전방) 조립홈(31)에 끼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2')에 역시 끼움조립부(22)를 형성하여 사이드판넬(3,3',3")의 다른 일측(후방) 조립홈(32)에 결합한다.
상기에서 전방 수직프레임(2)은 사각형 빔으로, 후방 수직프레임(2')은 (ㄷ)형 빔으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은 그 형상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의 형상 등에 구속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사이로 사이드판넬(3,3',3")이 결합되고 사이드판넬(3,3',3")의 최하단에는 연결판넬(35)이 결합되어 전,후방수직프레임(2)(2') 사이로 사이드판넬(3,3',3")과 최하단 연결판넬(35)이 조립된 사이드유닛(1,1')을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판넬(3,3',3")은 전후 양측으로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의 끼움조립부(21)(22)가 각각 결합되는 조립홈(31)(32)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베드유닛(4,4',4")이 결합되는 방향) 베드유닛(4,4',4")을 상부로 올려 결합하기 위한 랙(rack)(33)을 상단에 형성한다.
이때 최상단 사이드판넬(3")에는 후술하는 탑판넬(8)이 결합되므로 전술한 베드유닛(4,4',4")을 위한 랙(33)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도 2, 도 2a 참조)
상기한 사이드판넬(3,3',3")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연결판넬(35)은 상하 폭(높이)이 짧은 상기 사이드판넬(3,3',3")과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구성하여 전,후방 수직프레임(2)(2')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판넬(35)은 전후 양측으로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의 끼움조립부(21)(22)가 각각 결합되는 조립홈(351)(352)을 각각 형성하고, 내측으로 (베드유닛(4,4',4")이 결합되는 방향) 최하단 베드유닛(4)을 상부로 올려 결합하기 위한 랙(rack)(35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사이드판넬(3,3',3")과 연결판넬(35)의 후방에는 후술하는 백판넬(7,7',7")을 결합하기 위한 백판넬결합부(34)(354)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백판넬결합부(34)(354)는 상부로 부터 백판넬(7,7',7")을 끼워 조립할 수 있는 조립공간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사이드판넬(3,3',3")이 서로 조립되는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1)(32)은 나사체결공(91)이 형성된 체결볼트(9)로서 결합한다.
즉,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사이드판넬(3,3',3")이 서로 조립된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1)(32)은 체결볼트(9)로 체결하여 결합하고, 상기 체결볼트(9)에는 나사체결공(9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을 후술하는 베드유닛(4,4',4")의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을 체결, 결합하는 용도로 함께 사용한다.(도 15a 참조)
따라서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사이드판넬(3,3',3")의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1)(32)을 결합하는 체결볼트(9)는 후술하는 베드유닛(4,4',4")이 결합되는 부위(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이 결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체결볼트(9)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배드유닛(4,4',4")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또,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연결판넬(35)이 서로 조립되는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51)(352) 역시 나사체결공(91)이 형성된 체결볼트(9)로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판넬(35)에 결합된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은 후술하는 베이스프레임(11)(12)을 체결하는 용도로 함께 사용한다.(도 15b 참조)
상기 연결판넬(35)의 체결볼트(9)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베이스프레임임(11)(12)의 조립구조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최하단에 연결판넬(35)이 결합되고 그 상부로 사이드판넬(3,3',3")이 전,후방 수직프레임(2)(2')에 결합되어 구성된 사이드유닛(1,1')은 베드유닛(4,4',4")을 설치하기위한 랙(33)(353)이 내측을 향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마주보는 사이드유닛(1,1') 하단에는 전후에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프레임(11)(12)을 결합하여 서로 연결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2)은 양단에 연결브라켓(111)(112)을 각각 형성하여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연결판넬(35)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에 조립피스(10)를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1)(12)으로 양 사이드유닛(1,1')을 연결하여 조립한다. (도 3, 도 4 참조)
즉,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의 끼움조립부(21)(22)와 연결판넬(35)의 조립홈(351)(352)에 결합된 체결볼트(9) 내부 나사체결공(91)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1)(12)의 양 연결브라켓(111)(112)을 조립피스(10)로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 수직프레임(2)(2')에 결합되는 사이드판넬(3,3',3')의 높이는 이들 사이로 결합되는 베드유닛(4,4',4") 상부로 공간을 형성하여 이들 각 베드유닛(4,4',4") 상부가 침실 공간을 이루는 것으로, 이하 베드유닛(4,4',4")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유닛(1,1')에는 베드유닛(4,4',4")이 상하 일정한 공간(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사이드유닛(1,1')에 결합된 사이드판넬(3,3',3')의 개수에 동일 개수로 베드유닛(4,4',4")이 준비되어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베드유닛(4,4',4")은 가로 방향으로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을 배치하고 이들 사이로 베드플레이트(6,6',6")를 수개 결합한다.
즉, 상기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받침부(51)(51')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상부로 베드플레이트(6,6',6")를 수개 결합함으로써 그 상면에 매트리스 등을 깔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드플레이트(6,6',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의 받침부(51)(51') 저면에서 피스 등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프론트프레임(5)는 전면을 아래로 연장 형성한 커튼설치부(53)를 설치하여 침실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사생활 보호를 위한 커튼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베드플레이트(6,6',6")는 도 5a와 같이 각 베드플레이트(6,6',6") 사이를 경첩 등의 힌지(61,61')로 서로 연결하여 절첩,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절첩, 전개할 수 있게 베드플레이트(6,6',6")를 연결 구성하면 베드플레이트(6,6',6")가 일체화되어 이동 등에 용이한 이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베드플레이트(6,6',6")를 연결하는 힌지(61,61')는 통상의 다양한 구조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립된 베드유닛(4,4',4")은 사이드유닛(1,1')의 내측으로 형성된 사이드판넬(3,3')과 연결판넬(35)의 랙(33),(353) 상부로 올려 결합하고, 또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 양단 브라켓(52)(52')을 사이드유닛(1,1')을 이루는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의 끼움조립부(21)(22)에 각각 결합한다.
즉, 상기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 양단에 브라켓(52,52')을 형성하여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사이드판넬(3,3',3")이 서로 조립된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1)(32)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에 조립피스(10)로 결합한다.
상기 체결볼트(9)는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사이드판넬(3,3',3")의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1)(32)를 이미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에 상기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 양단 브라켓(52,52')을 조립피스(10)로 체결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이미 사이드유닛(1,1')을 조립하고 있는 체결볼트(9)는 사이드유닛(1,1')에 결합되는 베드유닛(4,4'4,")을 조립피스(10)로 상기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 내로 다시 결합하는 이중 체결구조로 매우 튼튼하게 결합되고 또 조립부분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깨끗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상기한 방법으로 상기 사이드유닛(1,1') 사이로 베이스프레임(11)(12) 상부로 부터 차례로 연결판넬(35)의 랙(353)과 각 사이드판넬(3,3')의 랙(33) 상부로 베드유닛(4,4',4")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드유닛(4,4',4")이 다층으로 결합된 사이드유닛(1,1') 배면측에는 백판넬(7,7',7")을 결합하고, 백판넬(7,7',7")이 결합되면 상부에 탑판넬(8)을 결합한다.
상기 백판넬(7,7',7")은 상기 사이드판넬(3,3',3")과 연결판넬(35)의 후방에 형성된 백판넬결합부(33)(353)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백판넬(7,7',7")은 상기 사이드판넬(3,3',3")과 연결판넬(35)의 백판넬결합부(33)(353)에 수용되는 규격(크기)로 형성함은 당연하다. (도 8참조)
상기 백판넬(7,7',7")은 사이드판넬(3,3',3")과 연결판넬(35)의 후방에 형성된 백판넬결합부(33)(353)에 끼워 결합되므로 얇은 두께로 가볍게 제작하고, 또 도시한 예와 같은 3개가 아닌 6개 등으로 더욱 분할 구성하면 백판넬(7,7',7")이 보다 소형화, 경량화되어 이동 및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백판넬(7,7',7") 결합이 완료된 사이드판넬(3,3',3") 상부에는 탑판넬(8)을 결합한다.
상기 탑판넬(8)은 전방 프레임(81)과 후방 프레임(82) 상부로 탑플레이트(83,83',83")를 수개 결합하여 내측(하부)에서 조립피스(101)로 체결하여 조립하고, 각 전방 프레임(81)과 후방 프레임(82) 양단에는 각각 연결브라켓(84)(85)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사이드유닛(1,1')의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상단 내측에서 체결볼트(9)로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탑판넬(8)은 전방 프레임(81)에 전술한 베드유닛(4,4')의 프론트프레임(5)의 경우와 같이 침실공간의 사생활보호 등을 위한 커튼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커튼설치부(도시 및 부호 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다층 침대 하부에 서랍(S)을 구비시킨 것이다.
상기 서랍(S)은 사이드유닛(1,1') 하부의 연결판넬(35)을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베이스프레임(11)(12)과 최하단 베드유닛(4) 사이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서랍(S)를 출납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서랍(S)은 통상의 일반 서랍과 같이 양측에 슬라이더(S1)를 형성하여 수납공간으로부터 출납가능하게 하고 또 상기 서랍(S)은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2~3개 등 다양한 개수로 구비시켜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연결판넬(35)을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베이스프레임(11)(12)과 최하단 베드유닛(4)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변경 만으로 다층 침대 하부에 서랍(S) 등 다양한 수납장치를 갖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유닛(1,1'), 베드유닛(4,4',4") 및 백판넬(7,7',7")과 탑판넬(8)의 간단한 구성으로 잠수함 등의 선실 내로 쉽게 반입하여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층 침대를 구성하는 사이드유닛(1,1'), 베드유닛(4,4',4") 및 백판넬(7,7',7")과 탑판넬(8) 역시 간소한 구성부품수로 이루어지고 체결볼트(9)와 조립피스(10)에 의한 이중 결합구조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사이드유닛 2,2':전,후방 수직프레임
21,22:끼움조립부
3,3',3":사이드판넬 31,32 / 351,352:조립홈
33,353:랙(Rack) 34,354:백판넬결합부
35:연결판넬
4,4',4":베드유닛
5:프론트프레임 5':백프레임
51,51':받침부 52,52':브라켓
6,6',6" / 61,61',62":베드플레이트
7,7',7":백판넬
8:탑판넬 81,82:전,후방 프레임
83,83',83":탑플레이트 84,85:연결브라켓
9:체결볼트 91:나사체결공
10:조립피스
11,12:연결프레임 111,112:연결브라켓
S:서랍 S1:슬라이더

Claims (10)

  1.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사이로 사이드판넬(3,3',3")이 결합되고 하단에 연결판넬(35)이 결합되는 사이드유닛(1,1')과; 상기 사이드유닛(1,1')을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연결하는 전,후의 베이스프레임(11)(12)과; 상기 사이드유닛(1,1') 사이에서 상하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베드유닛(4,4',4")과; 상기 사이드판넬(3,3',3")과 연결판넬(35) 후방에 결합되는 백판넬(7,7',7")과; 상기 사이드유닛(1,1') 상부에서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상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탑판넬(8)로 이루어진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유닛(1,1')을 연결하는 전,후의 베이스프레임(11)(12)은;
    양측에 연결브라켓(111)(112)을 형성하여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2)(2')의 끼움조립부(21)(22)와 연결판넬(35)의 조립홈(351)(352)을 결합하는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에 조립피스(10)를 체결하여 결합하고,
    상기 베드유닛(4,4',4")은;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 사이로 베드플레이트(6,6',6")를 수개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의 양 브라켓(52)(52')은 사이드유닛(1,1')의 전,후방 수직프레임(2)(2')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유닛(4,4',4")의 프론트프레임(5)과 백프레임(5') 양 브라켓(52,52')은;
    상기 사이드유닛(1,1')의 전,후방 수직프레임(2)(2')과 사이드판넬(3,3',3")이 서로 조립된 끼움조립부(21)(22)와 조립홈(31)(32)을 결합하고 있는 체결볼트(9)의 나사체결공(91)에 조립피스(10)를 체결하여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플레이트(6,6',6")는;
    각 베드플레이트(6,6',6") 사이를 힌지(61,61')로 서로 연결하여 절첩,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판넬(8)은;
    전방 프레임(81)과 후방 프레임(82) 상부로 탑플레이트(83,83',83")를 수개 결합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81)과 후방 프레임(82) 양단에 연결브라켓(84)(85)을 형성하여 상기 사이드유닛(1,1')의 전,후방 수직프레임(2)(2') 상단 내측에서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40098725A 2014-08-01 2014-08-01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KR10149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725A KR101499653B1 (ko) 2014-08-01 2014-08-01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8725A KR101499653B1 (ko) 2014-08-01 2014-08-01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653B1 true KR101499653B1 (ko) 2015-03-09

Family

ID=5302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8725A KR101499653B1 (ko) 2014-08-01 2014-08-01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21B1 (ko) * 2020-07-17 2021-12-01 주식회사 케이피 2층 공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선박용 침대
KR200494952Y1 (ko) * 2021-08-06 2022-02-08 주식회사 원풍로자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61B1 (ko) * 2011-12-28 2012-05-07 신기봉 서랍형 침대 프레임
KR101316077B1 (ko) * 2013-06-12 2013-10-15 (주) 에이티아이 군함용 다층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61B1 (ko) * 2011-12-28 2012-05-07 신기봉 서랍형 침대 프레임
KR101316077B1 (ko) * 2013-06-12 2013-10-15 (주) 에이티아이 군함용 다층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21B1 (ko) * 2020-07-17 2021-12-01 주식회사 케이피 2층 공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선박용 침대
KR200494952Y1 (ko) * 2021-08-06 2022-02-08 주식회사 원풍로자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047B2 (en) Collapsible shelter
KR101147688B1 (ko) 유닛룸과 그 2단 설치 구조
RU2639100C2 (ru) Мебельный модуль
US6389773B1 (en) Stackable panel system for modular office furniture
EP3272251B1 (en)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CN111155636B (zh) 建筑物组件
JP6047278B2 (ja) カプセルベッド
KR20090013757A (ko) 선박용 파티션 모듈
KR101499653B1 (ko)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US20220056685A1 (en) Tent-Like Structure
EP1816067A2 (en) Passenger ship in particular a cruise ship and cabin assembly for passenger ship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EA038114B1 (ru) Панели для собираемого изделия
CN204456956U (zh) 一种l型组合式模块化公寓
CN101309831A (zh) 运输工具内住宿房间的布置方式
EP3008257B1 (en) Modular wall installation
WO2015089500A1 (en) Aircraft seat surround with 3d printed decorative moldings
US20220356894A1 (en) Tenon-joints-attached Frames for Aluminum Furniture
RU2555723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ячеистой ярус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 посадочными местами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ей
KR101193041B1 (ko) 선박용 다단침대
WO2015167344A1 (en) Room separation device
JP3235362U (ja) 集合住宅の収納構造
CN210043661U (zh) 屏幕主体
TWM591552U (zh) 迷你組合屋
TWM456750U (zh) 空間系統組合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