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52Y1 -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52Y1
KR200494952Y1 KR2020210002472U KR20210002472U KR200494952Y1 KR 200494952 Y1 KR200494952 Y1 KR 200494952Y1 KR 2020210002472 U KR2020210002472 U KR 2020210002472U KR 20210002472 U KR20210002472 U KR 20210002472U KR 200494952 Y1 KR200494952 Y1 KR 200494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in frame
support
protru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풍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풍로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풍로자
Priority to KR2020210002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프레임 구조체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체결 돌출부; 및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를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체결 홈을 갖는 제1 체결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천정부,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후방부 및 상기 구획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정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측벽부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에 위치된 제2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A FRAME STRUCTURE AND BED FRAME ASSEMBLY}
본 고안은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들 간의 결합을 블럭식으로 결합시키면서 결합이 용이한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가구, 장비 등의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바 형상의 프레임들 각각의 양단을 서로 용접 또는 체결피스 등으로 연결하여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모서리를 형성하고, 바 형상의 프레임들 내의 개구에 판 형상의 플레이트를 용접, 체결 피스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프레임들을 용접, 체결 피스 등으로 결합하는 경우, 결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프레임들을 결합하더라도 프레임들 내에 판 형상의 플레이트를 용접, 체결 피스 등으로 또 다시 결합해야하므로, 구조물을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한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10-2178756호(2020.11.16.)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레임 구조체들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프레임 구조체들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침대 등의 구조물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프레임 구조체들로 조립된 구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용이하게 프레임 구조체들을 결합할 수 있어서 미숙련자도 쉽게 프레임 구조체들의 결합 작업을 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체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체결 돌출부; 및 상기 제1 체결 돌출부와 대향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 돌출부를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체결 홈을 갖는 제1 체결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천정부,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후방부 및 상기 구획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정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측벽부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에 위치된 제2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는, 제1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체결 돌출부; 및 상기 제1 체결 돌출부와 대향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를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체결 홈을 갖는 제1 체결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체들 간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을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구조물의 조립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프레임 구조체들을 결합할 수 있어서 미숙련자도 쉽게 프레임 구조체들의 결합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구획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3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1 덮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제2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구획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3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1)는 군함 등에서 사용되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일 수 있다.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1)는 몸체부(10)와 구획 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1)는 사다리부(30), 및 난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전방이 개구(O)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부(10)의 개구(O)를 통해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들어갈 수 있다. 몸체부(10)의 수용 공간에는 구획 지지부(20)가 위치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바닥부(200), 천정부(300), 후방부(400), 및 양측벽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00)는 몸체부(1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양측벽부(100), 후방부(400), 및 천정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바닥부(2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천정부(300)는 몸체부(1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천정부(300)는 바닥부(20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천정부(300)는 바닥부(200)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천정부(300)는 바닥부(200)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정부(3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부(400)는 몸체부(10)의 개구(O)와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후방부(400)는 상기 개구(O)와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후방부(400)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구획 지지부(20)를 사이에 두고 바닥부(200)와 천정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복수의 프레임 구조체들의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레임 구조체(110), 제2 프레임 구조체(120) 및 제3 프레임 구조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양측벽부(100)는 복수의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 제2 프레임 구조체(120) 및 제3 프레임 구조체(130)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 제2 프레임 구조체(120) 및 제3 프레임 구조체(130) 각각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 각각은 제1 메인 프레임부(111), 제1 체결 돌출부(112), 및 제1 체결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제1 체결 돌출부(112)와 제1 체결 삽입부(1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S)을 가질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제1 플레이트(110a), 제2 플레이트(110b), 적어도 하나의 제1 구획 플레이트(111c)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선 홈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a)와 제2 플레이트(110b)는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a)와 제2 플레이트(110b) 각각은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는 제1 플레이트(110a)와 제2 플레이트(110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는 제1 플레이트(110a)와 제2 플레이트(110b)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내부 공간(S)을 구획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들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전선 홈부(111d)는 제1 구획 플레이트(111c)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전선 홈부(111d)는 전선이 끼워지는 끼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전선 홈부(111d)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선 홈부(111d)들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전선 홈부(111d)들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선 홈부(111d) 중 하나는 제1 플레이트(110a)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전선 홈부(111d)들 중 나머지 하나는 제2 플레이트(110b)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 있는 제1 전선 홈부(111d)에 전선을 끼울 수 있다.
제1 체결 돌출부(112)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출부(112)는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의 제1 체결 삽입부(113) 또는 인접한 제2 프레임 구조체(120)의 제2 체결 삽입부(12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출부(112)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출부(112)는 제1 체결 단부(112a), 제1 체결 측벽부(112b), 및 제1 체결 돌기(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단부(112a)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일측과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단부(112a)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단부(112a)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1 체결 측벽부(112b)는 제1 체결 단부(112a)와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체결 측벽부(112b)는 제1 체결 단부(112a)로부터 제1 메인 프레임부(111)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측벽부와 제1 측벽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는 제1 측벽부의 끝단과 제1 플레이트(110a)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고, 제1 측벽부의 끝단과 제2 플레이트(110b)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측벽부는 제1 플레이트(110a) 및 제2 플레이트(110b)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 돌기(112c)는 제1 체결 측벽부(112b)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측 방향은 제3 방향(D3)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체결 돌기(112c)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와 제1 체결 단부(112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돌기(112c)는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체결 돌출부(112)와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체결 돌출부(112)를 함몰 형성된 제1 체결 홈(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체결 삽입부(113)에는 제1 체결 삽입부(113)와 인접한 제1 체결 돌출부(112) 또는 후술할 제2 체결 돌출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체결 홈(113a)을 사이에 두고,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타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측벽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장 측벽부(113b)는 제1 플레이트(110a)의 타측과 제2 플레이트(110b)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연장 측벽부(113b)를 연결하는 제1 지지부(113d)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3d)는 제1 체결 홈(113a)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 측벽부(113b)는 제1 체결 홈(113a)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3d)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와 제1 체결 홈(113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연장 측벽부(113b)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돌기 홈(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돌기 홈(113c)은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 홈(113c)은 제1 체결 홈(113a)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돌기 홈(113c)에는 제1 체결 돌기(112c) 또는 후술할 제2 체결 돌기(132c)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제1 프레임 구조체(110)로부터 제2 방향(D2)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와 후방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제2 메인 프레임부(121), 제2 체결 삽입부(123), 및 후방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로부터 제2 방향(D2)을 이격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제3 플레이트(121a), 제4 플레이트(121b), 제2 구획 플레이트(121c) 및 제2 전선 홈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1a)와 제4 플레이트(121b)는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21a)와 제4 플레이트(121b) 각각은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플레이트(121a)는 제1 플레이트(110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4 플레이트(121b)는 제2 플레이트(110b)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구획 플레이트(121c)는 제3 플레이트(121a)와 제4 플레이트(121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구획 플레이트(121c)는 제3 플레이트(121a)와 제4 플레이트(121b)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구획 플레이트(121c)는 제1 구획 플레이트(111c)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전선 홈부(121d)는 제2 구획 플레이트(121c)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전선 홈부(121d)는 제1 전선 홈부(111d)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22)는 제2 메인 프레임부(121)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22)는 후방부(4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22)는 후방 지지부(122)를 지지하는 지지면(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22)의 폭(W2)은 제2 메인 프레임부(121)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 지지부(122)의 지지면은 제4 플레이트(121b)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122)의 지지면과 제4 플레이트(121b) 간의 단차진 공간(S1)에는 후방부(400)의 일측이 위치될 수 있다. 후방부(400)의 일측이 후방 지지부(122) 상에 위치될 때, 후방부(400)의 일측과 후방 지지부(122) 간에는 용접 또는 브라켓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 삽입부(123)는 제2 메인 프레임부(121)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체결 삽입부(123)는 제1 체결 돌출부(112)가 삽입되는 제2 체결 홈(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삽입부(123)는 제2 체결 홈(123a)을 사이에 두고, 제2 메인 프레임부(121)의 타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측벽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장 측벽부(123b)는 제3 플레이트(121a)의 타측과 제3 플레이트(121a)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체결 삽입부(123)는 제2 연장 측벽부(123b)를 연결하는 제2 지지부(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3d)는 제2 체결 홈(123a)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장 측벽부(123b)는 제2 체결 홈(123a)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3d)는 제2 체결 홈(123a)과 제2 메인 프레임부(1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체결 삽입부(123)는 제2 연장 측벽부(123b)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돌기 홈(123c)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돌기 홈(123c)은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 홈(123c)은 제2 체결 홈(123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기 홈(123c)에는 제1 체결 돌기(112c)가 삽입될 수 있다.
제3 프레임 구조체(130)는 제1 프레임 구조체(110)를 사이에 두고, 제2 프레임 구조체(1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 구조체(130)는 제1 프레임 구조체(110)로부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프레임 구조체(130)는 제3 메인 프레임부(131)와 제2 체결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메인 프레임부(131)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로부터 몸체부(10)의 개구(O)를 향해 이격될 수 있다. 제3 메인 프레임부(131)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 또는 제1 프레임 구조체(110)로부터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메인 프레임부(131)는 제5 플레이트(131a), 제6 플레이트(131b), 제3 구획 플레이트(131c) 및 제3 전선 홈부(13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플레이트(131a)와 제6 플레이트(131b)는 제3 방향(D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5 플레이트(131a)와 제6 플레이트(131b) 각각은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플레이트(131a)는 제1 플레이트(110a)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6 플레이트(131b)는 제2 플레이트(110b)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구획 플레이트(131c)는 제5 플레이트(131a)와 제6 플레이트(131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구획 플레이트(131c)는 제5 플레이트(131a)와 제6 플레이트(131b)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구획 플레이트(131c)는 제1 구획 플레이트(111c)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할 수 있다.
제3 전선 홈부(131d)는 제3 구획 플레이트(131c)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전선 홈부(131d)는 제1 전선 홈부(111d)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타측의 모서리 영역은 곡선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타측에 부딪칠 때, 다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체결 돌출부(132)는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체결 돌출부(132)는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의 제1 체결 삽입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 돌출부(132)는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체결 돌출부(132)는 제2 체결 단부(132a), 제2 체결 측벽부(132b), 및 제2 체결 돌기(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단부(132a)는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일측과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단부(132a)는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일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단부(132a)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2 체결 측벽부(132b)는 제2 체결 단부(132a)와 제3 메인 프레임부(131)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체결 측벽부(132b)는 제2 체결 단부(132a)로부터 제3 메인 프레임부(131)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측벽부와 제2 측벽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는 제2 측벽부의 끝단과 제5 플레이트(131a)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고, 제2 측벽부의 끝단과 제6 플레이트(131b)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측벽부는 제5 플레이트(131a) 및 제6 플레이트(131b)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체결 돌기(132c)는 제2 체결 측벽부(132b)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체결 돌기(132c)는 제3 메인 프레임부(131)와 제2 체결 단부(132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돌기(132c)는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 돌기(132c)는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의 제1 돌기 홈(113c)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와 제3 프레임 구조체(130)는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은 서로 인접한 제1 체결 돌출부(112)를 제1 체결 삽입부(113)의 제1 체결 홈(113a)에 삽입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와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제1 체결 돌출부(112)를 제2 체결 삽입부(123)의 제2 체결 홈(123a)에 삽입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와 제3 프레임 구조체(130)는 제2 체결 돌출부(132)는 제1 체결 홈(113a)에 삽입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양측벽부(100)는 제1 내지 제3 프레임 구조체(130)들이 모듈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프레임 구조체(130)들은 용접이나, 브라켓 등을 통해서가 아닌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 구조체(110), 제2 프레임 구조체(120) 및 제3 프레임 구조체(130)의 결합 구조는 양측벽부(100)에만 적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1)의 천정부(300), 바닥부(200), 및 후방부(4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획 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 지지부(20)는 양측벽부(100) 및 후방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획 지지부(20)는 양측부와 후방부(400)에 나사결합, 용접 결합 등이 될 수 있다. 구획 지지부(2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 제2 지지 플레이트(22) 및 돌출 리브부(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 지지부(2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획 지지부(20)는 제1 구획 지지부(20), 및 제2 구획 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 지지부(20) 및 제2 구획 지지부(20)는 바닥부(200)와 천정부(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구획 지지부(20)는 제2 구획 지지부(20)의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획 지지부(20)는 천정부(300)와 제2 구획 지지부(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21)와 제2 지지 플레이트(22)는 그의 양측이 양측벽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21)와 제2 지지 플레이트(22)는 제3 방향(D3)으로 길게 형성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21)와 제2 지지 플레이트(2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지지 플레이트(22)는 제1 지지 플레이트(21)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돌출 리브부(23)들은 제1 지지 플레이트(21)와 제2 지지 플레이트(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 리브부(23)들은 제1 지지 플레이트(2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돌출 리브부(23)들은 제1 지지 플레이트(21)로부터 제3 지지 플레이트(131c)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돌출 리브부(23)들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 리브부(23)들은 제3 방향(D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돌출 리브부(23)들 각각은 사용자를 지지하는 구획 지지부(20)의 지지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사다리부(30)는 몸체부(10)의 개구(O)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사다리부(30)는 사용자가 구획 지지부(20)들로 올라가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다리부(30)는 일측이 구획 지지부(20)들 중 천정부(300)와 인접한 구획 지지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사다리부(30)는 타측이 구획 지지부(20)들 중 바닥부(200)와 인접한 구획 지지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난간부(40)는 구획 지지부(20)들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난간부(40)는 구획 지지부(20) 상에 위치된 사용자가 몸체부(10)의 개구(O)를 통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난간부(40)는 구획지지부에서 몸체부(10)의 개구(O)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난간부(40)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1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0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는 군함 등에서 사용되는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일 수 있다.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는 몸체부(10), 구획 지지부(20), 도어부(50) 및 서랍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전방이 개구(O)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0)는 바닥부(200), 천정부(300), 후방부(400), 및 양측벽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구획 지지부(20)를 사이에 두고 바닥부(200)와 천정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복수의 프레임 구조체들의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전술한 제1 프레임 구조체(110), 제2 프레임 구조체(120), 및 제3 프레임 구조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 제2 프레임 구조체(120), 및 제3 프레임 구조체(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측벽부(100)는 제1 프레임 구조체(110)는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양측벽부(100)는 제1 프레임 구조체(11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 각각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 각각은 제1 메인 프레임부(111), 제1 체결 돌출부(112), 및 제1 체결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들 각각은 제1 덮개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S)을 가질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제1 플레이트(110a), 제2 플레이트(110b), 적어도 하나의 제1 구획 플레이트(111c)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선 홈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한 쌍의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내부 공간(S)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110a)는 그를 관통하는 제1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는 서로 인접한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들 사이의 내부 공간(S)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제1 개구로부터 제1 메인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 홈부(11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홈부(111e)는 후술할 제1 덮개부(115)의 양측이 삽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홈부(111e)는 제1 구획 플레이트(111c)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덮개 지지부와 덮개 지지부로부터 제1 플레이트(110a)를 향해 연장되는 덮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홈부(111e)는 덮개 지지부(미부호)와 제1 플레이트(110a) 사이에 제1 덮개부(115)의 양측이 삽입되는 제1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홈은 덮개 지지부, 덮개 연결부 및 제1 플레이트(110a)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덮개부(115)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덮개부(115)는 제1 결합 홈부(111e)에 삽입되어 제1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개구는 제1 덮개부(115)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개구가 개방될 때,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내부 공간(S)에 전선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내부 공간(S)에 전선 등을 설치한 경우, 제1 덮개부(115)로 제1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덮개부(115)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덮개부(115)는 덮개 플레이트(115b)와 결합 돌출부(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덮개부(115)는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홀(115a)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홀(115a)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홀(115a)들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내부 공간(S) 내에 위치된 전선 등은 연결 홀(115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15b)는 제1 개구를 덮을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15b)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15b)의 양측은 전술한 덮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15b)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의 내부 공간(S)과 접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플레이트(115b)의 일면과 타면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결합 돌출부(115c)는 덮개 플레이트(115b)의 양측으로부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115c)는 결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덮개부(115)는 제1 개구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합 돌출부(115c)의 폭은 덮개 플레이트(115b)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결합 돌출부(115c)는 덮개 플레이트(115b)의 타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제2 메인 프레임부(121), 제2 체결 삽입부(123), 및 후방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들 각각은 제2 덮개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제3 플레이트(121a), 제4 플레이트(121b), 적어도 하나의 제2 구획 플레이트(121c)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선 홈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내부 공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제2 개구로부터 제2 메인 프레임부(121)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결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홈부는 제1 결합 홈부(111e)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덮개부(115)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덮개부(115)는 제2 결합 홈부에 삽입되어 제2 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덮개부(115)는 제1 덮개부(115)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 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구획 지지부(2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구획 지지부(20) 및 제2 구획 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 지지부(20)와 제2 구획 지지부(20)는 바닥부(200)와 천정부(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구획 지지부(20)는 제2 구획 지지부(20)와 천정부(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구획 지지부(20)와 제2 구획 지지부(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은 제1 구획 공간, 제2 구획 공간 및 제3 구획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구획 공간, 제2 구획 공간 및 제3 구획 공간은 제1 방향(D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어부(50)는 몸체부(10)의 개구(O)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부(50)는 양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부(50)의 회전 축은 제1 방향(D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도어부(50)는 제3 프레임 구조체(13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도어부(50)는 제1 구획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서랍부(60)는 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랍부(60)는 상부가 개구될 수 있고, 내부에 보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랍부(60) 내부에는 보관 물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서랍부(60)는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 롤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롤러부들은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부들은 몸체부(10)의 양측벽부(100)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부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랍부(60)는 몸체부(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몸체부(10)의 개구(O)를 통해 몸체부(10)의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서랍부(60)는 제1 서랍부(60)와 제2 서랍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랍부(60)는 제1 구획 지지부(20)와 제2 구획 지지부(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랍부(60)는 제2 구획 공간 내로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서랍부(60)는 제2 구획 지지부(20)와 몸체부(10)의 바닥부(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서랍부(60)는 제3 구획 공간 내로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제2 프레임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동일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프레임 구조체(110)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 제1 체결 돌출부(112), 및 제1 체결 삽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체(110)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14) 및 제1 지지 리브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부(111)는 제1 플레이트(110a), 제2 플레이트(110b), 적어도 하나의 제1 구획 플레이트(111c)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선 홈부(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돌출부(112)는 제1 체결 단부(112a), 제1 체결 측벽부(112b), 및 제1 체결 돌기(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삽입부(113)는 제1 체결 홈(113a), 제1 연장 측벽부(113b), 제1 돌기 홈(113c) 및 제1 지지부(1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격 흡수 부재(114)는 제1 체결 삽입부(11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충격 흡수 부재(114)는 제1 지지부(113d)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충격 흡수 부재(114)는 인접한 제1 체결 돌출부(112) 또는 제2 체결 돌출부(132)가 제1 체결 삽입부(113)의 제1 체결 홈(113a)에 삽입될 때, 충격을 흡수하여 제1 프레임 구조체(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충격 흡수 부재(114)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충격 흡수 부재(114)는 고무 재질, 스펀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 리브부(116)는 제1 체결 삽입부(113)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부(116)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리브부(116)는 제1 지지부(113d)와 제1 체결 삽입부(113)와 인접한 제1 구획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부(116)는 제1 체결 삽입부(1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제1 체결 삽입부(113)에는 인접한 제1 체결 돌출부(112) 또는 제2 체결 돌출부(13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13d)는 제1 메인 프레임부(111)를 향해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13d)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부(116)는 제1 지지부(113d)를 지지하여 제1 지지부(113d)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리브부(116)는 2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 리브부들(116)은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부들(116)의 일단은 제1 지지부(113d)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리브부들(116) 간의 이격 거리는 제1 지지부(113d)에서 제1 구획 플레이트를 향해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리브부들(116)은 제1 지지부(113d)의 중심 영역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제2 메인 프레임부(121), 후방 지지부(122), 및 제2 체결 삽입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체(120)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24) 및 제2 지지 리브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부(121)는 제3 플레이트(120a), 제4 플레이트(120b), 적어도 하나의 제2 구획 플레이트(121c)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선 홈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삽입부(123)는 제2 체결 홈(123a), 제2 연장 측벽부(123b), 제2 돌기 홈(123c) 및 제2 지지부(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충격 흡수 부재(124)는 제2 체결 삽입부(12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충격 흡수 부재(124)는 제2 지지부(123d)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충격 흡수 부재(124)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충격 흡수 부재(114)는 고무 재질, 스펀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 리브부(126)는 제2 체결 삽입부(123)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부(126)는 제2 메인 프레임부(1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리브부(126)는 제2 지지부(123d)와 제2 체결 삽입부(123)와 인접한 제2 구획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부(126)는 제2 체결 삽입부(12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리브부(126)는 2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 리브부들(126)은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부들(126)의 일단은 제2 지지부(123d)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리브부들(126) 간의 이격 거리는 제2 지지부(123d)에서 제2 구획 플레이트를 향해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2: 사물함 프레임 어셈블리
10: 몸체부 20: 구획 지지부
21: 제1 지지 플레이트 22: 제2 지지 플레이트
23: 돌출 리브부 100: 양측벽부
110: 제1 프레임 구조체 111: 제1 메인 프레임부
112: 제1 체결 돌출부 113: 제1 체결 삽입부
120: 제2 프레임 구조체 121: 제2 메인 프레임부
122: 후방 지지부 123: 제2 체결 삽입부
130: 제3 프레임 구조체 131: 제3 메인 프레임부
132: 제3 체결 돌출부 200: 바닥부
300: 천정부 400:후방부

Claims (13)

  1.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 공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체결 돌출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를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체결 홈을 갖는 제1 체결 삽입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되는 결합 홈부;
    상기 제1 체결 돌출부와 상기 제1 체결 삽입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한 쌍의 제1 구획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들 각각에 위치되고, 전선이 끼워지는 끼움 홈을 갖는 한 쌍의 제1 전선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과 이격된 제1 체결 단부;
    상기 제1 체결 단부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체결 측벽부; 및
    상기 제1 체결 측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삽입부는,
    상기 제1 체결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측벽부; 및
    상기 제1 연장 측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돌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덮는 덮개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 홈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폭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결합 돌출부 간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는 그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전선 홈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프레임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삽입부 상에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삽입부는, 상기 제1 연장 측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체결 홈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들 중 상기 제1 체결 삽입부와 인접한 제1 구획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 삽입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리브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리브부들 각각은 그들의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중심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리브부들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를 향해 갈수록 커지는 프레임 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천정부,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후방부 및 상기 구획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정부를 연결하는 양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측벽부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에 위치된 제2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 공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체결 돌출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를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체결 홈을 갖는 제1 체결 삽입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1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되는 결합 홈부;
    상기 제1 체결 돌출부와 상기 제1 체결 삽입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한 쌍의 제1 구획 플레이트들; 및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들 각각에 위치되고, 전선이 끼워지는 끼움 홈을 갖는 한 쌍의 제1 전선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과 이격된 제1 체결 단부;
    상기 제1 체결 단부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체결 측벽부; 및
    상기 제1 체결 측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삽입부는,
    상기 제1 체결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측벽부; 및
    상기 제1 연장 측벽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돌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제1 개구를 덮는 덮개 플레이트; 및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 홈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폭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결합 돌출부 간에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는 그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연결 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전선 홈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되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메인 프레임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체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체결 홈을 갖는 제2 체결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지지부의 폭은 상기 제2 메인 프레임부의 폭보다 작은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삽입부 상에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1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삽입부는, 상기 제1 연장 측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체결 홈의 바닥을 형성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들 중 상기 제1 체결 삽입부와 인접한 제1 구획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 삽입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리브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 리브부들 각각은 그들의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부의 중심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리브부들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1 구획 플레이트를 향해 갈수록 커지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와 상기 제2 프레임 구조체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이격되는 제3 프레임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제1 메인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향해 이격되는 제3 메인 프레임부; 및
    상기 제3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 체결 홈에 삽입되는 제2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11. 삭제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지지부는,
    그의 양측이 상기 양측벽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천정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 리브부들; 및
    상기 돌출 리브부들 상에 설치되고, 그의 양측이 상기 양측벽부와 연결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13. 제6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들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프레임 구조체들은 상기 제1 체결 돌출부가 인접한 상기 제1 체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KR2020210002472U 2021-08-06 2021-08-06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KR200494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472U KR200494952Y1 (ko) 2021-08-06 2021-08-06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472U KR200494952Y1 (ko) 2021-08-06 2021-08-06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52Y1 true KR200494952Y1 (ko) 2022-02-08

Family

ID=8025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472U KR200494952Y1 (ko) 2021-08-06 2021-08-06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5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10A (ko) * 2011-04-20 2012-10-30 대동커튼월 주식회사 조립성이 우수한 납골함 안치단
KR101339341B1 (ko) * 2013-08-09 2013-12-12 윤태소 모듈형 조립식 판재
KR101499653B1 (ko) * 2014-08-01 2015-03-09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KR102178271B1 (ko) * 2020-04-23 2020-11-12 이성우 이격과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식 판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178756B1 (ko) 2018-07-10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임구조물, 패널구조물, 프레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10A (ko) * 2011-04-20 2012-10-30 대동커튼월 주식회사 조립성이 우수한 납골함 안치단
KR101339341B1 (ko) * 2013-08-09 2013-12-12 윤태소 모듈형 조립식 판재
KR101499653B1 (ko) * 2014-08-01 2015-03-09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조립식 다층 침대
KR102178756B1 (ko) 2018-07-10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프레임구조물, 패널구조물, 프레임 연결구조
KR102178271B1 (ko) * 2020-04-23 2020-11-12 이성우 이격과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식 판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940B1 (ko) 접이식 운반용 조립 박스
CA2099577C (en) Interlockable structural members and foldable double wall containers assembled therefrom
RU2363631C2 (ru) Модульный ящ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90166356A1 (en) Connector for a Modular Storage Assembly
US20200253161A1 (en) Easy-to-fold and easy-to-assemble box and pet house using the box
WO2014023235A1 (zh) 铰链固定结构和隐藏式铰链及容器
KR200494952Y1 (ko)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침대 프레임 어셈블리
KR20170036911A (ko) 도어 프레임
US6314691B1 (en) Inspection opening frame
KR20060064596A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CA3156106A1 (en) Folded ceiling baffle
CN112057289A (zh) 瓦楞纸制棺
US20050016091A1 (en) Tenon-snap joint structure for glass panel mounting frames
WO2014039418A1 (en) A container assembly mountable to a door
WO2023065440A1 (zh) 一种可折转的板材组合结构
KR20170135552A (ko) 도어 조립구조
KR101099427B1 (ko) 접이식 운반용 조립 박스
KR200387441Y1 (ko) 방음판 고정용 프레임
KR20120006909U (ko) 탑차 적재함용 도어 프레임
JP3133668U (ja) 組立式収納箱
CN218752325U (zh) 一种侧透组合式化妆品包装盒
CN210446003U (zh) 一种收纳盒
JP7365554B2 (ja) テーブル
EP2327337A1 (en) Display case
JP7347734B2 (ja) 光ケーブル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