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552B1 -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552B1
KR101499552B1 KR1020080095511A KR20080095511A KR101499552B1 KR 101499552 B1 KR101499552 B1 KR 101499552B1 KR 1020080095511 A KR1020080095511 A KR 1020080095511A KR 20080095511 A KR20080095511 A KR 20080095511A KR 101499552 B1 KR101499552 B1 KR 10149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unit
ratio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066A (ko
Inventor
송원석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5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촬영이 가능하고, 연속 촬영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하는 초점 조절부,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피사체의 영상을 하나 이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들 각각의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 중 초점이 맞지 않은 영상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 촬영이 가능하고, 연속 촬영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소형화 기술, 배터리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을 휴대하기가 용이하게 되었으며, 어디서나 손쉽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전문가가 아니라도 누구든지 좋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 중 하나가 연속 촬영 기능이다. 연속 촬영 기능이란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한 번만 입력하여도 복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연속 촬영 기능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최근에는 600만 화소의 해상도로 초당 60장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연속 촬영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카메라도 출시되었다. 그리고 연속 촬영 기능 자체에 대한 연구 개발뿐만 아니라 저장매체,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 등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비추어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할 수 있는 영상의 해상도 및 촬영 속도에 있어서 성능 향상 의 가능성은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장매체에 대한 연구 개발에 의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용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한다고 하여도 연속 촬영 기능이 향상되어 고해상도 및 고속 촬영으로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여전히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게 된다. 특히,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경우, 모든 영상이 정확하게 촬영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다수의 영상이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하게 촬영되기도 한다. 이처럼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하게 촬영된 영상을 모두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은 저장 공간을 낭비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속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영상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 중 초점이 맞지 않은 영상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하는 초점 조절부,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피사체의 영상을 하나 이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들 각각의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초점 비율은 상기 촬영된 영상들 각각의 상기 초점 값들 중에서 (최대 초점 값-최소 초점 값)/(최대 초점 값)의 식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초점 비율은 복수의 영상들 중 초점 비율이 계산되는 영상 이전에 촬영된 영상들의 초점 값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 파일에 포함 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영상 파일에 포함된 초점 비율을 사용하여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재생되는 영상 및 상기 생성된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으로 막대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파일들 중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일군(一群)의 영상 파일들을 검색하고,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상기 검색한 일군의 영상 파일들에 포함된 초점 비율들을 순서대로 표시한 변화추이 그래프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검색한 일군의 영상 파일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초점 비율을 가지는 영상 파일들을 삭제하는 파일 삭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에 대하여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함으로 인하여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들은 영상 파일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저장된 영상 파일들 중에서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들을 상기 계산한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사용하여 쉽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처럼 연속 촬영된 영상들 중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들을 삭제함으로 인하여 저장매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촬영 후 재생 모드에서, 영상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초점 비율을 초점 비율 표시 영상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촬영된 영상이 얼마나 초점이 잘 맞았는지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을 하나하나 확인할 필요 없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상을 일괄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렌즈(10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통과시켜, 촬상소자(103)로 영상광을 결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광학 구동부(102)는 후술할 주 제어기(1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서 초점, 노출 등의 제어가 가능한 줌 모터, 조리개 등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촬상소자(103)는 상기 렌즈(101)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등이 사용될 수 있다.
ADC(104)는 상기 촬상소자(103)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타이밍 회로(105)는 상기 촬상소자(103) 및 ADC(104)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시(106)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준다. 상기 플래시(106)를 사용하는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모드, 강제발광 모드, 발광금지 모드, 적목감소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SP(110)는 각종 디지털 신호를 후술할 주 제어기(16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변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각종 디지털 신호란 촬상소자(103)에서 생성되어 ADC(104)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신호,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 저장부(120)나 메모리 카드(122)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DSP(110)는 상기 촬상소자(103) 및 ADC(104)를 통하여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화이트 밸런스 처리, 노이즈 제거, 색보정 등의 일련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셔터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주 제어기(160)에 인가되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DSP(11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DSP(110)에 인가되면, 상기 DSP(110)에서 신호처리가 수행되어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파일은 JPEG 파일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JPEG 파일 형식으로 압축된 영상 파일에는 원본 영상 데이터와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영상을 갖는 썸네일 영상 데이터, 촬영조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Exif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xif 정보에는 후술할 초점 값 또는 초점 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임시 메모리로서 R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RAM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121)에는 영상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121)는 내장형 또는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일 수 있다. 외장형 저장매체의 경우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I/F(130)는 USB I/F와 같이 외부 장치와 데이터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피사체, 사용자에 의한 버튼들의 조작에 따라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라이브-뷰 모드에서의 라이브-뷰 영상 및 재생모드에서의 재생 영상 등을 표시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초점 비율을 나타내는 초점 비율 표시 영상 또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재생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42)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41) 및 상기 재생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으며,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한 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각종 키 버튼 또는 다이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필요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셔터 버튼은 촬영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영상 촬영 신호가 주 제어기(160)에 인가되면 상기 DSP(110)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모드 다이얼은 카메라의 다양한 촬영모드들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모드 다이얼의 조작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촬영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부(150)의 다른 버튼 또는 다이얼에 의하여 연속 촬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줌 버튼은 촬영모드에서 줌-인 및 줌-아웃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줌-인 동작을 수행하는 줌 버튼의 입력에 의하여 재생 영상이 확대되며, 상기 줌-아웃 동작을 수행하는 줌 버튼의 입력에 의하여 재생 영상으로 썸네일 재생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기능 버튼, 재생모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배치 및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주 제어기(16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입력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적용되는 부분, 예를 들어 광학 구동부(102), DSP(110) 등에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재생모드에서 영상 파일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생 영상을 생성하는 재생 영상 생성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재생 영상 생성부는 상기 DSP(110)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이와 다른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기능에 따라서 구성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기능에 따라서 구성을 분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일 실시예로서 초점 조절부, 영상 촬영부, 계산부 및 파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조절부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초점 조절부는 상기 광학 구동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구동부(102)를 제어하는 상기 주 제어기(160)도 초점 조절부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초점 조절부는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반쯤 누른 반셔터 입력을 인가하 면 자동 초점 조절(AF) 기능에 의하여 피사체에 초점을 자동으로 맞춘다. 상기 자동 초점 조절에 의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진 선명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4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영상 촬영부는 셔터 입력에 의하여 초점이 맞추어진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연속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부는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하나 이상의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렌즈(102), 촬상소자(103), ADC(104), DSP(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 입력에 의하여 상기 영상 촬영부가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영상이 촬영된다. 도 3의 경우, 한 번의 셔터 입력에 의하여 60장의 영상이 촬영되었다. 도 3에서 좌측의 영상이 첫 번째 촬영된 영상이고, 가운데 영상이 10번째 촬영된 영상이며, 우측의 영상은 마지막인 60번째에 촬영된 영상이다. 도 3과 같이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나중에 촬영된 영상일수록 피사체에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한 영상이 촬영될 것이다.
계산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복수의 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한다. 상기 계산부는 상기 주 제어기(160)의 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초점 값이란 피사체가 촬영된 영상 내에서 상기 피사체에 초점이 맞은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초점이 맞은 정도란 피사체가 얼마나 또렷하게 촬영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기 초점 값은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필터링 을 수행하고, 상기 필터링을 통하여 계산된 영상 내에 포함된 에지(edge) 성분을 더하는 것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은 촬영된 영상에 초점 값을 계산하기 위한 특수 공간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방법은 하나의 예로써, 초점 값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계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초점 비율은 상기 계산한 초점 값으로부터 계산되는 값이다. 초점 값의 경우 촬영이 이루어진 당시의 촬영조건에 따라서 편차가 심하다. 상기 초점 비율은 이러한 초점 값의 편차를 정규화시킨 값이다. 상기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8351948-pat00001
FR은 초점 비율(Focus Ratio), MaxFV는 최대 초점 값(Max Focus Value), 그리고 MinFV는 최소 초점 값(Min Focus Value)를 의미한다. 또한 i는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영상이 연속 촬영된 영상들 중 몇 번째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여기서 최대 초점 값 및 최소 초점 값은 연속 촬영이 이루어진, 즉 한번의 셔터 입력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계산하고자 하는 영상을 포함하여 그 이전에 촬영된 영상들의 초점 값들 중에서 최대 및 최소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좌측의 영상은 첫 번째 촬영된 영상으로 그 이전에 촬 영된 영상이 없으므로 최대 초점 값 및 최소 초점 값이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초점 비율 FR1 은 0이 된다. 도 2에서 우측의 영상은 마지막에 촬영된 영상으로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모든 영상들의 초점 값들 중에서 최대 초점 값 및 최소 초점 값이 정하여진다.
도 4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의 초점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촬영된 영상들의 경우, 처음 촬영된 영상은 초점이 맞춰진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점 값이 가장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연속 촬영된 영상들 중 나중에 촬영된 영상은 초점이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영상이 흐릿하게 되며, 초점 값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4를 살펴보면, 첫 번째 촬영된 영상의 초점 값(1)이 가장 큰 값을 가지며, 나중에 촬영된 영상일수록 초점 값이 갈수록 작아지는 것(2 내지 6)을 볼 수 있다.
도 5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의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V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의 내부 시스템을 구동하는 시스템 클럭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클럭(VD)의 매 주기마다 영상이 촬영된다.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계산부에서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이 계산된다. 그러나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은 계산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클럭의 2주기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초점 비율이 계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상기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주 제어기(160) 또는 DSP(110) 등의 성능에 좌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 제어기(160) 또는 DSP(110)의 성능에 따라서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혹은 더 짧은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파일 생성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파일 생성부는 상기 주 제어기(160) 또는 상기 DSP(110)의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제어기(160) 및 상기 DSP(110)의 일부에 의하여 구현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파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JPEG 등의 방식으로 압축된 파일일 수 있다. 상기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 파일은 상기 메모리(120) 또는 저장매체(121) 등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일 생성부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모든 영상에 대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일부의 영상들에 대하여만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 중에서 나중에 촬영된 영상들은 초점이 맞지 않아 저장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부의 영상들에 대하여만 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영상 파일을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한 초점 값 또는 초점 비율일 수 있다. 즉, 초점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만 영상 파일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에 대하여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함으로 인하여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들은 영상 파일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저장된 영상 파일들 중에서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들을 상기 계산한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사용하여 쉽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처럼 연속 촬영된 영상들 중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들을 삭제함으로 인하여 저장매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능에 따라서 구성을 분류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 영상 재생부, 영상 생성부, 디스플레이부 및 파일 삭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저장한다. 상기 영상 파일은 상기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한 영상 파일일 수 있으며, 상기 초점 비율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계산부에 의하여 계산된 초점 비율일 수 있다.
영상 재생부는 상기 영상 파일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재생한다.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파일에 포함된 초점 비율을 사용하여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은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에 있어서, 피사체에 초점이 얼마나 정확히 맞추어 졌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영상이다.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주 제어기(160) 또는 상기 DSP(110)의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제어기(160) 및 상기 DSP(110)의 일부에 의하여 구현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디스 플레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의 일 실시예로서, 재생되는 영상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초점 비율을 막대 그래프(60) 형태로 표시한 경우이다. 도 6의 경우, 재생되는 영상의 초점 비율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얼마나 초점이 잘 맞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생된 영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7은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의 일 실시예로서, 재생되는 영상에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 전체의 초점 비율들을 변화 추이 그래프(72)로 표시한 경우이다. 이 경우, 영상 생성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파일들 중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일군의 영상 파일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영상 파일들로부터 초점 비율을 모두 추출하여야 한다. 한편, 현재 재생되는 영상이 연속 촬영된 영상들 중 몇 번째 영상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프레임 번호(71)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화 추이 그래프(72)에 미리 설정된 기준 값(73)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 값(73)에 대하여는 파일 삭제부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재생되는 영상 및 상기 생성된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도 1에서의 디스플레이부(140)일 수 있다.
파일 삭제부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파일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초점 비율을 가지는 영상 파일들을 삭제한다. 즉, 상기 도 7의 경우, 표시한 기준 값(73)보다 큰 초점 비율을 가지는 영상들에 대하여는 사용자로부터 파일을 삭제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기준 값(73)보다 큰 초점 비율을 가지는 영상 파일들을 일괄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준 값은 사 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초점 비율을 초점 비율 표시 영상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촬영된 영상이 얼마나 초점이 잘 맞았는지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을 하나하나 확인할 필요 없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상을 일괄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800)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반셔터 입력을 인가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피사체에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게 된다(S80).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러지게 되면(S81) 영상의 촬영이 시작된다(S82). 이때, 연속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한 한번의 셔터 입력으로 복수의 영상이 촬영된다.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는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한다(S83). 상기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은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미리 설정된 매수만큼 영상을 촬영했는지를 판단하고(S84), 미리 설정된 매수만큼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82 단계 및 상기 S83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반면에 미리 설정된 매수만큼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촬영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영상이 촬영된 후에는 영상 파일이 생 성되며,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초점 비율의 기준 값보다 큰 영상들에 대하여는 영상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900)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재생 모드에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하여 저장된 영상 파일들을 호출한다(S91).
상기 호출한 영상 파일들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추출한다(S91). 이때, 상기 도 7에 의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변화 추이 그래프로 생성하는 경우에는 연속 촬영에 관련된 모든 영상 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상 파일들에 포함된 모든 초점 비율을 추출할 것이다.
상기 추출한 초점 비율로부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생성한다(S92).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 그래프 또는 변화 추이 그래프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추출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생성된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93).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로부터 영상 파일을 삭제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미리 설정된 초점 비율의 기준 값 이상의 초점 비율을 갖는 영상 파일만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120) 또는 저장매체(121)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의 주 제어기(16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연속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들의 초점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8)

  1.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수행하는 초점 조절부;
    한 번의 셔터 입력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피사체의 영상을 하나 이상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들 각각의 초점 값 및 초점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점 비율은 상기 촬영된 영상들 각각의 상기 초점 값들 중에서 (최대 초점 값-최소 초점 값)/(최대 초점 값)의 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비율은 복수의 영상들 중 초점 비율이 계산되는 영상 이전에 촬영된 영상들의 초점 값을 사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 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5. 영상 데이터 및 초점 비율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영상 파일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부;
    상기 영상 파일에 포함된 초점 비율을 사용하여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재생되는 영상 및 상기 생성된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으로 막대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파일들 중 연속 촬영에 의하여 촬영된 일군(一群)의 영상 파일들을 검색하고, 상기 초점 비율 표시 영상을 상기 검색한 일군의 영상 파일들에 포함된 초점 비율들을 순서대로 표시한 변화추이 그래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한 일군의 영상 파일들 중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초점 비율을 가지는 영상 파일들을 삭제하는 파일 삭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80095511A 2008-09-29 2008-09-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49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11A KR101499552B1 (ko) 2008-09-29 2008-09-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511A KR101499552B1 (ko) 2008-09-29 2008-09-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066A KR20100036066A (ko) 2010-04-07
KR101499552B1 true KR101499552B1 (ko) 2015-03-06

Family

ID=4221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511A KR101499552B1 (ko) 2008-09-29 2008-09-29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5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286A (ja) * 1994-11-18 1996-06-07 Nikon Corp 自動焦点調節カメラ
JP2002209135A (ja) * 2001-01-11 2002-07-26 Minolta Co Ltd デジタル撮像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5024858A (ja) * 2003-07-01 2005-01-27 Olympus Corp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JP2008219737A (ja) * 2007-03-07 2008-09-18 Nikon Corp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286A (ja) * 1994-11-18 1996-06-07 Nikon Corp 自動焦点調節カメラ
JP2002209135A (ja) * 2001-01-11 2002-07-26 Minolta Co Ltd デジタル撮像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5024858A (ja) * 2003-07-01 2005-01-27 Olympus Corp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JP2008219737A (ja) * 2007-03-07 2008-09-18 Nikon Corp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066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387949B2 (ja) 撮像装置、再生表示装置、撮像記録方法および再生表示方法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8081220B2 (en) Digital still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ombination
JP477564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90052676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47998B1 (ko)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의제어방법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7029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71972A (ko)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987773B1 (ko) 디지털 카메라의 파일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JP2008263478A (ja) 撮像装置
JP200403252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49955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432947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18004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6237963A (ja) 画像表示装置、撮影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101436840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1113912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533279B1 (ko) 영상의 흔들림을 판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해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JP5069076B2 (ja) 撮像装置および連続撮像方法
KR101298646B1 (ko) 얼굴 영역이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JP2009116244A (ja) 撮像装置
JP2004159083A (ja) 撮影装置
JP633506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